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684B1 -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684B1
KR101685684B1 KR1020160042729A KR20160042729A KR101685684B1 KR 101685684 B1 KR101685684 B1 KR 101685684B1 KR 1020160042729 A KR1020160042729 A KR 1020160042729A KR 20160042729 A KR20160042729 A KR 20160042729A KR 101685684 B1 KR101685684 B1 KR 10168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top body
electronic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창근
Original Assignee
염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창근 filed Critical 염창근
Priority to KR102016004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6Hopping, dancing, or curve-drawing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에 의한 팽이 축의 순간적인 하강이동에 따른 반력으로 팽이 본체의 점프가 유도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점프 동작 기능의 팽이가 단순화된 구성의 낮은 제조원가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팽이 본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팽이 본체의 현재 운동정보(현재 진행방향 정보, 현재 RPM 정보 등)가 원격 제어기로 무선전송되어 모니터링되면서 팽이 본체의 점프 동작 시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구조의 제공으로 다수 인원 간 팽이 완구를 이용한 공격 게임이나 대결이 온-오프라인에서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 유발과 긴박감/몰입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는 바닥면에 놓여 회전하게 되는 팽이 본체(11)와; 팽이 본체(11)의 중심축 선 상에 배치되고, 팽이 본체(11)의 하부단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팽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고, 팽이 본체(1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팽이 축(12)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축(12) 일부가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점프 동작신호 수신시 팽이 축(12)을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시켜 팽이 본체(11)의 점프를 유도하는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과; 팽이 본체(11)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과 연결되고,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은 바닥면에 놓여 회전 동작 및 점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전자 팽이 완구(10)와;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고, 전자 팽이 완구(10)의 점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팽이 완구(10)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top toy}
본 발명은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에 의한 팽이 축의 순간적인 하강이동에 따른 반력으로 팽이 본체의 점프가 유도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점프 동작 기능의 팽이가 단순화된 구성의 낮은 제조원가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팽이 본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팽이 본체의 현재 운동정보(현재 진행방향 정보, 현재 RPM 정보 등)가 원격 제어기로 무선전송되어 모니터링되면서 팽이 본체의 점프 동작 시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구조의 제공으로 다수 인원 간 팽이 완구를 이용한 공격 게임이나 대결이 온-오프라인에서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 유발과 긴박감/몰입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는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이는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 중 하나로서 오래전부터 현재까지도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놀이기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팽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구조의 원추형 형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이 소멸되기 전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팽이에 회전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실을 원추형의 몸체에 감아 팽이를 던지는 방식, 랙과 피니언 구조를 응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방식, 팽이에 와인더를 끼우고 와인더를 당김으로써 팽이를 회전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팽이를 동시에 회전시킨 후 어느 하나의 팽이가 회전력이 다할 때까지 서로 충돌시켜 승자를 가리는 배틀(battle) 형식으로 놀이를 한다. 그러나 배틀 시 회전하는 팽이는 팽이판의 무작위적인 상황에서 수평 충돌만을 통하여 승부를 가리는 수동적인 재미만 제공하기에 긴박감이 사라지는 한계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6915호 "점프 팽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2421호 "부상 팽이" 등에서는 스프링이나 전자석을 이용하여 팽이의 점프가 유도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팽이 점프 유도를 위한 기술구성이 복잡하여 팽이 제조에 어려움이 따르며,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6915호 "점프 팽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2421호 "부상 팽이"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팽이 본체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 내측에 자성체인 팽이 축 일부가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된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의 자기력으로 팽이 축이 순간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력으로 팽이 본체의 점프가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점프 동작 기능의 팽이가 단순화된 구성의 낮은 제조원가로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팽이 본체에 센서모듈이 설치되어 팽이 본체의 현재 운동정보(현재 진행방향 정보, 현재 RPM 정보 등)가 실시간 검출되어 사용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기로 무선전송되고, 원격 제어기를 통해 팽이 본체의 현재 운동정보가 실시간 모니터링되면서 팽이 본체의 점프 동작 시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다수 인원 간 팽이 완구를 이용한 공격 게임이나 대결이 온-오프라인에서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 유발과 긴박감/몰입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닥면에 놓여 회전하게 되는 팽이 본체(11)와; 팽이 본체(11)의 중심축 선 상에 배치되고, 팽이 본체(11)의 하부단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팽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고, 팽이 본체(1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팽이 축(12)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축(12) 일부가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점프 동작신호 수신시 팽이 