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754B1 -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754B1
KR101687754B1 KR1020140091078A KR20140091078A KR101687754B1 KR 101687754 B1 KR101687754 B1 KR 101687754B1 KR 1020140091078 A KR1020140091078 A KR 1020140091078A KR 20140091078 A KR20140091078 A KR 20140091078A KR 101687754 B1 KR101687754 B1 KR 10168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suction
stabilization device
driving unit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084A (ko
Inventor
이영삼
Original Assignee
진화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화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화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98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60611A1/ko
Publication of KR2015004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3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heart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61B2017/3425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for internal organs, e.g. hear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61B2034/305Details of wrist mechanisms at distal ends of robotic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의하면, 흡입노즐을 통해 심장의 외표면에 흡입되는 흡입홈의 일면에 엠보싱 돌기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시술시 심장의 외표면이 흡입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STABILIZATION DEVICE FOR HEART OPERATION}
본 발명은 심장의 관상동맥 수술시 사용되는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장의 표피가 빨려 들어가서 공기를 흡입하는 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문합장치가 심장의 외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화장치의 밀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시술시 시술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장의 동맥은 심장벽으로 혈액을 보내고 심장 자체를 부양하는 동맥과 좌우측으로 2개의 동맥이 있는데 이것을 관상동맥이라고 한다.
심장벽으로 혈액을 보내고 심장 자체를 부양하는 동맥과 좌우측의 동맥혈관 중 적어도 한 개 이상 동맥혈관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성분이 축적되고 두꺼워질 경우, 혈관이 좁혀지거나 막혀서 동맥에 병변이 발생하여 심장에 산소를 함유한 혈액을 공급 받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심장의 혈액 공급 결핍으로 인해 협심증이 발생 할 수 있으며, 관상동맥이 막히면 심근경색 또는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심장질환을 치료 및 시술하기 위해 관상 동맥 대체 이식술을 사용하여 혈관 부위를 인공 혈관으로 이식하여 치료한다.
시술을 위한 도구로 종래에 시술대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메인홀더와 메인홀더의 일측으로 핸들이 장착되고, 핸들의 일측 하단에서 사방으로 회동이 가능한 가용성암이 장착되고, 가용성암의 하단에 심장의 외표면을 흡입하여 들어올리도록 흡입홈이 형성된 헤드가 장착되며, 헤드의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을 형성한 흡입관이 헤드 내부에 구비된다.
한편, 심근경색이 발생하여 폐쇄혈관을 치료하는 방법은 수술에 의한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수술방법으로 흔히 채용되는 방법은 문제가 되고 있는 혈관부분을 잘나낸 다음에 잘라진 혈관들을 문합하는 단부 대 단부 문합방법이다.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헤드에 관한 것은 한국등록특허 제 10-0916506000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헤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헤드는 안정화 장차에 부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형성된 흡입관을 인서트 사출한 헤드와, 헤드의 흡입노즐이 위치한 부분에 단턱을 형성한 흡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헤드는 시술을 위해 심장의 외표면을 ?g착 후 들어올릴 때 심장의 외표면이 흡입노즐을 막아 심장을 잡아주는 흡입력이 저하되어 시술시 심장이 헤드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문합장치에 관한 것은 한국등록특허 제 10-1024344호 “의료용 문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문합장치는 중공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몸체, 몸체의 중공 내부에 구비되어 중공을 따라 병진운동하는 가압로드, 가압로드에 연결설치되어 가압로드가 병진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몸체의 일측 말단 내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결설치되고, 그 내부에 가압로드의 병진운동에 따라 방사형으로 이동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된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몸체에 결합되고, 가압수단의 이동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스테이플 클립이 내장된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용 문합장치는 심장의 외표면으로부터 문합부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고정하는 방법은 한국공개특허 제 10-1997-0061211호 " 관상 동맥 측관 이식 외과 수술 중 박동중인 심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외과 기구 및 외과 수술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관상 동맥 측관 이식 외과 수술 중 박동중인 심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외과 기구 및 외과 수술 방법은 심장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형태로 안정화 수단의 위치를 강성 지지체 또는 비강성 지지체에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관상 동맥 측관 이식 외과 수술 중 박동중인 심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외과 기구 및 외과 수술 방법은 화학적 부착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시술대에 