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493B1 -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 Google Patents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493B1
KR102330493B1 KR1020210115600A KR20210115600A KR102330493B1 KR 102330493 B1 KR102330493 B1 KR 102330493B1 KR 1020210115600 A KR1020210115600 A KR 1020210115600A KR 20210115600 A KR20210115600 A KR 20210115600A KR 102330493 B1 KR102330493 B1 KR 10233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rame
escalator
proj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양건
Original Assignee
신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건 filed Critical 신양건
Priority to KR102021011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4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wherein images such as various information texts and advertisements can be projected and exposed to a floor surface using a metho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n existing method, thereby causing no contamination and no damage, having excellent effects of guidance and advertisement because attention can be attracted easily from passengers, and being conveniently installed, maintained and repaired. The device comprises: an escalator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steps, which are rotated on an endless track by power, to ascend and descend automatically to an upper or lower platform; one or two or more multi-posts installed on the platform of the escalator; and a projection lighting part installed on the multi-posts and projecting an image using a light source to expose the projected image to a floor surface.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획기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안내문구나 광고 등의 이미지를 투영시켜 바닥면에 노출할 수 있어 오염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없고, 승객으로부터 주의를 끌기가 쉽기 때문에 안내 및 광고 등의 효과가 탁월한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ject images such as various guide texts or advertisements in an innovative wa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and expose them to the floor, so there is no problem such as contamination and damage, and because it is easy to attract attention from passengers, the effects such as guidance and advertisements It relates to an excellent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복수의 계단(step)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의 장치로, 자동계단(automatic staircase)이라고도 한다.In general, an escalator is a staircase-shaped device made to automatically go up and down floors by driving a plurality of steps rotating in a caterpillar by power, and is also called an automatic staircase.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1950년 미국 특허청에 의해 이동계단을 뜻하는 공공영어로 지정될 때까지 오티스사의 등록상품명이었으나, 보통명칭화가 되어 현재는 보통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These escalators were registered trademarks of Otis Corporation until they were designated as public English meaning moving stairs by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in 1950.

상기와 같은 에스컬레이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있는 상하부 승강장 사이에 좌우 한 쌍의 난간(10)이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고, 한 쌍의 난간(10) 사이에 복수의 스텝(20)이 무한궤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30)가 구비된다.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동스프로킷(32)과, 상기 주동스프로킷(32)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구동체인(33)과, 상기 구동체인(33)과 결합된 종동스프로킷(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통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는 상부 승강장 밑에 내장되어 있으며, 구동모터(31)의 회전방향을 바꾸면 이송방향을 상하로 바꿀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escalator (1) as described above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handrails 10 installed along the slop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with height, and a plurality of steps (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30 to rotate in an endless orbit.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main driving sprocket 32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31, a driving chain 33 coupled to the main driving sprocket 32 to rotate in an endless track, and the driving chain 33 ) and a driven sprocket 34 coupled thereto. In general, the driving motor 31 of the driving unit 30 is built under the upper platform, and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31, the conveying direction can be changed up and down.

이때, 복수의 상기 스텝(20) 각각은 상호 인접하게 구동체인(33)에 결합되어 구동체인(33)과 함께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텝(20) 각각은, 승객이 밟고 올라 설 수 있는 디딤판(21)과, 상기 디딤판(21)의 후단에 하방을 향해 굴곡면을 갖는 라이저(22)와, 상기 디딤판(21)의 하부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23)을 포함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teps 20 is coupled to the drive chain 33 adjacent to each other and rotates in an endless orbit together with the drive chain 33 . Specifically, each of the steps 20 includes a step 21 that a passenger can step on and stand on, a riser 22 having a curved surface downwardly at the rear end of the step 21, and the step 21 A pair of brackets 23 coupl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상기 브라켓(23)은 구동체인(33)의 경사각을 고려하여 스텝(20)이 오르고 내릴 때 디딤판(21)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구동롤러(23a)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추종롤러(23b)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롤러(23a) 및 추종롤러(23b)는 경사면을 따라 구름회전하되, 상기 구동롤러(23a)는 구동롤러축(23c)을 매개로 상기 구동체인(33)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한다.In the bracket 23, a driving roller 23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23 so that the stepping plate 21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when the step 20 is raised and lowered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riving chain 33, and a following roller ( 23b) is bound. The driving roller 23a and the following roller 23b roll and rotate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driving roller 23a is fixed to the driving chain 33 via the driving roller shaft 23c and moves together.

