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937B1 -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937B1
KR101684937B1 KR1020160028894A KR20160028894A KR101684937B1 KR 101684937 B1 KR101684937 B1 KR 101684937B1 KR 1020160028894 A KR1020160028894 A KR 1020160028894A KR 20160028894 A KR20160028894 A KR 20160028894A KR 101684937 B1 KR101684937 B1 KR 10168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auxiliary
return
port
r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257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849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to reserve st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물류를 효율적으로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대여용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와;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에 각각 고유하게 할당된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각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와; 상기 보조 배터리 대여를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기;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AUXILIARY BATTERY AUTOMATIC LENDING EQUIPMENT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RENTAL SER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대여 서비스 및 이를 위한 물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 및 전기 전자 단말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최근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지능형 휴대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과 같은 휴대 전화 고유 기능에 인터넷 통신, 정보 검색, 멀리미디어 재생, 사진/동영상 촬영과 같은 타 전자 장치의 기능를 추가적으로 탑재한 휴대 단말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에 따라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량은 타 휴대 단말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편이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거나, 충전기 등을 이용하여 틈틈히 충전하며 사용하고 있어 스마트폰 이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통신사 대리점에서 보조 배터리를 대여해 주거나 충전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일부에 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배터리 대여 서비스 자체가 사업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대여점이 갖춰져야 하고, 각 대여점에 대여용 배터리를 회수, 재투입하는 물류센터가 필요하며, 상기 경우 대여점과 물류센터의 배터리 재고 현황, 입출고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규모 물류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배터리 대여 서비스 자체의 사업적 성공 및 대중화 구현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대여점과 물류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물류 관리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자체의 대규모 사업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보조 배터리의 물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대여용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와;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에 각각 고유하게 할당된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각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구와 반납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적층 보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기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기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수기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 성공시,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이하, '제1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시, 상기 재투입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검수기는 반납구에 대향하는 내부에 위치하고,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하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포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포트에 접속시 상기 커넥터를 감싸고 있는 머리부재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그를 포함한다.
검수기는 케이블의 접속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별이 완료되면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칭함)을 하여 상기 머리부재의 단차면이 스토퍼에 저지됨으로써 케이블의 커넥터가 작동체의 포트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딩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재투입시 상기 재투입이 발생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딩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와 관련된 제반 물류 현황(예컨대, 각 보조 배터리 대여기별 대여 현황 내지 재고 수량 등의 정보)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여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물류 관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재 대여 중인 배터리의 종류와, 대여 중인 보조 배터리를 소유하고 있는 대출자 정보를 추적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대여기에서 대여 및 반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초기 안내화면의 일례.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입력부를 통한 휴대단말 인증 화면의 일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기종선택 안내화면의 일례.
도 9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여완료 안내화면의 일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보조 배터리 반납시 제공되는 반납자 인증 안내화면의 일례.
도 11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보조 배터리 반납 완료시 제공되는 반납완료 안내화면의 일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대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상면측 사시도 및 배면측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정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좌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우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제1 동작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제2 동작 상태도.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케이블 강제 탈거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확장 실시예로서, 검수기와 가이드 도어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기와 수거함을 도시한 상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및 이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은 대여용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고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수행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서버(230a), 및 보조 배터리의 재분배를 위한 물류관리함(21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는 임의의 다수에게 대여를 용도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에 구비되는 휴대단말 전원 공급기 내지 충전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휴대단말이란,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PC,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접속단자(101a)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통해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유선으로 휴대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의 외면 상에는 식별자(102a)가 부착되어 각각의 보조 배터리에 대한 물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보조 배터리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 표시부(6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표시부(61a)는 액정표시장치(LDC),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자잉크(E-Ink)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스플레부'라 칭함)로 구성하여 광고 이미지가 동영상으로 재생되며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보조 배터리 표면 상에 종이 형태의 광고 이미지를 부착 또는 인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 내부에 무선 충전 코일(62a)이 수납된 무선 충전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코일(62a)에는 무선으로 전력에너지를 송신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 이외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100a)의 일측에는 광고 표시부(61a)가 장착되어 상기 광고 표시부(61a)에 광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는 무선 코일(62a)이 구비되어 무선으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100a)에 광고 수단 즉, 광고 영상을 표시하는 광고 표시부(61a)를 탑재할 경우, 보조 배터리는 광고 표시부(61a)를 통한 광고 영상의 재생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을 실행하였을 때만 해당 보조 배터리와 연결된 대출자의 휴대단말에 대한 충전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보조 배터리는 대여가 이루어진 보조 배터리를 대출자의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광고 표시부(61a)를 통해 광고 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보조 배터리는 대여가 이루어진 보조 배터리를 대출자의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대출자의 휴대단말을 제어하여 대출자의 휴대단말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 저장된 광고 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가 광고 영상 출력 기능을 더 구비할 경우, 해당 광고 영상 데이터는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중앙서버(230a)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도 2 실시예의 유선 충전 방식의 보조 배터리로 구성할 경우, 보조 배터리의 접속단자(101a)에 제1 커넥터가 접속되고, 휴대단말에 제2 커넥터가 접속되어, 보조 배터리와 휴대단말이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유선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실시예의 무선 충전 방식의 보조 배터리로 구성할 경우, 보조 배터리(100a)의 일면 상에 휴대단말을 올려놓음으로써 무선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는 충전 속도를 선택 및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경우 고속 충전과 저속 충전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64a)과 저속 충전 상태와 저속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65a)가 각각 구비될 수가 있다. 참고로, 도 3 실시예의 경우 충전 속도를 저속(Low)과 고속(high) 2 단계로 구분하였으나, 3 단계 및 4 단계 등과 같이 단계를 세분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식별자(102a)는 전술한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리더기(40a, 도 4에 도시)를 통해 해당 식별자(102a)에 기록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자(102a)에 기록되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는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는 각 보조 배터리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어 각 보조 배터리를 상호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각 배터리에 고유하게 부여된 시리얼 넘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자(102a)는 바람직하게는 바코드 내지 QR 코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종이 상에 인쇄되어 보조 배터리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는 중앙서버(230a) 및 물류관리함(210a)과 연계되어, 전술한 보조 배터리의 실질적인 대여, 반납 및 재분배 등의 대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불어 이러한 대여 관련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물류 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치에 해당한다.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는 각 지역(예컨대, 지하철의 각 역사)에 구비되고, 유무선 통신망(220a)을 통해 중앙서버(230a)와 접속된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는 식별자(102a)를 판독하는 리더기(40a)가 탑재되어 있어, 해당 대여기에서 보조 배터리 대여 발생시 상기 리더기(40a)를 통해 대여가 발생된 배터리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자(102a)를 리딩한다.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의 세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중앙서버(230a)는 각 지역에 비치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로부터 전송받는 식별자 리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갱신하고, 이렇게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각 보조 배터리에 대한 물류 현황(예컨대, 각 보조 배터리 대여기별 대여 현황 내지 잔여 수량 등의 정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및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류관리함(210a)은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가 설치되는 각 지역에 비치되어 반납된 보조 배터리의 재분배를 구현하기 위한 임시 보관함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1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비치되어 있는 제1 지역에는 제1 물류관리함이 구비되고, 제2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비치되어 있는 제2 지역에는 제2 물류관리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N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비치되어 있는 제N 지역에는 제N 물류관리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관리함(210a)은 무인 택배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우,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지하철 각 역사에 설치 운영된다. 따라서, 예컨대 강남역에 제1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설치되면, 강남역에 설치 운영되는 무인 택배 시스템은 제1 물류관리함으로 기능하고, 사당역에 제2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설치되면, 사당역에 설치 운영되는 무인 택배 시스템은 제2 물류관리함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물류관리함(210a)은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와 연계되어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즉, 반납 회수된 배터리의 재분배)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다양한 지역에 설치 운영되는데, 예컨대 제1 지역에 비치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서 대여된 보조 배터리는 제2 지역에 비치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반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비치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그 대여 또는 반납 빈도가 집중되게 된다.