부착 흔적을 남기고, 밀착력이 낮아 시술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가 시술대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착홈의 일면에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하여, 심장의 외표면이 흡입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헤드의 흡착력을 유지함으로써 정교한 심장시술이 가능해지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장 외표면에 안착되면서 심장혈관의 문합을 가이드하는 문합부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문합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교한 심장시술이 가능해지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가 이동부의 하단면을 전방 가압하여 시술대에 부착흔적을 남기지 않고, 밀착력을 높이는 메인홀더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심장 수술시 심장 외표면에 안착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있어서. 공기흡입장치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심장 외표면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형서오딘 흡입관을 삽입하는 흡입홈 및 상기 흡입홈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상기 흡입홈을 1 이상 형성하고, 상기 헤드의 양단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홈의 엠보싱 돌기의 길이가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홈의 엠보싱 돌기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조절대와 연결되는 연결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출력하는 탄성력 출력부, 상기 탄성력 출력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심장 외표면에 안착하면서 심장혈관의 문합을 가이드하는 문합부 및 일단이 상기 문합부의 일단에 회동 결합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문합부의 타단과 부착된 타단이 탈착되는 잠금부로 형성되는 문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문합부가 상기 심장 외표면에 안탁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력 출력부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문합부와 각각 고정 결합하는 양단의 단면적이 중앙부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1차적으로 밀착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되는 이동부, 몸체부의 상단에 직선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 이동부와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부의 하단부 후측면을 전방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부재가 포함된 메인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구동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홀더를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요홈이 음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판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은,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상기 가압부재를 고정 결합시, 상기 가압부재의 요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동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의하면, 흡입노즐을 통해 심장의 외표면에 흡입되는 흡입홈의 일면에 엠보싱 돌기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시술시 심장의 외표면이 흡입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의하면, 문합장치가 심장의 외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의하면,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가 이동부의 하단면을 전방 가압하여 시술대에 부착흔적을 남기지 않고, 밀착력을 높이는 메인홀더를 포함함으로써, 시술대에 부착흔적을 남기지 않고 심장 안정화 장치의 밀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시술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가 시술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문합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문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4 개의 흡입홈(110)이 헤드(100)에 형성되었으나, 4개 초과 또는 4개 미만의 흡입홈(110)이 헤드(100)에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공기흡입장치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심장 외표면을 흡입하는 흡입노즐(121)이 형성된 흡입관(120)이 삽입되는 흡입홈(110); 및 상기 흡입홈(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111)를 포함하는 헤드(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100)는 다수개로 형성된 흡입홈(110)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100)의 흡입홈(110)이 형성되는 부분은 둥근 형태의 심장에 흡입력이 용이토록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만곡진 부분에 의해 둥근 심장에 대한 밀착력이 증가되어서 심장의 외표면을 흡입할 때 심장을 더욱 안정화시킨다.
또한, 흡입홈(110)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111)가 형성되어, 심장의 외표면이 흡입노즐(121)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도구에 의해 헤드(100)가 심장 외표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헤드(100)의 흡입력을 유지시킨다.
한편, 다수개의 흡입노즐(121)이 형성된 흡입관(120)은 헤드(100)의 안착홈을 통하여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흡입노즐(121)의 수는 흡입홈(110)의 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헤드(100); 공기흡입장치(130); 조절대(200); 핸들(300); 및 메인홀더(500)를 포함한다.
헤드(100)는 공기흡입장치(130)에서 연장되면서 심장 외표면을 흡입하는 흡입노즐(121)이 형성된 흡입관(12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흡입홈(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홈(110)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111)가 형성된다.