승객이 타고 내리는 상하부 승강장은 고정된 수평바닥으로 되어 있고, 이동하는 스텝(20)의 상하 끝부분은 고정된 수평바닥 밑에서 수평각으로 시작하여 경사면 시작 부분에서 디딤판(21)은 수평각을 유지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승객이 똑바로 서서 경사면을 오르내릴 수 있게 되어 있다. 경사면의 경사각은 보통 수평에 대하여 30 내지 35도 각도를 가진다.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are made of a fixed horizontal floo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ing step 20 start at a horizontal angle under the fixed horizontal floor, and at the beginning of the inclined surface, the stepping plate 21 moves the inclined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angle. It follows the movement, allowing passengers to stand upright and climb up and down the slop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usually 30 to 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이러한 에스컬레이터(1)의 높이에 대한 제한은 없고, 스텝(20)의 이동속도는 초당 0.5m까지이나 최대 0.75m까지 가능하다. 이러한 스텝(20)이 이동하는 속도와 같은 방향, 같은 속도로 움직이도록 난간(10)에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승객이 서서 붙들고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30)에는 전자기 브레이크, 조속기가 장치되어 있으며, 구동체인(33)이 절단되었을 경우나 에스컬레이터의 속도가 규정값 이상으로 빨라질 경우 등의 비상상황을 대비하여 운행을 정지시켜 주는 안전장치, 예컨대 역주행방지 또는 긴급정지시스템 등이 설치된다.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height of the escalator 1, and the moving speed of the step 20 is possible up to 0.5m per second, but up to a maximum of 0.75m. The handrail is installed on the handrail 10 so that the step 20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as the moving speed, so that the passenger can stand and hold it and move.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 is equipped with an electromagnetic brake and a governor, and a safety device that stops the operation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hen the driving chain 33 is cut or the speed of the escalator becomes faster than a prescribed value. , for example, reverse running prevention or emergency stop systems are installed.

상술한 에스컬레이터(1)는 보통 지하철역이나 백화점, 쇼핑센터, 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승객의 편의를 위한 방향지시, 안전, 안내문구 또는 광고를 위한 광고이미지 등을 에스컬레이터(1)의 각 구성요소나 주변에 걸어 놓거나 설치하기도 하였다.Since the above-mentioned escalator 1 is usually installed in a place with a lot of floating population such as subway stations, department stores, shopping centers, airports, etc. ) was hung or installed on or around each component.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645094호의 '에스컬레이터의 광고장치'와 같이 난간(10)이나 핸드레일 또는 스텝(20) 등에 인쇄물을 부착 또는 프린팅하거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778호의 '에스컬레이터 진입부의 라이팅 가이드 장치'와 같이 승강장에 LED라이트를 함몰 설치하거나, 등록특허공보 제10-1397318호의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승강장을 디스플레이로 대체하는 등이다.For example, as in the 'advertising device of the escalator'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645094, a printed matter is attached or printed on the handrail 10, handrail, or step 20, or 'escalator entry'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4778 The LED light is recessed and installed in the platform as in the 'Lighting Guide Device of the Section', or the platform is replaced with a display as in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entrance or exit of an escalator or moving walk'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97318.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69694호의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에 사용되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멀티포스트'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의 입출구인 승강장에 1m 가량의 높이로 직립하여 세우는 멀티포스트에 승객의 진입여부를 감지하여 스텝(20)의 구동을 멈추거나 운행되도록 포토센서 등을 설치하고, 그와 함께 문자표시기, 자동안내방송장치, 부져 등을 설치하기도 하며, 조명기능이 부가되도록 구성하기도 한다.In addition, as in the 'multi-post with lighting function used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69694, multi-posts erected upright at a height of about 1 m on the platform, which are the entrances and exits of the escalator (1). A photosensor is installed to stop or run the step 20 by detecting whether or not it is entered, and a character indicator, an automatic announcement device, a buzzer, etc. are installed along with it, and a lighting function is added.

