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97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972B1
KR101685972B1 KR1020090096800A KR20090096800A KR101685972B1 KR 101685972 B1 KR101685972 B1 KR 101685972B1 KR 1020090096800 A KR1020090096800 A KR 1020090096800A KR 20090096800 A KR20090096800 A KR 20090096800A KR 101685972 B1 KR101685972 B1 KR 10168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display device
display
back surface
therm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795A (ko
Inventor
윤승현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주위 또는 외부 전원 인가에 따른 제품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외관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어 우수한 외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다양한 외관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또는 장식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 커버, 인쇄층, 무늬부, 베젤부, 발열시트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주위 또는 외부 전원 인가에 따른 제품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외관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어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주위 또는 외부 전원 인가에 따른 제품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외관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어 우수한 외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또는 장식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 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는 전면 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덮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 및 슬림화되고 고급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영상 표시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미적 감각을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적 요소가 강조되고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커버는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면 커버를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제품의 이미지가 크게 달라지며, 따라서 고급스러운 이미지 전달을 위하여 전면 커버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대형화 추세에 맞추어 상기 전면 커버와 홈 인테리어의 디자인적인 융화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커버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거나, 별도의 장식부재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일정한 색 또는 장식에 대하여 따분함이나 지겨움을 느끼게 되므로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보다 다이나믹한 외관 디자인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 또는 외부 전원 인가에 따른 제품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외관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어 우수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또는 장식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구성부재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며, 외부의 전원 차단시 인쇄층에 형성된 특정 형상의 무늬가 표시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표시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특정 형상의 무늬는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는 전면 필터와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에 부착된 베이스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쇄층은 베이스 필름의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표시영역을 형성하며 특정한 형상의 무늬를 갖는 무늬부와 상기 비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과 베이스 필름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발열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필터는 투명 수지 또는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늬부는 시온 안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젤부는 시온 안료 또는 미러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발열시트는 열전도 필름 및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열전도 필름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는 열전도성 도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열전도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전원 인가시 상기 열전도 필름으로 전기적으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컨트롤 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보드는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종단부가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 영역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 종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는 장착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 및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부영역이 상기 전면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브라켓의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미들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위 또는 외부 전원 인가에 따른 제품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외관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어 우수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또는 장식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구성부재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10a)과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된 비표시영역(10b)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탠드(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탠드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2)와 상기 베이스부와 디스플레이 본체를 연결하는 넥부(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탠드(100)는 틸팅 또는 스위블 동작이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디스플레이 본체가 스탠드(100)에 의하여 하중이 지지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벽걸이 타입으로 벽체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I-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영역(10a)과 비표시영역(10b) 및 상기 표시영역(10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인쇄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외부의 전원 차단시 인쇄층에 형성된 특정 형상의 무늬가 표시영역(10a)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되는 전면 커버(10)와 상기 전면 커버(10)의 표시영역의 후방(10a)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일 종단부가 상기 전면 커버(10)의 비표시 영역(10b)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 종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는 장착부재(20, 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이 수용되고, 상기 장착부재(20, 40)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진공 형광 표시(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 방출 영상표시(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의 발광형 또는 수광형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영상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착부재(20, 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0b)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2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20) 및 상기 보스홀(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41)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0)에 체결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 는 서포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50)에는 