조절대(200)는 헤드(100)와 연결되고, 다수개의 링크모듈로 구성되어 있어서, 헤드(100)가 다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심장박동에 의하여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300)은 조절대(2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수술자가 핸들(300)을 잡고 헤드(100)를 이동시켜서 심장 외표면에 안착시키게 할 수 있다. 핸들(300)은 메인홀더(500)와 연결되는데, 메인홀더(500)는 시술대에 밀착된 후, 구동부(540)를 회전시킴에 따라 시술대에 고정됨으로써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가 시술대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를 포함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심장 수술시 수술대에 메인홀더(500)를 부착하고, 구동부(540)를 회전시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수술대에 고정한다. 수술자는 핸들(300)을 이용하여 조절대(200)의 구부림 각도를 조절한다.
수술자는 공기흡입장치(130)를 구동시키고, 핸들(300)을 이용하여 조절대(200)와 연결된 헤드(100)를 심장 외표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흡입관(120)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노즐(1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심장 외표면이 헤드(100)의 흡입홈(110)에 흡입된다.
여기서, 흡입홈(110)의 일면에 형성된 엠보싱 돌기(111)에 의하여, 흡입노즐(121)이 심장 외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홉입노즐(121)이 심장 외표면에 의하여 막히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100)를 포함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에 의하면, 심장 외표면에 의해 흡입노즐(1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심장 수술 동안에 헤드(100)의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포함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문합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문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장치(400)는 연결부(410);, 탄성력 출력부(430);, 문합부(440); 및 잠금부(4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조절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410)의 양단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력을 출력하는 탄성력 출력부(430); 상기 탄성력 출력부(430)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심장 외표면에 안착하면서 심장혈관의 문합을 가이드하는 문합부(440); 일단이 상기 문합부(440)의 일단에 회동 결합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문합부(440)의 타단과 부착된 타단이 탈착되는 잠금부(450);로 형성되는 문합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문합부(440)가 상기 심장 외표면에 안착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410)는 조절대(200, 도 3 참조)와 탄성력 출력부(430)를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조절대(200)는 수개의 링크모듈로 구성되어 있어서, 문합장치(400)를 다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410)의 일면에는 조절대(200)를 연결부(410)와 연결시키는 연결봉(411)이 형성된다. 연결봉(411)은 조절대(200)의 전방에 구비된 수용부(210, 도 7 참조)에 수용되어, 연결부(410)와 조절대(200)가 연결된다.
연결부(410)의 타면에는 돌기(442)가 형성된다. 돌기(442)는 심장 외표면에 안착되고, 문합수술을 할 경우 심장 외표면으로부터 문합장치(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력 출력부(430)는, 상기 연결부(410) 및 상기 문합부(440)와 각각 고정 결합하는 양단의 단면적이 중앙부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탄성력 출력부(430)는 조절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410)의 양단에 형성되고, 외력(F)에 의해 탄성력을 출력한다. 탄성력 출력부(430)의 양단의 단면적은 중앙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자가 문합부(440) 각각을 잡고 힘을 가하여 문합부(440)를 좁히면, 탄성력 출력부(430)의 양단의 단면적이 탄성력 출력부(430)의 중앙부의 단면적보다 크므로, 탄성력은 탄성력 출력부(430)의 중앙부에 집중된다. 그 후에, 수술자가 힘을 빼면 탄성력 출력부(430)에 집중된 탄성력은 문합부(440)에 전달되어 수술자가 힘을 가한 반대 방향으로 발생한다.
문합부(440)는 탄성력 출력부(430)에서 각각 연장되고, 심장 외표면에 안착되면서 심장혈관의 문합을 가이드한다.
문합부(440)의 일면에는 내측으로 홈(4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441)에 의해 탄성력 출력부(430)에서 출력된 탄성력이 문합부(440)에 더욱 잘 전달된다.
문합부(440)의 타면에는 돌기(442)가 형성되어, 혈관 문합시, 문합장치(400)가 심장 외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부(450)의 일단은 문합부(440)의 일단에 회동 결합하고, 잠금부(450)의 타단은 문합부(440)의 타단과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잠금부(450)의 일단에는 힌지부(451)가 형성되어서, 잠금부(450)의 일단은 문합부(440)의 일단과 연결된다.