그러나, 앞서 살핀 단순한 안내문구 또는 광고이미지 등을 부착 또는 프린팅하는 것은 쉽게 오염 및 파손되며, 에스컬레이터(1)를 탑승한 승객의 주의를 끌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승강장에 LED라이트를 함몰하여 설치하거나, 승강장을 디스플레이로 대체하는 등의 구조 역시 승객들이 밟고 지나가면서 오염 및 파손의 우려가 크고, 공사비용 및 공수가 대폭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포스트에 단순한 조명기능만을 부가하는 구성은 승객들의 주의를 끌기는 쉬우나 아무런 정보제공이 없어 장식물에 불과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ttaching or printing a simple guide phrase or advertisement image, etc. that was previously salvaged, is easily contaminated and damaged, and it is difficul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a passenger riding the escalator (1).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such as installing an LED light in a recessed platform or replacing the platform with a display has a high risk of contamination and damage as passengers step on it,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man-hour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Finally, the configuration that adds only a simple lighting function to the multi-post is easy to attract the attention of passenger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only a decoration because it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다른 획기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안내문구나 광고 등의 이미지를 투영시켜 바닥면에 노출할 수 있어 오염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없고, 승객으로부터 주의를 끌기가 쉽기 때문에 안내 및 광고 등의 효과가 탁월하며, 특히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의성에 높은 장점이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at it is possible to project images such as various guide texts or advertisements in an innovative wa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and expose them on the floor, so there is no problem such as contamination and damage, and there is no problem of contamination and damage from passengers. Because it is easy to attract attention, the effect of guidance and advertisement is excellent, and in particular, it is to provide a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that has a high advantage in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는,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복수의 스텝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상부 및 하부 승강장을 오르내릴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멀티포스트와, 상기 멀티포스트에 설치되고, 광원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켜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바닥면에 노출시키는 투영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jection method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calator capable of automatic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by driving a plurality of steps rotating in a caterpillar by power, and the escalator One or two or more multi-posts installed on the platform, and a projection lighting unit installed on the multi-post and projecting an image using a light source to expose the projected image to the floor surface.

또한, 상기 이미지는, 방향지시, 안전, 안내문구 또는 광고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irection indication, safety, guide text or advertisement image.

또한, 상기 멀티포스트는, 상기 승강장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된 포스트프레임과,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커버의 개폐를 통해 상기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ost includes a post frame fixedly installed on the platform, and a post cove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end of the post frame, and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post frame, and the po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can be replac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또한, 상기 멀티포스트는, 상기 상하부 승강장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된 원통 형상의 포스트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바닥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ost includes a cylindrical post frame that is installed upright and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and a lifting frame installed inside the post frame so that the upper part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upper part of the post frame, and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wherein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frame, and when the elevating frame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너트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ost frame and rotating forward and reverse, and a ball screw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rotatably inside the post frame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nu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and screwed with the ball screw to ascend and descend together with the lifting fram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최하단 높이의 풀하강모드, 최상단 높이의 풀상승모드 및 중간 높이의 유지보수모드를 가지고, 각각의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너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has a pull-down mode of the lowest height, a pull-up mode of the highest height, and a maintenance mode of the middl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and operates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each mode. Controlling the lifting nu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또한,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제어부가 유지보수모드인 경우에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중간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when the control unit is in the maintenance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can be re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frame is raised to an intermediate height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상부 및 하부 승강장을 일방향으로만 오르거나 내리는 경우의 싱글(single) 에스컬레이터이고, 상기 멀티포스트는, 상기 승강장에 좌우 한 쌍으로 2개가 설치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멀티포스트 각각에 설치되고, 각각으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나란하게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scalator is a single escalator in the case of ascending or descending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multi-post is installed in two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form, and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the multi-post 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ost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s projected from each are exposed side by side in front and back or left and right on the floor so that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상부 및 하부 승강장을 각각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2개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 페어(pair) 에스컬레이터이고, 상기 멀티포스트는, 중앙의 메인포스트 및 상기 메인포스트의 좌우로 이격된 2개의 서브포스트를 포함하여 3개가 설치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메인포스트 및 2개의 서브포스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포스트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는 상기 메인포스트의 전방을 향하도록 바닥면에 노출시키며, 상기 2개의 서브포스트 각각으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포스트의 후방으로 좌우 나란하게 바닥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scalator is a pair of escalators install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to ascend and descend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respectively, and the multi-post is a central main post and two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post. Three are installed including a sub-post, and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main post and the two sub-posts, and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main post is exposed on the floor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main post, The images projected from each of the two sub-posts are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post side-by-side on the floor surfa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는, 멀티포스트에 설치되는 투영조명부를 통해 종래와 다른 획기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안내문구나 광고 등의 이미지를 투영시켜 바닥면에 노출할 수 있어 오염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없고, 승객으로부터 주의를 끌기가 쉽기 때문에 안내 및 광고 등의 효과가 탁월하며, 특히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의성에 높은 장점이 있다.The projection lighting device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ject images such as various guide texts or advertisements in an innovative wa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through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nstalled in the multi-post and expose it to the floor surface, so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and damage Because there is no space, and it is easy to attract attention from passengers, the effect of guidance and advertisement is excellent, and there is a high advantage in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n particular.

