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954B1 - 승객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승객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954B1
KR101684954B1 KR1020100052938A KR20100052938A KR101684954B1 KR 101684954 B1 KR101684954 B1 KR 101684954B1 KR 1020100052938 A KR1020100052938 A KR 1020100052938A KR 20100052938 A KR20100052938 A KR 20100052938A KR 101684954 B1 KR101684954 B1 KR 10168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eat frame
passenger
sensing sensor
loa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290A (ko
Inventor
문진기
황영수
황재호
김병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9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수석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하중감지센서의 양단에 댐퍼를 배치하였던 것을 일단에만 배치하고, 상기 댐퍼측에 프로텍터를 추가하여서, 조립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댐퍼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조립공차 흡수면적이 증가되는 승객식별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브래킷과,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 프레임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하중감지센서와,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공차흡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객식별장치{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가 상기 조수석에 수평으로 장착된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을 에어쿠션의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함으로써 차량 내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 커튼 에어백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차량 충돌시에 상기 에어쿠션으로 가스가 유입되면 전개되는 상기 에어쿠션의 전개속도는, 승객의 보호를 위해 고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이 어린이 또는 비교적 체중이 가벼운 성인일 경우에는, 상기 에어쿠션의 전개에 의한 충격으로 오히려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수석에 하중감지센서가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하중감지센서를 통해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여, 조수석에 승객이 착석하였는지, 착석한 승객이 어린이 또는 체중이 가벼운 성인인지, 또는 일반적인 체중의 성인인지를 구분하여,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의 조건에 따라 상기 에어백의 전개 유무 및 전개 조건을 달리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중감지센서는, 조수석에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는 수직장착식과, 조수석에 수평방향으로 조립되는 수평장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수평장착식은, 상기 수직장착식에 비해 조수석에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을 마련할 필요없이, 조수석 프레임의 기본조립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조립되므로 중량 및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하중감지센서와 상기 하중감지센서가 조립되기 위한 홀과의 조립공차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장착식과 동일하게 시트에서 발생되는 조립공차에 의해,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의 체중감지에 대한 오차발생 요인이 된다. 즉, 상기 하중감지센서는, 조수석 프레임에 조립시 미세한 조립공차가 발생하여도, 승객의 체중감지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수평장착식은 승객의 체중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정확한 체중감지를 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에어백의 전개 유무 및 전개 조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조수석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하중감지센서의 양단에 댐퍼를 배치하였던 것을 일단에만 배치하고, 상기 댐퍼측에 프로텍터를 추가하여서, 조립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댐퍼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조립공차 흡수면적이 증가되는 승객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브래킷과,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 프레임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하중감지센서와,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공차흡수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식별장치는, 하중감지센서의 일단에만 댐퍼가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서, 조립공정단순화,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댐퍼측에 프로텍터가 배치되어서 상기 댐퍼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조립공차 흡수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가 포함되는 차량의 시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도 2에 점선으로 구획한 A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가 포함되는 차량의 시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는 조수석(100)에 배치된다.
조수석(100)은 승객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부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10)과, 시트 프레임(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브래킷(20)과, 차실 바닥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브래킷(20)과 결합되는 가이드 브래킷(30)을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10)은 시트 프레임(10)의 전면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좌우측의 일부까지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2)과, 전방프레임(12)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어 시트 프레임(10)의 좌우측 나머지를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4)과, 좌우측의 측면프레임(14) 사이를 연결하여 시트 프레임(10)의 후방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프레임(12)의 좌우측은 보강프레임(17)으로 서로 연결되고, 좌우측의 측면프레임(14)은 보강프레임(18)으로 서로 연결된다.
슬라이딩 브래킷(20)과 가이드 브래킷(30)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브래킷(20)은 시트 프레임(10)의 좌우측에 하나씩 결합되어 시트 프레임(10)을 지지하고, 가이드 브래킷(30)은 각각의 슬라이딩 브래킷(20)에 하나씩 결합된다.
가이드브래킷(30)은 그 양단에 고정브래킷(35)이 연결되고, 고정브래킷(35)에 형성된 체결홀(35a)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차실 바닥면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브래킷(20)은 가이드 브래킷(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가이드 브래킷(30)의 안내를 받으며 전후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브래킷(20)에는 시트위치조절부재(4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시트위치조절부재(40)의 양단이 결합되어 조수석(100) 전방으로 돌출되고, 승객이 시트위치조절부재(40)를 잡아당겨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브래킷(20)은 시트 프레임(10)과 함께 가이드 브래킷(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수석(100)에 앉은 승객은 시트위치조절부재(40)를 잡아당겨서 시트 프레임(10)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조수석(100)에는, 조수석(100)에 승객이 착석하였는지 여부와, 조수석(100)에 승객이 착석한 경우 승객이 어린이, 체중이 가벼운 성인 또는 일반적인 체중의 성인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승객식별장치(50)가 포함된다. 아래에서는 승객식별장치(5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도 2에 점선으로 구획한 A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50)는 시트 프레임(10)과 슬라이딩 브래킷(20)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시트 프레임(10)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조수석(100)에 앉은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60)와, 하중감지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서 조수석(100)에 승객이 착석하였는지 여부와, 조수석(100)에 승객이 착석한 경우 승객이 어린이, 체중이 가벼운 성인 또는 일반적인 체중의 성인인지를 구분하는 WCU(Weight Classification Unit;70)를 포함한다.