잠금부(450)의 타단에는 체결홈(452)이 형성되어서, 잠금부(450)의 타단은 문합부(44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부(453)와 체결된다.
또한, 문합부(440)에 외력(F)을 가하여 좁혀지면, 잠금부(45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홈(452)이 문합부(44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부(453)와 분리되어서 잠금부(450)의 타단과 문합부(440)의 타단이 분리된다.
그러나, 잠금부(45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451)에 의해 문합부(440)의 일단과 잠금부(450)의 일단은 회동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력 출력부(430)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문합부(440)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문합장치(400), 조절대(200), 핸들(300) 및 메인홀더(500)를 포함한다.
문합장치(400)는 심장의 외표면에 안착하여 심장혈관을 가이드한다.
조절대(200)는 문합장치(400)와 연결되고, 다수개의 링크모듈로 구성되어 있어서, 문합장치(400)가 다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핸들(300)은 조절대(2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수술자가 핸들(300)을 잡고 헤드(100)를 이동시켜서 심장 외표면에 안착시키게 할 수 있다. 핸들(300)에는 메인홀더(500)와 연결되는데, 메인홀더(500)는 시술대에 밀착된 후, 구동부(540)의 회전에 따라 시술대에 고정됨으로써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시술대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장치를 포함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심장 수술시 수술자는 수술대에 메인홀더(500)를 밀착하고, 구동부(540)를 돌려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수술대에 고정한다.
수술자는 핸들(300)을 이용하여 조절대(200)의 구부림 각도를 조절한다. 핸들(300)을 이용하여 조절대(200)와 연결된 문합장치(400)를 심장 외표면에 안착시킨 후에 심장 혈관을 연결시키는 문합수술을 실시한다.
여기서, 문합부(440)와 연결부(410)의 타면에 다수개의 돌기(442)가 형성되므로써, 문합수술할 때, 심장의 외표면으로부터 문합장치(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문합수술이 완료된 후, 수술자는 문합부(440)를 잡아서 문합부(440) 각각이 좁혀지도록 힘을 가하면, 잠금부(45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홈(452)이 문합부(44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부(453)와 분리된다.
그러나, 잠금부(45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451)에 의해 문합부(440)의 일단과 잠금부(450)의 일단은 회동 결합된다.
그리고, 수술자가 문합부(440)에 가한 힘을 빼면, 탄성력 출력부(430)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이 문합부(440)에 전달되어 수술자가 힘을 가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므로, 문합부(440)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3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7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8에서 구동부(54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저면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였음을 밝혀 둔다.
메인홀더(500)는 몸체부(510), 이동부(520), 구동부(540), 연결부재(550) 및 가압부재(56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시술대의 레일에 1차적으로 밀착되는 몸체부(510); 몸체부(5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되는 이동부(520); 몸체부(510)의 상단에 직선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540); 이동부(520)와 몸체부(510)를 관통하여 구동부(54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구동부(540)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부재(550); 및 연결부재(55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이동부(52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고, 구동부(540)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부(520)의 하단부 후측면을 전방 가압하여 이동부(520)를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부재(560);가 포함된 메인홀더(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몸체부(510)는 플라스틱 재질인 PC, PE, PET 또는 아라미드 중 어느 한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51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부(510)는 구동부(540)가 직선이동 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통홀(512)이 형성된 베이스부(517); 베이스부(517)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핸들(300)과 결합되는 연결부(511); 베이스부(517)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시술대에 슬라이딩하여 밀착하는 절곡부(513); 베이스부(517)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부(520)와 밀착하는 제1 요철부(514); 제1 요철부(514)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515); 및 제1 요철부(514)의 일면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삽입홈(516);을 포함한다.
베이스부(517)는 입체적인 구조물로 형성되는데, 베이스부(517)에는 구동부(540)가 직선이동 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통홀(512)이 형성된다.
