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63B1 -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63B1
KR101683963B1 KR1020140063227A KR20140063227A KR101683963B1 KR 101683963 B1 KR101683963 B1 KR 101683963B1 KR 1020140063227 A KR1020140063227 A KR 1020140063227A KR 20140063227 A KR20140063227 A KR 20140063227A KR 101683963 B1 KR101683963 B1 KR 10168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carbon
dry
composite
fibrous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961A (ko
Inventor
이준기
손삼익
성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963B1/ko
Priority to US14/569,672 priority patent/US20150340688A1/en
Priority to CN201410840155.6A priority patent/CN105304868B/zh
Publication of KR2015013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70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sulfur, e.g. thiophosg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 건식 복합화된 황-탄소 복합체의 단면도는 도 1을 참조한다. 황 내부에는 섬유상 탄소가 삽입되어 있고 황 외부에는 탄소 코팅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eparing sulfur-carbon complex by dual dry complexation}
본 발명은 황 소재의 전도성 향상을 위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를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황 입자 내외부로 탄소재를 복합화시켜서 입자의 전도도 향상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리튬황 전지는 높은 용량으로 인해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리튬황 전지에서 황은 양극 활물질로 용량 발현을 위해서 꼭 필요한 소재이나,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부도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양극 전극 내부에서 전자 전달의 저항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기존의 리튬황 전지 양극 전극 제작 시 황, 탄소, 바인더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흔히 유발, 믹서, 볼밀 등을 사용한다. 여기서 전극 내 전자 전도 경로와 전지 반응 사이트를 확보하기 위해서 균일한 혼합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황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이기 때문에 전도체인 탄소와의 혼합이 중요하다.
황-탄소 복합체를 만드는 종래 기술(KR 2004-0026207 리튬 설퍼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도 공지되어 있으나, 황 표면에 탄소를 붙여 복합체를 제조하고 있어 저항 감소와 전도성 향상에 있어 한계가 있다.
리튬 황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에 대한 종래의 특허문헌은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1549호는 구형화된 황 화합물 입자와 탄소재 입자가 복합화되어 이루어진 황-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금속-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로서, 상기 복합체는 황 화합물 입자의 표면에 구형의 탄소재 또는 섬유상 탄소재가 코팅된 형태로 분산되어 고정화되어 있거나, 구형 탄소재와 섬유상 탄소재가 혼합되어 황 화합물의 표면 및 내부에 고정화되어 있는 양극 활물질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3643호는, 하드 카본 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드 카본 볼과 황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하드 카본 볼과 황 혼합물을 제 1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하드 카본 볼의 내부에 황을 담지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에 황이 담지된 하드 카본 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에 황이 담지된 하드 카본 볼을 일정 압력하에서 제 2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카본 황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1456호는,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로서, 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산소(O) 또는 황(S) 화합물과 탄소계 입자의 복합체('화합물-탄소 복합체')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화합물-탄소 복합체는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의 표면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양극 활물질을 개시한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제2011-0171537호는,
황화 리튬과 탄소재료가 접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탄소 함유량이15~70질량%이며, 탭 밀도가, 탄소 함유량이 30 질량%이상의 경우에 0.4 g/cm3이상 이며, 탄소 함유량이 30 질량%미만의 경우에 0.5 g/cm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 리튬-탄소 복합체를 개시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기본적으로 별도의 바인더를 사용하여 탄소를 부착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저항 감소 효과가 미미하며, 별도의 전이금속을 필요로하여 황의 로딩량이 감소하는 등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 소재의 전도성 향상을 위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시하며, 특히 황 입자 내, 외부로 탄소재를 복합화시켜서 전도도 향상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중 건식 복합화를 이용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인 것이고 상기 제조방법은,
a) 황과 섬유상 탄소를 건식 복합화기에 투입하는 단계,
b) 건식 복합화기의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복합화 에너지 300 내지 600watt에서 황과 섬유상 탄소에 전단력을 가하여 황 내부에 섬유상 탄소를 삽입시키는 단계,
c) 입자상 탄소 또는 섬유상 탄소를 건식 복합화기에 추가로 투입하는 단계, 및
d) 건식 복합화기의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복합화 에너지 300 내지 600watt에서 섬유상 탄소가 삽입된 황의 외부에 입자상 또는 섬유상 탄소를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상 탄소는 기상증착 탄소섬유 및/또는 탄소나노튜브이고, 상기 입자상 탄소는 수퍼 C(Super C), 케첸블랙, 덴카블랙 또는 이들의 1종 이상의 혼합물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효과로 인해 리튬황 전지의 용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1) 전도 경로가 최대화되어 양극 전극 내부의 전기 저항이 효과적으로 감소한다.
