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647B1 -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647B1
KR101685647B1 KR1020140190799A KR20140190799A KR101685647B1 KR 101685647 B1 KR101685647 B1 KR 101685647B1 KR 1020140190799 A KR1020140190799 A KR 1020140190799A KR 20140190799 A KR20140190799 A KR 20140190799A KR 101685647 B1 KR101685647 B1 KR 10168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unit
display
user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9446A (en
Inventor
오우람
김현진
나기영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오우람
김현진
나기영
이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우람, 김현진, 나기영, 이상구 filed Critical 오우람
Priority to KR102014019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47B1/en
Publication of KR2016007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하도록 이용자의 진입을 시각적으로 유도하고,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에게 안전 속도록 이동하도록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제공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표시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에서의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scalator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visually guiding the user to use the escalator standing in two rows and providing a guidance sound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to a user moving fast in the escalator in a safe manner, A safet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 escalator safe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installed at an entrance platform of an escalator and guiding entrance of the escalator into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through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to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of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in the server unit.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0001]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safety device for safety of users of an escal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에스컬레이터는 이동식 계단으로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체인으로 연접식 계단을 구동시켜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등이나 지하철역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주로 설치되어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An escalator is a movable step, which is a device that allows a continuous rotating chain to drive a connected stair so that it can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the floor. Such escalators are mainly installed in places where there are many floating populations such as department stores, large discount stores, and subway stations, thereby providing mobility convenience.

에스컬레이터, 특히 지하철역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바쁜 사람들을 배려하자는 취지로 1990년대 후반부터 '한 줄 서기'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캠페인이 빠르게 확산되어 자리를 잡으면서 최근에도 많은 이용자들이 한 줄로 서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다.With regard to the use of escalators, especially escalators installed at subway stations, the 'one-line clerk' campaign has been launched since the late 1990s with the intention of considering busy people in Korea. With the rapid spread of these campaigns, Are using the escalator in a row.

그러나,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서서 이용하게 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서서 타고 있는 이용자들의 옆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용자들간에 부딪힘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이용자들이 중심을 잃고 넘어져 다치는 보행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However, many problems arise when the escalator is used in a single line. In other words, as the escalator is able to move quickly along the side of the user standing on a single line, a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users, which causes frequent walking accidents in which users are lost in the escalator and fall down.

또한, 한 줄로 서서 타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의 체중으로 인한 하중이 에스컬레이터의 한 쪽으로 쏠리면서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 중 연접식 계단을 구동시키는 체인이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예기치 못한 고장은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나 역주행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서,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나 역주행이 발생되면 대형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큰 위험성이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빈번한 고장은 이용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며, 에스컬레이터를 수리 및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에스컬레이터를 운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s of the escalator standing on one line is shifted to one side of the escalator, the failure of the escalator, for example, the chain driving the connecting stairs in the escalator driving device, have. An unexpected failure of an escalator is one of the causes of a sudden stop or reverse run of an escalator, and there is a great danger that a sudden stop or reverse run of an escalator can lead to a large safety accident. In addition, frequent failure of the escalator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s, and it takes a lot of cost to repair and manage the escalato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the escalator.

이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하도록 하는 '두 줄 서기'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 줄 서기'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의 인식이나 습관이 쉽게 바뀌지 않아 '두 줄 서기' 캠페인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에서 이용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계속되고 있다.Due to these problems, a 'two-line clerk' campaign is currently underway to use the escalator in two rows. However, the awareness and habits of users who are accustomed to "one line clerk" do not change easily, and the "double line clerk" campaign is not well established. That i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to users in the escalator continues.

에스컬레이터의 이용과 관련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863호에는 에스컬레이터를 타는 한 줄 서기의 개선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As one example of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use of an escalato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6863 proposes an improvement method for a single-line clerk on an escalato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863호, 공개일 2010.11.02.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6863, Disclosure Date 2010.11.02.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863호에는 에스컬레이터의 한 줄 서기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교대로 타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홀수 날과 짝수 날로 날짜를 구분하거나 또는 오후와 오전으로 시간대를 구분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번갈아 한 줄로 서서 타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6863 proposes a method for alternately ri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anding of the escalator. In other words, it is proposed to alternate the date by an odd numbered day and an even numbered day, or by altern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n a single line by dividing the time zone by afternoon and morning.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서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두 줄 서기' 캠페인과 마찬가지로 홍보 또는 계도에 따른 것으로서, 지속적인 홍보 또는 계도가 어렵고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의 인식이나 습관을 바뀌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 method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is similar to the escalator 'two-line clerk' campaign, which is ongoing in recent years, as it is based on public relations or system,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omote or control the system, and the recognition and habits of the users of the escalator are chang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진입 방향을 시각적으로 유도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의 이용자수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진입 방향을 실시간으로 재조정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scalator which can visually guide the escalator entering direction so that the escalator users can use the escalator in two rows Provided is an escalator safet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that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realigning the entering direction in real time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s not large.

