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267B1 -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267B1
KR101684267B1 KR1020150055674A KR20150055674A KR101684267B1 KR 101684267 B1 KR101684267 B1 KR 101684267B1 KR 1020150055674 A KR1020150055674 A KR 1020150055674A KR 20150055674 A KR20150055674 A KR 20150055674A KR 101684267 B1 KR101684267 B1 KR 101684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st
rust preventive
fabric
polymer resin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038A (ko
Inventor
이두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26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재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원단(부직포, 마대)의 일면에 원단과 동일한 원료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 접착 수지를 압출하고, 상기의 고분자 수지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를 균일하게 열 접착시켜 금속 기계류나 금속 부품의 포장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마대 형태의 원단과;
상기 원단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로서 원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분자 수지와;
상기의 고분자 수지의 일면에 방청층을 형성하는 방청제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 공급장치는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방청제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조절기와;
상기 공급조절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방청제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하면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방청제를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의 일면에 투입되도록 하는 메쉬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Volatile Corrosion Inhibitor packing}
본 발명은 포장재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원단(부직포, 마대)의 일면에 원단과 동일한 원료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 접착 수지를 압출하고, 상기의 고분자 수지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를 균일하게 열 접착시켜 금속 기계류나 금속 부품의 포장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비점이 낮은 방청제를 원단에 혼합하여 압출하지 않고 원단과 동일한 원료의 고분자 수지를 매개로 열 접착하여 원단에 방청층을 형성함으로서 방청재가 고르게 표면에 분포되어 방청성능과 방청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화성 방청 포장재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포장지에 기화성 방청제를 도포하여 구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화성 방청 포장재는 인장 및 파열강 도가 부족하여 포장재로 적절히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편, 인장 및 파열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방청제가 도포 된 방청지와 포장지를 합성수지 코팅지로 코팅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화성 방청 포장재는,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떨어졌다. 또, 이러한 구조는 제조공정에서 폐기물의 생산이 야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기화성 방청 포장재는 미세입자의 방청제와 고분자 수지의 입자 크기가 많이 차이 남으로 인해 방청제와 고분자 수지가 혼합되지 않아 압출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차 공정으로 방청제와 고분자 수지를 펠렛(pellet)화하는 방청마스터뱃취를 만들어야 하고, 2차 공정으로 방청마스터뱃취와 고분자 수지를 압출 성형하여야 한다. 대부분 방청제 원료의 융점은 200도 이하인데 반해 250~350도 정도의 고온으로 1차 및 2차에 걸쳐 압출성형 하기 때문에 방청제가 고온에서 산화되어 방청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출성형기로 고온으로 방청제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함께 압출성형함으로써 압출성형기의 실린더 내에서 방청제가 녹아 고분자 수지의 피딩(feeding)이 원활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첨가제를 투입하거나 방청제의 양을 줄임으로 인해 방청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차, 2차의 작업 공정을 거쳐야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방청제를 고온으로 작업함에 따라 방청가스와 냄새로 인해 작업환경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126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210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포장재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원단과, 상기 원단을 구성하는 동일 원료인 고분자 수지와, 상기의 고분자 수지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를 분쇄하여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 투입시킴으로서 방청제가 원단의 일면에 고르게 코팅된 방청층을 갖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마대 형태의 원단과;
상기 원단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로서 원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분자 수지와;
상기의 고분자 수지의 일면에 방청층을 형성하는 방청제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 공급장치는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방청제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조절기와;
상기 공급조절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방청제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하면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방청제를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의 일면에 투입되도록 하는 메쉬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가공하여 된 부직포 또는 마대 형태의 원단과, 상기의 원단과 동일한 원료 고분자 수지의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고르게 열 접착되어 방청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청성능이 좋아지고 방청효과가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청제를 종래와 같이 원단을 제조하는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압출하거나 또는 함침시켜 코팅하는 방법과는 달리 원단에 접착하는 고분자 수지의 일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열 접착하게 되므로 비점이 낮은 방청제가 제조과정에서 기화하여 소실되는 단점이 없고 함침하거나 코팅하는 방법에 비해 분쇄된 방청제를 일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방청층을 형성하므로 방청제의 재료가 대폭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아울러 가지는 우수한 발명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 장치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서 방청제 공급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가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또한,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먼저, 금속 기계류나 금속 부품의 포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삭제
첫 번째는 방청성으로, 철강 제품을 포장 후 수송 및 보관 등에 의한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여 금속 제품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강도로서, 중량물의 철강 코일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인장 강도와 인열 강도 및 파열 강도가 필요하다.
