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950B1 -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 Google Patents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6950B1 KR101686950B1 KR1020140171836A KR20140171836A KR101686950B1 KR 101686950 B1 KR101686950 B1 KR 101686950B1 KR 1020140171836 A KR1020140171836 A KR 1020140171836A KR 20140171836 A KR20140171836 A KR 20140171836A KR 101686950 B1 KR101686950 B1 KR 1016869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ing
- support rod
- length
- w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2—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에서 눈을 치우게 될 경우 눈이 내린 골목길 등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자가 넉 가래의 본체 길이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가래는 일측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눈을 밀어낼 수 있도록 전면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 상기 본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재와, 상기 지지봉에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날개조절손잡이와, 일측 단부가 상기 날개조절손잡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날개부재의 후면에 연결되는 지지막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가래는 일측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눈을 밀어낼 수 있도록 전면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 상기 본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재와, 상기 지지봉에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날개조절손잡이와, 일측 단부가 상기 날개조절손잡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날개부재의 후면에 연결되는 지지막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에서 눈을 치우게 될 경우 눈이 내린 골목길 등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자가 넉 가래의 본체 길이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설기구인 넉 가래는 눈이 올 때에는 눈을 치우기 위해 제설작업에 이용한다.또한 곡식 등을 타작하고 말릴 때에 쓰이는 연장으로도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넉 가래는 넉 가래 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시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눈이 올 때 ,좁은 골목길에서는 빨리 눈을 치워야하는데 기존 넉 가래는 넉 가래의 본체 부분이 한정되어 있어서 넓게 눈을 치울 때에는 많은 면적에 한번에 치우지 못한다는 점이 있었다.
특히 눈이 많이 쌓일 때, 기존 넉 가래들은 넉 가래 본체 부가 눈의 압력에 의해서 쉽게 눈을 치울 수 없다는 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기존 넉 가래는 넉 가래 본체 부분이 규격화되어 있어서 좀 더 넓은 면적에 넉 가래가 필요해도 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좁은 골목길의 경우, 제설차량이 들어오지 못해서 눈 삽이나 넉 가래 등으로 치워야 하는데 기존의 넉 가래는 넓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눈을 치울 때 눈을 치우기 위해서 넉 가래를 가지고 왕복운동을 많이 해야 한다.
그리고 기존 넉 가래는 넉 가래의 본체 부가 규격화되어 있다. 즉 눈을 원하는 만큼 한번에 치울 수 없게 된다.
또한 넓은 면적의 눈을 치울때, 사람들은 눈 삽이나 넉 가래를 붙여 함께 눈을 치우기도 한다. 그럴 경우 넓은 면적에 눈의 양에 따라서 눈을 치우는 사람의 인원수가 달라진다.
아울러 종래에는 원래 눈은 빨리 치워야지 얼어 굳지 않는다. 하지만 기존의 넉 가래는 눈을 효율적으로 치우지 못해서 얼어 굳어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요즘은 이웃 간에 눈을 치우지않고 미루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치우지 않은 눈이 굳어 낙상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그리고 요즘은 이웃 간에 눈을 치우지않고 미루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치우지 않은 눈이 굳어 낙상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삭제
또한 기존 넉 가래는 넉 가래 본체 지지봉이 나무로 되어 있다. 그래서 눈을 치울 때 사용하는 염화칼슘이 묻게 되면 나무 재질로 되어있는 봉 부분이 쉽게 부식되어 부서진다.
한편으로 기존 넉 가래는 앞에 이물질에 걸리게 되면, 본체 부분이 이물질에 부딪히게 되어서 종종 파손에 위험이 있다.
또한 기존 넉 가래는, 넓은 면적의 눈을 쉽게 치울 수 없고 종래에는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넉 가래의 본체부분의 범위가 제한된 넉 가래의 본체와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넉 가래의 사용상의 편리성과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넉 가래의 지지봉 부분에 있는 날개 조절 손잡이(70) 부분을 넉 가래의 본체부분으로 내려 주게 되면 날개조절 손잡이(70) 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지지막대 부분은 연결되어 있는 넉 가래의 양 날개 부분을 넉 가래의 본체부분에 설치되어있는 레일과 양 날개 부분의 레일 홈에 의해 넉 가래의 양쪽 부분이 쉽게 펼쳐져서 기존의 넉 가래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는,
넉 가래의 몸체(20)의 양 옆에 있어서 지지막대(40)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날개조절 손잡이(30)를 넉 가래 본체(20)부분으로 밀어주게 되면 양쪽 날개부분이 레일(80)에 의해 쉽게 날개가 펼쳐지게 하는 부분인 넉 가래의 양 날개 부분(10).
눈을 치울 수 있는 넉 가래의 본체(20).
지지막대(40)와 연결되어 있어서 넉 가래의 양 날개부분을 펼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 본체 지지봉(60)에 부착되어있는 날개조절 손잡이(30).
넉 가래의 양 날개부분(10)을 지지해주는 부분으로 넉 가래 본체(20) 뒷면에 부착되어있어서 날개조절 손잡이(30)와 연결되어있는 지지막대(40).