또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빠르게 걷거나 뛰는 이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제공하여 안전 속도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scalator safet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by guiding a user who walks or runs fast in an escalator to move at a safe speed by providing a guidance sound informing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유도하는 표시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에서의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scalator safety device is provided.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installed at an entrance platform of an escalator and guiding the user to enter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nd a user who rides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scalator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by measuring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through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in the server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ntry direction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ntry direction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escalator toward the smallest number of use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매설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기호로 표시되는 진입 방향 표시 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가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that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nd are embedded in the entrance platform of the escalator, respectively, and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ve symbol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entry direction or the entry prohibition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는 진입 방지봉을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scalator safeguard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ntry preventing bar provided at an entrance platform and an exit platform of the escalator,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센서기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2 센서기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sensor units installed at an entrance platform of the escalator to detect and distinguish a burning user from the left or right of the escalator, and a second sensor unit installed at an exit platform of the escalator, And a pair of second sensor units for separately sensing a user descending from the left or the righ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기와 상기 제2 센서기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equipped with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median separator arranged to part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접식 계단의 상측에서 상기 연접식 계단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칸막이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단부 각각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dian separator includes a partition across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stairs above the connecting stairs of the escalator, and a partition disposed at the entrance platform and the exit platform of the escalator, And includes a pair of supports for support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칸막이틀과, 상기 칸막이틀의 내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 조립체와,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artition includes a partition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scalator, at least one roller assem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artition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mounted rotatably, And a handle attached to an edge of the partition plate to extend along the ed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광고판 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매설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진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has a plurality of grooves in which a billboard or advertising display device is embed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측정부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음향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speed measuring unit positioned above the escalator and detecting a moving speed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erver unit, And a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guidance sound informing of a dangerous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reference speed value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속도 측정부는 스피드건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peed measuring unit includes a speed gu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표시부를 통해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부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the aforementioned escalator safety apparatus. A method of controlling an escalator safe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guiding a user to enter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n escalator through a display unit; Measuring a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via a server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o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of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allowable value,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value,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an entry direction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f the valu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value,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so as to indicate the entering direction toward the smaller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타는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속도 측정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음향 발생부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step of detecting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riding on the escalator through the speed measuring unit after the step of guiding the user to enter the escalator, A step of outputting a guidance sound informing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an acoustic gener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타고 있는 이용자들의 수가 허용 범위 내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쪽에서 이용자들의 진입이 유도되어 이용자들의 체중 등으로 인한 하중이 에스컬레이터의 한 쪽으로 치우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 특히 체인이 빈번하게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 또는 역주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수리, 관리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고장으로 인한 이용자들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이용자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 분리대에 광고 등을 실을 수 있어 광고 수익 등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빠르게 걷거나 뛰게 되면,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위험 상황과 안전 속도로 이동하라는 안내음을 발생하여 보행 사고와 관련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of the users from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is induced so that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s balanced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so that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s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escalator Is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scalator driving device, particularly the chain from failing frequently,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dden stop or reverse movement of the escalator,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thereby. In addition, the lifespan of the escalator drive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required for repairing and maintenanc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s due to the failure of the escalator can be reduced. In addition, an advertisement or the like can be placed on a median separator that prevents a user who entered the escalator from moving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thereby generating advertisement revenue. In addition, if the user of the escalator walks or rides rapidly in the escalator, a risk situation that a safety accident is likely to occur and a guidance sound to move at a safe speed are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related to a walking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중앙 분리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scalator safe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an escal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scalator entrance where an escal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scalator exit provided with an escal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edian bar of the escal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scalator safe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scalator safet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or part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10)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10)는 적어도 2명의 이용자가 나란히 옆에 서서 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5, an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that can additionally be installed and used in an existing escalator 1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scalator 10 in which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is installed has a siz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tand side by side.

