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32B1 -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메시 네트워크 단말 - Google Patents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메시 네트워크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32B1
KR101683932B1 KR1020117020543A KR20117020543A KR101683932B1 KR 101683932 B1 KR101683932 B1 KR 101683932B1 KR 1020117020543 A KR1020117020543 A KR 1020117020543A KR 20117020543 A KR20117020543 A KR 20117020543A KR 101683932 B1 KR101683932 B1 KR 10168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sector
terminals
mesh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384A (ko
Inventor
쟝 -뤽 로베르
알리 루지르
필립 미나르
필립 샹블랭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1012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포함하는 메시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에서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의 안테나의 섹터들 중 하나의 선택,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들 각각에 의해 송신된 식별(identification)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의 선택된 섹터에 의한 수신, 및 각각의 섹터에 대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상이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의,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의 메모리에의 저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메시 네트워크 단말{METHOD FOR CALIBRATING A TERMINAL WITH A MULTI-SECTOR ANTENNA AND MESH NETWORK TERMINAL}
본 발명은 메시 네트워크에서 멀티-섹터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calibrate)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멀티-섹터 안테나를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 단말, 및 상이한 단말들을 함께 접속하는 메시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멀티-안테나 또는 멀티-섹터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들은 표준 802.11 또는 802.16에 대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타입 디바이스들에서 특히 이용되며, 더 특징적으로는 섹터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빔형성 기법을 통해 네트워크의 상이한 노드들에게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확보해 주는 메시 네트워크들의 맥락 하에서 이용된다.
단말들로 된 시스템의 효율성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에 기인해 송신 채널의 용량을 최대화함으로써 분명히 증가된다. 사실상, 이런 특징은, 단말들이 특정 밀도 또는 레벨의 트래픽을 얻게되자마자 네트워크들의 용량에서의 급격한 하락의 요인이 되는 간섭들을 현저하게 감소되게끔 하여준다.
"애드혹 이동(ad hoc mobile)" 네트워크들로서 알려진 네트워크들은 무선 매체에 걸친 이동 노드들의 그룹의 노드들 사이의 접속들에 의해 정의된다. 이 노드들은 스스로 자유롭게 동적으로 조직할 수 있어, 애드혹 이동 네트워크들로서 알려진 네트워크들의 임의적 및 일시적 네트워크들의 토폴로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단말들이 상호접속할 수 있게 하여준다.
메시 네트워크들은 무선 링크들에 의해 상호접속된 고정 및 이동 노드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표준 802.11에서 인터넷 액세스가 고려된다. 이러한 타입의 네트워크에서는 일부 노드들(메시 노드들)만이 인터넷에 대한 직접 접속을 가지며, 나머지 노드들은 중계 포인트들(relay points)로서 역할을 한다. 사실상, 반드시 통신 인프라스트럭처를 갖출 필요가 없는 영역들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포인트에 대한 인터넷 액세스를 요구하는 대신에, 멀티 호핑 기법(multi-hopping technique)이 이용되며, 일부 노드들은 따라서 라우터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념은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상에서의 2개의 별개의 무선 시스템들의 이용에 기초하는데, 하나는 예를 들어 2.4GHz에서 802.11g 표준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서빙(serving)하며, 다른 무선 시스템은 5GHz 대역에서 802.11a 표준으로 동작하고 또한 백본 메시 네트워크의 멀티 호핑 라우팅에 참여한다.
한편으로, 메시 네트워크들은 감소된 사이즈의 셀룰러 환경에서 코-채널 링크들(co-channel links)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타입의 802.11의 MAC(Media Access Control) 구조는 패킷 충돌을 피하기 위해 채널들 사이의 각각의 링크가 공유된 시간에 동작하게 야기하여, 그 결과 공간적 재이용을 매우 좋지 않게 하고, 따라서 네트워크의 송신 용량을 더 낮게 한다.
또한, 노드들 사이의 무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전방향성 안테나의 이용은 인접하는 노드들 사이의 간섭들의 근원이다.
