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604B1 - 해섬기 - Google Patents

해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604B1
KR101686604B1 KR1020160080290A KR20160080290A KR101686604B1 KR 101686604 B1 KR101686604 B1 KR 101686604B1 KR 1020160080290 A KR1020160080290 A KR 1020160080290A KR 20160080290 A KR20160080290 A KR 20160080290A KR 101686604 B1 KR101686604 B1 KR 10168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ste
defibration
contai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부성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정밀(주) filed Critical 부성정밀(주)
Priority to KR102016008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7/00Breaking or opening fibre bales
    • D01G7/06Details of apparatu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 및 절단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용이하게 해섬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해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경으로 형성된 나선형 해섬홈(21)을 구비하는 해섬통(20); 해섬통(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구(31)를 구비하는 공급통(30); 해섬통(20)의 타측에 연결되어 배출구(41)를 구비하는 배출통(40); 해섬통(20)의 내부로 끼워져 양단이 공급통(30)과 배출통(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50); 샤프트(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해섬통(2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디스크(60) 및 양측 한 쌍의 지지디스크(70); 고정디스크(60)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디스크(70)에 양단이 지지되는 다수의 축봉(80);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로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폐기물을 해섬하는 다수의 해섬커터(90); 해섬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냉각수투입구(110)와 냉각수배출구(120)를 구비하는 냉각통(100);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샤프트(50)를 구동시키는 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섬기{REFINER}
본 발명은 해섬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파쇄 및 절단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용이하게 해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해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은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폐기물로, 이러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은 재활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은 다시 파쇄하여 재활용을 통해 타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은 재활용센터나 재활용 공장 등으로 이송되어 처리되고 있으나, 파쇄의 어려움과 또한 처리시간도 상당히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건비 등의 재활용 비용 증가로 제대로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대부분 산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폐기하기 위해서는 소각로 등의 폐기처리시설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비용부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폐기처리하는 과정에서 대기오염 등의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158031호에는 폐직물 처리에서 발생하던 경제적 비용부담을 없애고,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직물의 재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폐직물을 이용한 재활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활용 섬유제품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전체적으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이 크게 상승함과 동시에 처리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158031호(등록일자 : 2012.06.1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파쇄 및 절단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해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용이하게 해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해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해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에 내경으로 나선형 해섬홈이 형성된 해섬통을 설치하고, 상기 해섬통의 일측에 투입구가 구비된 공급통을 연결하며, 상기 해섬통의 타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통을 연결하고, 상기 해섬통의 내부로 끼워지는 샤프트의 양단을 공급통과 배출통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해섬통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디스크 및 양측 한 쌍의 지지디스크를 샤프트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하고, 상기 고정디스크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축봉의 양단을 양측 지지디스크에 지지시키며, 상기 고정디스크들과 지지디스크 사이로 폐기물을 해섬하는 다수의 해섬커터를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해섬커터의 일단을 축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해섬통의 외측에 냉각수투입구와 냉각수배출구가 구비된 냉각통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공급통에 배치되어 투입된 폐기물을 해섬통과 해섬커터 사이로 안내하도록 외측경사부가 구비된 공급임펠러를 축설하고,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는 배출통에 배치되어 해섬된 폐기물을 배출구로 안내하도록 내측경사부가 구비된 배출임펠러를 축설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냉각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회전바퀴와 고정바퀴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통과 배출통의 측판에는 하우징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샤프트의 양단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장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는 중앙으로 투입공이 형성된 고정판을 볼트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조절공이 형성된 투입량조절대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해섬커터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2개의 제1해섬커터와 2개의 제1해섬커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2해섬커터를 한 조로 구성하고, 상기 해섬커터는 고정디스크들과 지지디스크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를 교호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제1해섬커터와 제2해섬커터의 일단에는 축봉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해섬커터의 해섬날과 축공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초경용접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를 축설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종동풀리를 축설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섬기에 따르면, 다수의 고정디스크들과 지지디스크 사이에 배치되어 축봉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다수의 해섬커터가 폐기물을 순차적으로 해섬하고, 해섬커터에 의해 해섬된 폐기물은 해섬통의 내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해섬홈을 따라 배출통으로 이동하면서 해섬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용이하게 