에스컬레이터(10)는 입구 승강장(entrance landing)(11), 출구 승강장(exit landing)(12), 연접식 계단을 형성하는 디딤판(step)(13), 난간(balustrade)(14), 스커트(skirt)(15), 손잡이(handrail)(16) 등을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The escalator 10 includes an entrance landing 11, an exit landing 12, a step 13 forming a connecting stairway, a balustrade 14, a skirt < RTI ID = 0.0 > ) 15, a handrail 16, and the like (see Figs. 2 to 4).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은 에스컬레이터의 플랫폼이다. 일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10)는 저층에서 고층으로 이용자를 이동시키는 상향식 에스컬레이터로서, 입구 승강장(11)은 저층에 위치되고 출구 승강장(11)은 고층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로서 상향식 에스컬레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ntrance platform 11 and the exit platform 12 are platforms of the escalator. In one embodiment, the escalator 10 in which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is installed is a bottom-up escalator for moving the user from the low floor to the high floor, wherein the entrance platform 11 is located on the lower floor and the exit platform 11 is located on the high floor . In one embodiment, the escalator in which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is installed is described as a bottom-up escalator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디딤판(13)은 이용자가 오르내릴 때 디디는 수평 부분으로서, 복수의 디딤판(13)이 결합되어 연접식 계단을 형성한다. 난간(14)은 에스컬레이터(10)의 양쪽 면에 있는 부분으로서, 통상 이용자의 가슴 높이까지 위치된다. 스커트(15)는 에스컬레이터(10)의 양쪽 면에서 돌출된 부분으로서 난간(14)을 고정한다. 손잡이(16)는 난간(14)을 따라 움직이는 부분이다. 또한, 에스컬레이터(10)는 미도시하였지만, 디딤판(13)의 홈에 꼭 들어맞는 이빨이 있는 부분으로서 물체가 에스컬레이터(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콤(comb)과, 난간(14)의 둥글려 있는 부분으로서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에 놓이는 엄지기둥(newel)을 더 포함한다.The tread plate 13 is a horizontal part when the user moves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tread plates 13 are joined to form a connecting step. The railing 14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scalator 10 and is positioned generally up to the user's chest height. The skirt 15 fixes the handrail 14 as a par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scalator 10. [ The handle 16 is a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railing 14. Although the escalator 1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 comb-shaped portion having teeth that fit into the groove of the tread plate 13 to prevent an object from entering the escalator 10, And further includes a thumb pole (newel) placed in the entrance platform (11) and the exit platform (12) as rounded portions.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와, 센서부(200)와, 서버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속도 측정부(500)와 음향 발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주요 구성부(100 내지 600)들을 연결하는 실선(1)은, 실선(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요 구성부(100 내지 600)들이 전기적인 신호를 일방 또는 양방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전기적인 신호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의 구동부(20)는 체인(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10)의 구동 장치로서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에 포함될 수 있다.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100, a sensor unit 200, a server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as shown in FIG.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speed measuring unit 500 and an acoustic generator 600. 1, the solid line 1 connecting the main constituent elements 100 to 600 of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main constituent elements 100 to 600 connected thereto via the solid line 1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One or both, and the electr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system. 1 may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as a driving device for the escalator 10 including a chain (not shown) or the like, and may be included in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주요 구성부 중 서버부(300)와 제어부(400)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10)가 지하철역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황실(2)(도 2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rver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of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can be installed in the control room 2 (see FIG. 2) when the escalator 10 is installed in a subway station, for example. have.

표시부(1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에 설치되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들의 진입을 유도한다. 여기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LP)은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에 치우쳐 탈 수 있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디딤판(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좌측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우측(RP)은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에 치우쳐 탈 수 있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디딤판(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우측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platform 11 of the escalator 10 and guides the users in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Here, the left side (LP) of the escalator can be shifted toward the left side of the escalator 10 and can be a part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late 13, for example.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can be deviated to the right of the escalator 10 and can b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late 13, for examp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00)는 에스컬레이터의 좌측(LP)과 우측(RP)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110)과 제2 디스플레이(120)는 이용자들의 통행에 불편함이 생기지 않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11)에 매설된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0 includes a first display 110 and a second display 12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respectively.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120 are embedded in the entrance platform 11 of the escalator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passage of users.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는 각각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아 진입 방향 표시 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또는 진입 불가 방향 표시)를 기호로 나타내며, 이때 기호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입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가 사용되며,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가 사용된다. 하지만, 진입 방향 표시 및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ach of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1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0 and symbolizes the entry direction indication or the entry prohibition direction indication (or the entry impossible direction indication) Light Emitting Diode). In one embodiment, '↑' is used as a symbol indicating an approach direction display, and 'X' is used as a symbol indicating an entry prohibition direction display. However, the symbols indicating the entry direction indication and the entry prohibition direction indic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표시부(100)는 작동 시에, [제1 디스플레이(110)에서의 표시,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의 표시]를 [×, ×], [×, ↑], [↑, ×], [↑, ↑]와 같이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및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을 금지할 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으로의 진입은 허용하고 우측(RP)으로의 진입을 금지할 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으로의 진입을 금지하고 우측(RP)으로의 진입을 허용할 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 ↑] 표시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및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을 모두 허용할 때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 displays the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display on the second display 120 in the order of [x, x], [x, ↑], [ ↑, ↑]. The [x, x] display can be shown when inhibiting entry to both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The [x, ↑] display can be shown when the escalator 10 is allowed to enter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is prohibited from entering. The [↑, ×] display can be displayed when the escalator 10 is prohibited from entering the left side (LP) and allowed to enter the right side (RP). Further, the [↑, ↑] mark can be displayed when both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are allowed to enter.

표시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나타내어지는 기호는, 이용자들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깜박거릴 수 있으며, 진입 방향 표시와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다른 색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 이용자들에게 진입 방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100)에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청각적인 안내를 병행할 수도 있다.The symbol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120 of the display unit 100 may be flicker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s and the entering direction indication and the entry prohibition direction indication may be changed to different colors .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escalator 10 is visually guided to the users of the escalator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splay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to perform auditory guidance.