상기 경우, 관리자는 반납이 많이 발생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대여기 A)로부터 일부 보조 배터리를 회수하여, 다른 지역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대여기 B)로 분배하는 작업을 하게되는데, 이때 관리자는 A지역에 설치된 대여기 A로부터 회수한 보조 배터리를 B지역에 설치된 대여기 B로 발송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류관리함을 이용하게 된다.
즉, 대여기 A로부터 회수한 보조 배터리를 A지역에 구비된 물류관리함 즉, 무인택배시스템에 투입하여 상기 무인택배시스템을 통해 해당 보조 배터리가 B지역에 구비된 물류관리함(즉, 무인택배시스템)으로 발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B지역의 물류관리함에 해당 보조 배터리가 도달하면, 이를 인출하여 B지역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즉, 대여기 B)로 투입함으로써 대여에 사용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물류관리함(210a)은 특정 지역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반납된 보조 배터리 개수가 임계치(예컨대, 수용량)를 초과하여 잉여량이 존재할 경우, 재고량이 부족한 타지역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로 상기 잉여량의 적어도 일부를 발송 내지 분배하기 위한 이를 보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는 보조 배터리, 본체(10a), 디스플레이부(20a), 입력부(30a), 통신모듈, 리더기(40a), 반납함(50a), 출구(60a), 거치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충전모듈, 파손검사장치, 멀티 USB 허브 및 관리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화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10a)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의 외관을 형성하고 각종 구성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a)의 상단부에는 도 4와 같이 광고 영상을 재생하거나 또는 광고 이미지를 부착할 수 있는 광고판 내지 광고 표시장치(70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a)는 보조 배터리 대여 및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대여 및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내지 이미지는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표시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0a)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초기 안내화면에 '보조배터리 대여', '보조배터리 반납', '보조배터리 문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대여를 희망할 경우 보조배터리 대여란을 선택하여 대여를 위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반납을 희망할 경우 보조배터리 반납란을 선택하여 반납을 위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a)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며, 대표적인 예로 LCD, LED, OLED, E-Paper, 및 브라운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패널이 함께 탑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입력부(30a)는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고자 하는 자(이하, '대출자'라 칭함)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입력부(30a)는 터치 입력 방식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a)의 표시 패널과 함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30a)는 터치 패널 외에 조이스틱 내지 버튼 형태로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키보드, 마우스 형태로 구성하여 필요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란 적어도 휴대단말번호와 인증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번호란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용 전자통신단말의 번호를 의미하고, 상기 인증번호란 통상의 휴대단말 인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유번호로서, 즉, 인증을 요구하는 제어부가 인증을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로 송출하는 고유번호를 의미한다.
