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731B1 -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 Google Patents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31B1
KR101684731B1 KR1020140046764A KR20140046764A KR101684731B1 KR 101684731 B1 KR101684731 B1 KR 101684731B1 KR 1020140046764 A KR1020140046764 A KR 1020140046764A KR 20140046764 A KR20140046764 A KR 20140046764A KR 101684731 B1 KR101684731 B1 KR 10168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nose
present
decorativ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738A (ko
Inventor
조경혜
Original Assignee
조경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혜 filed Critical 조경혜
Priority to KR102014004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요컨대 인형 코에 관한다. 그리고 그런 코가 구성된 봉제 인형에 관한 기술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장식용 코 부재는, 표면이 만곡하여 형성되며 그 만곡 표면에 다수의 홀셀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봉제 인형의 코 위치의 피복 안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홀셀에 광택성 부재가 삽입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ORNAMENTAL NOSE ELEMENT ADHERE TO PLUSH DOLL}
본 발명은 봉제인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봉제인형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인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인형은 우리 인류의 오랜 장난감이었으며 시공간을 초월하여 지금도 널리 사랑을 받고 있다. 그중 특히 테디베어(TEDDY BEAR)와 같은 곰인형이나 다양한 캐릭터 봉제인형들은 인형을 만들기 위한 천과 내부에 충진하기 위한 솜 등을 이용하여 손바느질로 인형을 제작한다. 주로 봉제인형이 형상화한 동물이나 캐릭터의 형태 위주를 중시하며 제작되고, 여기에 단추 눈, 단추 코와 같은 부자재가 사용되었다.
도 4는 대표적인 봉제인형의 예를 나타낸다. 봉제인형(1)의 몸과 얼굴은 천으로 봉제하며 그 안에는 솜과 같은 충전물을 넣어 인형의 형태를 만든다. 인형 코(10)는 얼굴과 색깔이 다른 크기의 천으로 봉제하여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형에 대해서, 종래기술들은 음성이나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 사람의 말을 따라하는 기능, 움직이는 기능 등의 기능적인 요소를 추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렇지만 장식적인 요소를 추가하는 시도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인형 그 자체가 장식적인 것이어서, 리본을 부착하거나 캐릭터를 사용하여 형태를 달리하거나 색상을 디자인하는 것 이외에, 새로운 장식 구성을 추가하는 시도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인형 코에 관해서도, 그 크기와 색상을 고려한 천의 종류만 달리했을 뿐, 이를 완전히 새롭게 구성하는 기술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봉제 인형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곳이 얼굴 부분이고, 그 중에서도 얼굴의 중앙에 위치하는 인형 코에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된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요컨대 인형 코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마치 새로운 인형 같은 인상을 준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발명가는 새로운 인형 코를 설치한 봉제인형을 제조한다면, 이는 마치 새로운 인형을 제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큰 경제적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인형에 부착되는 새로운 장식용 코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가가 물건에 대한 아이들의 애착 행동을 오랫동안 관찰한 결과, 미려하게 반짝이는 큐빅 같은 보석이나 인조보석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표현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 발견을 염두에 두면서 신규한 장식용 코 부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로써 봉제인형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에 있어서, 표면이 만곡하여 형성되며 그 만곡 표면에 다수의 홀셀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봉제 인형의 코 위치의 피복 안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홀셀에 광택성 부재가 삽입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에 있어서, 상기 광택성 부재는 보석 또는 인조보석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아래쪽의 표면에 한 쌍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국면으로서, 위와 같은 구성의 장식용 코 부재가 인형의 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봉제 인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선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인형의 코에 광택성 보석이나 인조보석이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봉제인형의 심미적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전에 없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코 부재(100)에 관한 도면이며, 도 1(c)는 장식용 코 부재(100)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광택성 부재(101)에 관한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장식용 코 부재(100)에 광택성 부재(101)가 장착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용 코 부재(100)가 부착된 봉제 인형(1a)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봉제 인형(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용 코 부재(100)와 장식용 코 부재(100)에 장착되어 일체화하는 광택성 부재(101)를 예시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코 부재(100)는 베이스 부재(110)와 고정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110)의 표면은 만곡하여 형성되며, 그 만곡 면에 얕은 깊이를 갖는 다수의 홀셀(hole cell)(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셀(120)에는 도 1(c)의 광택성 부재(101)가 일대일로 삽입하여 위치함으로써, 광택성 부재(101)와 장식용 코 부재(100)가 일체로 결합하여 봉제 인형의 코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의 만곡 표면의 반대쪽으로는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는 고정 부재(150)가 구성되는데, 베이스 부재(110)의 만곡 표면의 반대쪽 표면의 중앙부 근방에 설치되는 기둥(130)은 이 고정 부재(150)와 연속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둥(130)과 고정부재(150)는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표면을 만곡하여 구성함으로써 인형 코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110)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광택성 부재(101)의 광택이 다양한 방향에서 보일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하면(만곡 표면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기둥(130)을 중심으로 한 쌍의 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식용 코 부재(100)가 봉제 인형의 코 위치의 피복 부재 안으로 삽입될 때, 이 돌기(140)는 장식용 코 부재(100)가 빠지지 않고 고정되는 데 도움을 준다. 한 쌍의 돌기 부재(140)는 피복 부재 원단을 눌러주거나 걸리도록 한다.