표시부(100)에서 유도되는 진입 방향을 따라서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에 진입하고, 유모차 등이 에스컬레이터(1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진입 방지봉(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 방지봉(700)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에 각각 설치되며, 디딤판(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진입 방지봉(700)는 다양한 형상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scalator safeguard apparatus 1000 prevents the entry preventing bar 70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escalator 10 in order to prevent users from entering the escalator 10 along the entry direction guided by the display unit 100 and preventing the baby stroller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escalator 10. [ . The entry preventing rods 700 are installed in the entrance platform 11 and the exit platform 12 of the escalator 10 and ar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idd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late 13. The entry preventing bar 700 may have a columnar shape of various shapes.

센서부(200)는 표시부(100)를 통해 진입이 유도된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또는 우측(RP)에서 타고 내리는지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2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 타는지 또는 우측(RP)에 타는지를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센서기(210)와, 에스컬레이터(10)의 출구 승강장(12)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서 내리는지 또는 우측(RP)에서 내리는지를 감지하는 한 쌍의 제2 센서기(220)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200 senses whether the users who have been gu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ride on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platform 11 of the escalator 10 to detect whether a user is on the left side LP of the escalator 10 or on the right side RP, A pair of second sensors 210 installed at the exit platform 12 of the escalator 10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s are descending from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And a sensor unit 2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센서기(210)와 한 쌍의 제2 센서기(220)는 진입 방지봉(70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 센서기(210)와 제2 센서기(220)는 다양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기(210)와 제2 센서기(220)에는, 그 앞을 통과하는 이용자들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211, 22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센서(211, 221)로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211, 221)에서 감지된 신호는 실시간으로 서버부(300)로 전송된다.In one embodiment, a pair of first sensor units 210 and a pair of second sensor units 220 are install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anti-entry bar 70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sensor unit 2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220 may have various columnar shapes. The first sensor device 210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220 are provided with sensors 211 and 221 for detecting the users passing through the first sensor device 210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220,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is used as the sensors 211 and 2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gnals sensed by the sensors 211 and 221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unit 300 in real time.

서버부(300)는 센서부(200)의 센서(211, 221)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서 타고 있는 총 이용자수(이하, '좌측 이용자수'라고 한다)와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RP)에서 타고 있는 총 이용자수(이하, '우측 이용자수'라고 한다)를 각각 계측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센서기(210)에 각각 설치된 센서(211)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때마다 좌측(LP)과 우측(RP)을 구분하여 이용자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가산하고, 한 쌍의 제2 센서기(220)에 각각 설치된 센서(221)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때마다 좌측(LP)과 우측(RP)을 구분하여 이용자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감산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계측한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를 이용하여,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이하, '좌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 또는 간단히 '차이값'이라고도 한다)을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산출된 차이값을 서버부(300)에 미리 설정된 허용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좌측 이용자수, 우측 이용자수, 차이값, 허용값은 0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로 나타내어진다. 허용값은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어느 한 쪽에 타는 이용자수가 다른 쪽에 타는 이용자수보다 많을 경우, 에스컬레이터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의 최대 인원수를 허용하는 예상값으로서,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허용값보다 같은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에 이용자들이 두 줄로 서서 균형있게 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에 이용자들이 두 줄로 서서 타고 있더라도 불균형하게, 즉 에스컬레이터(10)의 어느 한 쪽으로 하중이 쏠릴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1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게 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server unit 300 receives the total number of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left users') on the left side (LP) of the escalator 10 through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nsors 211 and 221 of the sensor unit 200, And the total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right users"). For example,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are distinguished each time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211 installed in each of the pair of first sensor devices 210,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are distinguished each time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221 installed in the second sensor unit 220, thereby decreasing the number of users. In addition, the server unit 30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number of left users and the number of right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fference value of the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or simply a 'difference value') using the measured number of left users and the number of right users ) In real time. Also, the server unit 300 compare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set allowable value in the server unit 300. [ Here, the number of left users, the number of right users,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are represented by positive integers including zero. The permissible value is a predicted value that allows the maximum number of persons that can escape to the escalator when the number of users on either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users on the other side,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allowable value or equal to the permissible value, it means that the users are standing in a balanced manner on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in two rows. If the dif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permissible value, even if the user rides in two lines on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the load can be unbalanced, Which means that the escalator 10 is burned so as to cause a failure.

서버부(300)는, 미도시되었지만,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를 계측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허용값 등을 저장부에 설정되도록 입력하는 입력부와, 이용자수와 관련한 계측 결과, 산출 결과 및 비교 결과 등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rver unit 300 includes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200,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stor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compariso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y measuring the number of right users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tolerance value. The server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llowable values or the like to be set in the storage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measurement results, calculation results, and comparison results related to the number of users to the outside.

