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04B1 -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 Google Patents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04B1
KR101686804B1 KR1020160034182A KR20160034182A KR101686804B1 KR 101686804 B1 KR101686804 B1 KR 101686804B1 KR 1020160034182 A KR1020160034182 A KR 1020160034182A KR 20160034182 A KR20160034182 A KR 20160034182A KR 101686804 B1 KR101686804 B1 KR 10168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roove
guide portion
display guide
bubble re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 수 오
미 정 김
Original Assignee
만 수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수 오 filed Critical 만 수 오
Priority to KR102016003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04Magnetic compasses with north-seeking magnetic elements, e.g. needles
    • G01C17/20Observing the compass card or need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38Testing, calibrating, or compensating of comp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체 내측에 등 간격으로 안착부가 구비되며, 안착부에 제 1 표시 안내부가 고정되며, 제 1 표시 안내부는 타원형으로 내측에 등 간격으로 제 1 표시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1 표시홈 사이에 제 1-1 표시홈 이 등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고,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1 기포 제거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에 대향 되게, 제 2 표시 안내부가 구비되며, 제 2 표시 안내부는 내측으로 등 간격으로 제 2 표시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2 표시 홈 사이에 제 2-1 표시 홈이 4개가 구비되며,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2 기포 제거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magnetic compass which is equipped with a balance member of the display guide portion}
본 발명은 마그네틱 컴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표시 안내부가 부착된 마그네틱 컴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운항에 있어서 항로를 측정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비가 사용되며, 그 중에 하나로 마그네틱 콤퍼스가 사용된다. 마그네틱 콤퍼스는 지구의 자장과 연결되어 선박이 움직일 때마다 그 지역의 자장에 영향을 받아 자북을 가리키게 되어 안전한 선박을 운항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마그네틱 콤퍼스는 전자식 장비에 비하여, 가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선행기술로는 특허 등록번호 10-1571699 " 마그네틱 콤퍼스의 구조 "에서는 손쉽게 탈부착 및 세척이 가능 하도록 뷰 글라스 베이스와 뷰 글라스 와셔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에 고정하고, 뷰 글라스가 삽입하고 뷰 글라스 커버를 이용하여 나사 돌림 방식으로 고정되며, 기존의 막대 형태의 자석으로 균형을 손쉽게 잡을 수 없기에 전면부와 후면부에 동일한 키홈이 형성된 원형의 마그네틱을 사용하며, 무게 균형을 잡기 위하여 웨이트는 원형으로 좌우측 상부에 C형 돌출부가 구비되고, 램프의 불빛을 조절하기 위하여 라이트 투과 조절부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기존의 마그네틱 컴퍼스의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야간에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뷰글라스 베이스와 뷰 글라스 와셔를 이용함으로써, 탈부착이 손쉬운 장점은 있으나,
상기와 같은 마그네틱 컴퍼스는 본체 내부에 유동액으로 가득 차 있는데 제조와 사용시에 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정확한 관측 및 계측이 어려운 문제점이 생기며,