축(12)을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시켜 팽이 본체(11)의 점프를 유도하는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과; 팽이 본체(11)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과 연결되고,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이 완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에서 팽이 본체(11)와 팽이 축(12)는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홈(m)과 슬라이딩돌기(n)가 형성되어 맞물리는 구조를 가져, 팽이 축(12)의 상하방향 이동 및 팽이 본체(11)와 팽이 축(12)의 일체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는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모듈(14)과 연결되고,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로 인가되는 전원값을 제어하여 팽이 축(12)의 점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에서 전원모듈(14)은 팽이 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1회용 배터리(14a)와,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케이블(142)이 연결되어 충전되는 충전식 배터리(14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닥면에 놓여 회전 동작 및 점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전자 팽이 완구(10)와;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고, 전자 팽이 완구(10)의 점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팽이 완구(10)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되, 전자 팽이 완구(10)는, 바닥면에 놓여 회전하게 되는 팽이 본체(11)와; 팽이 본체(11)의 중심축 선 상에 배치되고, 팽이 본체(11)의 하부단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팽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는 팽이 축(12)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축(12)을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시켜 팽이 본체(11)의 점프를 유도할 수 있는 구동모듈(13)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듈(13)과 연결되고, 점프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듈(13)의 점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본체(11)의 운동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모듈(16)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센서모듈(16)과 연결되고, 센서모듈(16)로부터 팽이본체 운동정보를 전달받아 원격 제어기(20)로 무선 송신하게 되며, 원격 제어기(20)로부터 점프 동작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제어모듈(15)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서 전자 팽이 완구(10)의 센서모듈(16)은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와, 팽이 본체(11)의 각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와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모듈(17)로 전달하게 되고, 원격 제어기(20)는, 전자 팽이 완구(10)의 무선통신모듈(17)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팽이본체 운동정보로 수신받고, 전자 팽이 완구(10)로 점프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모듈(21)과; 정보 송수신모듈(21)로부터 전달되는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출력모듈(22)과; 사용자에 의한 점프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모듈(23)과; 점프 명령신호 입력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모듈(21)로 전달하는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팽이 본체(11)의 점프 동작 시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모듈(16)은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와, 팽이 본체(11)의 각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원격 제어기(20)는, 전자 팽이 완구(10)의 무선통신모듈(17)로부터 가속도센서로부터 검출된 팽이본체 가속도정보와 자이로센서로부터 검출된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를 팽이본체 운동정보로 수신받고, 전자 팽이 완구(10)로 점프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모듈(21)과; 팽이본체 가속도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동시에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RPM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정보 분석모듈(25)과; 운동정보 분석모듈(25)으로부터 산출된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출력모듈(22)과; 사용자에 의한 점프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모듈(23)과; 점프 명령신호 입력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모듈(21)로 전달하는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팽이 본체(11)의 점프 동작 시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서 전자 팽이 완구(10)는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듈(1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기(20)는 전원모듈(14)로부터 구동모듈(13)로 인가되는 전원값 크기정보가 입력되어 팽이 본체(11)의 점프 높이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값 입력모듈(2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 의하면, 점프 동작 기능의 팽이를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을 이용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완구 내구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이 도모되고, 이를 통해 전자 팽이 완구의 판매가격을 낮추어 전자 팽이 완구의 대중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에 의하면, 팽이 본체의 현재 운동정보를 원격 제어기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팽이 본체의 점프 동작 시점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므로, 다수 인원 간 팽이 완구를 이용한 공격 게임이나 대결을 온-오프라인에서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 유발과 긴박감/몰입도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의 기본 구성과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 부 단면도;
도 3은 제어모듈이 부가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의 구성과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를 이루는 전원모듈의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의 원격 제어기의 구성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팽이 완구, 솔레노이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10)는 도 1에서와 같이 팽이 본체(11), 팽이 축(12),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 전원모듈(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팽이 본체(11)는 바닥면에 놓여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역원뿔 형상의 하부단을 가질 수 있다.