제어부(400)는 서버부(300)에서의 차이값과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이나 우측(RP)에 이용자들이 균형있게 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한 쪽에만 진입 방향을 표시함에도 불구하고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를 모두 제어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에 진입 방향 표시를 나타내고 제2 디스플레이(120)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를 나타내기 위함이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in the server unit 300.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users are balanced on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valu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120 of the display unit 100 so as to indicate the approach direction to both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display unit (10). The control unit 40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00 to display the entering direction of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to the smallest number of users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value 110) and the second display (120). The reason for controlling both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120 despite the fact that the entry direction is displayed on only one of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is that, for example, To indicate an entry direction indication on the display 110 and to indicate an entry prohibition direction indication on the second display 120. [

일 실시예에서는, 한 대의 에스컬레이터(10)에서의 이용자의 진입 방향을 유도하였지만, 에스컬레이터(10)가 복수 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에스컬레이터(10) 각각에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의 에스컬레이터(10)에 설치된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하고, 공통의 서버부(300)를 통해 이용자수가 가장 적은 쪽의 에스컬레이터로 이용자의 진입을 먼저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부(300)의 비교연산부에서는 복수의 에스컬레이터(10) 각각에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계측하고, 계측된 값들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에스컬레이터(10)에서의 진입을 우선 순위를 두고 유도함에 따라 일부의 에스컬레이터에 이용자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원활한 이용을 도모하고, 이용자들에게 향상된 이동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each of the plurality of escalators 10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escalators 10 are provided side by side is defined as the number of users in each escalator 10, Through the sensor unit 200 installed in the server unit 10 and can guide the user to enter the escalator with the smallest number of users through the common server unit 300. [ To this end, in the comparison operation section of the server section 300,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each of the plurality of escalators 10 can be measured, and the measured values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scalator 10 is guided by the priority,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concentrating on a part of the escalator, so that the escalator can be smoothly used and the improved mobility can be provided to the users .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어느 한 쪽으로의 진입을 유도하여 실제 이용자가 좌측(LP) 또는 우측(RP)에 타더라도,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10) 내에서 위치를 변경[좌측(LP)에서 우측(RP)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우측(RP)에서 좌측(LP)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를 정확하게 계측하기 어려워 좌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이러한 이용자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Even if an actual user takes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by guiding the entry to either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moves the position in the escalator 10 from the left side (LP) to the right side (RP) or from the right side (RP) to the left side (LP).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number of left users and the number of right users accurately, and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right and left users accurately. The escalator safeguard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edian separator 800 so as to prevent such a position change of the user.

중앙 분리대(8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와 우측(RP)을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중앙 분리대(800)는 에스컬레이터(10)에 있어서의 연접식 계단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접식 계단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칸막이(810)와, 에스컬레이터(10)의 입구 승강장(11)과 출구 승강장(12)에 각각 설치되고, 칸막이(810)의 양단부 각각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820)를 포함한다. 칸막이(81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연접식 계단이 구동하는데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쌍의 지지대(820)에 의해 계단 상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The median separator 800 is installed to partition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The center separator 800 includes a partition 810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stairs in a state where the center separator 800 is spaced above the connecting stairs of the escalator 10, 11 and a pair of supports 820 installed at the exit platform 12 for supporting the opposite ends of the partition 810, respectively. The partition 810 is installed so as to float on the step by a pair of supports 820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ng stairs of the escalator 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10)의 난간(14)과 마주하는 칸막이(8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칸막이틀(811)과, 칸막이틀(811)의 내측에 결합되는 롤러 조립체(812)와, 칸막이틀(811)의 가장자리에 씌워지는 손잡이(813)를 포함한다.5, the partition 810 facing the railing 14 of the escalator 10 includes a partition plate 8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scalator 10, A roller assembly 812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811 and a handle 813 that covers the edge of the partition frame 811. [

칸막이틀(811)은 수평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811a)과,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81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811b)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칸막이틀(811)의 수평 프레임(811a)과 수직 프레임(811b)는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을 재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811a)은 수직 프레임(811b)의 단부가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H'자 형상을 갖는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rtition frame 811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frames 811a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811b connecting a pair of horizontal frames 811b arranged up and down. 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811a and the vertical frame 811b of the partition frame 811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alloy material having a light weight and high rigidity.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811a may be formed of a beam having a vertical H-shaped profile so that the end of the vertical frame 811b can be fitted.

수평 프레임(811a)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손잡이(813)가 결합된다. 손잡이(813)는 수평 프레임(811a)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평 프레임(811a)에 마주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813)는 이용자가 붙잡을 수 있는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손잡이(813)에는, 손잡이(8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813a)가 구비된다. 홈부(813a)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광고판 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813b)가 교체가능하게 매설될 수 있다(도 5 참조).A handle 813 is coupled to the outer edge of the horizontal frame 811a. The handle 813 may be formed with a projection on a surface facing the horizontal frame 811a so as to be able to be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811a. The handle 813 has a curved surface convex outwardly at a portion where the user can hold it. The handle 8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813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813. A billboard or a display device 813b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billboard 813a may be interchangeably embedded in the groove 813a (see FIG. 5).