또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또는 빔형성 안테나들로서 알려진 멀티플 안테나 기법들과 같은 개념들이 이용된다.
메시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특허 US2007/0153817에 설명되며 도 1에 도시된다. 이 특허는 한편으로 인접하는 노드들상에서의 간섭들이 감소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노드 N에서의 지향성 듀얼 밴드 안테나들(directional dual-band antennas)의 이용에 대해 청구하고 있다. 점선으로 표현된 섹터들은 라우팅 요청들에 따라 배치된다. 제각기 주파수들 2.4GHz 및 5GHz상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멀티 호핑" 방법이 설명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하면, 각각의 라우팅에서, 노드들 사이의 상이한 링크들을 다시 계산하고 또한 섹터 스캐닝에 가장 적합한 안테나의 섹터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포함하는 메시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에서 듀얼 밴드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의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들 각각에 의해 송신된 식별(identification)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레벨의 정보를, 선택된 섹터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각각의 선택된 섹터에 대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상이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의 각각의 안테나 섹터의 선택은 각각의 섹터와 연관된 스위칭 수단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메시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들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캘리브레이션은 규칙적인 간격들로 반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의 단말로서, 멀티-섹터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에 있다.
상기 단말은 또한 각각의 안테나 섹터에 대해, 메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들 각각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레벨의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다른 단말들과 관련하여 단말의 캘리브레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멀티-섹터 안테나는 듀얼 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수단들이 각각의 안테나 섹터와 연관되어 각각의 안테나 섹터의 계속적인(successive)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로패스(low-pass) 또는 노치(notch) 필터들이 각각의 안테나 섹터와 연관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메시 네트워크에 있다.
본 발명은 메시 네트워크의 단말들 사이의 접속들 동안에 단말의 안테나 섹터의 최적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뿐만 아니라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행해진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이미 설명한 것으로서, 섹터 안테나들에 기초한 메시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3은 멀티-섹터 듀얼 밴드 안테나의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비발디 프로파일 6 섹터 안테나(Vivaldi profile six sector antenna)의 측면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에서의 송신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네트워크 노드에 배치된 각각의 단말(액세스 포인트)에서 그 환경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식별에 관하여 및 식별된 단말들의 수신된 레벨에 관하여 수신 구성을 분석하는 것을 동시에 이루어주는 네트워크의 캘리브레이션 단계(calibration phase)를 동작시키는 것에 있으며, 이런 단계는 단말의 안테나 섹터들의 360°에 걸친 순차적 스캐닝에 의해 구현되며, 이런 스캐닝으로부터 생기는 정보는 단말들 각각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도 2의 도표에 요약된 본 방법은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이, 고려되는 네트워크의 다른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네트워크 식별 패킷 헤더들에 포함된 정보, SSID(Service Set Identifier) 식별자들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한다.
고려되는 네트워크의 단말들 각각에 대해, 이런 식별자들 및 연관된 신호 레벨 정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는 따라서 각각의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노드와 연관된 각각의 단말은 메모리에 자신의 환경의 카토그래피(cartography)의 유형을 소유한다. 이러한 의사 지오-로컬리제이션(pseudo geo-localisation)은 각각의 단말이 안테나에 의한 섹터 스캐닝 동안 그들의 수신된 전력의 레벨 및 이웃하는 식별자들을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최대 수신 전력 기준에 연결된 이러한 지오-로컬리제이션의 정확도는 스캐닝의 입도(granularity) 및 따라서 고려되는 안테나의 섹터들의 수의 함수인 고려되는 안테나의 지향성에 의존한다.
또한, 이는 환경에 의존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적 외부 환경에서는, 최대 수신 전력이 메인 송신 경로에 강하게 상관된(correlated) 채로 남아있는다. 레코딩된 카토그래피를 이용하면 메인 송신 경로가 그에 따라 결정된다.
높은 단말 밀도에서는, 최대 수신 전력을 갖는 빔은 간섭들이 신호 수신을 방해(interfere)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송신기 단말을 향해 그렇게까지 지향될 필요는 없다.