팽이 축(12)은 팽이 본체(11)의 중심축 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팽이 본체(11)의 하부단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팽이 축(12)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팽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고, 팽이 본체(1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팽이 축(12)은 팽이 본체(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가 강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팽이 축(12) 전체 부위가 강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팽이 본체(11)와 팽이 축(12)는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홈(m)과 슬라이딩돌기(n)가 형성되어 맞물리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팽이 축(12)의 상하방향 이동 및 팽이 본체(11)와 팽이 축(12)의 일체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한편 팽이 축(12)이 팽이 본체(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팽이 본체(11)나 팽이 축(12)에 스톱퍼가 형성될 수도 있고, 팽이 축(12)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팽이 축(12) 하강시 설정위치에서 팽이 본체(11)에 걸림고정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은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팽이 축(12) 일부가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은 점프 동작신호 수신시 전원을 인가받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의 자기력에 의해 팽이 축(12)이 순간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하게 되고, 바닥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팽이 본체(11)의 점프가 유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10)는 도 3에서와 같이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모듈(14)과 연결되는 제어모듈(15)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어모듈(15)은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로 인가되는 전원값을 제어하여 팽이 축(12)의 점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제어모듈(15)은 전원값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팽이 축(12)의 점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값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 팽이 축(12)의 점프 높이가 증대(h<h')될 수 있다.
전원모듈(14)은 팽이 본체(11)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과 연결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원모듈(14)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팽이 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1회용 배터리(14a)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식 배터리(14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충전식 배터리(14b)는 팽이 본체(11) 표면에 형성된 접속포트(141)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42)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10)는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 내측에 팽이 축(12) 일부가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된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13a)의 자기력으로 팽이 축(12)이 순간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력으로 팽이 본체(11)의 점프가 유도되도록 하므로, 점프 동작 기능의 팽이가 단순화된 구성의 낮은 제조원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100)은 도 5에서와 같이 전자 팽이 완구(10)와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자 팽이 완구(10)는 바닥면에 놓여 회전 동작 및 점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전자 팽이 완구(10)는 팽이 본체(11), 팽이 축(12), 구동모듈(13), 제어모듈(15), 센서모듈(16), 무선통신모듈(1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이 본체(11)는 바닥면에 놓여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역원뿔 형상의 하부단을 가질 수 있다.
팽이 축(12)은 팽이 본체(11)의 중심축 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팽이 본체(11)의 하부단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팽이 축(12)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팽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고, 팽이 본체(1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팽이 축(12)은 팽이 본체(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가 강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팽이 축(12) 전체 부위가 강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팽이 본체(11)와 팽이 축(12)는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홈(m)과 슬라이딩홈(m)가 형성되어 맞물리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팽이 축(12)의 상하방향 이동 및 팽이 본체(11)와 팽이 축(12)의 일체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한편 팽이 축(12)이 팽이 본체(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팽이 본체(11)나 팽이 축(12)에 스톱퍼가 형성될 수도 있고, 팽이 축(12)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팽이 축(12) 하강시 설정위치에서 팽이 본체(11)에 걸림고정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구동모듈(13)은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팽이 축(12)을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시켜 팽이 본체(11)의 점프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모듈(13)은 팽이 축(12) 일부가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모듈(15)은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듈(13)과 연결되는 것으로, 점프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듈(13)의 점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듈(13)이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경우, 제어모듈(15)은 구동모듈(13)로 인가되는 전원값을 제어하여 팽이 축(12)의 점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모듈(16)은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본체(11)의 운동정보를 검출하는 것으로,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 팽이 본체(11)의 각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100)을 이루는 전자 팽이 완구(10)의 센서모듈(16)은 연산유닛이 구비되어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와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모듈(17)로 전달하게 된다.
무선통신모듈(17)은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센서모듈(16)과 연결되는 것으로, 센서모듈(16)로부터 팽이본체 운동정보를 전달받아 원격 제어기(20)로 무선 송신하게 되며, 원격 제어기(20)로부터 점프 동작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제어모듈(15)로 전달하게 된다.
원격 제어기(20)는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는 것으로, 전자 팽이 완구(10)의 팽이본체 운동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전자 팽이 완구(10)의 점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팽이 완구(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원격 제어기(20)는 정보 송수신모듈(21), 정보출력모듈(22), 신호 입력모듈(23),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 송수신모듈(21)은 전자 팽이 완구(10)의 무선통신모듈(17)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팽이본체 운동정보로 수신받는 한편, 전자 팽이 완구(10)로 점프 동작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정보출력모듈(22)은 정보 송수신모듈(21)로부터 전달되는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출력모듈(22)은 모니터 화면창, LED배열형 정보출력장치, 터치패널,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입력모듈(23)은 사용자에 의한 점프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팽이 본체(11)의 점프 동작 시점을 선택하여 설정된 점프 명령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24)은 점프 명령신호 입력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모듈(21)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100)의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전자 팽이 완구(10)의 센서모듈(16)이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와 각속도 정보를 검출한 다음, 이를 무선통신모듈(17)로 전달하고, 무선통신모듈(17)이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와 각속도 정보를 원격 제어기(20)로 무선 송신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원격 제어기(20)의 정보 송수신모듈(21)은 전자 팽이 완구(10)의 무선통신모듈(17)로부터 가속도센서로부터 검출된 팽이본체 가속도정보와 자이로센서로부터 검출된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를 팽이본체 운동정보로 수신받게 된다.