칸막이틀(811)의 내측, 즉 한 쌍의 수평 프레임(811a)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811b)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빈 공간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조립체(812)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 조립체(812)는 복수의 롤러(812a)와, 복수의 롤러(812a)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립체틀(812c)을 포함한다. 롤러(812a)의 양단에는 눌림이 가능한 장착핀(812b)이 구비되며, 장착핀(812b)은 롤러(812a)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외부에서의 눌림에 대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받는다. 즉, 롤러(812a)는 장착핀(812b)을 통해 조립체틀(812c)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칸막이(810)의 양측, 즉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LP)에 노출되는 복수의 롤러(812a)는 에스컬레이터(10)의 이용자들에 접촉되었을 때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롤러(812a)는 이용자들의 의류 등이 칸막이(810)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용자들의 의류 등이 칸막이(81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롤러(812a)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다.The space enclosed by the inside of the partition plate 811, that is, the space enclosed by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811a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811b, is maintained as an empty space, or at least one roller assembly 812 Can be mounted. The roller assembly 812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812a and an assembly frame 812c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rollers 812a. Both ends of the roller 812a are provided with a mounting pin 812b that can be pressed and the mounting pin 812b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st the external pressing by a spring (not shown) inserted into the roller 812a . That is, the roller 812a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ssembly frame 812c via the mounting pin 812b. A plurality of rollers 812a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partition 810, that is,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LP) of the escalator 10, are freely rotatable when they contact the users of the escalator 10. The plurality of rollers 812a minimizes wear of the user's clothing or the like by the partition 810 and prevents the user's clothes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in the partition 810. [ In an embodiment, the roller 812a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10)의 구동 장치가 이용자들의 하중에 의해 고장이 생기지 않도록 또한 이용자들 간의 부딪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에스컬레이터(10)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하게끔 유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는 빠르게 걷거나 뛰는 이용자들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속도 측정부(500) 및 음향 발생부(600)를 포함한다.The escalator safet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scalator 10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loads of the users and prevent the escalator 10 from being damaged It is induced to use in two lines. In addition,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peed measuring unit 500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600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users who walk or run fast.

속도 측정부(5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상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된다. 속도 측정부(500)는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서버부(300)로 전송한다. 속도 측정부(500)가 하나의 에스컬레이터(10)에 대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속도 측정부(5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저층부에서의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속도 측정부(5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고층부에서의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속도 측정부(500)는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스피드건을 포함한다.At least one speed measuring unit 500 is located above the escalator 10. The speed measuring unit 500 senses the moving speed of the users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s to the server unit 300. When a plurality of speed measuring units 500 are provided for one escalator 10, for example, one speed measuring unit 500 senses the moving speed of the users at the lower part of the escalator 10, One speed measuring unit 500 can sense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n the high-level portion of the escalator 10. [ In one embodiment, the speed measuring unit 500 includes a speed gun for measuring the moving speed of the users.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음향 발생부(600)는 속도 측정부(500)를 통해 감지한 이용자들 중의 이동 속도가 서버부(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10)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또는 이용자들)와, 그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이용자들에게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알리고, 속도를 줄이도록 안내하는 안내음을 발생시킨다. 음향 발생부(600)는 에스컬레이터(10) 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주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음향 발생부(600)가 스커트(15)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음향 발생부(6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und generator 600 includes a speaker and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quickly move within the escalator 10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speed measuring unit 500 exceeds a preset reference speed value set in the server unit 300 And informs the moving user (or users) and other users located in the vicinity thereof of the danger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and generates a guidance sound to guide the user to reduce the speed. The sound generator 600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icinity of the escalator 10 or the escalator 10. In an embodiment, the sound generator 600 is installed in the skirt 15, but the location where the sound generator 600 is installed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은 진입 방향 유도 단계(S100)와, 이용자 감지 단계(S200)와,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 이용자수의 균형을 확인하는 단계(S300)와,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 이용자수에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에 진입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은 이용자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500)와, 이용자들 중에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 주의를 주기 위해 안내음을 내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controlling an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0 of approach direction, a step S200 of sensing a user, and a step of checking balance of the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S300) and adjusting the approach direction when the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s not balanced (S400). The control method of the escalator safet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tep S500 of sensing the speed of users, a step S600 of giving guidance to the user when there is a fast moving user, ).