해섬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폐기하지 않고 수거하여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섬기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섬통과 냉각통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통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통의 평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통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1의 "C"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디스크와 해섬커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상시 해섬커터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 해섬커터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섬커터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디스크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해섬기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경으로 형성된 나선형 해섬홈(21)을 구비하는 해섬통(20); 상기 해섬통(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구(31)를 구비하는 공급통(30); 상기 해섬통(20)의 타측에 연결되어 배출구(41)를 구비하는 배출통(40); 상기 해섬통(20)의 내부로 끼워져 양단이 공급통(30)과 배출통(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50); 상기 샤프트(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해섬통(2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디스크(60) 및 양측 한 쌍의 지지디스크(70); 상기 고정디스크(60)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디스크(70)에 양단이 지지되는 다수의 축봉(80); 상기 고정디스크(60)들과 양측 지지디스크(70) 사이로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폐기물을 해섬하는 다수의 해섬커터(90); 상기 해섬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냉각수투입구(110)와 냉각수배출구(120)를 구비하는 냉각통(10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샤프트(50)를 구동시키는 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슬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통(30)에 배치되도록 샤프트(50)의 일측에 축설되어 투입된 폐기물을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안내하도록 외측경사부(310)를 구비하는 공급임펠러(300); 상기 배출통(40)에 배치되도록 샤프트(50)의 타측에 축설되어 해섬된 폐기물을 배출구(41)로 안내하도록 내측경사부(410)를 구비하는 배출임펠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해섬기는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해섬기는 프레임(10), 해섬통(20), 공급통(30), 배출통(40), 샤프트(50), 고정디스크(60), 지지디스크(70), 축봉(80), 해섬커터(90), 냉각통(100), 모터(200), 공급임펠러(300) 및 배출임펠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1,2에서와 같이 해섬기의 냉각통(100)과 모터(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는 냉각통(100)을 지지하는 지지대(1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는 회전바퀴(12)와 고정바퀴(13)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에는 회전바퀴(12)와 고정바퀴(13)가 설치되므로 해섬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해섬통(20)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섬통(2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해섬통(20)의 내경에는 폐기물을 용이하게 해섬 및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해섬홈(21)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해섬통(20)의 해섬홈(21)은 해섬커터(90)에 의해 해섬되는 폐기물을 배출통(40)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 3,7에서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통(30)은 해섬통(2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급통(30)은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공급통(30)의 상부에는 파쇄 및 절단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의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31)가 구비되며, 공급통(30)의 일측은 측판(32)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상기 공급통(30)의 타측과 해섬통(20)의 일측에는 볼트체결로 연결되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급통(30)의 투입구(31)에는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쇄 및 절단된 폐기물이 투입된다.
상기 배출통(40)은 해섬통(20)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통(40)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배출통(40)의 하부에는 해섬된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41)가 구비되며, 배출통(40)의 타측은 측판(42)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상기 배출통(40)의 일측과 해섬통(20)의 타측에는 볼트체결로 연결되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6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통(30)과 배출통(40)의 측판(32)(42)에는 하우징(33)(4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3)(43)에는 샤프트(50)의 양단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4)(44)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3)(43)과 베어링(34)(44)은 샤프트(5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a,4b,4c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통(30)의 투입구(31)의 상부에는 중앙으로 투입공(35a)이 형성된 고정판(35)이 볼트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5)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조절공(36a)이 형성된 투입량조절대(36)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투입량조절대(36)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조절공(36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35)의 투입공(35a)과 투입량조절대(36)의 조절공(36a)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50)는 해섬통(20)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이 공급통(30)과 배출통(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샤프트(50)는 해섬통(20)과 공급통(30) 및 배출통(4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50)에는 길이방향으로 키홈(51)이 형성되고, 상기 키홈(51)에는 키(K)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디스크(60)는 샤프트(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가 고정되어 해섬통(2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디스크(60)는 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디스크(60)에는 샤프트(50)의 키홈(51)에 대응하는 키홈(60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디스크(60)와 샤프트(50)의 키홈(60a)(51)에는 키(K)가 끼워지며, 상기 고정디스크(60)에는 축봉(80)이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다수의 축공(6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디스크(60)들 사이에는 간극유지용 스페이서(S)가 고정디스크(6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디스크(70)는 샤프트(5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해섬통(2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디스크(70)는 