KR101687912B1 - 가스화기 통풍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화기 통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7912B1 KR101687912B1 KR1020150100995A KR20150100995A KR101687912B1 KR 101687912 B1 KR101687912 B1 KR 101687912B1 KR 1020150100995 A KR1020150100995 A KR 1020150100995A KR 20150100995 A KR20150100995 A KR 20150100995A KR 101687912 B1 KR101687912 B1 KR 101687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ifier
- air
- valve
- syngas
- transfer 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09—Mechanical details of gasifi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ling me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03—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gas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10J2300/165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integrated in a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dustrial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화기를 예열시킬 때 예열공정의 시간단축과 위급상황 발생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통풍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로, 가스화기에 결합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해 내는 가스화 반응기, 상기 가스화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 및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냉각시키는 합성가스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장치를 포함하는 통풍장치가 개시된다.
일 예로, 가스화기에 결합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해 내는 가스화 반응기, 상기 가스화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 및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냉각시키는 합성가스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장치를 포함하는 통풍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열 과정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가스화 복합발전의 가스화기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연료 가스로서 사용하는 가스화 복합발전(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은 증기터빈과 가스터빈을 사용한 청정 복합발전 플랜트의 하나이다. 가스화 반응기에서 미분탄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가스화 복합발전은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공정, 합성가스에 포함된 입자 및 황 화합물 등을 제거하는 정제공정 및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으로 구성된 복합발전 플랜트로 구성된다.
가스화 복합발전소의 가스화기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기기를 예열시켜야 하는데, 예열과정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가스화기를 예열시킬 때 예열공정의 시간단축과 위급상황 발생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통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는 가스화기에 결합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해 내는 가스화 반응기, 상기 가스화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 및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냉각시키는 합성가스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장치는 상기 가스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화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된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설치된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장치의 상기 밸브는 더블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화기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주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가스화기와 연결된 밸브; 상기 밸브에 설치된 조절장치; 상기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화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주입관; 및 상기 주입관 내부에 설치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장치의 상기 밸브는 더블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장치가 주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화기 통풍장치는 가스화기에 통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가스화기의 예열시 트랜스퍼 덕트 내의 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위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가스화 복합발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가스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의 공기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의 공기주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가스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의 공기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의 공기주입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가스화 복합발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가스화 복합발전장치는 가스화기(100), 가스정제기(200) 및 복합 발전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100)는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불완전 연소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고온의 합성가스는 냉각기를 통해 열 회수 후 상기 가스정제기(200)로 유입된다. 상기 가스화기(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상기 가스정제기(200)는 상기 가스화기(10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한다. 상기 유입된 가스에서 오염가스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면 수소(H2),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및 황화수소(H2S)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합성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 및 황성분을 분리해내고, 수소(H2)와 일산화탄소(CO)를 이용하여 메탄(CH4)를 생성한다. 상기 가스정제기(200)를 거친 합성가스는 상기 복합 발전기(300)로 공급된다.
상기 복합 발전기(300)는 가스터빈(310) 및 증기터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터빈(310)은 상기 가스정제기(200)로부터 유입된 합성가스를 연소하여 발전한다. 상기 증기터빈(320)은 상기 가스터빈(310)에서 연소 후 생성된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 고온화된 증기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발전과정 중 회수된 재활용 가능한 열원을 이용하여 발전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화 복합발전장치는 저가의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이용하여, 메탄(CH4) 및 재활용 가능한 열원으로 우수한 효율을 갖는 발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저가의 석탄 등의 화석 연료가 고유황, 고회분의 석탄이라도 만족할 정도로 깨끗하게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가스화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치의 공기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의 공기주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가 설치된 상기 가스화기(100)는 가스화 반응기(110), 트랜스퍼 덕트(120), 합성가스 냉각기(130), 열교환기(141a,141b,142a,142b), 중압스팀드럼(150), 고압스팀드럼(160) 공기배출장치(170) 및 공기유입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는 그라인딩(griding) 등의 전 처리된 석탄 등의 화석 연료와 산소를 공급받아 섭씨 1400도 내외에서 불완전 연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과정의 결과물로서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H2,CO 등)를 생성하고, 부산물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황화수소(H2S), 회분(Ash) 등을 생성한다.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는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에 연결된다.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로 유입되어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로 이동한다.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에 연결된다.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가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를 통하여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로 유입된다. 상기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는 상기 열교환기(141a,141b,142a,142b)를 이용한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의 열교환 냉각방식에 의해 저온, 저압의 상태가 된다. 상기 저온, 저압의 상태가 된 상기 합성가스는 상기 가스정제기(200)로 이동한다.