세 번째는 포장 적성으로서, 철강 코일을 포장할 때 자동 및 반자동 포장기에 의해 포장되고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포장할 경우도 많다. 이럴 경우에 포장재는 접힘성 및 유연성이 있어야 포장 작업이 쉬워진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으로 말림(Curl) 현상이 없어야 한다. 말림 현상이 발생하면 포장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한다.
네 번째는 재활용성우로서, 유럽 등 선진국 여러 국가에서는 폐기물에 대한 규제로 포장 재료의 재활용을 요구하고 있다. 동일 재질의 원료들을 가공함으로써 포장재의 역할을 마친 뒤 산업폐기물이 아닌, 재활용되도록 하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조건들은 본 발명을 통해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 또는 마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단(1)과, 상기 원단(1)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의 고분자 수지(2)와, 상기의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를 열 접착시킨 방청층(3)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에서 방청층(3)은 트리아졸류 5~15중량%, 유기산 아민염류 10~30중량%, 지방산 아민염류 10~30중량%, 알카리토금속류 5~50중량%, 바인더 1~1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리라졸류는 1, 2, 3-벤조트리아졸, 톨리트리아졸, 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메르겝토벤조트리아졸, 3-아미노트리아졸 등으로 구성되어 이 중에서 1종류 이상이 사용된다.
유기산 및 지방산은 살리실산, 벤조산, 젖산, 아세틱산, 부트릭산, 개미산, 옥탄산, 세바식산, 카프릴산, 헥사노익산, 라우릭산, 스테아린산 등으로 구성되어 이 중에서 1종류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아민류는 모노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몰포린, 사이크로헥실아민, 트리부틸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으로 구성되어 이 중에서 1종류 이상이 사용된다.
그리고 알카리토금속류는 소듐벤조에이트, 암모늄벤조에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이 중에서 1종류 이상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에 의하면, 원단(1)의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고분자 수지(2)와 접착됨으로써, 금속 기계류나 금속 부품의 포장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화성 방청제의 방청 성능에는 초기 기화성 방청성, 노출 후 기화성 방청성이 있는데, 이는 방청제 기화 가스의 도달거리 및 방청 수명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초기 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분자량이 적고 증기압이 클수록 효과가 좋고, 노출 후 기화성 방청성은 분자량이 크고 증기압이 적을수록 유리하다. 초기기 화성방청성과 노출 후 기화성 방청성은 성질이 서로 상반되므로 적절한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해야 KS T 1086 기화성방청지의 규격(1종 H,L형 대)을 만족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청제를 사용하여 기화성 방청 포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 또는 마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단(1)과, 상기 원단(1)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의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방청층(3)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청제를 분쇄하여 소정의 입자 크기로 가공하는 방청제 준비단계(S100)와, 원단(1)과 고분자 수지(2)를 T-die(티-다이) 방식으로 동시에 압출하면서 방청제 공급장치(4)를 통해 방청제를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 투입시키는 소재 투입단계(S200)와, 상기의 투입단계를 통해 투입되는 방청제가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그리고 고분자 수지(2)가 원단(1)에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열 접착단계(S300)와, 상기의 열 접착단계(S300)를 통해 제조된 기화성 방청 포장재를 기계적 장력을 조절하여 말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말림 방지단계(S400)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의 방청제는 트리아졸류 5~15중량%, 유기산 아민염류 10~30중량%, 지방산 아민염류 10~30중량%, 알카리토금속류 5~50중량%, 바인더 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술한 방청 포장재의 방청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원단(1)과 고분자 수지(2)의 압출 및 방청제의 투입은 동시에 진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방청제 입자는 소정의 크기로 가공 분쇄하는 준비공정과, 고분자 수지(2)의 바람직한 열 접착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준비공정을 포함한다.