진입 방향 유도 단계(S100)에서는, 표시부(1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적어도 한 쪽으로의 이용자들의 진입이 유도된다. 또한, 이용자 감지 단계(S200)에서는, 센서부(2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 또는 우측(RP)에 타고 내리는 이용자들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200)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 타는 이용자,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RP)에 타는 이용자,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에서 내리는 이용자, 에스컬레이터(10)의 우측(RP)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한다.In the entering direction inducing step S100, the entrance of the users to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is gu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In the user sensing step S200, the user who is on the left side (LP) or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200.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200 detects a user who rides on the left side (LP) of the escalator 10, a user who rides on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a user who falls from the left side LP of the escalator 10, (RP) of the user.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측 이용자수의 균형을 확인하는 단계(S300)는 서버부(3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서버부(300)를 통해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에 타고 있는 좌측 이용자수와 우측 이용자수가 각각 계측되고, 이들의 차이값(좌우측 이용자수의 차이값)이 산출된다(S310). 또한, 서버부(300)에서는 산출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허용값과 비교된다(S320).The step S300 of confirming the balance of the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s performed through the server unit 300. [ That is, the number of left users and the number of right users riding on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RP) of the escalator 10 are measured through the server unit 300 which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200, (Difference value of the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calculated (S310). In addition, the server unit 300 compare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allowable value (S320).

진입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S400)에서는, 제어부(400)를 통해 차이값과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100)가 제어된다. 즉,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차이값이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우 양쪽에 이용자들의 수가 비슷하게 유지되는 상태로서,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가 제어된다(S410). 그런데, 차이값이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10)의 좌우 양쪽 중 어느 한 쪽에 이용자들의 수가 허용 범위보다 더 많아진 상태로서, 에스컬레이터(10)의 좌측(LP)과 우측(RP)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을 판단하고(S420),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가 제어된다(S430, S440). 전술한 단계(S100 내지 S400)들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이 개시(S10)된 후,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이 판단(S15) 및 정지(S20)될 때까지 실시간으로 반복된다.In the step S400 of adjusting the entry direction, the display unit 1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through the control unit 400. [ That is,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allowable value or th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the allowable value, the left side (LP) and the right side (left side) of the escalator 10 The display portion 100 is controlled so as to indicate the approach direction to both sides (S410).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permissible value, the number of users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10 is greater than the permissible range, (S420), and the display unit 100 is controlled so as to indicate the entering direction toward the small number of users (S430, S440). The above-described steps S100 to S400 are repeated in real time until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10 is judged (S15) and stopped (S20) after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10 is started (S10).

한편, 이용자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500)는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개시(S10) 후 에스컬레이터(10)의 진입을 유도하는 단계(S100)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자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500)에서는 속도 측정부(500)를 통해 이용자들 각각에 대한 에스컬레이터(10) 내에서의 이동 속도가 감지된다. 속도 측정부(500)에서 감지된 이용자들의 이동 속도는 서버부(300)로 전송되며, 서버부(300)에서는 이용자들 중에 허용하는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이용자가 있는지 확인되고(S610), 이용자들 중에 이동 속도가 서버부(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는 음향 발생부(600)를 통해 안내음을 발생시킨다(S620). 전술한 단계들(S500, S600)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이 개시(S10)된 후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 여부가 판단(S15) 및 정지(S20)될 때까지 실시간으로 반복된다.Meanwhile, the step of detecting the speed of the user (S500) may be performed after or after the step S100 of inducing the escalator 10 to start after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S10). In step S500 of detecting the speed of the users, the speed of movement in the escalator 10 is detected for each of the users through the speed measuring unit 500. [ The moving speed of the users sensed by the speed measuring unit 5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unit 300. The server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user moving faster than the allowed moving speed among the users in operation S610, (Step S620), when there is a user whose moving speed exceeds the reference speed value set in advance in the server unit 300, the guide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sound generator 6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The above-described steps S500 and S600 are repeated in real time until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10 is determined (S15) and stopped (S20) after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10 is started S1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진입이 유도되어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서서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서 빠르게 걷거나 뛰는 이용자들에게 안전 속도로 이동하도록 안내음을 제공하여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보행 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users into the escalator in a single line so that the escalator can be used in two row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pedestrian accident in the escalator by providing a guide sound to the user who is walking or jumping rapidly in the escalator to move at a safe spe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에스컬레이터 100: 표시부
200: 센서부 300: 서버부
400: 제어부 500: 속도 측정부
600: 음향 발생부 700: 진입 방지봉
800: 중앙 분리대 1000: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10: Escalator 100: Display
200: sensor unit 300: server unit
400: control unit 500: speed measuring unit
600: Acoustic generator 700:
800: Median 1000: Escalator safety device