도 1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 및 그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 내지 4의 실시예 중 멀티포스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포스트프레임으로부터 포스트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실시예 중 투영조명부의 다양한 모델을 실제 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 내지 4의 실시예 중 멀티포스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투영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승강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풀하강모드, 풀상승모드 및 유지보수모드로 각각 나누어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멀티포스트의 제1 실시예와 도 8의 멀티포스트의 제2 실시예를 함께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서 메인포스트와 2개의 서브포스트를 제1 및 제2 실시예의 멀티포스트를 함께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escalator and its specific struct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ulti-post among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 cover is opened from the post frame in the embodiment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models of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n the embodiment of FIG. 5 by actually photographing;
8 is an internal projec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post among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ep-by-step, each divided into a full lowering mode, a full raising mode and a maintenance mod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in the embodiment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ulti-post of FIG. 5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post of FIG. 8 are applied together;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os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applied together to the main post and two sub-posts in the embodiment of FIG. 11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는, 도 2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0), 멀티포스트(200) 및 투영조명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포스트(100)는 포스트프레임(210) 및 포스트커버(220)로 구성되거나 포스트프레임(210), 승강프레임(230) 및 승강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Projection lighting apparatus for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12 , comprises an escalator 100 , a multi-post 200 and a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 The multi-post 100 may be composed of a post frame 210 and a post cover 220 , or may be composed of a post frame 210 , an elevating frame 230 , and an elevating unit 240 .

먼저, 에스컬레이터(1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복수의 스텝(110)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상부 및 하부 승강장(120)을 오르내릴 수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배경기술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First, the escalator 100 can automatically go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120 by driving a plurality of steps 110 rotating in a caterpillar by power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scalator 100 is omitted because it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in the background with reference to FIG. 1 .

멀티포스트(200)는 도 2 내지 4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터(100)의 승강장(120)에 설치된다. 이러한 멀티포스트(200)는 기본형부터 음성안내형 및 고급형 등으로 나누어 다양한 기능들이 내장될 수 있고, 원기둥형 및 다각기둥형 등의 형상 역시 다양하다. 보통 기본형부터 고급형까지 기능적으로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운행상태정보표시, 자동운전센서, 자동안내방송, 탑승예정자 감지기 등과 함께 표시기로 LED, FND, LCD 등의 다양한 출력장치 들이 구비될 수 있다.The multi-post 200 is installed in the platform 120 of the escalator 100 in one or two or more as shown in FIGS. 2 to 4 and 11 . The multi-post 200 is divided into a basic type, a voice guidance type, an advanced type, and the like, and various functions may be built-in, and the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type and a polygonal pillar type are also various. Functionally, from the basic type to the advanced type, various output devices such as LED, FND, LCD, etc. may be provided as an indicator together with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display of the escalator 100, automatic operation sensor, automatic announcement broadcasting, and a prospective passenger detector.