상기 열교환기(141a,141b,142a,142b)는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연결되는 제1열교환기(141a,141b) 및 상기 고압스팀드럼(160)과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142a,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연결되는 열교환기는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141a)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141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스팀드럼(160)과 연결되는 열교환기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에 설치된 제2열교환기(142a)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에 설치된 제2열교환기(14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에 설치된 제1열교환기(141a)는 상기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열을 열원으로 보일러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에 설치된 제2열교환기(142a)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를 통하여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에서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로 이동하는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보일러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에 설치된 제1,2열교환기(141b,142b)는 냉각되는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보일러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중압스팀드럼(150)은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연결된 상기 제1열교환기(141a,141b)를 순환하는 중압 보일러 주입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압스팀드럼(160)은 상기 고압스팀드럼(160)과 연결된 상기 제2열교환기(142a,142b)를 순환하는 고압 보일러 주입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팀터빈(132)은 상기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여 발전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화기(100)는 가스화 복합발전에 필요한 합성가스를 생성해내고, 상기 합성가스를 생성해 내는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열원으로 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는 상기 가스화기(100) 최상단인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100)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200℃이상으로 기기를 예열시켜야 한다. 상기 가스화기(100)를 예열시키기 위해 열원으로 고온, 고압의 스팀(260℃,45bar)을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상기 고압스팀드럼(160)으로 주입한다. 상기 주입된 고온, 고압의 스팀은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상기 고압스팀드럼(160) 각각에 주입된 중압 보일러 주입수와 고압 보일러 주입수를 가열시킨다. 가열된 상기 중압 보일러 주입수는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연결된 제1열교환기(141a,141b)를 순환하며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를 예열시킨다. 또한, 가열된 상기 고압 보일러 주입수는 상기 고압스팀드럼(150)과 연결된 제2열교환기(142a,142b)를 순환하며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를 예열시킨다.
상기 예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팽창으로부터 가스화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로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141a,142a,141b,142b) 간의 온도차가 75℃이내 이어야 한다. 둘째로 상기 중압스팀드럼(150)과 연결된 제1열교환기(141a,141b)와 상기 고압스팀드럼(160)과 연결된 제2열교환기(142a,142b) 간의 온도차가 5℃이내 이어야 한다.
상기의 조건에서 상기 가스화기(100)의 내부 온도가 100℃이상이 되면 온도상승률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상기 100℃이상일 때 온도상승률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이유로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와 상기 제2열교환기(142a) 간의 공간이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와 상기 제1,2열교환기(141b,142b) 간의 공간이나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와 제1열교환기(141a) 간의 공간보다 넓어 열손실이 더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손실이 큰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의 온도상승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가 연결된 부분인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의 상부에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된 공기배출장치(170)는 예열과정 중 고온, 고압(200℃,15bar이상)상태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는 배출관(171), 더블밸브(172) 및 조절장치(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71)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와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171)은 상기 트랜스퍼 덕트(13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스화 반응기(110)와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와 내부의 공기와 열대류 시키기 위해, 고온, 고압의 상태의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별도의 동력 없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더블밸브(172)는 상기 배출관(171)과 연결되고, 두개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밸브(172)는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고온, 고압의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견디기 위해 두개의 밸브를 설치한다.
상기 조절장치(173)는 상기 더블밸브(172)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두개의 밸브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173)는 상기 두개의 밸브의 개폐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열과정 중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더블밸브(170)를 개방하여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와 제2열교환기(142a)간의 공기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가스화 반응기(110)와 제1열교환기(141a) 간의 공기 및 합성가스 냉각기(130)와 제1,2열교환기(141b,142b) 간의 공기와 열대류시켜 온도를 올려 줄 수 있다. 또한, 예열과정 중 위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가스화기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장치(180)는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보충하기 위해 가스화기(100)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장치(180)는 원활한 열대류를 위해 상기 가스화기(100) 하단인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장치(180)은 더블밸브(181), 조절장치(182), 주입관(183) 및 팬(1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밸브(181)는 상기 합성가스 냉각기(130)와 연결되고, 두개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밸브(181)는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고온, 고압의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견디기 위해 두개의 밸브를 설치한다.
상기 조절장치(182)는 상기 더블밸브(181)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두개의 밸브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182)는 상기 두개의 밸브의 개폐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입관(183)은 상기 더블밸브(181)와 연결된다. 상기 주입관(183)은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보충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를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입관(183) 내부에 상기 팬(184)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팬(184)은 상기 주입관(183) 내부에 설치되고, 동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팬(184)은 외부의 공기를 고온, 고압의 상태인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로 강제 주입시킬 수 있다.