아시아권과 달리 유럽 선수(船首)지표방향이 90°로 상이함으로, 인쇄된 보조 표시 부재를 다시 재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표시부 하부에 형성된 표시 중심부인 경우 각국마다 무게 및 회동 시간에 관한 규정이 서로 틀리기에 이에 맞추어 생산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본체 내측에 각도가 인쇄된 표시부, 표시부 하부에 표시 중심부가 균형을 잡아 주며, 상기한 본체의 관통공에 마개볼트가 삽입되어 본체 내부에 유동액이 유출되지 못하게 밀폐된 표시 안내부가 형성된 마그네틱 컴퍼스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 내측에 등 간격으로 안착부가 구비되며, 안착부에 제 1 표시 안내부가 고정되며, 제 1 표시 안내부는 타원형으로 내측에 등 간격으로 제 1 표시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1 표시홈 사이에 제 1-1 표시홈이 등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고,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1 기포 제거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에 대향되게, 제 2 표시 안내부가 구비되며, 제 2 표시 안내부는 내측으로 등 간격으로 제 2 표시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2 표시홈 사이에 제 2-1 표시홈이 4개가 구비되며,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2 기포 제거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와 제 2 표시 안내부 외주면 사이에 형상이 동일한 제 3 표시 안내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3 표시 안내부는 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 상면에는 기준 홈이 관통되어 구비되며, 타측으로 제 3 기포 제거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표시 중심부의 내부에 균형 부재가 삽입되며, 균형 부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황동으로 주물 제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본체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여도 각각의 표시 안내부 외측에 형성된 기포 제거 홈으로 기포를 이동시킨 후 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마개 볼트를 빼어내어 기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포로 인하여 정확한 계측이 힘든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아시아권은 선수(船首)지표 방향이 대부분 북쪽을 기준으로 하나, 유럽인 경우 선수(船首)지표 방향이 아시아권과 달리 동쪽으로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90° 차이가 나게되어 제품을 다시 인쇄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표시 안내부만 이탈시킨 후 원하는 각도로 고정됨으로 별도로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으로 큰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균형 부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일실시 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일실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 져야할 것이다.
본체(100) 내측에 각도가 인쇄된 표시부(200);표시부(200) 하부에 표시 중심부(102)가 균형을 잡아 주며, 상기한 본체(100)의 관통공(103-1)에 마개볼트(103)가 삽입되어 본체 내부에 구비된 유동액(300)이 유출되지 못하게 밀폐된 표시 안내부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100) 내측에 등 간격으로 안착부(104)가 구비되며, 안착부 (104)에 제 1 표시 안내부(10)가 고정되며, 제 1 표시 안내부(10)는 타원형으로 내측에 등 간격으로 제 1 표시홈(11)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1 표시홈(11) 사이에 제 1-1 표시홈(12) 이 등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고,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1 기포 제거 홈(14)이 형성되며,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10)에 대향 되게, 제 2 표시 안내부(20)가 구비되며, 제 2 표시 안내부(20)는 내측으로 등 간격으로 제 2 표시 홈(21)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2 표시 홈(21) 사이에 제 2-1 표시 홈(22)이 4개가 구비되며,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2 기포 제거 홈(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제 1 표시부 안내부(10)와 제 2 표시부 안내부(20) 외주면 사이에 형상이 동일한 제 3 표시 안내부(30)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3 표시 안내부(30)는 내측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되고, 돌출부(31) 상면에는 기준 홈(32)이 관통되어 구비되며, 타측으로 제 3 기포 제거 홈(33)이 형성 된다.
또한, 상기한 표시 중심부(102)의 내부에 균형 부재(40)가 삽입되며, 균형 부재(40)는 중앙에 관통공(41)이 형성되고, 황동으로 주물 제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B 고정볼트.
400 기포.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사시도 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100)의 내주면에 등 간격으로 안착부(104)가 구비된다.