연결부(511)는 베이스부(517)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연결부(511)에는 핸들(300)이 결합되는데, 연결부(511)는 하방향으로 지름이 커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핸들(300)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이며, 상단은 테어퍼 가공될 수 있다.
절곡부(513)는 몸체부(510)의 하단 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후방을 향해 절곡되어서 시술대에 1차적으로 밀착된다.
제1 요철부(514)는 베이스부(517)의 하단 후방부에서 전방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부(520)의 누름판(530) 상단과 치합 또는 분리된다.
가이드 홈(515)은 제1 요철부(514)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부(520)의 가이드 돌기(521)가 가이드 홈(515)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삽입홈(516)은 제1 요철부(51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함몰형성되는데, 삽입홈(516)에는 이동부(520)의 스프링(522)이 삽입된다.
이동부(520)는 중앙이 통공된 다각형 형태로써, 플라스틱 재질인 PC, PE, PET 또는 아라미드 중 어느 한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520)는 중공 형상의 가이드베이스(526); 가이드베이스(526)의 상단 양측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형성된 가이드 돌기(521); 가이드베이스(526)의 내측 후방면에 형성되는 끼움홈(523); 가이드베이스(526)의 내측 전방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524); 가이드베이스(526)의 하부 전방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구동부(540)의 회동조작에 따른 가압부재(560)의 전방 가압에 의해 시술대의 레일을 전방 가압하는 고정부(525); 연결부재(550)에 결합되고 가이드베이스(526)의 중공에 삽입되는 누름판(530); 끼움돌기(524)에 끼움 결합되되, 몸체부(510)의 삽입홈(516)에 삽입되어 구동부(54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525)를 절곡부(513)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522);을 포함한다.
가이드베이스(526)는 중공의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된다.
가이드 돌기(521)는 가이드베이스(526)의 상단 양측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형성되는데, 가이드 돌기(521)는 몸체부(510)의 가이드 홈(515)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끼움홈(523)은 가이드베이스(526)의 내측 후방면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끼움홈(523)에는 누름판(530)의 돌기(532)에 결합된 스프링(533)이 끼워져 지지된다.
끼움돌기(524)는 가이드베이스(523)의 내측 전방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끼움돌기(524)에는 스프링(522)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고정부(525)는 가이드베이스(526)의 하부 전방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구동부(540)의 회동 조작에 따른 가압부재(560)의 전방 가압에 의해 고정부(525)의 후측면이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된다.
누름판(530)은 연결부재(550)에 결합되고 가이드베이스(526)의 중공에 삽입되는데, 누름판(530)의 중앙에는 연결부재(550)가 삽입되는 연결홀(531)이 형성되어 있고, 누름판(530)의 후방 측면에는 돌기(5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532)에는 스프링(533)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데, 스프링(533)의 타측은 이동부(520)의 끼움홈(523)에 삽입된다.
한편, 누름판(530)의 상부면에는 몸체부(510)의 제1 요철부(514)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5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판(530)은 구동부(540)의 회동조작에 의해, 가압부재(560)가 이동부(520)의 고정부(525) 후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가압부재(560)의 상단은 누름판(530)의 하단면을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누름판(530)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인 PC, PE, PET 또는 아리미드 중 어느 한가지로 제작될 수 있다.
스프링(522)은 일측이 끼움돌기(524)에 끼워져 결합되되, 몸체부(510)의 삽입홈(516)에 삽입되는데, 스프링(522)은 구동부(540)의 회동 또는 직선이동에 따라 이동부(520)를 몸체부(510)의 절곡부(513) 방향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어서, 구동부(540)는 몸체부(510)의 상단에 직선이동 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540)는 레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원형형태의 헤드부(541); 및 헤드부(541)의 일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핸들(546)을 포함한다.
구동부(540)는 플라스틱 재질인 PC, PE, PET 또는 아리미드 중 어느 한가지로 제작될 수 있다.