외부 공기를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로 주기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는 고온, 고압의 상태이므로,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기 시작할 때는 상기 팬(184)이 먼저 작동한 후에 상기 더블밸브(181)가 개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지 않기 시작할 때는 상기 더블밸브(182)가 폐쇠된 후 팬(184)의 작동이 멈추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주입장치(180)는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배출장치(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보충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를 가스화기 통풍장치는 합성가스 냉각기에 통풍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가스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열대류시켜 다른 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기 트랜스퍼 덕트(120)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가스화기(100)의 작동을 위한 예열에 결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화기 통풍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가스화기 200 ; 가스정제기
300 ; 발전기 110 ; 가스화 반응기
120 ; 트랜스퍼 덕트 130 ; 합성가스 냉각기
141a,141b,142a,142b ; 열교환기 150 ; 중압스팀드럼
160 ; 고압스팀드럼 170 ; 공기배출장치
180 ; 공기주입장치
300 ; 발전기 110 ; 가스화 반응기
120 ; 트랜스퍼 덕트 130 ; 합성가스 냉각기
141a,141b,142a,142b ; 열교환기 150 ; 중압스팀드럼
160 ; 고압스팀드럼 170 ; 공기배출장치
180 ; 공기주입장치
Claims (7)
- 가스화기에 결합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해 내는 가스화 반응기, 상기 가스화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 및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냉각시키는 합성가스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보일러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통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장치는
상기 가스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화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된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설치된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통풍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장치의 상기 밸브는 더블밸브인 통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주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통풍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가스화기와 연결된 밸브;
상기 밸브에 설치된 조절장치;
상기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화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주입관; 및
상기 주입관 내부에 설치된 팬을 포함하는 통풍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장치의 상기 밸브는 더블밸브인 통풍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가 주기적으로 작동하는 통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0995A KR101687912B1 (ko) | 2015-07-16 | 2015-07-16 | 가스화기 통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0995A KR101687912B1 (ko) | 2015-07-16 | 2015-07-16 | 가스화기 통풍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7912B1 true KR101687912B1 (ko) | 2016-12-19 |
Family
ID=5773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0995A KR101687912B1 (ko) | 2015-07-16 | 2015-07-16 | 가스화기 통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791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9921B1 (ko) * | 1995-12-29 | 1999-06-15 | 김덕중 | 가스화기 예열장치 및 방법 |
KR200427051Y1 (ko) * | 2006-06-05 | 2006-09-21 | (주)씨트웰 | 이중 밸브 |
KR20130035011A (ko) * | 2011-09-29 | 2013-04-08 | 한국전력공사 | 합성가스 냉각장치가 결합된 가스화기 |
KR101367691B1 (ko) * | 2006-05-01 | 2014-02-27 |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 가스 발생 시스템 및 그 이용 |
-
2015
- 2015-07-16 KR KR1020150100995A patent/KR1016879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9921B1 (ko) * | 1995-12-29 | 1999-06-15 | 김덕중 | 가스화기 예열장치 및 방법 |
KR101367691B1 (ko) * | 2006-05-01 | 2014-02-27 |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 가스 발생 시스템 및 그 이용 |
KR200427051Y1 (ko) * | 2006-06-05 | 2006-09-21 | (주)씨트웰 | 이중 밸브 |
KR20130035011A (ko) * | 2011-09-29 | 2013-04-08 | 한국전력공사 | 합성가스 냉각장치가 결합된 가스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49372B2 (ja) | 発電プラントの起動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8881530B2 (en) | Fuel heating system for startup of a combustion system | |
JP2012225228A (ja) | 超臨界圧co2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システム | |
US2013010481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 |
JPWO2009038103A1 (ja) | バイオマスからの高温燃焼ガス発生装置及び燃焼ガスの利用装置 | |
JP6126607B2 (ja) | ガス化反応器 | |
JP2014159925A5 (ko) | ||
CN103361124B (zh) | 具有对流合成气冷却器和骤冷室的气化器冷却系统 | |
JP2009174392A (ja) | バイオマスガス化ガス発電システム | |
US7861509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gas turbine syngas warm-up with low emissions | |
KR101687912B1 (ko) | 가스화기 통풍장치 | |
KR101634594B1 (ko) | 보일러 급수를 순환시켜 석탄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를 냉각하는 순환수 시스템을 이용한 석탄가스화 버너의 냉각 장치 | |
US913870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gas from a gasification system | |
JP6259552B1 (ja) | 発電設備併設ガス化システム | |
KR101745947B1 (ko) | 고온가스로 시스템 | |
JP7066563B2 (ja) | ガス化ガスの処理設備及びガス化ガスの処理方法 | |
Long III et al. |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n Integrated Mild-Partial Gasification Combined (IMPGC) Cycle: Part 2—Comparison With Other Power Generation Systems | |
JP5461299B2 (ja) | ガス化発電プラント | |
KR20170136138A (ko) | 복합발전 시스템 | |
JP5200611B2 (ja) | ガス化設備のパージ方法及び装置 | |
JP2012193403A (ja) | 熱風発生装置 | |
Sargsyan et al. | Therm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equipment of the 480-MW Razdan-5 power-generating plant operating as a combined-cycle plant | |
KR20030035276A (ko) | 가압 순환유동층에서의 연소 및 가스화를 이용한 복합발전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