그리고 원격 제어기(20)는 운동정보 분석모듈(25)을 구비하여 팽이본체 가속도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동시에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RPM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100)의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전자 팽이 완구(10)에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듈(1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이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격 제어기(20)에는 전원값 입력모듈(26)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전원값 입력모듈(26)은 전원모듈(14)로부터 구동모듈(13)로 인가되는 전원값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정보 송수신모듈(21)로 전달하게 된다. 정보 송수신모듈(21)는 전원값 크기정보를 전자 팽이 완구(10)로 전송함으로써 구동모듈(13)로 인가되는 전원값 크기의 조절에 의해 팽이 본체(11)의 점프 높이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원값 크기정보는 팽이본체 점프 높이값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팽이본체 점프 높이값은 구체적인 수치로 입력될 수도 있고, 상/중/하 등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 제어기(20)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팽이 운동정보, 펌프 명령 메뉴, 펌프 높이 선택메뉴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 폰(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팽이 운동정보, 펌프 명령 메뉴, 펌프 높이 선택메뉴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HMD(4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100)은 팽이 본체(11)에 센서모듈(16)이 설치되어 팽이 본체(11)의 현재 운동정보(현재 진행방향 정보, 현재 RPM 정보 등)가 실시간 검출되어 사용자가 소지한 원격 제어기(20)로 무선전송되고, 원격 제어기(20)를 통해 팽이 본체의 현재 운동정보가 실시간 모니터링되면서 팽이 본체(11)의 점프 동작 시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므로, 다수 인원 간 팽이 완구를 이용한 공격 게임이나 대결이 온-오프라인에서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 유발과 긴박감/몰입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자 팽이 완구
11 : 팽이 본체
12 : 팽이 축
13 : 구동모듈
13a : 솔레노이드형 구동모듈
14 : 전원모듈
14a : 1회용 배터리
14b : 충전식 배터리
141 : 접속포트
142 : 전원케이블
15 : 제어모듈
16 : 센서모듈
17 : 무선통신모듈
m : 슬라이딩홈
n : 슬라이딩돌기
20 : 원격 제어기
21 : 정보 송수신모듈
22 : 정보출력모듈
23 : 신호 입력모듈
24 :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
25 : 운동정보 분석모듈
26 : 전원값 입력모듈
30 : 스마트 폰
40 : HMD
100 :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바닥면에 놓여 회전 동작 및 점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전자 팽이 완구(10)와;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고, 전자 팽이 완구(10)의 점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팽이 완구(10)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되,
    전자 팽이 완구(10)는,
    바닥면에 놓여 회전하게 되는 팽이 본체(11)와;
    팽이 본체(11)의 중심축 선 상에 배치되고, 팽이 본체(11)의 하부단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팽이 본체(11) 내부에 고정되는 팽이 축(12)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축(12)을 하측 방향으로 전진이동시켜 팽이 본체(11)의 점프를 유도할 수 있는 구동모듈(13)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듈(13)과 연결되고, 점프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듈(13)의 점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팽이 본체(11)의 운동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모듈(16)과;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센서모듈(16)과 연결되고, 센서모듈(16)로부터 팽이본체 운동정보를 전달받아 원격 제어기(20)로 무선 송신하게 되며, 원격 제어기(20)로부터 점프 동작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제어모듈(15)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전자 팽이 완구(10)의 센서모듈(16)은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와, 팽이 본체(11)의 각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와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모듈(17)로 전달하게 되고,
    원격 제어기(20)는,
    전자 팽이 완구(10)의 무선통신모듈(17)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팽이본체 운동정보로 수신받고, 전자 팽이 완구(10)로 점프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모듈(21)과;
    정보 송수신모듈(21)로부터 전달되는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출력모듈(22)과;
    사용자에 의한 점프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모듈(23)과;
    점프 명령신호 입력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모듈(21)로 전달하는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팽이 본체(11)의 점프 동작 시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센서모듈(16)은 팽이 본체(11)의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와, 팽이 본체(11)의 각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원격 제어기(20)는,
    전자 팽이 완구(10)의 무선통신모듈(17)로부터 가속도센서로부터 검출된 팽이본체 가속도정보와 자이로센서로부터 검출된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를 팽이본체 운동정보로 수신받고, 전자 팽이 완구(10)로 점프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모듈(21)과;