소재 투입단계(S200)와 열 접착 단계(S3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1)이 투입되고, 원단(1)의 일면에 고분자 수지(2)가 압출되어 열 접착됨과 동시에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투입된 방청제가 실리콘 메쉬롤(8)의 압착을 통해 결합되어 방청층(3)을 갖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를 제조하고, 포장재의 표면 온도 감소와 고분자 수지(2)의 고착을 위하여 냉각롤(9)에 감기면서 냉각되어 기화성 방청 포장재가 제조되어 진다.
상기의 원단(1)의 목수는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으나, 10×10 또는 8×8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1)은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재 역할을 하는데 1인치당 사용되는 실의 개 수로 그 수만큼 목수로 부른다. 즉 1인치 안에 실의 개수가 가로와 세로로 각각 10개씩 있으면 10×10 목이라고 부른다.
원단(1)을 구성하는 실의 굵기가 동일할 경우 실의 목수가 많을수록 기계적 강도는 높아지나 가격이 상승하는 측면은 높아진다.
상기의 열 접착단계(S300)의 방청제는 방청제 준비단계(S100)을 통해,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지고, 방청제 공급장치(4)를 통해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되어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열 접착된다.
상기의 고분자 수지(2)는, 원단(1)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의 고분자 폴리에틸렌(PE)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원단(1)과 고분자 수지(2)는 동일한 원료를 사용되어야 한다.
즉, 원단(1)의 재료가 폴리에틸렌을 가공하여 된 것이면, 고분자 수지(2)는 고분자 PE가 재료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청제 공급장치(4)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마대 형태의 원단(1)과;
상기 원단(1)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로서 원단(1)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분자 수지(2)와;
상기의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방청층(3)을 형성하는 방청제 공급장치(4)를 포함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 공급장치(4)는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투입되는 투입구(5)와;
상기 투입구(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5)를 통해 투입되는 방청제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조절기(6)와;
상기 공급조절기(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조절기(6)를 통해 공급되는 방청제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7)와;
상기 분쇄기(7)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하면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분쇄기(7)에 의해 분쇄된 방청제를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투입되도록 하는 메쉬롤(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쇄기(7)는 고속회전하는 해머와 특수형상의 라이닝 사이에서 충격, 파쇄, 절단 작용에 의해 미분쇄를 일으키는 우수한 분쇄방식의 미분쇄기이다. 즉, 진자운동을 일으키는 많은 해머들이 원판에 붙어있고, 나선형 요철이 있는 라이닝의 내측에서 고속회전한다. 이때, 회전속도는 400~800rpm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도는 분급기 없이 50미크론 전후가 되고, 재료에 따라서는 수 미크론까지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청제 공급장치(4)는 고상의 미세입자로 된 방청제를 미세크기로 구성된 메쉬롤(8)이 회전하면서 회전속도에 따라 방청제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방청제 분말을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 공급하게 되는 데 즉, 메쉬롤(8)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방청제의 양을 6g/㎡ ~ 15g/㎡로 조절하여 분산 공급한다. 이는 방청제 공급량이 6g/㎡ 이하일 경우 방청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방청제 공급량이 15g/㎡ 이상일 경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등의 고분자 수지(2)와 열 접착성이 저하되어 방청제 입자들이 적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용한 원단(1)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분자 수지(2)의 코팅 두께는 20 ~ 40um이 바람직하다. 20um 이하에서는 열 접착성이 저하되고,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형온도를 높여야 하므로 방청제가 탄화되어 방청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초래하며, 40un 이상일 경우 원단(1)이 열에 의해 열화 되는 현상과, 방청제가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청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분자 수지(2)의 열 접착시 중요한 것은 작업 온도인데 230~280도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즉, 온도가 낮을수록 방청제가 적게 소멸하여 방청성이 많이 발휘되며 원단의 열변형이 적어 말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림 방지단계(S400)는, 방청제 준비단계(S100), 소재 투입단계(S200), 열 접착단계(S300)를 통해 제조된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끝단 말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적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단계이다.