상술한 멀티포스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120)의 스텝(110) 진입시 중간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승객 이외의 카트 등의 진입을 방지하고, 상승 또는 하강 여부만을 표시한다.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포스트(200)가 승강장(120)에 좌우 한 쌍으로 2개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0)가 2개 한 쌍으로 페어(pair)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멀티포스트(200)가 중앙의 메인포스트(201) 및 좌우 한 쌍으로 2개의 서브포스트(202)로 총 3개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100)와 멀티포스트(200)의 수에 따른 그 구체적인 특징은 후술하는 투영조명부(300)와의 설명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multi-post 200 is installed alone in the middle when entering the step 110 of the platform 120, as shown in FIG. do.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re are cases where two multi-posts 200 are installed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platform 120 , and as shown in FIG. 11 , the escalator 100 has two pairs.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as a pair, a total of three multi-posts 200 may be installed as a main post 201 in the center and two sub-posts 202 as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specific featu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scalator 100 and the multi-pos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described with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투영조명부(300)는 도 2 내지 4, 7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포스트(200)에 설치되고, 광원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켜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바닥면에 노출시킨다. 투영조명부(300)는 그림자광고장치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간단하게 그 구성을 살펴보면,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직진성 빛을 렌즈로 모아 이미지를 투영하는 이미지필름과, 상기 이미지필름과 이격되어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렌즈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미지필름에 인쇄된 이미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렌즈에 분산되면, 상기 이미지필름에 인쇄된 이미지가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에 투영되어 바닥면에 노출되는 것이다.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multi-post 200 as shown in FIGS. 2 to 4, 7 and 11, and projects an image using a light source to expose the projected image to the floor surface. Although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widely known as a shadow advertising device, etc., simply looking at its configuration,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an image film for projecting an image by collecting the linea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with a lens, and the image It consists of a lens spaced apart from the film and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Therefore, when the image printed on the image film receive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nd is dispersed in the lens, the image printed on the image film is projected to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nd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투영조명부(300)를 제품화시킨 것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고, 투영조명부(300) 역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품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설명하면 단일의 이미지만을 투영시키는 것, 복수의 이미지필름을 회전시켜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로 투영시키는 것, 복수의 연관된 이미지필름을 움직여 다양한 패턴의 움직임으로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것 등이다.As shown in FIG. 7 ,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here are products with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also having various functions. Specifically, when described from top to bottom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hown in FIG. 7, projecting only a single image, sequentially projecting a plurality of images by rotating a plurality of image films, and moving a plurality of associated image films Projecting images with various patterns of movement, etc.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제품화된 상술한 투영조명부(300) 그 자체를 청구하는 것이 아닌, 에스컬레이터(100)에 종래와 다른 획기적인 방식으로 조명기능, 방향지시기능, 안전 및 안내문구 표시기능 및 광고 기능등을 상기 투영조명부(300)를 이용하여 어디에, 어떻게, 어떠한 구조를 통해 조합하여 최고의 효과를 낼 것인지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ojection lighting device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does not claim the above-described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that has been commercialized, but rather the escalator 100 has a lighting function, a direction indicating function, and a safety in an innovative wa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And where, how, and through which structur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used to combine the guide phrase display function and the advertisement function to achieve the best effect.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0)의 승강장(120)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멀티포스트(200)에 상기 투영조명부(300)를 설치하고, 투영조명부(300)로부터 이미지를 투영시켜 바닥면에 방향지시, 안전, 안내문구 또는 광고이미지를 노출시킴으로써 오염 및 파손 등의 우려가 전혀 없고, 주의를 끌기 쉬우며,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ojection lighting device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multi-post 200 installed upright on the platform 120 of the escalator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 300) and exposing direction indications, safety, guidance texts, or advertisement images on the floor, there is no risk of contamination and damage, easy to attract attention, and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ere will be

여기서,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의 편의성 제고를 위하여 상기 멀티포스트(20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120)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된 포스트프레임(210)과,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투영조명부(300)는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커버(220)의 개폐를 통해 상기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다. 즉, 투영조명부(300)의 설치나 유지보수를 위해 포스트프레임(210)으로부터 포스트커버(220)만 분리하면 투영조명부(3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리하게 설치나 수리할 수 있고, 투영조명부(300)에 기 저장된 단일 또는 복수의 이미지를 교체하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Here, in order to improve convenience such a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e multi-post 200 includes a post frame 210 that is installed upright and fixed on the platform 120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post frame 210 ) may include a post cover 220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on the upper end, in this cas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frame 210, an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st cover 220, the Images can be replaced. That is, if only the post cover 220 is separated from the post frame 210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r repaired as shown in FIG. 6,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replace a single or a plurality of images previously stored in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

또한, 상기 투영조명부(300)는 투영되어 노출되는 이미지가 바닥면으로부터 가까우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이미지가 작기 때문에 보다 이미지를 크게 확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더 크게 이격된 거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멀티포스트(200)는 상기 투영조명부(3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상하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jected and exposed image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the projected illumination unit 300 has a small exposed image as shown in FIG. is needed To this end, the multi-post 200 needs to be configured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can be adjusted vertically.