2) 황과 탄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전극 물질의 균일한 분산이 가능하며, 따라서 균일하게 분산된 전극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전지 반응이 안정적으로 일어나게 때문에 전극의 품질이 향상된다.
3) 분산의 용이성에 의한 바인더의 사용 감소로 황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활물질 사용량이 증가하여 전지 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건식 복합화된 황-탄소 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건식복합화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시간에 따른 건식 복합화 추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식 복합화를 수행하는 순서도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 건식 복합화 중 첫 번째 복합화로서 황 내부에 탄소 삽입 후 얻어진 복합체의 열분석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와 통상의 황을 각각 양극 활물질로 하는 코인셀의 방전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중 건식 복합화된 황-탄소 복합체의 단면도는 도 1을 참조한다. 황 내부에는 섬유상 탄소가 삽입되어 있고 황 외부에는 탄소 코팅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건식 복합화는 건식복합화 장비(NOB-MINI, Hosokawa Micron 社 등) 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힘만으로 바인더 없이 고체상 물질을 복합화(도 2 참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밀폐된 용기에 복합화를 위한 재료를 넣는다. 그 다음, 용기와 약간의 갭을 가진 블레이드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복합화를 위한 재료들이 전단력(shear force)를 받으면서 복합화가 이루어진다.
건식 복합화를 이용하는 경우 황 내부, 외부로 전도체인 탄소를 배치함으로써 부도체인 황에 도전 경로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황 내부에 섬유상의 탄소재를 삽입하여 황 내부에도 전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큰 장점이다. 또한 두 번의 건식복합화를 거친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 한 특징이다.
도3은 시간에 따른 건식복합화 결과 황 내부로 탄소가 삽입되는 과정을 SEM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건식복합화 시간이 12분을 넘어서면 표면의 탄소가 황 내부로 삽입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내부 도전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섬유상 탄소가 유리하다. 건식복합화 15분에서 황 표면을 파고드는 섬유상 탄소의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건식복합화 20분에 이르면 대부분의 탄소가 황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1차 건식단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중 건식 복합화를 이용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인 것이고 상기 제조방법은,
a) 황과 섬유상 탄소를 건식 복합화기에 투입하는 단계,
b) 건식 복합화기의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복합화 에너지 300 내지 600watt, 바람직하게는 400watt 에서 황과 섬유상 탄소에 전단력을 가하여 황 내부에 섬유상 탄소를 삽입시키는 단계,
c) 입자상 탄소 또는 섬유상 탄소를 건식 복합화기에 추가로 투입하는 단계, 및
d) 건식 복합화기의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복합화 에너지 300 내지 600watt, 바람직하게는 400watt 에서 섬유상 탄소가 삽입된 황의 외부에 입자상 또는 섬유상 탄소를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상 탄소는 기상증착 탄소섬유 및/또는 탄소나노튜브이고, 상기 입자상 탄소는 수퍼 C(Super C), 케첸블랙, 덴카블랙 또는 이들의 1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단계 b) 의 회전은 15분 이상 25분 이하, 도 3의 SEM 사진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약 20분간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약 20분간의 복합화 진행시 섬유상 탄소가 완전히 황 내부로 삽입됨을 알 수 있다. 단계 b) 의 복합화될 재료는 황 85 내지 95wt%, 섬유상 탄소 5 내지 15wt% 가 바람직하다(도 5 참조). 그 이유는 리튬황 전지에서 활물질은 황으로, 탄소는 전도 경로를 위해 추가되는 요소이며 용량 발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탄소의 양은 전도 경로를 유지하는 한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비율의 황과 탄소를 사용하였을 때, 황 내부의 탄소가 적절한 전도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의 회전은 약 10분간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섬유상 또는 입자상 탄소가 황 외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단계 d)의 복합화될 재료는 일차적으로 단계 b)에서 복합화된 복합체 85 내지 95wt%, 섬유상 또는 입자상 탄소 5 내지 15wt%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단계 b) 와 같은 이유로 탄소는 전도성을 유지하는 한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비율의 황과 탄소를 사용하였을 때, 황 외부의 탄소가 적절한 전도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 b) 또는 d)에서 황과 탄소를 건식복합화 용기 내부의 60vol% 이상으로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일례일뿐 본 발명의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황 90wt%와 기상증착 탄소섬유 10wt%를 건식 복합화기 내부 부피 60vol%이상 투입하고 복합화 에너지 400watt 에서 약 20분간 복합화하였다. 이렇게 1차로 복합화된 복합체 90wt%에 수퍼 C 10wt%를 더욱 첨가하여 건식 복합화기 내부 부피 60vol%이상 되도록 하고 복합화 에너지 400watt 에서 약 10분간 2차로 복합화하여 이중 건식 복합화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체(실시예) 및 일반 황(비교예)을 각각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하여 코인셀을 제작한 후 방전전압과 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한다.