본체 지지봉(60)에 있는 홈으로 넉 가래의 양 날개부분(10)의 펼쳐진 길이에 맞추어서 고정을 시킬 수 있는 부분인 고정 홈(50).
넉 가래의 본체(20) 뒤로 연결되어 있어서 넉 가래의 본체(20) 부분을 지지해줘서 눈을 청소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인 넉 가래의 본체지지봉(60).
넉 가래 본체지지 봉(60)의 손잡이(70).
넉 가래의 본체(20)와 넉 가래의 양 날개 사이에 두어 넉 가래의 본체(20)에 두어 넉 가래의 양 날개 부분(10)을 더욱 쉽게 펼칠 수 있는 부분인 레일(80).
넉 가래의 본체 부의 레일이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인 레일 이동구(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눈이 올 때, 좁은 골목길 면적에 맞추어서 넉 가래의 본체 면적을 조절할 수 있어서 좀 더 빨리 눈을 치울 수 있고 넓게 눈을 치울 수 있어서 많은 면적에 눈을 치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눈이 많이 쌓일 때 본 발명은 넉 가래의 양쪽 날개를 펼치지 않았을 때는 넉가래의 본체부분이 이중으로 되어있어서 눈의 압력을 견딜 수 있고 쉽게 눈을 치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넉 가래 본체 부분에 또한 양쪽 부분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넉 가래의 양쪽 날개부분이 있어서 좀 더 넓은 면적에 넉 가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좁은 골목길에서 제설차량이 들어오지 못해 눈을 직접 치우게 될 경우 본체의 길이가 넓어져서 눈을 치울 때 눈을 치우기 위해서 왕복운동을 기존 넉가래 들보다 적게 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넉 가래의 본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원하는 만큼의 면적의 눈을 한번에 치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넉 가래들과는 달리 적은 인원으로도 넓은 면적의 눈을 더욱 쉽게 치울 수 있다.
또한 원래 눈은 빨리 치워야지 얼어 굳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존의 넉 가래보다 눈을 효율적으로 치울 수 있어서 주위 눈을 치우지 못해 얼어서 굳어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없다.
그리고 요즘은 이웃 간에 눈을 치우지 않고 미루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치우지 않은 눈이 굳어 낙상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적다.
특히 기존의 넉 가래들은 넉 가래의 본체 지지봉이 나무로 되어 있다. 그래서 눈을 치울 때 사용하는 염화칼슘이 묻게 되면 나무 재질로 되어있는 봉 부분이 쉽게 부식되어 부서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본체 지지봉이 쉽게 부서지지 않아 이러한 상황을 방지해 준다.
또한 기존 넉 가래는 앞에 있는 이물질에 그대로 걸리게 되면, 본체 부분이 이물질에 부딪히게 되어서 종종 파손에 위험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넉 가래의 본체 부분이 받는 힘이 크기 때문에 그런 위험이 적다.
그리고 기존 넉 가래는, 넓은 면적의 눈을 쉽게 치울 수 없고 종종은 쉽게 파손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의 배면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의 배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가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면도이다.
삭제
본 발명의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가래는 지지봉(60)과, 지지봉(6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본체(20)와, 본체(20)에 인입 및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재(10)와, 지지봉(6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조절손잡이(30) 및 날개조절손잡이(30)와 날개부재(10)를 연결하는 지지막대(4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지지봉(60)은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7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가 본체(20)와 연결된다.
상기 본체(20)는 지지봉(60)의 단부에 결합되어 눈이나 장애물을 치울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지지봉(60)과 연결되는 방향을 후면이라고 하면, 전면부는 후방으로 인입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2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공은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체(20)의 후면 중앙은 상기 지지봉(60)과 연결되어 있고, 지지봉(60)과 연결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은 본체(20)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어서 상기 중공이 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날개부재(10)는 상기 본체(20)의 중공부에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날개부재(10)는 중공부의 형상에 대응하며, 돌출되면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본체(20)와 함께 눈이나 장애물을 치울 수 있는 면적을 넓히게 된다. 그리고 날개부재(10)의 돌출이 필요 없는 상황에서는 본체(2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본체(20)는 지지봉(60)의 단부에 결합되어 눈이나 장애물을 치울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지지봉(60)과 연결되는 방향을 후면이라고 하면, 전면부는 후방으로 인입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2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공은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체(20)의 후면 중앙은 상기 지지봉(60)과 연결되어 있고, 지지봉(60)과 연결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은 본체(20)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어서 상기 중공이 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날개부재(10)는 상기 본체(20)의 중공부에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날개부재(10)는 중공부의 형상에 대응하며, 돌출되면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본체(20)와 함께 눈이나 장애물을 치울 수 있는 면적을 넓히게 된다. 