    팽이본체 가속도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동시에 팽이본체 각속도 정보로부터 팽이 본체(11)의 현재 RPM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정보 분석모듈(25)과;
    운동정보 분석모듈(25)으로부터 산출된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출력모듈(22)과;
    사용자에 의한 점프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모듈(23)과;
    점프 명령신호 입력시 점프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모듈(21)로 전달하는 점프 동작신호 생성모듈(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팽이 본체(11)의 현재 진행방향 정보와 현재 RPM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팽이 본체(11)의 점프 동작 시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전자 팽이 완구(10)는 팽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듈(1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기(20)는 전원모듈(14)로부터 구동모듈(13)로 인가되는 전원값 크기정보가 입력되어 팽이 본체(11)의 점프 높이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값 입력모듈(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KR1020160042729A 2016-04-07 2016-04-07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KR10168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729A KR101685684B1 (ko) 2016-04-07 2016-04-07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729A KR101685684B1 (ko) 2016-04-07 2016-04-07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684B1 true KR101685684B1 (ko) 2016-12-12

Family

ID=5757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729A KR101685684B1 (ko) 2016-04-07 2016-04-07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6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782A (ko) * 2017-08-30 2019-03-08 염창근 캠구동 스프링 타격형 점프 팽이
KR101990821B1 (ko) 2018-07-06 2019-06-19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원격 조종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팽이
KR20210146031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3륜형 스마트 팽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962A (ja) * 2000-06-20 2002-01-08 Takara Co Ltd 遠隔操作可能なコマ玩具装置
KR200332421Y1 (ko) 2003-08-19 2003-11-07 안정오 부상 팽이
JP2004275484A (ja) * 2003-03-17 2004-10-07 Takara Co Ltd 遠隔操作コマ玩具
KR101516915B1 (ko) 2014-03-06 2015-05-04 김송만 점프 팽이
KR20150133871A (ko) * 2014-05-20 2015-12-01 (주)미니로봇 사용자가 동작 과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팽이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962A (ja) * 2000-06-20 2002-01-08 Takara Co Ltd 遠隔操作可能なコマ玩具装置
JP2004275484A (ja) * 2003-03-17 2004-10-07 Takara Co Ltd 遠隔操作コマ玩具
KR200332421Y1 (ko) 2003-08-19 2003-11-07 안정오 부상 팽이
KR101516915B1 (ko) 2014-03-06 2015-05-04 김송만 점프 팽이
KR20150133871A (ko) * 2014-05-20 2015-12-01 (주)미니로봇 사용자가 동작 과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팽이로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782A (ko) * 2017-08-30 2019-03-08 염창근 캠구동 스프링 타격형 점프 팽이
KR102019451B1 (ko) 2017-08-30 2019-11-04 염창근 캠구동 스프링 타격형 점프 팽이
KR101990821B1 (ko) 2018-07-06 2019-06-19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원격 조종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팽이
KR20210146031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3륜형 스마트 팽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485B2 (en) Toy robot
KR101685684B1 (ko) 전자 팽이 완구 운용시스템
US10004997B2 (en) Smart phone controllable construction brick vehicle
KR101097761B1 (ko)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CN103877726B (zh) 一种虚拟现实组件系统
EP3281681A1 (en) Spherical mobile robot with shifting weight steering
JP6555831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3154650B1 (en) Interactive game floor system and method
KR101553910B1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줄넘기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CN102227903A (zh) 用于驾驶遥控飞机的设备
KR100863866B1 (ko) 게임 장치
KR101469747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팽이형 로봇 시스템
US20130231029A1 (en) Interactive Toy
CN103071298B (zh) 保持平衡的自行玩具球及其控制方法和遥控装置
CN104248844A (zh) 具有随行位移能力的装置
JP2021079769A (ja) 簡易飛行物体
US20180185751A1 (en) Game system, game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202087051U (zh) 一种可单手操作的遥控器和玩具
JP2008502399A5 (ko)
KR102206024B1 (ko) 이중 회전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팽이
RU2676782C2 (ru) Аттракцион с дронами (варианты)
EP2343111A1 (en) Racing car
KR20200079093A (ko) 스포츠용 볼
KR101675861B1 (ko) 전자석으로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전자훌라후프
JP678054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