헤드부(541)에는 연결부재(550)가 삽입되는 삽입홀(542)이 형성되고, 헤드부(541)의 일측면에는 고정홀(543)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544)는 고정홀(543)에 삽입되어 연결부재(550)를 구동부(540)의 내부에 고정시키며, 가압돌기(545)는 헤드부(54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구동부(540)의 회동조작에 따라 몸체부(510)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즉, 가압돌기(545)는 회동조작에 따라 몸체부(510)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이동부(520)의 직선이동 또는 회동을 제한시킨다.
한편, 연결부재(550)는 구동부(540)의 삽입홀(542)에 삽입되는 몸체부(551); 및 가압부재(560)의 하단에 대응하는 걸림판(553);을 포함하고, 티타늄, 세라믹 또는 스테레인리스 강 중 어느 한가지로 제작 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551)는 봉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구동부(540)의 고정부재(544)가 삽입되는 고정홀(552)이 형성된다. 걸림판(553)은 몸체부(510)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구동부(540)의 회동에 의해 가압부재(560)의 하단을 가압한다. 걸림판(553)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560)는 가로 지름과 세로 지름이 다른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구동부(540)를 회전시, 지름이 큰 가압부재(560)의 외주면이 이동부(520)의 하단부 후측면 즉, 이동부(520)의 고정부(525) 후측면을 전방 가압하여 이동부(520)를 수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지름이 큰 가압부재(560)의 외주면이 이동부(520)의 고정부(525) 후측면을 전방 가압함에 따라, 누름판(530)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동부(52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가압부재(560)의 중앙에는 연결부재(550)가 관통하는 연결홀(56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음각 형태의 요홈(562)이 형성된다.
요홈(562)은 연결부재(550)의 하단에 가압부재(560)를 고정 결합시, 연결부재(550)의 걸림판(553)이 가압부재(560)의 요홈(562)에 대응하여 가압부재(560)가 이동부(520)의 누름판(530)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가압부재(560)는 티타늄, 세라믹 또는 스테레인리스 강 중 어느 한가지로 제작 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시술대에 장착된 레일에 메인홀더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할 때, 먼저 심장 수술시 수술자는 시술대에 메인홀더(500)의 몸체부(510)를 슬라이딩하여 1차적으로 밀착시키고, 메인홀더(500)의 구동부(540)를 회전시켜 메인홀더(500)의 이동부(520) 하단부 후측면을 전방 가압하여 시술대에 2차적으로 밀착시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시술대에 고정한다.
이어서, 수술자는 핸들(300)을 이용하여 각도 조절대(200)의 구부림 각도를 조절하고, 공기흡입장치(130, 도 3 참조)를 구동시켜, 핸들(300)을 이용하여 각도 조절대(200)와 연결된 헤드(100)를 심장 외표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흡입관(120)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노즐(1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심장 외표면이 헤드(100)의 흡입홈(120)에 흡입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심장 수술시 수술자는 시술대에 메인홀더(500)의 몸체부(510)를 슬라이딩하여 1차적으로 밀착시키고, 메인홀더(500)의 구동부(540)를 회전시켜 메인홀더(500)의 이동부(520) 하단부 후측면을 전방 가압하여 시술대에 2차적으로 밀착시켜,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시술대에 고정한다.