방전 시 비교예에 비해서 실시예는 전압이 높고 방전 용량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탄소 복합체로 인해 전극 내 저항이 감소하고 전극 품질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이중 건식 복합화를 이용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인 것이고 상기 제조방법은,
    a) 황과 섬유상 탄소를 건식 복합화기에 투입하는 단계,
    b) 건식 복합화기의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복합화 에너지 300 내지 600watt에서 황과 섬유상 탄소에 전단력을 가하여 황 내부에 섬유상 탄소를 삽입시키는 단계,
    c) 입자상 탄소 또는 섬유상 탄소를 건식 복합화기에 추가로 투입하는 단계, 및
    d) 건식 복합화기의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복합화 에너지 300 내지 600watt에서 상기 단계 b)에서 복합화된 복합체의 외부에 입자상 또는 섬유상 탄소를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b) 에서 복합화기 내, 상기 황의 함량은 85 내지 95 중량%이며, 상기 섬유상 탄소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섬유상 탄소는 기상증착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입자상 탄소는 수퍼 C(Super C), 케첸블랙, 덴카블랙 또는 이들의 1종 이상의 혼합물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의 회전은 15분 이상 25분 이하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회전은 10분간 수행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코팅은 복합화된 복합체 85 내지 95 중량%의 외부에 입자상 또는 섬유상 탄소 5 내지 15 중량%를 코팅시키는 것인 방법.
KR1020140063227A 2014-05-26 2014-05-26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KR10168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27A KR101683963B1 (ko) 2014-05-26 2014-05-26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US14/569,672 US20150340688A1 (en) 2014-05-26 2014-12-13 Method for preparing sulfur-carbon composite by dual dry complexation
CN201410840155.6A CN105304868B (zh) 2014-05-26 2014-12-30 通过双干燥复合制备硫-碳复合材料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27A KR101683963B1 (ko) 2014-05-26 2014-05-26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61A KR20150135961A (ko) 2015-12-04
KR101683963B1 true KR101683963B1 (ko) 2016-12-07

Family

ID=5455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227A KR101683963B1 (ko) 2014-05-26 2014-05-26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40688A1 (ko)
KR (1) KR101683963B1 (ko)
CN (1) CN1053048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7731B2 (en) 2019-02-13 2023-12-05 Lg Energy Solution, Lt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7604B1 (fr) * 2014-10-27 2016-11-04 Arkema France Preparation d'un melange-maitre a base de soufre et de nanocharges carbonees, le melange-maitre obtenu et ses utilisations
FR3030890B1 (fr) * 2014-12-22 2019-07-26 Arkema France Matiere active d'electrode pour batterie li/s
KR102003302B1 (ko) * 2016-01-12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비수계 양극 슬러리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양극 및 리튬-황 전지
US10312517B2 (en) 2016-10-31 2019-06-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 situ formation of sulfur particles using organic acids in the presence of polymer functionalized carbon
KR102496794B1 (ko) * 2016-12-02 2023-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다층 단열 코팅층 및 그 제조방법
KR102229453B1 (ko) 2017-11-24 2021-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68182B1 (ko) * 2017-11-30 2021-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44916B1 (ko) 2018-04-30 2021-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2543246B1 (ko) 2018-07-03 2023-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리튬-황 전지