입력부(30a)를 통해 발생하는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업무를 처리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업무란 예컨대, 보조 배터리의 대여시에는 입력된 휴대단말번호로 인증번호 전송을 위한 처리, 입력된 인증번호의 확인을 위한 처리일 수 있고, 보조 배터리의 반납시에는 반납된 배터리의 식별자(102a)와 입력된 휴대단말번호의 부합 여부 판단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더기(40a)는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어 있는 식별자(102a)를 리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 배터리 대여 발생시 상기 리더기(40a)를 통해 대여가 발생된 배터리의 식별자(102a)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에 의해 획득되는 식별자 리딩정보는 제어부의 처리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되고, 더불어 중앙서버(230a)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미도시)은 통신망(220a)을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230a)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제어부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서버(230a)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대여 및 반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란, 대표적으로 대여시 획득되는 식별자 리딩정보 및 상기 대여시 식별자 리딩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휴대단말번호, 그리고 반납시 획득되는 식별자 리딩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 외에 후술할 파손검사장치에 의한 파손검출시 이에 해당하는 정보, 보조 배터리 충전 모니터링 및 기능 테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은 예컨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랜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망(220a)은 유선 통신망을 비롯하여,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4G)망, 와이브로 (WiBro)망, 와이파이(Wifi)망과 같이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이 전술한 입력부(30a)를 통해 진행된 후 최종적으로 인증 성공시, 본체(10a)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이하, '제1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구비된 식별자(102a)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230a)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의 식별자 리딩정보의 전송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대여한 대출자가 입력부(30a)를 통해 입력한 휴대단말번호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발생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의하면, 제1 보조 배터리는 식별자(102a)를 매개로 특정 휴대단말번호(즉, 대출자 휴대단말번호)와 매칭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앙서버(230a)는 현재 대여 중인 배터리의 종류(즉, 제1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소유하고 있는 대출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대여기에서 대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여기 식별정보'란 다양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각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에 고유하게 부여된 시리얼 넘버 및(또는) 지하철 역사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될 시, 상기 재투입된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102a)의 리딩정보를 중앙서버(230a)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의 식별자 리딩정보의 전송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반납한 대출자가 입력부(30a)를 통해 입력한 휴대단말번호와 대여기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의하면, 중앙서버(230a)는 대여 후 반납 완료된 배터리의 종류(즉, 제1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정상 반납한 대출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대여기에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되어 있는지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보조 배터리의 대여시, 입력부(30a)를 통해 진행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이란, 도 6의 일례와 같이 대출자가 입력부(30a)를 통해 본인 소지의 휴대단말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해당번호로 휴대폰 SMS 인증번호를 송출하고, 연이어 도 7의 일례와 같이 대출자는 본인 소지의 휴대단말로 전송된 SMS 인증번호를 입력부(30a)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상기 송출 인증번호와 입력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 인증이 완료되면, 도 8의 일례와 같이 대출자 휴대단말의 기종을 묻는 안내화면이 출력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대출자 휴대단말의 종류에 맞는 접속포트를 구비하는 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8의 일례의 경우 대출자는 iOS 또는 안드로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완료되면, 도 9 (a),(b)의 일례와 같이, 보조 배터리 함으로 제공된 보조 배터리와, 캐이블 함으로 제공된 케이블의 수취를 안내하고, 대여 과정의 최종 종료를 안내하는 대여완료 안내화면이 표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납함(50a)은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를 반납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본체(10a)의 일측면에 반납구를 갖는 반납함(50a)을 형성하여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을 희망하는 보조 배터리를 본체(10a) 내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우, 디스플레이부(20a)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더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보조 배터리의 반납 이벤트(즉, 도 5와 같은 안내화면에서 '보조배터리 반납' 선택) 발생시, 반납될 보조 배터리 대출자의 휴대단말번호 또는 보조 배터리 대여시 전술한 휴대단말 인증 과정에서 제공받은 휴대단말 인증번호를 입력부(30a)를 통해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 대출자의 휴대단말번호 또는 대여시 인증번호가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102a)의 리딩정보와 부합할 경우, 반납 완료된 보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반납된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
도 10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보조 배터리 반납시, 대여시의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경우, 그리고 반납을 희망하는 대출자가 상기 대여시 인증번호가 기재된 문자를 삭제하거나 잊어버렸을 경우, 보조 배터리 대출시과 같은 휴대단말 인증과정을 통해 새로운 인증번호를 발급받아 반납 과정을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반납자 인증이 완료되면, 도 11 (a) 및 (b)와 같이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의 투입 장소를 안내하는 화면과, 반납의 최종 완료를 안내하는 화면이 표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모듈은 대여 발생 후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200a)에 반납되거나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된 보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재대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는 대여를 위해 본체(10a) 내에 구비되어 대기 중인 보조 배터리를 거치하는 수단이며, 상기 경우 충전모듈은 거치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 공간에 별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의 전방에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발생시 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구(60a)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는 출구(60a)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외부로 튀어나와 이를 인출 및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파손검사장치는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200a)로 재투입된 보조 배터리의 광고 표시부(61a)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파손검사장치는 광고 표시부(61a)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하거나, 또는 광고 표시부(61a)의 특히 전면 기판에 광을 조사한 후 반사광 내지 산란광을 이용해 기판의 파손을 검출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소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소독 장치는 대여를 통해 사용이 이루어진 후 반납함(50a)을 통해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내부로 투입된 보조 배터리의 소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독 장치는 분무 방식으로 수조 내부에 담긴 소독액을 분사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구성(예컨대, 식별자를 구비하는 보조배터리, 리더기,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통신모듈, 제어부 등) 및 그 작용은 기본적으로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보조배터리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본체 전면(前面)의 윈도우 내측에 보조 배터리 샘플이 진열되어 있고, 우측 영역 상부에는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 영역에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보조 배터리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보조배터리 대여함(도 4 실시예의 출구(60a)에 대응)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 배터리를 휴대단말에 연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대여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영역 하부에는 사용 완료한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을 반납하기 위한 보조배터리 반납함과 케이블 반납함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는 통상의 음료수 자판기와 같이 보조 배터리가 각각 하나씩 외부(즉, 보조배터리 대여함)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데, 상기 경우 보조 배터리가 거치대로부터 인출시 해당 보조 배터리는 보조배터리 대여함으로 낙하됨으로써 외부로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보조 배터리가 보조배터리 대여함으로 낙하시 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 대여함의 내면 상에는 예컨대, 충격흡수매트와 같은 충격 흡수제를 부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배터리 반납함에 반납된 보조 배터리들은 관리자가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를 개봉하여 하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모듈에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를 거치시킴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상면측 사시도 및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정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좌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의 우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는 보조 배터리(200), 본체(10), 거치대(60), 반출기(50), 대여구(15), 반납구(11), 디스플레이부(20), 입력부(21), 제어부(미도시) 및 검수기(9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도어(67), 분류기(80), 리더기(65) 및 충전기(3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보조 배터리(200)를 대여하고자 하는 자(이하, '대출자'라 칭함)에게 보조 배터리(200)를 무인 대여할 수 있고, 대여 후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검수 및 반납 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0)는 