이어서, 핸들(300)을 이용하여 각도 조절대(200)의 구부림 각도를 조절하고, 핸들(300)을 이용하여 각도 조절대(200)와 연결된 문합장치(400)를 심장 외표면에 안착시킨 후, 심장 혈관을 연결시키는 문합수술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 110 : 흡입홈
111 : 엠보싱돌기 112 : 안착홈
120 : 흡입관 121 : 흡입노즐
130 : 공기흡입장치 200 : 조절대
210 : 수용부 300 : 핸들
400 : 문합장치 410 : 연결부
411 : 연결봉 430 : 탄성력 출력부
440 : 문합부 441 : 홈
450 : 잠금부 451 : 힌지부
452 : 체결홈 453 : 체결부
500 : 메인홀더 510 : 몸체부
520 : 이동부 530 : 누름판
540 : 구동부 550 : 연결부재
560 : 가압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심장수술시 시술대의 레일에 밀착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1차적으로 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되는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직선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이동부와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부의 하단부 후측면을 전방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2차적으로 밀착시키도록 가로 지름과 세로 지름이 다른 형태의 가압부재;가 포함된 메인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요홈이 음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판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판은,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상기 가압부재를 고정 결합시, 상기 가압부재의 요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동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구동부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홀더를 상기 시술대의 레일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091078A 2013-10-23 2014-07-18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KR10168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9872 WO2015060611A1 (ko) 2013-10-23 2014-10-21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91 2013-10-23
KR20130126491 2013-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84A KR20150047084A (ko) 2015-05-04
KR101687754B1 true KR101687754B1 (ko) 2016-12-20

Family

ID=5338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078A KR101687754B1 (ko) 2013-10-23 2014-07-18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7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3534A (en) * 1998-03-19 2000-09-05 Koros; Tibor B. Adjustable heart surface stabilizer
US6063021A (en) * 1998-07-31 2000-05-16 Pilling Weck Incorporated Stabilizer for surgery
KR100916506B1 (ko) * 2007-11-05 2009-09-08 이영삼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헤드
KR200447534Y1 (ko) * 2007-12-28 2010-01-28 이영삼 제작이 쉽고 조작이 용이한 심장수술용 안정화 장치의메인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84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221B2 (ja) 外科用縫合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ES2621872T3 (es) Aplicador quirúrgico de grapas
US662349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raluminally directed vascular anastomosis
US6113534A (en) Adjustable heart surface stabilizer
US6248117B1 (en) Anastomosis apparatus for use in intraluminally directed vascular anastomosis
EP3546009A1 (en) Adjustable bend catheter suitable for left-hand operation
BRPI0903919A2 (pt) instrumento de grampeamento cirúrgico com arranjo de membro de corte
JP2005521463A (ja) 外科用縫合器具および使用方法係属中の先行出願の参照本願は、(1)2003年1月28日にフレデリック・P・フィールド(FredericP.Field)他により「外科用縫合器具および使用方法(SURGICALSUTURINGINSTRUMENTANDMETHODOFUSE)」という名称で出願された係属中の先の米国特許出願第10/352,600号明細書(代理人整理番号ONUX−22CON)と、(2)2003年3月4日にグレゴリー・E・サンコフ(GregoryE.Sancoff)他により「外科用縫合器具および使用方法(SURGICALSUTURINGINSTRUMENTANDMETHODOFUSE)という名称で出願された係属中の先の米国特許出願第10/378,805号(代理人整理番号ONUX−15CON)と、の一部係属出願である。本出願はまた、2002年3月25日にフレデリック・P・フィールド(FredericP.Field)他により「外科用縫合器具および使用方法(SURGICALSUTURINGINSTRUMENTANDMETHODOFUSE)」として出願された係属中の先の米国仮特許出願第60/367,395号明細書(代理人整理番号ONUX−31PROV)の利益を主張する。この特許出願はまた、の利益を主張する。3つの上に特定した特許出願は、引用をもってその開示内容が本明細書内に包含されるものとする。
JP7046965B2 (ja) 手術用補助材保持機構
BRPI0904975A2 (pt) arranjo de grampeamento para um grampeador cirúrgico
JP2004230139A (ja) 内視鏡用粘膜切除具
JP2012045414A (ja) 端部−端部吻合機器および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
KR20120125489A (ko) 곡선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외과용 리트랙터
JP2013512730A (ja) 血管環境で血管を取り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392162B2 (ja) 注入針装置及び注入器具セット
JP2012075604A (ja) 処置具
JP2019213641A (ja) 鉗子
KR101687754B1 (ko) 심장수술용 안정화장치
US11633187B2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KR20020007347A (ko) 심장 수술용 장치 및 방법
KR101479686B1 (ko) 의료용 수술 기구
US20130110140A1 (en) Anastomosis system
KR101024344B1 (ko) 의료용 문합장치
JP6803395B2 (ja) 医療用ステープラシステム
JP2014212906A (ja) ガイドワイヤ挿入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