KR20200109476A (ko)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14207875A (zh) * 2020-05-27 2022-03-18 株式会社Lg新能源 自立膜型锂二次电池用正极材料、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KR20220059927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175A (ko) * 2004-09-22 2007-06-04 아오이 전자 주식회사 황 및/또는 s-s 결합을 가지는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전지 양극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1950803A (zh) * 2010-05-17 2011-01-19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表面包覆金属氧化物的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KR20120051549A (ko) * 2010-11-12 2012-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속-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9620772B2 (en) * 2010-12-24 2017-04-11 Idemitsu Kosan Co., Lt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containing a composite of sulfur and a porous conductive substance, and glass or glass ceramic particles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7731B2 (en) 2019-02-13 2023-12-05 Lg Energy Solution, Lt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4868B (zh) 2020-03-27
KR20150135961A (ko) 2015-12-04
US20150340688A1 (en) 2015-11-26
CN105304868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963B1 (ko) 이중 건식 복합화를 통한 황-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Lin et al. Ultrafine titanium nitride sheath decorated carbon nanofiber network enabling stable lithium metal anodes
Guo et al. Facile formation of a solid electrolyte interface as a smart blocking layer for high‐stability sulfur cathode
Hu et al. Double‐Shelled NiO‐NiCo2O4 Heterostructure@ Carbon Hollow Nanocages as an Efficient Sulfur Host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Wu et al. PPy‐encapsulated SnS2 nanosheets stabilized by defects on a TiO2 support as a durable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Zhou et al. Establishing thermal infusion method for stable zinc metal anodes in aqueous zinc‐ion batteries
Chen et al. Highly conductive, lightweight, low‐tortuosity carbon frameworks as ultrathick 3D current collectors
Lv et al. High energy density lithium–sulfur batteries: challenges of thick sulfur cathodes
Imtiaz et al. Electrocatalysis on separator modified by molybdenum trioxide nanobelt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Kim et al. High-performance FeSb–TiC–C nanocomposite anodes for sodium-ion batteries
Yang et al. Assembly of SnSe Nanoparticles Confined in Graphene for Enhanced Sodium‐Ion Storage Performance
Cao et al. Flexible antimony@ carbon integrated anode for high‐performance potassium‐ion battery
Wang et al. Poly-dopamine carbon-coated stable silicon/graphene/CNT composite as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Park et al. Graphitic hollow nanocarbon as a promising conducting agent for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JP4597666B2 (ja) ハイブリッド導電性層で被覆された、非導電性コア又は半導電性コアを含む粒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気化学的デバイスにおけるその使用
KR100994181B1 (ko)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 도전제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Ye et al. RuO2 particles anchored on brush‐like 3D carbon cloth guide homogenous Li/Na nucleation framework for stable Li/Na anode
Lü et al. Graphene nanosheets suppress the growth of Sb nanoparticles in an Sb/C nanocomposite to achieve fast Na storage
Yang et al. Rod‐Like Sb2MoO6: Structure Evolution and Sodium Storage for Sodium‐Ion Batteries
Zhao et al. Constructing a reinforced and gradient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on Si nanoparticles by in‐situ thiol‐ene click reaction for long cycling lithium‐ion batteries
Li et al. Phase‐transition interlayer enables high‐performance solid‐state sodium batteries with sulfide solid electrolyte
Tan et al. High performance sodium ion anodes based on Sn4P3 encapsulated within amphiphilic graphene tubes
Son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Silicon Anodes for Durable and High Energy Lithium‐Ion Batteries
Liu et al. Boosting Potassium Storage Kinetics, Stability, and Volumetric Performance of Honeycomb‐Like Porous Red Phosphorus via In Situ Embedding Self‐Growing Conductive Nano‐Metal Networks
Shih et al. Nano-carbon-fiber-penetrated sulfur crystals as potential cathode active material for high-performance lithium–sulfur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