상기 브라켓(20)의 보스홀(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51)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커버(50)는 스크류(S)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20)에 체결되고,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50) 사이의 공간에 디스플레이 모듈(30)이 배치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브라켓(20)은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0b)의 배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각각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는 상기 브라켓(20)을 매개로 각각 조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20)은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0b)의 배면에 점착 또는 접착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40)는 체결공을 가지고, 상기 보스홀(21)의 개구부에 안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40)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일 종단부 사이에는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호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고, 쿠션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브라켓(20)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부영역이 상기 전면커버(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브라켓(20)의 보스홀(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0)에 체결되는 미들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는 브라켓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영역이 상기 전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노출된 영역을 통해 그라데이션 효과 등 다양한 외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40)와 후면 커버(50)는 동일한 보스홀(21)에 함께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10)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광 특성을 보정하거나 전자파 또는 근적외선 등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의 기능층이 적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커버(10)는 전면 필터(11)와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에 점착 또는 접착된 베이스 필름(16)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16)의 배면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 필터(11)는 투명 수지 또는 글라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필터(11)는 대형화에 따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강화 유리 재질의 베이스 기판에 각각의 필름이 적층될 수도 있으며,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즉, 투명하고 소정 수준의 강도를 만족하는 어떤 종류의 소재도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면 필터(11)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특성에 따라 전자파 차폐 필름(EMI shielding film), 근적외선 차단 필름(NIR blocking film), 오렌지색 등의 색상보정 및 색순도 향상 필름(Color Adjusting Film), 충격 흡수 필름(impact absoption film) 및 외부 광선의 화면 표면에서의 반사에 따른 화상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방지 필름(AR/anti-reflection film)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힌편, 인쇄층이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16)은 투명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투습도가 낮은 다양한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전면 커버(10)의 표시영역(10a)을 형성하며 특정한 형상의 무늬를 갖는 무늬부(17)와 상기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0b)을 형성하는 베젤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늬부(17)는 시온 안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시온 안료(thermochromic ink)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잉크로,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했다가 냉각하면 다시 원래의 색상으로 되돌아오는 가역형과 냉각하더라도 원색으로 되돌아오지 않는 비가역형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역형의 시온 안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온 안료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16)에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문자나 특정 형상을 갖는 무늬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쇄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그라비아(gravure) 인쇄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라비아 인쇄는 다른 인쇄 방식에 비해 고속인쇄가 가능하고, 시온 안료를 베이스 필름(예를 들어, 베이스 필름)에 인쇄하기 위한 제약 조건이 적어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
상기 무늬부(17)는 특정한 형상(예를 들어, 꽃, 나무 또는 풍경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선으로 구분될 수고 있고,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시온 안료로 형성된 무늬부(17)는 디스플레이 장치(1)로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전원 오프)에서 전면 커버(10)의 표시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로 외부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전원 온)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30) 등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이 무늬부(17)로 전달됨에 따라 시온 안료의 온도 특성에 의하여 무늬부(17)가 투명하게 변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영상이 외부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무늬부(17)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무늬부(17)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부(18)는 시온 안료 또는 미러 잉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온 안료로 형성될 경우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주위 온도 변화 또는 제품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면 커버를 구성하는 투명 발열시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전면 필터(11)의 배면과 베이스 필름(16)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발열시트(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발열시트(13)는 열전도 필름(14) 및 상기 전면커버의 표시영역(10a)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열전도 필름(14)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는 열전도성 도료층(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열전도 필름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전원 인가시 상기 열전도 필름(14)으로 전기적으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컨트롤 보드를 추가(60)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보드(60)는 외부의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예를 들어 메인보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플렉서블한 열전달 케이블(61)로 열전도 필름(16)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보드(60)는 열을 전달해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전달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필름(14)은 열전달 케이블(61)로부터 전달된 열을 열전도성 도료층(15)에 전달하고, 전달된 열은 상기 열전도성 도료층(15)을 통하여 열전도 필름(14) 전체로 열이 확산된다.
상기 열전도성 도료층(15)은 카본계의 필러를 수계의 용매에 확산시킨 도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전원 인가시 무늬부(17)로 열을 전달하여 시온 안료의 색상을 투명하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3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도료층(15) 및 열전도 필름(14)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영역(10a)에 배치되므로 투명한 도료 및 필름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인 12는 접착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면 커버(10)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커버(10)는 전술한 PET 등의 베이스 필 름(16)을 준비(S10)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배면에 무늬층을 인쇄(S20)한다.