상기한 안착부(104)에 고정볼트(B)를 이용하여 제 1 표시 안내부(10)를 고정시 아시아권인 경우 북쪽 방향에 형성된 안착부(104)에 고정해야되며, 유럽권인 경우 동쪽 방향에 형성된 안착부(104)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제 1 표시 안내부(10)는 등 간격으로 제 1 표시홈(11)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제 1 표시홈(11)의 사이에 제 1-1 표시홈(12)가 4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 표시홈(11)은 0°와 0.5°를 나타내는데, 기준점이 될 경우 0°가 되며, 기준점 좌,우측에 첫 번째 제 1 표시홈(11)인 경우 0.5°를 나타내게되며, 마찬가지로 두번째 제 1 표시홈(11)인 경우는 1°를 나타내게 되며,
상기한 제 1-1 표시홈(12)는 0°와 0.1°를 나타내는데, 기준점이 될 경우 0°가 되며, 기준점 좌,우측에 첫 번째 제 1-1 표시홈(12)인 경우 0.1°를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두번째 제 1-1 표시홈(12)인 경우는 0.2°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 1 표시홈(11)과 제 1-1 표시홈(12)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표시홈(11)을 물방울 형태고, 제 1-1 표시홈(12)를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손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10)에 대향 되게 제 2 표시 안내부(20)가 형성되며, 제 2 표시 안내부(20)는 등 간격으로 제 2 표시홈(21)이 다수 개가 형성되며 , 각각의 제 2 표시홈(21)의 사이에 제 2-1 표시홈(22)가 4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2 표시홈(21)은 0°와 0.5°를 나타내는데, 기준점이 될 경우 0°가 되며, 기준점 좌,우측에 첫 번째 제 1 표시홈(11)인 경우 0.5°를 나타내게되며,
상기한 제 2-1 표시홈(22)는 0°와 0.1°를 나타내는데, 기준점이 될 경우 0°가 되며, 기준점 좌,우측에 첫 번째 제 2-1 표시홈(22)인 경우 0.1°를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두번째 제 2-1 표시홈(22)인 경우는 0.2°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 2 표시홈(21)과 제 2-1 표시홈(22)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2 표시홈(21)을 물방울 형태고, 제 2-1 표시홈(22)를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손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10)와 제 3 표시부 안내부(20)의 사이 외 둘레에 동일한 형상의 제 3 표시 안내부(30)가 2개 형성된다. 제 3 표시 안내부(30)는 동쪽과 서쪽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앙에 돌출부(31)이 형성되고, 돌출부(31)의 중심에 기준홈(32)가 구비되며,
상기한 기준홈(32)은 동쪽 또는 서쪽을 표시한 것으로, 결합방법은 본체 (100)의 동쪽 및 서쪽에 형성된 안착부(104)와 제 3 표시 안내부(30)가 안착된 다음 고정볼트(B)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10)는 외측에 제 1 기포 제거홈(14)이 형성되고, 제 2 표시 안내부(20)는 외측에는 제 2 기포 제거홈(23)이 구비되며, 제 3 표시 안내부(30)의 외측에도 제 3 기포 제거홈(3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안내부에 기포 제거홈이 형성된 이유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유동액(300)에 중 제조시나 사용시 기포(400)가 생기게 되면 정확한 관측 과 정확한 계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본체(100)를 기포(400)가 상부로 떠오를 수 있도록 움직인 다음 본체(100)의 관통공(103-1)을 막은 마개 볼트(103)를 열어 기포(400)를 소멸할 수 있게 하여 정확한 계측 및 관측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표시부(102) 하부에 형성된 표시 중심부(102)인 경우 각국마다 무게 및 회동 시간에 관한 규정이 서로 틀리기에 이에 맞추어 생산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생겨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표시 중심부(102)의 내부에 균형 부재(40)가 삽입하게 된다.
상기한 균형 부재(40)는 중앙에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손쉽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재질은 황동으로 형성되어 손쉽게 무게를 줄이거나 늘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 본체. 102 표시 중심부.
103-1 관통공. 103 마개볼트.
104 안착부. 200 표시부.
10 제 1 표시 안내부. 11 제 1 표시홈.
12 제 1-1 표시홈. 14 제 1 기포 제거홈.
20 제 2 표시 안내부. 21 제 2 표시홈.
22 제 2-1 표시홈. 23 제 2 기포 제거홈.
30 제 3 표시 안내부. 31 돌출부.
32 기준 홈. 33 제 3 기포 제거홈
40 균형 부재. 41 관통공.