하중감지센서(60)는 슬라이딩 브래킷(20)의 전후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서, 조수석(100)에는 총 4개가 배치된다.
하중감지센서(60)는 일단(60a)이 시트 프레임(10)에 지지되고, 타단(60b)은 슬라이딩 브래킷(20)에 지지된다.
시트 프레임(10)에는 제1 브래킷(61)이 배치되고, 슬라이딩 브래킷(20)에는 제2 브래킷(62)이 배치된다. 제1 브래킷(61)은 시트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브래킷(62)은 슬라이딩 브래킷(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브래킷(61)이 시트 프레임(10)과 별도로 구비되어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되고, 제2 브래킷(62)은 슬라이딩 브래킷(20)과 별도로 구비되어 슬라이딩 브래킷(20)에 결합된다.
하중감지센서(60)는 일단(60a)이 제1 브래킷(61)에 결합되어 시트 프레임(10)에 지지되고, 타단(60b)은 제2 브래킷(6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브래킷(20)에 지지된다.
하중감지센서(60)는 가운데가 일단(60a) 및 타단(60b)에 비해 직경이 큰 단턱부(60c)가 형성된다. 단턱부(60c)에는 커넥터(80)가 배치되고, 커넥터(80)는 와이어(90)를 통해 WCU(70)와 연결된다. 따라서, 하중감지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커넥터(80) 및 와이어(90)를 통해 WCU(70)로 입력된다.
WCU(70)는 하중감지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조수석(100)에 승객이 착석하였는지 여부와, 조수석(100)에 승객이 착석하였을 경우에 조수석(100)에 착석한 승객의 종류를 구분하여 ACU(Airbag Control Unit;미도시)로 전달하고, 상기 ACU는 WCU(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여부 및 전개조건을 달리하게 된다.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에는 하중감지센서(60)의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공차흡수부재(66)가 배치된다.
공차흡수부재(66)는 단턱부(60c)와 제1 브래킷(6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공차흡수부재(66)는, 단턱부(60c)측에 배치되는 슬리브(63)와, 제1 브래킷측(61)에 배치되는 프로텍터(65)와, 슬리브(63)와 프로텍터(65)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64)를 포함한다.
제1 브래킷(61)에는 제1 삽입홀(61a)이 형성된다.
프로텍터(65)에는 제1 삽입홀(61a)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65a)가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제1 삽입부(65a)가 형성된 가운데에 제2 삽입홀(65b)이 형성된다.
댐퍼(64)에는 제2 삽입홀(65b)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64a)가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제2 삽입부(64a)가 형성된 가운데에 제3 삽입홀(64b)이 형성된다.
슬리브(63)에는 제3 삽입홀(64b)에 삽입되는 제3 삽입부(63a)가 돌출형성되어서, 제3 삽입부(63a)가 형성된 가운데에 제4 삽입홀(63b)이 형성된다.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은 제4 삽입홀(63b)로 삽입되어 슬리브(63)를 관통한 후, 체결부재(68)를 통해 제1 브래킷(61)에 결합된다.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체결부재(68)는 너트로 구비되어,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은 제1 브래킷(61)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64)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이 제1 브래킷(61)에 결합되었을 때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과 제1 브래킷(61)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조립공차를 흡수함으로서, 시트 프레임(10)으로부터 제1 브래킷(61)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하중감지센서(6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중감지센서(60)의 체중감지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댐퍼(64)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댐퍼(64)의 제2 삽입부(64a)가 제1 브래킷(61)의 제1 삽입홀(61a)에 직접 삽입되게 되면, 강성을 가지는 제1 브래킷(61)에 의해 댐퍼(64)의 제2 삽입부(64a)가 파손이 진행되어 댐퍼(64)는 조립공차를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브래킷(61)의 제1 삽입홀(61a)에 프로텍터(65)의 제1 삽입부(65a)가 삽입되고, 댐퍼(64)의 제2 삽입부(64a)가 프로텍터(65)의 제2 삽입홀(65b)에 삽입되어서, 댐퍼(64)의 재2 삽입부(64a)와 제1 브래킷(61)과의 사이에 프로텍터(65)의 제1 삽입부(65a)가 배치되기 때문에, 댐퍼(64)의 제2 삽입부(64a)가 제1 브래킷(61)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서 댐퍼(64)의 내구력이 향상된다.