상기 무늬층(17)은 시온 안료로 형성되며, 무늬의 색상의 수(n)에 따라 그라비아 공법으로 n도 인쇄를 하여 색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색상 또는 투명도가 변화되는 온도는 0℃ 내지 70℃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이처럼 온도에 따른 다양한 무늬부를 적층 인쇄하면, 온도변화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의 비표시 영역(10b)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의 배면의 테두리부에 베젤부(18)를 인쇄(S30)한다. 상기 베젤부는 시온 안료 또는 미러 잉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크 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 등 다양한 인쇄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베이스 필름(16)의 전면에 투명 발열시트(13)를 부착(S40)하고, 전면 필터의 배면에 접착층을 형성(S50)한 후, 라미네이팅 공정(S60)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6은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도 7은 외부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인쇄층의 무늬부(17)가 표시 영역(10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무늬부(17)가 꽃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갖는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늬부 및 베젤부 모두 시온 안료로 인쇄하여,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특정 형성의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하고 우수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투명 발열시트를 통하여 무늬부에 열이 가해지므로 무늬부가 투명해지고,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발생된 영상 등이 표시영역(1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에도 베젤부를 시온 안료로 인쇄하여,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특정 형성의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하고 우수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위 또는 외부 전원 인가에 따른 제품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외관 디자인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어 우수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고,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또는 장식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가지며, 각 구성부재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 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I-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면 커버를 구성하는 투명 발열시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면 커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Claims (14)

  1. 전면 필터;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에 부착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배면에 표시영역을 형성하며 특정한 형상의 무늬를 갖는무늬부 및 비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하는 인쇄층 및 상기 전면 필터의 배면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발열시트를 포함하며, 외부의 전원 차단시 인쇄층에 형성된 특정 형상의 무늬가 표시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표시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발열시트는 열전도 필름 및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열전도 필름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는 열전도성 도료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도료층은 카본계의 필러를 수계의 용매에 확산시킨 도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특정 형상의 무늬는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필터는 투명 수지 또는 글라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시온 안료 또는 미러 잉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전원 인가시 상기 열전도 필름으로 전기적으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컨트롤 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보드는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일 종단부가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 영역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 종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는 장착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 및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종단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부영역이 상기 전면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브라켓의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미들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96800A 2009-10-12 2009-10-12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00A KR101685972B1 (ko) 2009-10-12 2009-10-12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00A KR101685972B1 (ko) 2009-10-12 2009-10-1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95A KR20110039795A (ko) 2011-04-20
KR101685972B1 true KR101685972B1 (ko) 2016-12-13

Family

ID=4404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800A KR101685972B1 (ko) 2009-10-12 2009-10-1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715B1 (ko) * 2019-10-07 2021-11-05 (주)바오디스플레이 스마트 거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66B1 (ko) * 2003-02-20 2005-07-01 주식회사 세아제강 변온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431B1 (ko) * 2006-09-28 2011-10-1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변색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14505B1 (ko) * 2007-07-20 2009-08-31 주식회사 디아이앤씨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및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95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1414B2 (en) Bezel-less electronic display
US6919678B2 (en) Bezel-less electric display
US20060209527A1 (en) Display having indirect lighting structure
US20120287645A1 (en) Display apparatus
US20120127141A1 (en) Display device
EP3457201A1 (en) Display apparatus
JP7348606B2 (ja) 表示装置
EP2462582A1 (en) Display for digital images
KR1016859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073517A1 (en) Display device with a luminous display base
KR10225440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16957174U (zh) 电子组件和显示装置
CN112802428A (zh) 可调显示系统和电子设备
KR201100627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0670846U (zh) 一种带数码屏的控制盒结构
US11681173B2 (en) Image panel having composite image using color changing with backlight illumination
US8939631B2 (en) Controlling device with an insulating portion
KR2020002712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구조
KR1023198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1937A (ko) 옵티컬 본딩된 부착형 투명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벽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30161828A (ko) 옵티컬 본딩된 투명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벽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US20050082439A1 (en) Display device with a marking board
KR201901410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712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구조
JP2019144455A (ja) 埋め込み型の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