Claims (3)

  1. 본체 내측에 각도가 인쇄된 표시부;표시부 하부에 표시 중심부가 균형을 잡아 주며, 상기한 본체의 관통공에 마개볼트가 삽입되어 본체 내부에 구비된 유동액이 유출되지 못하게 밀폐된 표시 안내부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 내측에 등 간격으로 안착부가 구비되며, 안착부에 제 1 표시 안내부가 고정되며, 제 1 표시 안내부는 타원형으로 내측에 등 간격으로 제 1 표시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1 표시홈 사이에 제 1-1 표시홈이 등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고,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1 기포 제거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에 대향 되게, 제 2 표시 안내부가 구비되며, 제 2 표시 안내부는 내측으로 등 간격으로 제 2 표시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2 표시 홈 사이에 제 2-1 표시 홈이 4개가 구비되며, 타측으로 단일개의 제 2 기포 제거 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표시 안내부와 제 2 표시 안내부 외주면 사이에 형상이 동일한 제 3 표시 안내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3 표시 안내부는 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 상면에는 기준 홈이 관통되어 구비되며, 타측으로 제 3 기포 제거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3. 삭제
KR1020160034182A 2016-03-22 2016-03-22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KR101686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182A KR101686804B1 (ko) 2016-03-22 2016-03-22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182A KR101686804B1 (ko) 2016-03-22 2016-03-22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804B1 true KR101686804B1 (ko) 2016-12-15

Family

ID=5757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182A KR101686804B1 (ko) 2016-03-22 2016-03-22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363A (ko) * 1989-02-28 1990-09-05 원광일 나침판 겸용시계 및 부착용 나침판 조립제
KR19980055922U (ko) * 1998-06-15 1998-10-07 이영엽 클리노메터의 보조측정기구
JP2014137308A (ja) * 2013-01-17 2014-07-28 Zero Corp 回転架台
KR20150025570A (ko) * 2013-08-29 2015-03-11 학 수 오 마그네틱 콤퍼스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363A (ko) * 1989-02-28 1990-09-05 원광일 나침판 겸용시계 및 부착용 나침판 조립제
KR19980055922U (ko) * 1998-06-15 1998-10-07 이영엽 클리노메터의 보조측정기구
JP2014137308A (ja) * 2013-01-17 2014-07-28 Zero Corp 回転架台
KR20150025570A (ko) * 2013-08-29 2015-03-11 학 수 오 마그네틱 콤퍼스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8803B (zh) 一种内陆河流水文水政船只实时定位监控系统和方法
EP2316000B1 (en) Spirit level having horizontal bubble vial with improved bubble visibility
US20150134293A1 (en) Capsize risk level calculation system
KR101686804B1 (ko) 표시 안내부 및 균형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CN106289193B (zh) Fpso大面积海工模块的动态定位方法
CN109572925A (zh) 一种船舶水尺的划制方法
CN205554530U (zh) 一种工程船自动调压载设备
KR101571699B1 (ko) 마그네틱 콤퍼스의 구조.
CN103017727A (zh) 一种船舶航行信号灯安装精度检测方法
KR101019737B1 (ko)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CN201748925U (zh) 液面式地质罗盘
KR102406455B1 (ko) 교량 상부구조물 교축 방향 변위 측정장치
KR101239932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CN109186534A (zh) 一种船舶航行灯照射角度的测算方法
KR20110011041U (ko) 저압력 미터기의 경고 색판 구조
KR101677093B1 (ko) 남향 및 북향 표시 부재가 구비된 마그네틱 컴퍼스.
KR101391329B1 (ko) 이중 맨홀 덮개 모듈
Łushnikow et al. The ultimate solution to the deviation problem of magnetic compasses
CN106802145B (zh) 一种简易高差计
CN109238106A (zh) 一种尾轴架检验方法及结构
KR101349392B1 (ko) 설정기준점을 이용한 지형물의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EP3287743A1 (en) Verticality checking instrument and mounting method thereof
US2738591A (en) Ship's magnetic compass
KR20090122612A (ko) Bop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경사테스트 방법
CN106595437A (zh) 舷灯发光角度测量工具及其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