압출성형기의 언 와인더(Un-winder)와 리 와인더(Re-winder)부의 기계적 구동속도를 연동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언 와이더부와 리 와인더부의 구동속도를 1.05 : 1.00의 비율로 제어함으로써 압출성형 전후의 원단(1)에 장력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구동속도 조절로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하고, 원단(1)에 장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화성 방청 포장재가 말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230~280도의 온도에서 열 접착된 기화성 방청 포장재는 최대한 이른 시간에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냉각롤(9)의 냉각수 온도를 10~20도로 유지해야 한다. 만약, 냉각수 온도가 높으면 압출성형 후 방청 포장재의 온도가 서서히 내려가기 때문에 권취롤에 감긴 상태에서 경화되어 말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롤(9)과 리 와인더(10) 사이에 엠보싱롤(11)을 설치하여 권취롤과 기계적 강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엠보싱롤(11)은 상하로 설치되어 피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엠보싱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지의 일면에 열 접착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일면에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열 접착됨으로써 금속 기계류나 금속 부품의 포장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포장지의 말림 현상, 유연성, 일정한 물리적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포장적성이 우수하고, 동일소재로 구성되어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1, 2, 3-벤조트리아졸5~15중량%, 쇼듐나이트라이트+헥사메틸테트라민 10~30중량%, 옥탄산+디메틸에탄올아민 10~30중량%, 고튬벤조에이트 25~45중량%, 폴리비닐알콜 1~10% 중량으로 방청제를 배합하고, 포장지는 폴리에틸렌으로 8*8을 사용하며, 방청제는 10g/㎡ 공급한다.
실시예 2
1, 2, 3-벤조트리아졸5~15중량%, 벤조익산+디메틸에탄올아민 10~30중량%, 옥탄산+디메틸에탄올아민 10~30중량%, 소튬벤조에이트 35~55중량%, 폴리비닐알콜 1~10중량%로 방청제를 배함하고, 포장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8*8을 사용하며, 방청제는 6g/㎡ 공급한다.
실시예 3
1, 2, 3-벤조트리아졸 5~15중량%, 쇼듐나이트라이트+헥사메틸테트라민 10~30중량%, 옥탄산+디메틸에탄올아민 10~30중량%, 소튬벤조에이트 25~45중량%, 폴리비닐알콜 1~10중량%로 방청제를 배합하고, 포장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8*8을 사용하며, 방청제는 15 g/㎡ 공급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로 방청제를 배합하여 제조된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KS T 1086에 규정된 시험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다음의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분 바탕시험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기화성 방청성 1시간 녹발생 녹 없음 녹 없음 녹 없음
접촉방청성 4 Cycle 녹발생 녹 없음 녹 없음 녹 없음
습윤시험(7일) CR 녹발생 녹 없음 녹 없음 녹 없음
GI 부식발생 부식 없음 부식 없음 부식 없음

한편, 상기의 [표 1]에서 습윤시험은 KS 규격에는 명시되지 않은 방법이지만 이 시험방법은 실포장에서 금속의 부식을 촉진하는 시험으로 시험조건은 온도 60도, 습도 95% 이상으로 녹발생을 확실히 관찰할 수 있다.
삭제
여기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말림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장재의 말림은 포장재를 펼쳤을 때 양끝이 말리는 여부로 판단하며 규격화된 시험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포장재의 좌, 우측 및 가장자리 부위를 가로, 세로 30cm씩 3매를 자른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측정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분 채취 직후 1시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실시 예 1 1mm 1mm 2mm 2mm
실시 예 2 1mm 1mm 2mm 2mm
실시 예 3 1mm 1mm 2mm 3mm
OPP 방청지 10mm 25mm 40mm 2 바퀴 밀림 400 mm 2 바퀴 밀림
표에 나타난 수치는 바닥에서 포장재 끝의 높이를 측정한 값으로 측정한 값이 적을수록 포장재의 말림 현상이 없다.