Claims (13)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유도하는 표시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에서의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A display unit installed at an entrance platform of the escalator and guiding the user to enter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 sensor unit for sensing a user riding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scal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through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to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of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Valu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in the server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entering direction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value and the dif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ntry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toward the smallest number of users,
Escalator safety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매설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기호로 표시되는 진입 방향 표시 또는 진입 금지 방향 표시가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and embedded in the entrance platform of the escalator,
Wherei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re each capable of displaying an entry direction or an entry prohibition direction,
Escalator safety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는 진입 방지봉을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ntry preventing bar provided respectively at an entrance platform and an exit platform of the escal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센서기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내리는 이용자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한 쌍의 제2 센서기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or unit
A pair of first sensor units installed at an entrance platform of the escalator to discriminate and sense a burning user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scalator,
And a pair of second sensor units installed at an exit platform of the escalator to discriminate and sense a user descending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scalator,
Escalator safety devi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기와 상기 제2 센서기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장착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equipped with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dian separator arranged to part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접식 계단의 상측에서 상기 연접식 계단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칸막이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승강장과 출구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의 양단부 각각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dian strip
A partition across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stairs above the connecting stairs of the escalator,
And a pair of support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n entrance platform and an exit platform of the escalator and which support each of both ends of the partition,
Escalator safety de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칸막이틀과,
상기 칸막이틀의 내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 조립체와,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칸막이틀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rtition
A partition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scalator,
At least one roller assem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artition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rotatably mounted thereon,
And a handle attached to an edge of the partition plate so as to extend along an edge of the partition plate,
Escalator safety devi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광고판 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매설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andle has a plurality of grooves in which a billboard or a display device for advertisement is embed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측정부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음향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peed measuring unit located above the escalator and detecting a moving speed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erver unit,
Further comprising: a sound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ound from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a guidance sound indicating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exceeds a reference speed value preset in the server unit,
Escalator safety devi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측정부는 스피드건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peed measuring portion includes a speed gun.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한 쪽 방향으로 이용자의 진입을 표시부를 통해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타고 내리는 이용자를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부를 통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를 각각 계측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에서 타고 있는 이용자수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설정되어 있는 허용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과 상기 허용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허용값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양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좌측과 우측 중 이용자수가 적은 쪽으로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an escalator safety device,
Guiding the entry of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escalator via the display unit;
Sensing a user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scalator through the sensor unit,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users rid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through a server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With a permissible value,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llowable value,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value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entering direction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so as to indicate an entering direction toward a smaller number of us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Control method of escalator safety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타는 이용자의 이동 속도를 속도 측정부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상기 서버부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음향 발생부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안내음을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the step of inducing entry into the escalator
Detecting a moving speed of a user on the escalator through a speed measur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f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exceeds a reference speed value set in the server unit, issuing a guidance sound informing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an acoustic gener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ontrol method of escalator safety device.
KR1020140190799A 2014-12-26 2014-12-26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856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99A KR101685647B1 (en) 2014-12-26 2014-12-26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99A KR101685647B1 (en) 2014-12-26 2014-12-26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46A KR20160079446A (en) 2016-07-06
KR101685647B1 true KR101685647B1 (en) 2016-12-13

Family

ID=5650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99A KR101685647B1 (en) 2014-12-26 2014-12-26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6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8011A (en) * 2018-04-25 2018-08-03 大连华齐泰精密仪器有限公司 Staircase speed, sync rates, braking distance detection device
CN110615345B (en) * 2019-09-11 2024-05-28 吴江市苏奥电梯配件有限公司 Escalator or moving walk with reduced reverse ride
KR102330493B1 (en) * 2021-08-31 2021-11-23 신양건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290A (en)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scalator device
JP2011011901A (en) 2009-07-06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afety device of escalator
JP2013056735A (en) 2011-09-07 2013-03-28 Toshiba Elevator Co Ltd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number persons using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assenger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863A (en) 2009-04-23 2010-11-02 이권재 The method of stand in one r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290A (en)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scalator device
JP2011011901A (en) 2009-07-06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afety device of escalator
JP2013056735A (en) 2011-09-07 2013-03-28 Toshiba Elevator Co Ltd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number persons using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assenger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46A (en)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647B1 (en)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754020B (en) Escalator, moving walkway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the same
EP3287410B1 (en)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for monitoring vibrations in a passenger conveyor
FI127157B (en) Conveyor control system
JP6262287B2 (en) Passenger conveyor
KR101622825B1 (en) The safe operating system of escalator using transmission and weight sensor
JP2007161440A (en) Passenger conveyor
FI127155B (en) Monitoring arrangement for a passenger carrier
CN107792769B (en) Passenger conveyors
FI127156B (en) Monitoring arrangement for a passenger carrier
JPWO2019016884A1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CN111320064B (en) Passenger conveyor
JP5623492B2 (en) Passenger conveyor
JP6657303B2 (en) Passenger conveyor
JP2013056735A (en)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number persons using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assenger conveyor
JP4855991B2 (en) Passenger conveyor device tread member displacement regulation structure
JP2012218878A (en) Passenger conveyor
JP5567064B2 (en) Passenger count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JP5448636B2 (en) Passenger conveyor landing detection device
JP2018122944A (en) Automatic gap measur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and automatic gap measuring method for passenger conveyor
JP2008247547A5 (en)
JPH02300089A (en) Safety device for man conveyer
JP2022028193A (en) Passenger conveyor
JP2017001785A (en) Passenger conveyor
JP3914247B1 (en) Escalator emergency sto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