그리고 날개부재(10)의 돌출이 필요 없는 상황에서는 본체(2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날개부재(10)는 얼어있는 눈이나 장애물 등이 걸릴 때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가벼운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 본체(20)도 날개부재(10)와 마찬가지로 얼어있는 눈이나 장애물 등이 걸릴 때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가벼운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는 지지봉(60)에 지지봉(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6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홈(50)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날개조절손잡이(30)는 지지봉(60)을 따라 이동함녀서 상기 고정홈(50)에 의해 걸려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막대(40)는 일단이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날개부재(10)의 후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막대(40)에 의해 날개조절손잡이(30)가 지지봉(60)을 따라 본체(20)를 향해 이동하면 날개부재(10)는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날개조절손잡이(30)가 지지봉(60)을 따라 손잡이(70)를 향해 이동하게 되면, 날개부재(10)가 본체(2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와 지지막대(40)를 통해 날개부재(10)가 본체(2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와 지지막대(40)를 통해 날개부재(10)가 본체(2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막대(40)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지지봉(60) 역시 쉽게 부식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가벼운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날개부재
20: 본체
30: 날개조절손잡이
40: 지지막대
50: 고정홈
60: 지지봉
70: 손잡이
20: 본체
30: 날개조절손잡이
40: 지지막대
50: 고정홈
60: 지지봉
70: 손잡이
Claims (1)
- 일측 단부에 손잡이(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봉(60)과;
상기 지지봉(6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눈을 밀어낼 수 있도록 전면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20)의 양측 단부에 상기 본체(2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재(10)와;
상기 지지봉(60)에 지지봉(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날개조절손잡이(30)와;
일측 단부가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날개부재(10)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가 상기 지지봉(60)을 따라 상기 본체(20)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날개부재(1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날개조절손잡이(30)가 상기 지지봉(60)을 따라 상기 손잡이(70)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날개부재(10)가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동시키는 지지막대(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60)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20)는 내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날개부재(10)가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막대(40)가 상기 날개부재(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60)과 연결되는 후면은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날개부재(10)의 후면이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1836A KR101686950B1 (ko) | 2014-12-01 | 2014-12-01 |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1836A KR101686950B1 (ko) | 2014-12-01 | 2014-12-01 |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5709A KR20160065709A (ko) | 2016-06-09 |
KR101686950B1 true KR101686950B1 (ko) | 2016-12-20 |
Family
ID=5613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1836A KR101686950B1 (ko) | 2014-12-01 | 2014-12-01 |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695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4373B1 (ko) | 2017-11-30 | 2021-12-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
KR102581907B1 (ko) | 2018-01-02 | 2023-09-2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라핀을 제조하는 방법 |
CN108265669A (zh) * | 2018-04-23 | 2018-07-10 | 邵美红 | 一种高效的高速公路积雪清扫装置 |
CN108589621A (zh) * | 2018-04-28 | 2018-09-28 | 沈阳理工大学 | 一种可翻转式自动避障和左右转向的长度可变车载雪铲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26979A (en) * | 1969-09-12 | 1970-09-08 | Casimer S Ladewski | Snow plow with adjustable blades |
JPH11140898A (ja) * | 1997-11-10 | 1999-05-25 | Hiroshi Fujita | シャベル等の手道具 |
KR200463227Y1 (ko) | 2012-03-05 | 2012-10-24 | 이동식 | 스쿠프의 방향 조절이 용이한 수동 제설수단 |
-
2014
- 2014-12-01 KR KR1020140171836A patent/KR10168695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5709A (ko) | 2016-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6950B1 (ko) | 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넉 가래 | |
US10287736B2 (en) | Animal waste removal apparatus | |
US4224751A (en) | Snow lifting device | |
DE4204109C2 (de) | Schneepflug | |
US20210198857A1 (en) | Flexible snowplow cutting edge | |
KR101210369B1 (ko) | 이동식 럼블 스트립 장치 | |
JP2016536494A5 (ko) | ||
US10492352B1 (en) | Shovel system | |
US20160215465A1 (en) | Snow shovel with brush assembly | |
US2508612A (en) | Snow removing device | |
AT506186B1 (de) | Endteil für das vordere oder hintere ende eines schis oder snowboards und damit ausgestatteter schi oder damit ausgestattetes snowboard | |
US10358782B2 (en) | Plow assembly with wings | |
US3429059A (en) | Clearing blade for snowplows | |
US20140208621A1 (en) | Snow Plow Cutting Edge | |
US9683341B2 (en) | Blade for removing material from surfaces | |
FI65916C (fi) | Spaorsaettningsanordning foer aostadkommande av ett skidspaor | |
US2782533A (en) | Manually-actuated snow plow | |
US8631593B1 (en) | Snow removal device | |
US20170284044A1 (en) | Snow removal device | |
KR20170046838A (ko) | 배드민턴용 셔틀콕 수집 장치 | |
HRP20200355T1 (hr) | Traka za grtanje snijega za snježnu grtalicu na ralici za čišćenje snijega | |
EP1747717B1 (de) | Ferkelnest | |
US1788879A (en) | Snowplow | |
JP3173219U (ja) | 除雪スコップ | |
CA2491268A1 (en) | Snow auge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