즉, 상기 멀티포스트(200)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승강장(120)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된 원통 형상의 포스트프레임(210)과, 상부가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프레임(230)과,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23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영조명부(300)는 상기 승강프레임(2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2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23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바닥면에 노출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S. 8 to 10 , the multi-post 200 has a cylindrical post frame 210 that is installed upright and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120 , and the upper part is positioned above the post frame 210 . An elevating frame 230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up and down inside the post frame 210 so as to be able to withdraw and withdraw, and an elevating unit 24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23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210 . may include. At this tim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230, and when the lifting frame 230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2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240, the Expose the image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승강부(240)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241)와,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242)와, 상기 승강프레임(23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242)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2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230)과 함께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너트(243)와, 상기 구동모터(241)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A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unit 240 , as shown in FIG. 8 , a driving motor 241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st frame 210 and rotates forward and reverse, and the inside of the post frame 210 . It is rotatably installed vertically a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230 and a ball screw 242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241, and is screwed with the ball screw 242. It includes a lifting nut 243 that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fting frame 2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242 ,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241 .

즉,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241)가 정역회전하면, 볼스크류(24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너트(243)를 상하로 승강시키고, 승강너트(243)와 결합된 상기 승강프레임(230) 역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도면상 포스트프레임(210) 및 승강프레임(230)이 원통 형상을 가짐에 따라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승강프레임(23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포스트프레임(210)과 승강프레임(230) 간의 상호 내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을 하거나 승강너트(243)에 수직으로 승강가이드봉 등을 통해 상하로 승강만 가능하게 구성하고, 승강너트(243) 및 승강프레임(230)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That is, when the driving motor 241 rotates forward and rever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ball screw 242 rotates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nut 243 up and down, and the lifting frame 230 coupled to the lifting nut 243 ) also rises up and down. At this time, as the post frame 210 and the elevating frame 230 have a cylindrical shape in the drawing,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elevating frame 230 from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210 .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pline coupling is per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st frame 210 and the elevating frame 230 or vertically through elevating guide rods perpendicular to the elevating nut 243.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lifting nut 243 and the lifting frame 230 not to rotate.

이때, 투영조명부(300)는 승강프레임(230)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승강프레임(230)이 최하단 높이에 있을 때는 투영조명부(300)가 숨겨진 상태가 되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승강프레임(230)이 최상단 높이에 있을 때는 바닥면으로부터 너무 멀리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프레임(230)의 높이를 조절하여 투영조명부(300)가 포스트프레임(210)의 상방으로 노출되면서도 바닥면으로부터 너무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230,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 300) is in a hidden state, and when the elevating frame 230 is at the highest height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210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ing frame 230 so that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exposed upward of the post frame 210 and not too far apart from the floor to facilitate maintenance.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230)의 높이에 따라 3가지의 모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에컨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230)의 높이가 최하단 높이에 있는 풀하강모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높이에 있는 풀상승모드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높이에 있는 유지보수모드를 가지고, 각각의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41)를 제어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post frame 210 to have three mod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2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frame 230 in the pull-down mode in which the height of the frame 230 is at the lowest height, the pull-up mode in the uppermost height as shown in FIG. It has a maintenance mode,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241 according to each mode.

이 경우 상기 투영조명부(300)는 상기 제어부가 유지보수모드인 경우에 상기 승강프레임(230)이 상기 포스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중간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 경우 역시 투영조명부(300)의 설치나 유지보수를 위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230)으로부터 투영조명부(300)를 편리하게 설치나 수리할 수 있고, 투영조명부(300)에 기 저장된 단일 또는 복수의 이미지를 교체하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allows the image to be replaced while the lifting frame 230 is raised to an intermediate height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210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maintenance mode. That is, in this case too,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r repaired from the elevating frame 230 as shown in FIG. 9 ( c )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 and the projec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replace a single or a plurality of images previously stored in the lighting unit 300 .

한편, 앞서 간략하게 살핀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0)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싱글(single)인 경우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한 쌍의 페어(pair)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멀티포스트(200)의 갯수도 달라질 수 있고, 각각의 멀티포스트(200)에 설치되는 투영조명부(300) 각각으로부터 투영되어 노출되는 이미지 간의 간섭이나 배치도 고려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s previously briefly salpin bar, the escalator 100 is a single single (single)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two pairs of pairs as shown in FIG. 11 In the case of can be divided into In each case, the number of multi-posts 200 may be different, and interference or arrangement between images projected and exposed from each of the projection lighting units 300 installed in each multi-post 200 should also be considered.