환경에서의 임의의 변화들에 적응하도록 캘리브레이션을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방법은 메시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때 공간적으로 간격이 주어질 수 있는 규칙적인 간격들로 반복된다. 반대로, 레코딩된 또는 시그널링된 임의의 환경 변화는 자동으로 메시 네트워크의 재-캘리브레이션으로 이어진다.
도 2의 도면은 메시 네트워크의 노드에 배치된 단말의 캘리브레이션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은 캘리브레이션될 제1 단말 T0의 네트워크에서의 초기화의 제1 단계(200)로 시작한다. 단말의 안테나의 성질뿐만 아니라 섹터들의 수, 예를 들어, 6개의 섹터가 그에 따라 레코딩된다.
다음 단계 201은 섹터들 중 하나, 예를 들어, 1의 번호가 붙은 섹터를 활성화하는 것에, 및 메시 네트워크에서 그 환경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식별에 관하여 및 식별된 단말들의 수신된 레벨에 관하여 수신 용량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단계 202 동안, 어떠한 수신도 가능하지 않다면, 이런 비-수신(non-reception) 정보는 고려되는 안테나의 활성화된 섹터와 연관되어 기억된다.
반대로, 고려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고려되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네트워크 식별 패킷들의 헤더에 포함된 SSID(Service Set Identifier) 식별자들의 수신에 기초한다. 단계들(202 내지 206) 동안,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에서 및 선택된 안테나의 섹터에서, 고려되는 n개의 다른 단말들의 각각의 식별 정보 SSID1 내지 SSIDn이 상이한 네트워크 단말들에 대응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 레벨 정보 RSSI1 내지 RSSIn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단계 다음에, 캘리브레이션될 단말의 안테나에 따른 섹터상에서 단말의 안테나의 N개의 섹터의 360°에 걸친 순차적 분석을 하는 식으로 스위치하는 것을 수반하는 단계(207)가 따라온다. 그 다음, 이런 스캐닝으로부터 생기는 정보는 단계들(202-206)에 해당하는 단계들을 통해 단말들 각각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런 정보가 안테나의 N개의 섹터 모두에 대해 레코딩되었다면, 캘리브레이션이 종료되고, 이것은 최종 단계인 단계(208)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예시적으로 이용되는 것과 같은 멀티-섹터 듀얼 밴드 안테나의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듀얼 밴드 안테나는 예를 들어 6개의 섹터(S1-S6)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의 밀도 및 사이즈에 좌우되어, 더 높거나 더 낮은 상이한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네트워크가 더 조밀할수록, 안테나를 상당한 정도로 섹터화(significant sectoring)하는 것이 더욱 관심을 끌 것이다.
바람직하게, 안테나는 예를 들어, 테이퍼드(tapered) 슬롯 타입(비발디)의 인쇄 평면 안테나 또는 다이폴 또는 야기(Yagi) 안테나일 것이고, 안테나 섹터들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타겟팅된 2개의 주파수 도메인, 즉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위한 대역 2.4GHz 또는 멀티 호핑 라우팅 서비스를 위한 대역 5GHz을 커버할 수 있다. 디플렉서(diplexer)는 RF 신호들의 양방향 분리(bilateral isolation)가 보장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안테나 섹터는 스위치 K와 연관된 로패스(low-pass)의 또는 적응가능한 노치(notch) 필터 F1-F6의 중계(intermediary)를 통해 디플렉서에 접속된다. 스위치 K는 명령 신호들로 신호들의 송신 또는 수신(Tx/Rx)에 권한을 부여한다. 신호는 안테나 섹터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몇개의 안테나 섹터들에 의해 동시에 송신된다. 스위치 K는 예를 들어 PIN 다이오드 또는 AsGa 스위치에 의해 보증된다.