임의의 다수에게 대여를 용도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전원 공급기 내지 충전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란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외 핸드폰, 태블릿PC,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4 및 도 15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접속단자(205)에 연결되는 케이블(300)을 통해 휴대 단말기과 연결되어 유선으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200) 외면 상에는 식별자(201)가 부착되어 각각의 보조 배터리(200)에 대한 물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보조 배터리(200)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 표시부(2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표시부(203)는 액정표시장치(LDC),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전자잉크(E-Ink)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스플레부'라 칭함)로 구성하여 광고 이미지가 동영상으로 재생되며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보조 배터리 표면 상에 종이 형태의 광고 이미지를 부착 또는 인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배터리(200)는 케이스 내부에 무선 충전 코일이 수납된 무선 충전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코일에는 무선으로 전력에너지를 송신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 이외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200)의 일측에는 광고 표시부가 구비되어 상기 광고 표시부에 광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는 무선 코일이 구비되어 무선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0)에 광고 수단 즉, 광고 영상을 표시하는 광고 표시부를 탑재할 경우, 보조 배터리는 광고 표시부를 통한 광고 영상의 재생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을 실행하였을 때만 해당 보조 배터리와 연결된 대출자의 휴대단말에 대한 충전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보조 배터리(200)는 대여가 이루어진 보조 배터리를 대출자의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광고 표시부(203)를 통해 광고 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보조 배터리(200)는 대여가 이루어진 보조 배터리를 대출자의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대출자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여 대출자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 저장된 광고 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0)가 광고 영상 출력 기능을 더 구비할 경우, 해당 광고 영상 데이터는 보조 배터리(2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각종 구성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함체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 영역에는 광고 영상을 재생하거나 또는 광고 이미지를 부착할 수 있는 광고판 내지 광고 표시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前面)에는 보조 배터리(200)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구 역할을 하는 대여구(15)와 사용 완료된 보조 배터리를 반납하기 위한 반납구(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여구(15)의 후방에는 대여를 위해 거치대(60)로부터 강제 반출된 보조 배터리가 낙하 및 안치되는 대여함(19)이 더 구비되어, 대출자는 대여구(15)를 통해 대여함(19)에 안치된 보조 배터리를 외부로 인출하여 해당 보조 배터리를 대여할 수 있고, 이러한 대여구(15)에는 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개폐문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대여구(15)의 개폐문은 힌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60)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가 거치대(60)로부터 반출될 시, 해당 보조 배터리는 대여함(19)과 거치대(60) 사이에 개재된 호퍼(61)를 경유하여 대여함(19)으로 낙하됨으로써 외부에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가 대여함(19)으로 낙하시 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대여함(19)의 내면 상에는 예컨대, 충격흡수매트와 같은 충격 흡수재를 부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납구(11)는 사용 완료한 보조 배터리를 본체(10) 내부로 반납하기 위한 입구로서, 반납구(11)의 후방에는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검수기(90)가 구비되고, 검수기(90)의 수직 하부 영역에는 반납구(11)를 통해 반입된 반납 보조 배터리를 수거 및 보관하기 위한 수거함(7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납구(11)에는 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개폐문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반납구(11)의 개폐문은 힌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60)는 대여를 위해 본체(10) 내에 구비되어 대기 중인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를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거치대(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순차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대(60)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는 거치대(60) 하단에 구비되는 반출기(50)에 의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대여구(15)로 반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60)는 다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우 반출기(50) 역시 각 거치대(60)에 하나씩 할당되게 설치되고, 각 거치대(60)에는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그에 호환되는 보조 배터리가 적층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거치대(60a)와 제2 거치대에(60a)는 안드로이드용 보조 배터리가 거치되고, 제3 거치대(60b)와 제4 거치대(60b)에는 iOS용 보조 배터리가 거치되어, 대출자가 사용하는 기종에 맞는 보조 배터리를 반출 및 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제1 동작 상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제2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반출기(50)는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를 대여구(15) 측으로 하나씩 반출하기 위한 기기로서, 세부적으로 가이드레일(51), 레버(55), 푸싱부재(57), 전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51)은 거치대 하단의 수직 하부 영역 상에 배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53)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홀(53)은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게 구성된다. 도 19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장홀(53)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구조로 형성하였다.
레버(55)는 가이드레일(51)의 각 장홀(53) 내에 구비되는 봉형 부재로서, 가이드레일(51)의 장홀(53) 범위(L1) 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55)는 적어도 일 부위가 장홀(53)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렇게 돌출된 장홀(53) 부위에 푸싱부재(57)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레버(55)의 직선 왕복 운동은 전동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전동부는 전동모터 등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동부는 리니어 모터, 액츄에이터 또는 볼스크류 모터와 같이 가이드레일(51) 장홀(53)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적인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푸싱부재(57)는 가이드레일(5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55)에 결합되어, 레버(55)가 전동부에 의해 전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전진 동작함으로써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한 개를 대여구(15) 측으로 밀어내고, 레버(55)가 후진하면 이에 연동하여 후진 동작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19 실시예의 경우, 푸싱부재(57)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에 한 쌍의 결합공(59)을 관통 형성하여, 한 쌍의 레버(55)가 상기 한 쌍의 결합공(59)에 각각 삽입 끼움됨으로써 푸싱부재(57)가 레버(55)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거치대의 수직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반출기(50)의 레버(55)가 전동부의 제어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F1)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푸싱부재(57) 역시 전진 동작(F1)되어 해당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 배터리(이하, '하단 보조 배터리')(200a)를 대여구(15) 측으로 강제로 밀어 거치대로부터 이탈시키고, 거치대로부터 이탈된 하단 보조 배터리(200a)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대여구(15) 측으로 반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단 보조 배터리(200a)의 반출이 완료되면, 하단 보조 배터리(200a) 상에 연이어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200b)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하단 보조 배터리(200a) 위치(즉,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최하단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하단 보조 배터리(200a)의 이탈이 완료되면, 푸싱부재(57)는 레버(55)의 후진 동작(B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B1)됨으로써, 이후 또 다른 대여 발생시 다음 보조 배터리(200b)에 대한 강제 이송을 전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55)와 푸싱부재(57)의 전후진 동작(F1,B1)의 반복을 통해 하단 보조 배터리(200a) 상에 순차 적층되어 있는 N개의 보조 배터리에 대하여도 각 대여 이벤트 발생시마다 하나씩 외부로 반출 및 대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대여 및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내지 이미지는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표시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0)는 초기 안내화면에 '보조배터리 대여', '보조배터리 반납', '보조배터리 문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대여를 희망할 경우 보조배터리 대여란을 선택하여 대여를 위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반납을 희망할 경우 보조배터리 반납란을 선택하여 반납을 위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며, 대표적인 예로 LCD, LED, OLED, E-Paper, 및 브라운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패널이 함께 탑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입력부(21)는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고자 하는 자(이하, '대출자'라 칭함)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터치 입력 방식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 패널과 함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1)는 터치 패널 외에 조이스틱 내지 버튼 형태로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키보드, 마우스 형태로 구성하여 필요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란 적어도 휴대단말번호와 인증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번호란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용 전자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의미하고, 상기 인증번호란 통상의 휴대단말 인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유번호로서, 즉, 인증을 요구하는 제어부가 인증을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고유번호를 의미한다.