샤프트(5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디스크(70)에는 샤프트(50)의 키홈(51)에 대응하는 키홈(70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디스크(70)와 샤프트(50)의 키홈(70a)(51)에는 키(K)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디스크(70)에는 다수의 축봉(80)의 양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축지지공(7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디스크(70)와 고정디스크(60) 사이에는 간극유지용 스페이서(S)가 지지디스크(7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양측 한 쌍의 지지디스크(70)의 외측에는 보강디스크(75)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축봉(80)은 고정디스크(60)들을 관통하도록 다수가 설치되어 지지디스크(70)에 양단이 지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축봉(80)은 다수의 해섬커터(9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축봉(80)은 고정디스크(60)들의 축공(61)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이 지지디스크(70)의 축지지공(71)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축봉(80)의 양단에는 지지디스크(70)와 보강디스크(75)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체결로 고정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는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분할핀이 장착된다.
상기 해섬커터(90)는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로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섬커터(90)는 폐기물을 순차적으로 해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해섬커터(90)는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폐기물을 순차적으로 해섬하고, 상기 해섬커터(90)에 의해 해섬된 폐기물은 해섬통(20)의 내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해섬홈(21)으로 빡빡하게 밀려 들어가면서 해섬홈(21)의 나선을 따라 배출통(40)으로 이동하면서 해섬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7,8,9,10a,10b,11에서와 같이, 상기 해섬커터(90)는 다수의 절개부(91a)가 형성된 2개의 제1해섬커터(91)와 2개의 제1해섬커터(91) 사이에 배치되는 제2해섬커터(92)가 한 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섬커터(90)는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가 교호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해섬커터(91)와 제2해섬커터(92)의 일단에는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91b)(9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해섬커터(90)는 2개의 제1해섬커터(91)와 상기 2개의 제1해섬커터(91) 사이에 설치되는 1개의 제2해섬커터(92)가 한 조로 구성되고, 이와 같이 2개의 제1해섬커터(91)와 1개의 제2헤섬커터(92)가 한 조로 이루어진 해섬커터(90)는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가 교호로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해섬커터(91)(92)의 해섬날과 축공(91b)(92a)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초경용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디스크(60)는 도 1에서와 같이 샤프트(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5개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디스크(70)는 첫 번째 고정디스크(60)와 다섯 번째 고정디스크(6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가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양측 지지디스크(70)는 해섬통(20)의 내부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5개의 고정디스크(60)와 2개의 지지디스크(70)들 사이에는 6개로 구획된 6개의 칸이 형성된다.
상기 5개의 고정디스크(6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디스크(60)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방사상으로 축봉(80)을 관통시키기 위한 축공(6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곳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지지디스크(7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디스크(70)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방사상으로 축봉(80)을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공(7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곳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축봉(80)은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에 8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해섬커터(90)는 4개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고정디스크(60)의 양측에 교호로 각각 설치된다. 즉, 첫 번째 칸과 세 번째 칸 및 다섯 번째 칸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해섬커터(90)는 12시와 3시 및 6시와 9시 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축봉(80)에 각각 설치되고, 두 번째 칸과 네 번째 칸 및 여섯 번째 칸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해섬커터(90)는 12와 3시 및 6시와 9시 방향 사이로 배치된 4개의 축봉(8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해섬커터(90)는 일단이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샤프트(50)가 구동하지 않는 평상시 해섬커터(90)는 도 10a에서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해섬날이 하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샤프트(50)가 구동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다수의 해섬커터(90)는 도 10b에서와 같이 축봉(80)을 축으로 각각 방사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다수의 해섬커터(90)는 폐기물을 마치 도리깨질을 하듯이 탁탁 치면서 순차적으로 해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해섬커터(90)들은 도 10b의 가상선과 같이 인접한 해섬커터(90)가 장착되지 않은 축봉(80)에 걸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해섬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냉각통(100)은 해섬통(20)의 외측에 이격된 상태로 수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냉각통(100)의 상부에는 냉각수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냉각통(100)의 하부에는 냉각수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통(100)은 해섬통(2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통(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해섬통(20)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냉각통(100)의 양단은 해섬통(20)의 양측 플랜지에 용접 등으로 통해 수밀하게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냉각통(100)과 해섬통(20) 사이 공간에는 냉각수투입구(110)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상기 냉각통(100)과 해섬통(20)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해섬통(20)을 냉각시킨 후, 냉각수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모터(20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200)는 샤프트(5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모터(200)를 지지하는 모터프레임(14)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터(200)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210)가 축설되고, 상기 샤프트(50)의 일측에는 구동풀리(210)와 벨트(220)로 연결되는 종동풀리(230)가 축설된다. 이때, 상기 모터(200)의 구동축과 구동풀리(210)는 키로 연결되고, 상기 종동풀리(230)와 샤프트(50)도 키로 연결된다.