필터는 상이한 채널들 사이의 간섭들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대역 2.4GHz 및 5GHz의 신호들은 디플렉서의 중계를 통해 RF 액세스 2.4GHz 및 5GHz상에서 섹터들 중 하나상에서 수신 또는 송신된다. 스위치들의 제어 신호들에 대해 그런 것처럼, 필터들의 제어 신호들도 MAC(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유닛으로부터 온다.
도 4는 선행 토폴로지에 대응하는 섹터화된 비발디 안테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5GHz 대역에서의 단일 안테나 광대역 RF 액세스에서의 듀얼 밴드 안테나 아키텍처 그룹들, MAC(Medium Access Control) 명령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동적 섹터화 기능이 지향성과 연계된 성능에 있어서의 이득들로부터 혜택을 볼 수 있게 하는 것, 2.4GHz 대역에서의 RF 액세스, RF 액세스들의 각각에서의 주파수 선택 공급 디바이스(frequency selective supply device)는 2.4GHz 및 5GHz 무선 블록들의 동시 동작(simultaneous functioning)에 요구되는 분리(isolation)를 보장한다.
5GHz 액세스들은 멀티-섹터 안테나의 2개의 측 중 하나(도 4a)상에서 그룹화되고, 2.4GHz 액세스들은 다른 측(도 4b)상에서 그룹화된다. 2.4GHz 대역 필터들은 5GHz 액세스와 연관되는 한편, 5GHz 대역 필터들은 2.4GHz 액세스들과 연관된다. 이런 필터들은 바람직하게 하이퍼-주파수 기술(hyper-frequency technology)에서 생성되며, 이런 하이퍼-주파수 기술은 감소된 사이즈로 인해 필터들이 각각의 RF 액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동작 주파수에서 몇개의 안테나 섹터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몇개의 상이한 방향들에서의 송신이 가능하다.
도 5는 네트워크 섹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구성을 도시한다.
클라이언트들 f 및 h에 대응하는 단말들 Tf 및 Th에 의한, 단말 Ta에 대응하는 인터넷 액세스를 위한 요청에 대해, MAC 명령 유닛에 의해 관리되는 제1 라우팅이 단말들 Tb, Tc 및 Td를 통해 조직된다.
그러면 이들 단말들 Ta, Tb, Tc, Td, Te, Th 및 Tf 각각은 각각의 단말의 캘리브레이션 정보에 따라 요청된 라우팅에 부응하여 멀티-섹터 안테나들의 프리-포지셔닝(pre-positioning)을 동작시킨다.
따라서, 단말 Th의 캘리브레이션 정보내에, 단말 Td와의 통신이 2.4GHz의 요구된 주파수에서 멀티-섹터 안테나의 섹터 S3의 중계를 통해 최적화된다는 것이 기억된다.
단말 Tc의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안테나의 섹터 2를 통한 단말 Tb와의 그리고 섹터 6을 통한 단말 Td와의 5GHz에서의 라우팅 링크들의 관리, 및 섹터 3을 통한 단말 Tf와의 2.4GHz에서의 클라이언트 링크의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단말 Tc의 안테나는 5GHz에서의 다른 단말들과 라우팅 링크들 및 2.4GHz에서의 단말 Tf와의 클라이언트 링크를 함께 관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섭들을 기준으로 한 이러한 개념의 실효성은 한편으로 안테나의 지향성, 네트워크의 지리적 밀도에 의존할뿐만 아니라, 인접 섹터들의 분리 능력에도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라우팅 링크들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상이한 채널들에서 동작하며, 안테나 선택에도 불구하고 채널들 사이의 에너지는 송신을 교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또한 송신의 선택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5GHz에서의 스위치들의 불완전한 분리에 및 지향성의 결여에 내재된 간섭들을 제한하기 위해서, 로우 패스의 또는 적응가능한 노치 필터 디바이스가 안테나 섹터들 각각에 삽입되었다. 따라서, 5GHz에서의 필터 스톱(filter-stop) 대역을 라우팅에 연루된 것들에 인접한 섹터들에게 할당하는 것은 조밀한 셀룰러 환경에서 이들 섹터들의 분리를 향상시키고 또한 부가적인 각도 선택성을 구현한다.