입력부(21)를 통해 발생하는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업무를 처리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업무란 예컨대, 보조 배터리의 대여시에는 입력된 휴대단말번호로 인증번호 전송을 위한 처리, 입력된 인증번호의 확인을 위한 처리일 수 있고, 보조 배터리의 반납시에는 반납된 보조 배터리의 식별자(201)와 입력된 휴대단말번호의 부합 여부 판단 등일 수 있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케이블 강제 탈거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검수기(90)는 반납구(11)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부적으로는 포트를 구비하는 작동체 (95,97), 구동부(99) 및 지그(9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검수기(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검수기(90)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은 보조 배터리를 휴대 단말기과 상호 연결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통상의 연결선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적 신호 내지 전력의 송수신을 위한 전선(307)과, 상기 전선(307)의 양측 종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넥터(301a)와, 상기 한 쌍의 커넥터(301a,301b)를 각각 감싸는 한 쌍의 머리부재(303a)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301a)는 USB 커넥터일 수 있으며, 특히 머리부재(303a)는 커넥터(301a)의 외면 중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커넥터(301a)는 머리부재(303a)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머리부재(303a)는 커넥터(301a)에 대해 단차진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머리부재(303a)에는 커넥터(301a)에 대해 단차진 수직면(이하, '단차면'이라 칭함)(305a)이 구비되게 된다.
검수기(90)의 작동체는 본체(10) 내부 중 반납구(11)를 대향하는 위치(즉, 반납구(11) 후방 영역)에 설치되고, 세부적으로는 포트(95) 및 이동패널(97)을 포함한다.
작동체의 포트(95)는 전술한 케이블(300)의 일측 커넥터(301a)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 되는 단자이고, 이동패널(97)은 포트(95)가 실장되어 포트(95)와 함께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95)는 이동패널(97)의 전단부 일면 상에 실장되고, 이러한 이동패널(97)은 포트(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패널(97)은 직선 방향으로 후진(D1) 및 전진(D2) 동작하는 직선 왕복 운동(이하, '제1 직선 왕복 운동'이라 칭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작동체의 제1 직선 왕복 운동(D1,D2)은 구동부(99)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구동부(99)는 전동모터 등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99)는 리니어 모터, 액츄에이터 또는 볼스크류 모터와 같이 반납구(1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인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검수기(90)의 지그(91)는 스토퍼(93)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은 본체(10) 내부 중 반납구(11)를 대향하는 영역(즉, 반납구(11) 후방 영역)에 설치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반납구(11)로부터 본체(10) 내부를 밀폐하는 격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93)를 통해 작동체의 포트(95)에 연결된 케이블을 강제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지그(91)의 스토퍼(93)는 작동체의 포트(95) 전방에 위치하여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의 일측 커넥터(301a)를 상기 포트(95)에 접속시 상기 일측 커넥터(301a)를 감싸고 있는 일측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305a)과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의 일측 커넥터(301a)를 작동체의 포트(95)에 꽂게되면, 상기 일측 커넥터(301a)의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 (305a)은 스토퍼(93)의 외면과 마주하거나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93)는 포트(95) 전방에 위치하되 중심부에는 포트(95)에 대응하는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를 인입하여 포트(95)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삽입구 주연을 따라 케이블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305a)과 대향하는 저지면이 형성되어, 작동체의 제1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한 후진 동작시 머리부재(303a)가 저지면에 밀착됨으로써 포트(95)와 함께 후진하는 동작이 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대출자가 보조 배터리를 반납시, 보조 배터리는 반납구(11)를 통해 후술할 가이드 도어(67) 상에 올려놓고, 상기 반납할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은 작동체의 포트(95)에 접속시키게 되면, 제어부와의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판별이 완료되면, 지그(91)는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체가 구동부(99)의 제어에 의해 단독으로 후진 동작(D1)(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함)하게 된다.
이처럼 작동체가 단독으로 제1 후퇴 동작(D1)을 하게 되면, 작동체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은 그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305a)이 지그(91)의 스토퍼 (93)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커넥터(301a) 강제 탈거 동작이 완료되면, 작동체는 구동부(99)의 제어를 통해 전진 동작(D2)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확장 실시예로서, 검수기와 가이드 도어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 단면도이다. 도 23의 확장 실시예는 검수기(90)를 구성하는 작동체와 지그(91)가 복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3의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체는 제1 포트(95a), 상기 제1 포트(95a)가 실장되는 제1 이동패널(97a), 제2 포트(95b), 상기 제2 포트(95b)가 실장되는 제2 이동패널(97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포트(95a)(또는 제2 포트(95b))는 제1 이동패널(97a)(또는 제2 이동패널(97b))의 전단부 일면 상에 실장되고, 이러한 제1 이동패널(97a)(또는 제2 이동패널(97b))은 제1 포트(95a)(또는 제2 포트(9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은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이 상호 대향하며 이격 적층된 복층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은 하나의 작동봉(94)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러한 작동봉(94)은 구동부(99)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제1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99)의 제어를 통해 작동봉(94)을 후진 및 전진 이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은 함께 제1 후퇴 동작(D1) 및 전진 동작(D2)이 발생되어 전술한 커넥터(301a) 강제 탈거 동작 및 원위치 복귀 동작이 함께 구현된다.