상기 모터(200)가 구동하면 구동풀리(21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210)가 회전하면 벨트(220)를 통해 종동풀리(2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종동풀리(230)가 회전하면 샤프트(5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50)가 회전하면 다수의 고정디스크(60)와 지지디스크(70) 및 축봉(80)과 다수의 해섬커터(9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해섬커터(90)는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순차적으로 해섬하게 되고, 상기 해섬커터(90)에 의해 해섬된 폐기물은 해섬통(20)의 나선형 해섬홈(21)으로 빡빡하게 밀려 들어가면서 해섬홈(21)의 나선을 따라 배출통(40)으로 이동하면서 해섬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 폐기물은 해섬되면서 솜과 같이 휄트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해섬커터(90)가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해섬할 때, 상기 해섬통(20)에는 해섬커터(90)와 폐기물의 마찰력에 의해 열이 심하게 발생하고, 이때 상기 냉각통(100)에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해섬통(20)에서 발생한 열이 냉각되기 때문에, 상기 해섬통(20)이 해섬커터(90)와 폐기물의 마찰력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임펠러(300)는 공급통(30)에 배치되도록 샤프트(50)의 일측에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급임펠러(300)에는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고, 공급임펠러(300)의 각 날개의 외측에는 투입된 폐기물을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안내하도록 외측경사부(31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임펠러(300)에는 키(K)가 끼워지는 키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급임펠러(300)는 샤프트(50)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공급임펠러(300)의 회전시 각 날개에 형성된 외측경사부(310)가 폐기물을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안내하게 되며, 상기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안내되는 폐기물은 회전하는 다수의 해섬커터(90)에 의해 순차적으로 해섬된다.
상기 배출임펠러(400)는 배출통(40)에 배치되도록 샤프트(50)의 타측에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임펠러(400)에는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고, 배출임펠러(400)의 각 날개의 내측에는 해섬된 폐기물을 배출구(41)로 안내하도록 내측경사부(4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임펠러(400)에는 키(K)가 끼워지는 키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임펠러(400)는 샤프트(50)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배출임펠러(400)의 회전시 각 날개에 형성된 내측경사부(410)가 해섬된 폐기물을 배출구(41)로 안내하게 되며, 상기 배출구(41)로 안내되는 해섬된 폐기물은 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해섬된 폐기물을 수거하면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200)를 구동시키면 구동풀리(21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구동풀리(210)가 회전하면 벨트(220)를 통해 종동풀리(2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종동풀리(230)가 회전하면 샤프트(5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50)가 회전하면 공급임펠러(300)와 다수의 고정디스크(60)와 지지디스크(70) 및 다수의 축봉(80)과 다수의 해섬커터(90) 및 배출임페러(40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모터(200)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공급통(30)의 투입구(31)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의 폐기물 중 어느 하나의 파쇄 및 절단된 폐기물을 투입하면 폐기물은 공급통(30)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통(30)내로 공급된 폐기물은 회전하는 공급임펠러(300)의 각 날개에 형성된 외측경사부(310)에 의해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공급된다.