프로텍터(65)는 댐퍼(6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서 댐퍼(64)와 제1 브래킷(6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댐퍼(64)가 직접 제1 브래킷(61)에 접촉되어서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것에 비해 프로텍터(65)가 더 넓은 면적으로 제1 브래킷(61)에 접촉되어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슬리브(63)는 하중감지센서(60)의 단턱부(60c)에 접촉되어 댐퍼(64)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체결부재(68)와의 간격을 조절한다. 슬리브(63)도 댐퍼(6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서 슬리브(63)와 프로텍터(65)와의 사이에 배치된 댐퍼(64)의 압축율을 조절한다.
한편, 제 2브래킷(62)에는 제5 삽입홀(62a)이 형성된다.
하중감지센서(60)의 타단(60b)은 제5 삽입홀(62a)로 삽입되어 체결부재(69)를 통해 제2 브래킷(62)에 결합된다. 하중감지센서(60)의 타단(60b)에도 수나사가 형성되고, 체결부재(69)는 너트로 구비되어, 하중감지센서(60)의 타단(60b)은 제2 브래킷(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객식별장치는, 하중감지센서(60)의 일단(60a)에만 댐퍼(64)가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서, 조립공정단순화,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댐퍼(64)와 제1 브래킷(61) 사이에 프로텍터(65)가 배치되어서 댐퍼(64)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조립공차 흡수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시트 프레임 20: 슬라이딩 브래킷
30: 가이드 브래킷 50: 승객식별장치
60: 하중감지센서 60a: 하중감지센서의 일단
60b: 하중감지센서의 타단 60c: 단턱부
61: 제1 브래킷 62: 제2 브래킷
63: 슬리브 63a: 제3 삽입부
64: 댐퍼 64a: 제2 삽입부
65: 프로텍터 65a: 제1 삽입부
66: 공차흡수부재 68,69: 체결부재
70: WCU(Weight Classification Unit) 80: 커넥터
90: 와이어 100: 조수석

Claims (8)

  1.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브래킷;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 프레임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하중감지센서; 및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공차흡수부재;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기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감지센서는 가운데가 상기 일단 및 타단에 비해 직경이 큰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차흡수부재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제1 브래킷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식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에 배치되어,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기 타단과 결합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차흡수부재는, 상기 단턱부측에 배치되는 슬리브와, 상기 제1 브래킷측에 배치되는 프로텍터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프로텍터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에는 상기 제1 브래킷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댐퍼에는 상기 프로텍터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댐퍼에 삽입되는 제3 삽입부가 형성되는 승객식별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댐퍼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 승객식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기 일단은 상기 슬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되는 승객식별장치.
KR1020100052938A 2010-06-04 2010-06-04 승객식별장치 KR10168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38A KR101684954B1 (ko) 2010-06-04 2010-06-04 승객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38A KR101684954B1 (ko) 2010-06-04 2010-06-04 승객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90A KR20110133290A (ko) 2011-12-12
KR101684954B1 true KR101684954B1 (ko) 2016-12-09

Family

ID=455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938A KR101684954B1 (ko) 2010-06-04 2010-06-04 승객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9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074A1 (en) 2000-02-11 2001-10-25 Hiroshi Aoki Passenger discriminating apparatus
JP2005254926A (ja) * 2004-03-10 2005-09-22 Fuji Heavy Ind Ltd 車両シート用荷重センサ及び車両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96B1 (ko) * 2008-08-18 2014-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식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074A1 (en) 2000-02-11 2001-10-25 Hiroshi Aoki Passenger discriminating apparatus
JP2005254926A (ja) * 2004-03-10 2005-09-22 Fuji Heavy Ind Ltd 車両シート用荷重センサ及び車両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90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9585B2 (ja) 乗客識別装置
CN110126777B (zh) 用于车辆的中央帘式气囊
KR101187300B1 (ko) 에어백 장치
JP4949257B2 (ja) 車両用シートの乗員重量測定装置
EP2762355B1 (en) Signal transceiver apparatus
KR20110104919A (ko) 구조적 지지를 갖는 아동 안전 좌석
US8398167B2 (en) Reactive head restraint having attachment points forward of seat back frame
CN101274601A (zh) 汽车座椅
US8672343B2 (en) Mounting apparatus of side airbag for vehicle
KR20100021925A (ko) 승객식별장치
KR100941251B1 (ko) 독립된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승객식별장치
KR101697919B1 (ko)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
US6561300B1 (en) Vehicle seat having passenger detector
KR101684954B1 (ko) 승객식별장치
US9557163B2 (en) Head restrai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d restraint
JP3785929B2 (ja) 乗員保護装置
US11117492B2 (en) Foam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having seat occupancy detec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82468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CN105711536A (zh) 一种头枕安全气囊
KR101697916B1 (ko) 승객식별장치
KR101720974B1 (ko) 차량용 무게 식별 장치를 구비한 시트 프레임
CN103043023B (zh) 乘客识别装置
US20070152490A1 (en) seat assembly for automobile
KR101405379B1 (ko) 차량용 승객유형 감지장치
KR100504285B1 (ko) 헤드레스트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