이를 위하여, 먼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스컬레이터(100)는 상부 및 하부 승강장(120)을 일방향으로만 오르거나 내리는 경우의 싱글 에스컬레이터이고, 상기 멀티포스트(200)는 상기 승강장에 좌우 한 쌍으로 2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영조명부(300)는 상기 멀티포스트(200) 각각에 설치되고, 각각으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나란하게 노출시킨다.To this end, 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escalator 100 is a single escalator when ascending or descending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120 only in one direction, and the multi-post 200 is left and right on the platform. When two are installed as a pair,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multi-posts 200, and the images projected from each are exposed side by side on the floor surfa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스컬레이터(100)는 상부 및 하부 승강장(120)을 각각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2개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 페어 에스컬레이터이고, 상기 멀티포스트(200)는 중앙의 메인포스트(201) 및 상기 메인포스트(201)의 좌우로 이격된 2개의 서브포스트(202)를 포함하여 3개가 설치되는 경이다. 이 경우에 상기 투영조명부(300)는 상기 메인포스트(201) 및 2개의 서브포스트(202)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포스트(201)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는 상기 메인포스트(20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바닥면에 노출시키며, 상기 2개의 서브포스트(202) 각각으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포스트(201)의 후방으로 좌우 나란하게 바닥면에 노출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1 , the escalator 100 is a pair of escalators installed with two left and right pairs to ascend and descend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120 respectively, and the multi-post 200 is the main main Post 201 and the main post 201 is a case in which three are installed, including two sub-posts 202 spaced apart to the left and right. In this cas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main post 201 and the two sub-posts 202 , and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main post 201 faces the front of the main post 201 . The images projected from each of the two sub-posts 202 are exposed on the bottom side in parallel to the rear of the main post 20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한편, 2개 이상의 멀티포스트(200)가 설치되고 각각의 멀티포스트(200)에 투영조명부(300)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포스트(200)의 제1 실시예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형 멀티포스트(200)의 제2 실시예를 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0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멀티포스트(200)에 설치된 투영조명부(300)로부터 투영되어 바닥면에 노출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달리하여 이미지의 배치 및 노출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multi-posts 200 are installed and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s installed in each multi-post 200, as shown in FIG. 5,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ulti-post 200 and As shown in FIG. 8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elevating multi-post 200 may be combined and installed. That is, 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image arrangement and exposure area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nstalled in each multi-post 200 and exposed on the floor.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는, 멀티포스트(200)에 설치되는 투영조명부(300)를 통해 종래와 다른 획기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안내문구나 광고 등의 이미지를 투영시켜 바닥면에 노출할 수 있어 오염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없고, 승객으로부터 주의를 끌기가 쉽기 때문에 안내 및 광고 등의 효과가 탁월하며, 특히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의성에 높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 method lighting device for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images such as various guides or advertisements in an innovative wa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through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300 installed in the multi-post 200 to the floor surface. Because it can be exposed, there are no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and damage, and because it is easy to attract attention from passengers, the effects of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are excellent, and there is a high advantage in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n particular.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에스컬레이터
110 : 스텝 120 : 승강장
200 : 멀티포스트
201 : 메인포스트 202 : 서브포스트
210 : 포스트프레임 220 : 포스트커버
230 : 승강프레임 240 : 승강부
241 : 구동모터 242 : 볼스크류
243 : 승강너트
300 : 투영조명부
100: escalator
110: Step 120: Platform
200: multi-post
201: main post 202: sub-post
210: post frame 220: post cover
230: elevating frame 240: elevating unit
241: drive motor 242: ball screw
243: lifting nut
300: projection lighting unit