원통 모양의 고정 부재(150)의 표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이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단은 밑의 지름보다 위의 지름이 더 크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봉제 인형의 피복에 삽입할 때 잘 빠지지 않도록 피복 안쪽의 부재(미도시)에 빠지지 않게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부재의 안쪽에는 상기 단에 대응하는 걸림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고정 부재(150)를 포함한 장식용 코 부재(100)는 바람직하게는 1개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의 사출물로 장식용 코 부재(110)를 제조한 후에 고정부재(150)를 파지하여 도장액이 담긴 용기에 침지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원하는 색상으로 도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표면을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함으로써 광택성 부재(101)와 함께 인형 코의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c)에 나타난 것처럼, 광택성 부재(101)는 광택을 갖는 보석 또는 인조보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루비와 같은 천연보석이 광택성 부재(101)로 사용되어 전술한 베이스 부재(110)의 홀셀(120)의 크기에 맞게 가공되어 홀셀(120)의 각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경우 봉제 인형 그 자체가 고가의 제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큐빅 지르코니아와 같은 등축정계의 결정을 갖는 인조보석이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조보석으로서 모이사나이트와 크리스탈이 광택성 부재(101)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택성 부재(101)를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다수의 홀셀(120)에 맞춰 삽입한다. 홀셀(120)의 홀의 크기는 가공된 광택성 부재(101)의 크게 대응하도록 정해진다.
도 3은 전술한 장식용 코 부재(100)가 부착된 봉제 인형(1(a))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봉제 인형은, 봉제 인형(1(a))의 코 부분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봉제 인형과 같을 수도 있으며 다를 수도 있다. 요컨대 본원발명의 봉제 인형(1(a))은 표면에 광택성 부재(101)가 일일이 장착되어, 광택성 셀을 갖는 장식용 코 부재(100)를 갖는 인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장식용 코 부재(100)의 만곡 표면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노출하는 베이스 표면의 색상은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표면에 형성된 홀의 깊이와 폭은 그 안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광택성 부재(101)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광택성 부재(101)가 커지면 그에 대응하여 홀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베이스 부재(110)의 표면이 일정하다면 홀셀(120)의 개수는 작아질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에 있어서, 표면이 만곡하여 형성되며 그 만곡 표면의 전면에 다수의 홀셀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봉제 인형의 코 위치의 피복 안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홀셀 각각에 광택성 부재가 1:1로 삽입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성 부재는 보석 또는 인조보석인,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아래쪽의 표면에 한 쌍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봉제 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의 장식용 코 부재가 인형의 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봉제 인형.
KR1020140046764A 2014-04-18 2014-04-18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KR10168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64A KR101684731B1 (ko) 2014-04-18 2014-04-18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64A KR101684731B1 (ko) 2014-04-18 2014-04-18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38A KR20150120738A (ko) 2015-10-28
KR101684731B1 true KR101684731B1 (ko) 2016-12-08

Family

ID=544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764A KR101684731B1 (ko) 2014-04-18 2014-04-18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7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435U (zh) * 1988-06-07 1989-04-26 林松辉 玩具之眼、鼻改良构造
JP2002253870A (ja) * 2001-02-28 2002-09-10 Mie Kondo 立体を取り付けたぬいぐる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435U (zh) * 1988-06-07 1989-04-26 林松辉 玩具之眼、鼻改良构造
JP2002253870A (ja) * 2001-02-28 2002-09-10 Mie Kondo 立体を取り付けたぬいぐる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38A (ko)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677578U (zh) 可变形的珠宝和装饰结构
US11426667B1 (en) Toy figurine with plush covering
WO2006125088A3 (en) Attachable individual curls
KR101457572B1 (ko)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KR101684732B1 (ko)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인형 눈
KR101684731B1 (ko)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코 부재
CN109789340B (zh) 儿童用模具
JP5182905B1 (ja) 組立式消しゴム
US3501862A (en) Covered figure toy with eyes projecting through the cover
CN207125414U (zh) 一种可晃动的珠宝首饰饰品
Le Van 500 Plastic Jewelry Designs: A Groundbreaking Survey of a Modern Material
KR100897904B1 (ko) 말린 연씨집을 이용한 학습교재
KR200387712Y1 (ko) 표정 변경이 가능한 인형
KR101219768B1 (ko) 공중부양 귀걸이
Tu et 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of Hubei Yangxin Cloth Paste
KR200384774Y1 (ko) 방향 노트
CN205410012U (zh) 可活动的蜻蜓造型首饰
KR200386011Y1 (ko) 장신구를 결합한 축하용 카드
CN209031380U (zh) 一种可内置口红的组合饰品
Misiorowski et al. Art nouveau: Jewels and jewelers
JP2008043603A (ja) かばんの構成部材同士の連結構造
Bilal et al. Mughal Men’s Head Ornaments with an Emphasize on Turban Ornaments and their Connection with European Aigrette
KR200168539Y1 (ko) 몸체 일부가 분리되는 악세사리
KR200472151Y1 (ko) 동물모양의 튜브형 학습교재
CN202294003U (zh) 一种金质及仿金质小挂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