공급임페러(300)에 의해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공급되는 폐기물은 회전하는 다수의 해섬커터(90)에 의해 순차적으로 해섬되고, 다수의 해섬커터(90)에 의해 해섬된 폐기물은 해섬통(20)의 나선형 해섬홈(21)으로 빡빡하게 밀려 들어가면서 해섬홈(21)의 나선을 따라 배출통(40)으로 이동하면서 해섬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 폐기물은 해섬되면서 솜과 같이 휄트를 형성하게 된다.
다수의 해섬커터(90)가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해섬할 때, 해섬통(20)에는 해섬커터(90)와 폐기물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냉각통(100)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해섬통(2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킨다.
해섬통(20)의 나선형 해섬홈(21)으로 빡빡하게 밀려 들어가면서 해섬홈(21)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해섬된 폐기물은 배출통(40)으로 이동되고, 배출통(40)으로 이동된 해섬된 폐기물은 회전하는 배출임펠러(400)의 각 날개에 형성된 내측경사부(410)에 의해 배출구(41)로 배출되며, 배출통(40)의 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해섬된 폐기물을 수거하면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에 배치되어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다수의 해섬커터(90)가 폐기물을 순차적으로 해섬하고, 해섬커터(90)에 의해 해섬된 폐기물은 해섬통(20)의 내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해섬홈(21)을 따라 배출통(40)으로 이동하면서 해섬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해섬하여 솜과 같이 휄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용이하게 해섬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을 폐기하지 않고 수거하여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해섬기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폐직물, 폐가죽, 폐골판지 등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프레임 11 : 지지대
12 : 회전바퀴 13 : 고정바퀴
20 : 해섬통 21 : 해섬홈
30 : 공급통 31 : 투입구
32 : 측판 33 : 하우징
34 : 베어링 35 : 고정판
35a : 투입공 36 : 투입량조절대
36a : 조절공 40 : 배출통
41 : 배출구 42 : 측판
43 : 하우징 44 : 베어링
50 : 샤프트 60 : 고정디스크
70 : 지지디스크 80 : 축봉
90 : 해섬커터 91 : 제1해섬커터
91a : 절개부 91b : 축공
92 : 제2해섬커터 92a : 축공
100 : 냉각통 110 : 냉각수투입구
120 : 냉각수배출구 200 : 모터
210 : 구동풀리 220 : 벨트
230 : 종동풀리 300 : 공급임펠러
310 : 외측경사부 400 : 배출임펠러
410 : 내측경사부

Claims (8)

  1.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경으로 형성된 나선형 해섬홈(21)을 구비하는 해섬통(20); 상기 해섬통(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구(31)를 구비하는 공급통(30); 상기 해섬통(20)의 타측에 연결되어 배출구(41)를 구비하는 배출통(40); 상기 해섬통(20)의 내부로 끼워져 양단이 공급통(30)과 배출통(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50); 상기 샤프트(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해섬통(2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디스크(60) 및 양측 한 쌍의 지지디스크(70); 상기 고정디스크(60)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디스크(70)에 양단이 지지되는 다수의 축봉(80); 상기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로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폐기물을 해섬하는 다수의 해섬커터(90); 상기 해섬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냉각수투입구(110)와 냉각수배출구(120)를 구비하는 냉각통(10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샤프트(50)를 구동시키는 모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31)의 상부에는 중앙으로 투입공(35a)이 형성된 고정판(35)이 볼트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5)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조절공(36a)이 형성된 투입량조절대(36)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30)에 배치되도록 샤프트(50)의 일측에 축설되어 투입된 폐기물을 해섬통(20)과 해섬커터(90) 사이로 안내하도록 외측경사부(310)를 구비하는 공급임펠러(300);
    상기 배출통(40)에 배치되도록 샤프트(50)의 타측에 축설되어 해섬된 폐기물을 배출구(41)로 안내하도록 내측경사부(410)를 구비하는 배출임펠러(400)를 더 포함하는 해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는 냉각통(100)을 지지하는 지지대(1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는 회전바퀴(12)와 고정바퀴(13)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30)과 배출통(40)의 측판(32)(42)에는 하우징(33)(4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3)(43)에는 샤프트(50)의 양단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4)(44)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섬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커터(90)는 다수의 절개부(91a)가 형성된 2개의 제1해섬커터(91)와 2개의 제1해섬커터(91) 사이에 배치되는 제2해섬커터(92)가 한 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섬커터(90)는 고정디스크(60)들과 지지디스크(70)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가 교호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해섬커터(91)와 제2해섬커터(92)의 일단에는 축봉(8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91b)(9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해섬커터(91)(92)의 해섬날과 축공(91b)(92a)은 초경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00)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210)가 축설되고, 상기 샤프트(50)의 일측에는 구동풀리(210)와 벨트(220)로 연결되는 종동풀리(230)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섬기.