Claims (9)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복수의 스텝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상부 및 하부 승강장을 오르내릴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멀티포스트와,
상기 멀티포스트에 설치되고, 광원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켜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바닥면에 노출시키는 투영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포스트는,
상기 상하부 승강장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된 원통 형상의 포스트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바닥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n escalator that can automatically go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by driving a plurality of steps rotating on a caterpillar by power;
One or two or more multi-posts installed on the platform of the escalator;
It is installed in the multi-post, and includes a projection lighting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using a light source to expose the projected image to the floor,
The multi-post is
A cylindrical post frame that is erected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an elevating fram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up and down inside the post frame so that the upper part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upper side of the post frame;
Comprising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Projection method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and exposing the image to the floor when the lifting frame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방향지시, 안전, 안내문구 또는 광고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is
A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irection indication, safety, guide phrase or advertisement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스트는,
상기 승강장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된 포스트프레임과,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커버의 개폐를 통해 상기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post is
A post frame that is erected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platform;
and a post cove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end of the post frame,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frame, the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can be replac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post cov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너트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a driving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st frame and rotated forward and reverse;
a ball screw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rotatably inside the post frame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a lifting nu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and screwed with the ball screw to ascend and descend together with the lifting fram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최하단 높이의 풀하강모드, 최상단 높이의 풀상승모드 및 중간 높이의 유지보수모드를 가지고, 각각의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너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it has a pull-down mode of the lowest height, a pull-up mode of the highest height, and a maintenance mode of the middle height,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each mode to remove the lifting nut. Projection-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aised and lower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제어부가 유지보수모드인 경우에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대하여 중간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trol unit is in the maintenance mode, the image can be re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frame is raised to an intermediate height with respect to the post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상부 및 하부 승강장을 일방향으로만 오르거나 내리는 경우의 싱글(single) 에스컬레이터이고,
상기 멀티포스트는,
상기 승강장에 좌우 한 쌍으로 2개가 설치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멀티포스트 각각에 설치되고, 각각으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나란하게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scalator is
It is a single escalator for ascending or descending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in only one direction,
The multi-post is
Two are installed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platform,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escalators, which is installed on each of the multi-posts, and is exposed to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side by side on the floor so that images projected from each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상부 및 하부 승강장을 각각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2개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 페어(pair) 에스컬레이터이고,
상기 멀티포스트는,
중앙의 메인포스트 및 상기 메인포스트의 좌우로 이격된 2개의 서브포스트를 포함하여 3개가 설치되고,
상기 투영조명부는,
상기 메인포스트 및 2개의 서브포스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포스트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는 상기 메인포스트의 전방을 향하도록 바닥면에 노출시키며, 상기 2개의 서브포스트 각각으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포스트의 후방으로 좌우 나란하게 바닥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투영방식 조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scalator is
It is a pair of escalators installed with two left and right pairs to ascend and descend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respectively.
The multi-post is
Three are installed, including the central main post and two sub-posts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post,
The projection lighting unit,
Installed on each of the main post and the two sub-posts,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main post is exposed on the floor to face the front of the main post, and the images projected from each of the two sub-post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Projection-type lighting device for an esca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osed on the floor side by side side by side to the rear of the main post.
KR1020210115600A 2021-08-31 2021-08-31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KR102330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600A KR102330493B1 (en) 2021-08-31 2021-08-31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600A KR102330493B1 (en) 2021-08-31 2021-08-31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493B1 true KR102330493B1 (en) 2021-11-23

Family

ID=7869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600A KR102330493B1 (en) 2021-08-31 2021-08-31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49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708A (en)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테크앤월드 Multi-post operation escalator and maving walk head sensor turn round an angle reguiation
KR20160079446A (en) * 2014-12-26 2016-07-06 오우람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20080127A (en) * 2018-11-14 2020-05-28 オムロン株式会社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708A (en)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테크앤월드 Multi-post operation escalator and maving walk head sensor turn round an angle reguiation
KR20160079446A (en) * 2014-12-26 2016-07-06 오우람 Escalato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20080127A (en) * 2018-11-14 2020-05-28 オムロン株式会社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5316T3 (en) Assembly of a monitoring sensor on an escalator or moving walk
WO2007142074A1 (en) Sliding door apparatus and elevator
US7320393B2 (en) Conveyor
KR101693619B1 (en) Safety apparatus of machanical parking facility
KR102330493B1 (en)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for escalator
CN116177352A (en) Passenger conveyor system, passenger conveyor, and moving body used therefor
JPH05500648A (en) circular escalator
CN1764581B (en) Conveyance flow direction indicator for passenger transporter
CN209907131U (en) Automatic pedestrian crossing device
KR100338788B1 (en) Wheelchair lift apparatus
JP5781466B2 (en) Passenger conveyor step lighting system
CN115215186A (en) Projection system of passenger conveyor
US20020074188A1 (en)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people, in particular those with reduced mobility, and fitting of this installation from notably an escalator
CN110182680B (en) Passenger conveyor
JP7463600B1 (en) Passenger conveyor flow line indication video projection device
JPH0475995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man conveyor
JP2018095340A (en) Passenger conveyor
JP7289898B1 (en) Passenger Conveyor Boarding Control Device
WO2021205583A1 (en) Display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JP7309970B1 (en) Passenger conveyor system and passenger conveyor
JP2004052521A (en) Detecting device of embarkation station
JPH04140298A (en) Hatchway cover device for passenger conveyer
JP7092230B1 (en) Escalator
KR102517284B1 (en) Stair lift apparatus
JP2004026356A (en) Passenger conve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