또 다른 확장 실시예로서, 하나의 이동패널(97) 상에 복수 개의 포트(95)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경우 복수 개의 포트(95)는 이동패널(97)의 가로 방향을 따라 상호 일렬로 이격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우 복수 개의 포트(95) 각각에 대하여 스토퍼(93)가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확장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91)와 작동체(95,97)는 함께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와 같이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1차적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한 후, 2차적으로 작동체가 단독으로 후진 동작하여 전술한 커넥터(301a) 강제 탈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91)와 작동체(95,97)는 구동부에 의해 상호 일체로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하, '제2 직선 왕복 운동'이라 칭함)(D3)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지그(91)와 작동체(95,97)는 하나의 이동체 상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는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어 전진 및 후진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함께 일체로 제2 직선 왕복 운동(D3)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는 지그(91)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입력부(21)를 통해 보조 배터리 반납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체가 전진 동작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지그(91)와 작동체(95,97) 역시 제2 직선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이 발생되어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함께 반납구(11) 측으로 가까워지는 접근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에 접속되면, 전동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체가 후진 동작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지그(91)와 작동체(95,97) 역시 제2 직선 왕복 운동(D3)의 후진 동작이 발생되어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함께 반납구(11)로부터 멀어지는 후퇴 동작(이하, '제2 후퇴 동작'이라 칭함)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지그(91)와 작동체(95,97)의 제2 후퇴 동작이 완료되면, 지그(91)는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체(95,97)만 단독으로 전술한 제1 후퇴 동작(D1)을 행함으로써, 보조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301a) 강제 탈거가 완료되면, 작동체(95,97)는 구동부(99)의 제어를 통한 제1 직선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D2)을 행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검수기(90) 및 이와 연결되는 제어부에 의한 반납 보조 배터리 불량 여부 판별 시점은, 전술한 제2 후퇴 동작 전, 제2 후퇴 동작 중, 및 제2 후퇴 동작 후 시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제1 직선 왕복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와 제2 직선 왕복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는 하나의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하나의 구동장치가 제1 및 제2 직선 왕복 운동을 모두 제어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구동장치로 구성하여 각 구동장치가 별개로 제1 및 제2 직선 왕복 운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거함(70)은 불량 여부의 판별이 완료된 반납 보조 배처리가 수거 및 보관되는 박스형 함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정상 배터리가 수거 보관되는 제1 수거함(70a)과, 불량 배터리가 수거 보관되는 제2 수거함(70b)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도어(67)는 검수기(90)의 수직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반납구(11)를 통해 반입되는 반납 보조 배터리가 안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도어(67)는 힌지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체(95,97)의 제1 후퇴 동작(D1)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즉시 또는 수초 후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힌지 회전하여 가이드 도어(67)에 안착된 반납 보조 배터리가 자중에 의해 수거함(70) 측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즉, 반납 보조 배터리에 대한 불량 여부 판별 완료 후 제1 후퇴 동작(D1)에 의해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가이드 도어(67)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도어(67) 상에 안착되어 있던 반납 보조 배터리는 이에 연결된 케이블(300)과 함께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도어(67)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수거함(70) 측으로 낙하 반송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기와 수거함을 도시한 상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류기(80)는 수거함(70)과 가이드 도어(67)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 배터리 불량 여부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반납 보조 배터리가 제1 수거함(70a) 방향 또는 상기 제2 수거함(70b) 방향 중 선택적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안내하는 기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류기(80)는 인계반(81), 암(83) 및 구동모터(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류기(80)의 인계반(81)은 개방된 가이드 도어(67)로부터 낙하하는 반납 보조 배터리를 수거함(70) 측으로 인계하는 판형 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반납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이 자중에 의해 가이드 도어 (67)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계반(81)으로 반송된 후, 다시 인계반(81)의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어 제1 수거함(70a) 또는 제2 수거함 (70b)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분류기(80)의 암(83)은 구동모터(85)와 연결된 축(K1)을 중심으로 인계반(81)의 일면 상에서 시계/반시계 방향(K2)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도어(67)로부터 인계반(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이 어느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할지 그 반송 방향을 결정해주는 구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암(83)은 인계반(83)의 일면 즉, 보조 배터리 슬라이딩 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수직판(83a)과, 상기 수직판(83a)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85)와 연결되고 인계반(83)의 일면 즉, 보조 배터리 슬라이딩 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수평판(83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직판 (83a)과 수평판(83b)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환언하면, 검수기(90)를 통한 불량 여부 판별 결과 해당 반납 보조 배터리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암(83)은 도 24와 같은 회전 상태를 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계반(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는 암(83)에 의해 안내되는 제1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여 종국에는 제1 수거함(70a)으로 반송 및 수거된다.
반대로, 해당 반납 보조 배터리가 불량으로 판별되면, 암(83)은 구동모터 (85)의 제어를 통해 도 24의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계반 (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는 암(83)에 의해 안내되는 제2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여 종국에는 제2 수거함(70b)으로 반송 및 수거된다.
즉, 암(83)은 가이드 도어(67)로부터 인계반(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이 반송되는 경로를 선택 및 결정하는 기능을 하고, 이는 암(83)의 축회전 동작에 의해 구현되며, 이러한 암(83)의 축회전 동작은 구동모터 (85)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구동모터(85)의 구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더기(65)는 보조 배터리에 부착된 식별자(201)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이다. 먼저 식별자(201)에 대하여 설명한 후 리더기(6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식별자(201)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리더기(65)를 통해 해당 식별자(201)에 기록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자(201)에 기록되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는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는 각 보조 배터리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어 각 보조 배터리를 상호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각 배터리에 고유하게 부여된 시리얼 넘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자(201)는 바람직하게는 바코드 내지 QR 코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이 상에 인쇄되어 보조 배터리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는 중앙서버 및 물류관리함과 연계되어, 전술한 보조 배터리의 실질적인 대여, 반납 및 재분배 등의 대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불어 이러한 대여 관련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물류 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치에 해당한다.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는 각 지역(예컨대, 지하철의 각 역사)에 구비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와 접속된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는 식별자(201)를 판독하는 리더기(65)가 탑재되어 있어, 해당 대여기에서 보조 배터리 대여 발생시 상기 리더기(65)를 통해 대여가 발생된 배터리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자(201)를 리딩한다.