KR1020160080290A 2016-06-27 2016-06-27 해섬기 KR10168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90A KR101686604B1 (ko) 2016-06-27 2016-06-27 해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90A KR101686604B1 (ko) 2016-06-27 2016-06-27 해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604B1 true KR101686604B1 (ko) 2016-12-14

Family

ID=5757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90A KR101686604B1 (ko) 2016-06-27 2016-06-27 해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2629A (zh) * 2018-05-07 2018-11-02 江苏万山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牛皮纤维生产线及生产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21B1 (ko) * 2004-06-18 2005-03-14 허관용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협잡물을 자동선별하고 가용의음식물을 동시에 분쇄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6299487A (ja) * 2005-04-25 2006-11-02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微細炭素繊維の解繊装置及び微細炭素繊維の解繊方法
JP2010120157A (ja) * 2008-11-21 2010-06-03 Ind Technol Res Inst 解繊装置
KR101158031B1 (ko) 2009-07-09 2012-06-22 박중성 폐직물을 이용한 재활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활용 섬유제품
JP2013034412A (ja) * 2011-08-05 2013-02-21 Hosokawa Micron Corp 茶葉の粉砕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粉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21B1 (ko) * 2004-06-18 2005-03-14 허관용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협잡물을 자동선별하고 가용의음식물을 동시에 분쇄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6299487A (ja) * 2005-04-25 2006-11-02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微細炭素繊維の解繊装置及び微細炭素繊維の解繊方法
JP2010120157A (ja) * 2008-11-21 2010-06-03 Ind Technol Res Inst 解繊装置
KR101158031B1 (ko) 2009-07-09 2012-06-22 박중성 폐직물을 이용한 재활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활용 섬유제품
JP2013034412A (ja) * 2011-08-05 2013-02-21 Hosokawa Micron Corp 茶葉の粉砕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粉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2629A (zh) * 2018-05-07 2018-11-02 江苏万山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牛皮纤维生产线及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6184A (en) Shredder with grate door
KR101825266B1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KR101871953B1 (ko) 산업, 건축 및 생활 폐기물용 파쇄기
KR100973771B1 (ko) 파쇄기
KR101870585B1 (ko) 폐 스티로폼 파쇄기
US5558281A (en) Recycling and solid material conversion apparatus
KR20160107594A (ko) 폐기물 파쇄장치
CN107081195A (zh) 一种垃圾破碎机
US3554454A (en) Shredder and separator unit
KR101686604B1 (ko) 해섬기
KR20190142839A (ko) 폐 스티로폼의 파쇄 및 이물질 분리기
KR102272376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960010197A (ko) 폐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237772B1 (ko) 바이트인 커터를 구비한 폐기물 분쇄기
KR101812685B1 (ko) 해섬기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KR102048929B1 (ko) 폐합성수지의 더블 절삭 파쇄 장치
JP2815826B2 (ja) 破砕機
KR102470667B1 (ko) 기계식 파쇄기
KR101254781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0059174A (ko) 고성능 목재 파쇄기
US2914259A (en) Apparatus for disintegration of wood materials
NZ2029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nuting tree stumps
KR101303610B1 (ko) 폐기물의 상호접촉에 의한 파쇄 및 이종재질간 선별이 가능한 드럼형 고속회전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