삭제
1. 원단 2. 고분자 수지
3. 방청층 4. 방청제 공급장치
5. 투입구 6. 공급조절기
7. 분쇄기 8. 메쉬롤

Claims (8)

  1.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마대 형태의 원단(1)과;
    상기 원단(1)을 구성하는 원료와 동일한 원료로서 원단(1)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분자 수지(2)와;
    상기의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방청층(3)을 형성하는 방청제 공급장치(4)를 포함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 공급장치(4)는 고상의 미세입자 분말로 이루어진 방청제가 투입되는 투입구(5)와;
    상기 투입구(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5)를 통해 투입되는 방청제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조절기(6)와;
    상기 공급조절기(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조절기(6)를 통해 공급되는 방청제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7)와;
    상기 분쇄기(7)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을 하면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분쇄기(7)에 의해 분쇄된 방청제를 정량적으로 일정하게 분산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2)의 일면에 투입되도록 하는 메쉬롤(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55674A 2015-04-21 2015-04-21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KR10168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74A KR101684267B1 (ko) 2015-04-21 2015-04-21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74A KR101684267B1 (ko) 2015-04-21 2015-04-21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38A KR20160125038A (ko) 2016-10-31
KR101684267B1 true KR101684267B1 (ko) 2016-12-09

Family

ID=5744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74A KR101684267B1 (ko) 2015-04-21 2015-04-21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725A (ko) * 2018-10-23 2020-05-06 김철한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방청골판지 패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652B1 (ko) * 2020-06-24 2022-08-04 주식회사 조은기업 기화성 방청기능과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알루미늄 진공포장재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859A (ja) 1999-11-10 2003-04-15 ムスティエール ルーク デ 分割された粒状材料を含む包装製品または調整固定製品の製造装置、ならびに得られる製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79B1 (ko) * 1986-05-03 1989-06-05 이재균 기화성 방청지의 제조방법
KR101030778B1 (ko) * 2009-03-09 2011-04-27 주식회사 삼부테크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된 부직포와 마대 원단을 이용한 방청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2708B1 (ko) * 2013-06-28 2015-04-16 영흥철강주식회사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859A (ja) 1999-11-10 2003-04-15 ムスティエール ルーク デ 分割された粒状材料を含む包装製品または調整固定製品の製造装置、ならびに得られる製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725A (ko) * 2018-10-23 2020-05-06 김철한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방청골판지 패드 제조방법
KR102192501B1 (ko) 2018-10-23 2020-12-17 김철한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방청골판지 패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38A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998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KR101030778B1 (ko)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된 부직포와 마대 원단을 이용한 방청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4267B1 (ko)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CN1161434C (zh) 无取向电工钢的无机/有机绝缘涂层
JP5154767B2 (ja) 防錆剤樹脂組成物及び防錆成形体
KR101160848B1 (ko) 고성능 기화성 방청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19460A (ja) 複合粉末皮膜の形成方法及びその物品
US11603446B2 (en) Treating powder coating paint waste material for recycling, methods for same, and use thereof
CA2526517A1 (en) Corrosion inhibiting composition and article containing it
JP2015000987A (ja) 防錆フィルム
KR100949060B1 (ko) 철강코일 포장용 폴리에틸렌 포장재
CN105237969A (zh) 一种复合型生物降解气相防锈膜及其制备工艺
KR101866119B1 (ko) 방습 포장지
DE102009013959A1 (de) Korrosionschutzverpackungsmittel sowie dafür geeignete Klebstoffe
KR102082214B1 (ko) 기화성 방청 마대 제조방법
KR101512708B1 (ko)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WO2017043089A1 (ja) ガラス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の表面加工用線材
CN1300226C (zh) 气相防锈缓冲包装片材及其制造方法
JP2011195602A (ja) 防錆フィルム
KR101661801B1 (ko) 기화성 부식 방지용 산업용 포장랩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9380B2 (ja) 高粘度熱硬化性樹脂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2006021450A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袋
CN219990005U (zh) 一种防锈淋膜无纺布复合包装材料及防锈包装卷材
KR20180135236A (ko) 철강 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KR102319644B1 (ko) 철 및 비철금속의 변색방지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