본 발명의 리더기(65)는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어 있는 식별자(201)를 리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 배터리 대여 발생시 상기 리더기(65)를 통해 대여가 발생된 배터리의 식별자(201)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에 의해 획득되는 식별자(201) 리딩정보는 제어부의 처리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되고, 더불어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더기(65)는 호퍼(6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퍼(61)는 대여구(15)(구체적으로는 대여함(19))와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로부터 이탈된 보조 배터리가 대여함(19)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61)는 거치대 측으로부터 대여함(19) 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호퍼(61)로 이동된 보조 배터리가 호퍼(61)의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대여함(19)으로 낙하 반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우, 리더기(65)는 호퍼(61)의 경사면 상에 노출되게 구성되어, 보조 배터리가 호퍼(61)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리더기(65) 상을 경유하여 보조 배터리에 부착된 식별자(201)가 리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미도시)은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제어부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대여 및 반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란, 대표적으로 대여시 획득되는 식별자(201) 리딩정보 및 상기 대여시 식별자(201) 리딩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휴대단말번호, 그리고 반납시 획득되는 식별자(201) 리딩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 외에 후술할 파손검사장치에 의한 파손검출시 이에 해당하는 정보, 보조 배터리 충전 모니터링 및 기능 테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은 예컨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랜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을 비롯하여,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4G)망, 와이브로 (WiBro)망, 와이파이(Wifi)망과 같이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및 이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충전기(35)는 대여 발생 후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에 반납되거나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된 보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재대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35)는 일면 상에 케이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보조 배터리는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충전기(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재충전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기(35)는 보조 배터리의 하부 영역이 충전기(35)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요홈 구조의 장착홈(37)이 형성되고, 연결단자는 상기 장착홈 (37)의 내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장착홈(37)은 복수 개로 형성하여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충전기(35)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와 같이 본체(10) 하부 영역의 수납 공간에 설치되되, 이동레일(45)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45)의 왕복 운동에 의해 수납 공간으로부터 손쉽게 반출 및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100)는 강제 반납함과 무료 충전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제 반납구(13)는 전술한 검수기(90)가 고장났을 경우, 상기 검수기(90)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반납구(11)를 대체하여 보조 배터리를 대신 반납받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제 반납구(13)는 본체(10) 전면의 또 다른 위치 예컨대, 반납구(11)에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강제 반납구(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은 중앙서버에 의해 그 개폐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강제 반납구(13)는 이를 통해 반입되는 보조 배터리를 수거 보관하기 위한 강제 수거함이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검수기(90)가 고장나게 되면, 중앙서버는 강제 반납구(13)의 개폐문을 개방시켜, 검수기(90) 측 반납구(11) 대신 강제 반납구(13)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료 충전부(30)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휴대 단말기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무료 충전부(30)는 미성년자 소지의 휴대 단말기를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케이블이 인출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시 이를 무료 충전부(30) 내 공간에 거치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거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a: 본체 20a: 디스플레이부
30a: 입력부 40a: 리더기
50a: 반납함 60a: 출구
61a, 203: 광고 표시부 100a: 보조 배터리
102a, 201: 식별자 200a: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210a: 물류관리함 220a: 통신망
230a: 중앙서버

Claims (14)

  1. 대여용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에 각각 고유하게 할당된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각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구와 반납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적층 보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 성공시,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이하, '제1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시, 상기 재투입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검수기는,
    상기 반납구에 대향하는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하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포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포트에 접속시 상기 커넥터를 감싸고 있는 머리부재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접속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별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칭함)하여 상기 머리부재의 단차면이 상기 스토퍼에 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작동체의 포트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2. 대여용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에 각각 고유하게 할당된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각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로서,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구와 반납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적층 보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 성공시,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이하, '제1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시, 상기 재투입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검수기는,
    상기 반납구에 대향하는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하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포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포트에 접속시 상기 커넥터를 감싸고 있는 머리부재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접속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별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칭함)하여 상기 머리부재의 단차면이 상기 스토퍼에 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작동체의 포트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반납받기 위한 반납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더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반납 발생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대출자의 휴대단말번호 또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대여시 상기 휴대단말 인증 과정에서 제공받은 휴대단말 인증번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대출자의 휴대단말번호 또는 상기 휴대단말 인증번호가 반납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와 부합할 경우, 상기 제1 보조 배터리가 정상 반납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대여한 대출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휴대단말번호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발생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식별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더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5. 삭제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광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 표시부; 및
    상기 보조 배터리를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상기 광고 표시부를 통해 상기 광고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와 상기 작동체는,
    상호 일체로 제2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조 배터리 반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에 의해 함께 상기 반납구 측으로 가까워지는 접근 동작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포트에 접속되면, 상기 제2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에 의해 함께 상기 반납구로부터 멀어지는 후퇴 동작(이하, '제2 후퇴 동작'이라 칭함)하며,
    상기 제2 후퇴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후퇴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된 상기 보조 배터리의 광고 표시부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 파손검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10. 삭제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함으로 투입된 보조 배터리에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12. 다수 지역에 비치되는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와 통신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는, 대여용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에 각각 고유하게 할당된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각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구와 반납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적층 보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상기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 성공시,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이하, '제1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시, 상기 재투입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검수기는,
    상기 반납구에 대향하는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하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포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포트에 접속시 상기 커넥터를 감싸고 있는 머리부재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접속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별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칭함)을 하여 상기 머리부재의 단차면이 상기 스토퍼에 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작동체의 포트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딩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재투입시 상기 재투입이 발생된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딩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제1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설치되는 제1 지역에 비치되는 제1 물류관리함; 및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인 제2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가 설치되는 제2 지역에 비치되는 제2 물류관리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에 반납된 상기 보조 배터리 개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잉여량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물류관리함에는 상기 제2 물류관리함으로 분배할 상기 잉여량의 적어도 일부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류관리함 및 상기 제2 물류관리함은 상기 제1 지역 및 상기 제2 지역에 각각 비치되어 있는 무인 택배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KR1020160028894A 2015-07-20 2016-03-10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KR101684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135 2015-07-20
KR20150102135 2015-07-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842A Division KR20170010733A (ko) 2015-07-20 2016-11-04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937B1 true KR101684937B1 (ko) 2016-12-09

Family

ID=572571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889A KR101668018B1 (ko) 2015-07-20 2016-03-10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KR1020160028894A KR101684937B1 (ko) 2015-07-20 2016-03-10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KR1020160146842A KR20170010733A (ko) 2015-07-20 2016-11-04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889A KR101668018B1 (ko) 2015-07-20 2016-03-10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842A KR20170010733A (ko) 2015-07-20 2016-11-04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66801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1155A (zh) * 2017-09-04 2018-03-13 深圳百瑞加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mifi装置的租借方法、移动终端及mifi装置共享终端
CN108394295A (zh) * 2017-02-07 2018-08-1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更换支援系统及其使用的服务器
CN108765702A (zh) * 2018-05-23 2018-11-06 济南每日优鲜便利购网络科技有限公司 自动售货机
CN109087457A (zh) * 2018-08-15 2018-12-25 青岛世通恒业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工具箱共享租赁系统、方法及智能共享工具箱
WO2019022452A1 (ko) 2017-07-24 2019-01-31 주식회사 리베르곤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CN110033058A (zh) * 2018-01-12 2019-07-19 爱朵(浙江)智能科技有限公司 产品共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136315B1 (ko) * 2019-07-26 2020-07-21 강상호 보조배터리 쉐어링 기능이 포함된 키오스크 시스템
KR20200121698A (ko) * 2019-04-16 2020-10-26 윤왕근 무인 운영 시스템
KR102205996B1 (ko) * 2019-07-16 2021-01-21 주식회사 투힘 O2o 기반 실시간 재고관리를 제공하는 보조배터리 대여반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5939A (zh) * 2016-12-30 2017-06-09 天津航正科技有限公司 一种体育场馆资源信息管理设备
KR102060821B1 (ko) * 2017-08-02 2019-12-31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대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CN107730751A (zh) * 2017-11-07 2018-02-23 深圳市英唐数码科技有限公司 充电宝租借归还方法及系统
CN108038986A (zh) * 2017-12-28 2018-05-15 广州华夏职业学院 一种学校体育器材智能化管理装置及使用方法
WO2020017675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케이블 단선을 판단할 수 있는 대여용 배터리 장치
CN111369744A (zh) * 2018-12-25 2020-07-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宝租赁柜及借还共享充电宝的方法
KR102255291B1 (ko) 2019-04-08 2021-05-24 나준기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308B1 (ko) 2019-07-02 2020-07-21 강상호 충전 잔량 알림수단이 구비된 보조배터리
JP6875622B2 (ja) * 2019-11-12 2021-05-26 琉球インタラクティブ株式会社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514389B1 (ko) * 2021-08-31 2023-03-29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장치
KR102416961B1 (ko) * 2021-11-23 2022-07-06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 배터리 대여 스테이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57B1 (ko) * 2007-10-25 2009-12-31 (주)파트론정밀 배터리 자판기
JP2015507235A (ja) * 2011-11-16 2015-03-0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双方向ベンディング
JP2015518200A (ja) * 2012-03-20 2015-06-2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双方向で交換する販売
KR20160035871A (ko) * 2014-09-24 2016-04-01 이재성 광고 재생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에서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0018B2 (ja) * 1999-07-05 2003-01-27 明 大塚 バッテリ交換販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57B1 (ko) * 2007-10-25 2009-12-31 (주)파트론정밀 배터리 자판기
JP2015507235A (ja) * 2011-11-16 2015-03-0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双方向ベンディング
JP2015518200A (ja) * 2012-03-20 2015-06-2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双方向で交換する販売
KR20160035871A (ko) * 2014-09-24 2016-04-01 이재성 광고 재생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에서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295B (zh) * 2017-02-07 2021-02-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更换支援系统及其使用的服务器
CN108394295A (zh) * 2017-02-07 2018-08-1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更换支援系统及其使用的服务器
WO2019022452A1 (ko) 2017-07-24 2019-01-31 주식회사 리베르곤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KR20190011063A (ko)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리베르곤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US11423472B2 (en) 2017-07-24 2022-08-23 Libergon, Inc. Auxiliary battery and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CN107801155A (zh) * 2017-09-04 2018-03-13 深圳百瑞加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mifi装置的租借方法、移动终端及mifi装置共享终端
CN110033058A (zh) * 2018-01-12 2019-07-19 爱朵(浙江)智能科技有限公司 产品共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765702A (zh) * 2018-05-23 2018-11-06 济南每日优鲜便利购网络科技有限公司 自动售货机
CN109087457A (zh) * 2018-08-15 2018-12-25 青岛世通恒业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工具箱共享租赁系统、方法及智能共享工具箱
KR20200121698A (ko) * 2019-04-16 2020-10-26 윤왕근 무인 운영 시스템
KR102273449B1 (ko) * 2019-04-16 2021-07-05 윤왕근 무인 운영 시스템
KR102205996B1 (ko) * 2019-07-16 2021-01-21 주식회사 투힘 O2o 기반 실시간 재고관리를 제공하는 보조배터리 대여반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36315B1 (ko) * 2019-07-26 2020-07-21 강상호 보조배터리 쉐어링 기능이 포함된 키오스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733A (ko) 2017-02-01
KR101668018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937B1 (ko)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 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물류 관리 시스템
US20210009391A1 (en) Re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CN106927179B (zh) 一种智能仓储系统的控制方法
US9276418B2 (en) Battery exchange, recharge and recycl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256863B2 (en) Receiving malfunctioning mobile phone and a dispensing functioning cellular telephone console
JP3153137U (ja) 図書文献インテリジェント分類返却装置
CN100468470C (zh) 一种区域型电动车辆管理装置与方法
JPWO2019163573A1 (ja) 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バッテリ管理方法および端末装置
CN111843972B (zh) 一种高校智慧图书馆系统
CN106919971A (zh) 二维码智能化档案柜和档案管理系统
CN207072585U (zh) 一种两级智能存取物品装置
US20190213366A1 (en) An electronic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hardware for tracking activity of articles retained in a security enclosure
CN109230148A (zh) 基于机器人的无人化智能仓储系统
CN106355388A (zh) 一种基于智能充电终端的传媒系统及其实施方法
CN108182765A (zh) 用于实现vr眼镜共享的智能柜系统
CN107730212A (zh) 一种施工项目人员远程实时管理系统
CN114842588A (zh) 一种文化旅游商品开发设备
CN107798504B (zh) 一种用于高风险放射源自动化安全监管的设备和方法
CN113223244A (zh) 共享充电设备及其移动电源入仓方法
CN213592818U (zh) 一种rfid智能工具管理柜
CN209852393U (zh) 一种智能购物车
CN210166866U (zh) 一种智能存取系统
CN113547495A (zh) 一种电力安全工器具存放收纳柜及其控制系统
CN110525871B (zh) 电池交换装置
CN107752584B (zh) 基于数据库智能识别物品的储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