Claims (9)

  1. 복수의 다른 단말을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에서 듀얼-밴드 멀티-섹터 안테나(dual-band multi-sector antenna)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캘리브레이션될 상기 단말의 멀티-섹터 안테나의 안테나 섹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메시 네트워크의 다른 단말들 각각에 의해 송신된 식별(identification) 신호들뿐 아니라 각각의 수신된 신호 레벨 정보를 선택된 안테나 섹터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섹터 안테나의 다른 안테나 섹터로 스위칭하고 상기 멀티-섹터 안테나의 다른 안테나 섹터 각각에 대해 상기 선택 및 수신을 반복하여 상기 멀티-섹터 안테나의 모든 안테나 섹터의 360°에 걸쳐 순차적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각각의 선택된 안테나 섹터에 대해,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단말의 각각의 수신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레벨 정보의 대응하는 항목들을, 캘리브레이션될 상기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및 상기 메시 네트워크의 두 개의 다른 단말 사이의 동시 통신들을 위해, 상기 단말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수신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두 개의 각각의 다른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상기 멀티-섹터 안테나의 두 개의 안테나 섹터가 선택되고,
    상기 동시 통신들 중 각각의 통신을 위해, 각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및 각각의 상기 다른 단말 사이의 상기 메시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에 포함된 각 단말에 대해 안테나 섹터가 선택되며,
    상기 동시 통신들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안테나 섹터 중 하나에 대해서는 할당되지 않고 상기 단말의 로우 패스(low-pass) 또는 노치(notch) 필터에 의해 스톱(stop)된, 두 개의 각각의 상이한 동작 주파수 중 하나에서의 대역(band)이 상기 두 개의 안테나 섹터 중 나머지 하나에 할당되며, 상기 두 개의 안테나 섹터는 상기 메시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경로에서 서로에게 인접하는 단말 캘리브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될 상기 단말의 안테나 섹터의 선택은 각각의 섹터와 연관된 스위칭 수단의 명령에 의해 행해지는 단말 캘리브레이션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은 규칙적인 간격들로 반복되는 단말 캘리브레이션 방법.
  5. 복수의 다른 단말을 포함하는 메시 네트워크의 단말로서,
    듀얼-밴드 멀티-섹터 안테나와,
    안테나 섹터들 각각에 대해, 상기 메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상기 다른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신호들뿐 아니라 수신된 식별 신호 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다른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안테나 섹터들의 캘리브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및 상기 메시 네트워크의 두 개의 다른 단말 사이의 동시 통신들을 위해, 상기 단말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수신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두 개의 각각의 다른 동작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상기 멀티-섹터 안테나의 두 개의 안테나 섹터가 선택 가능하고,
    상기 동시 통신들 중 각각의 통신을 위해, 각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된 식별 신호들 및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및 각각의 상기 다른 단말 사이의 상기 메시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에 포함된 각 단말에 대해 안테나 섹터가 선택되며,
    상기 동시 통신들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안테나 섹터 중 하나에 대해서는 할당되지 않고 상기 단말의 로우 패스 또는 노치 필터에 의해 스톱된, 두 개의 각각의 상이한 동작 주파수 중 하나에서의 대역이 상기 두 개의 안테나 섹터 중 나머지 하나에 할당되며, 상기 두 개의 안테나 섹터는 상기 메시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경로에서 서로에게 인접하는 메시 네트워크의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들이 각각의 안테나 섹터와 연관되어 각각의 안테나 섹터의 순차적 또는 연속적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 네트워크의 단말.
  7. 삭제
  8. 삭제
  9.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제5항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
KR1020117020543A 2009-03-03 2010-02-24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메시 네트워크 단말 KR101683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1340 2009-03-03
FR0951340A FR2942925A1 (fr) 2009-03-03 2009-03-03 Methode de calibration d'un terminal a antenne multisectorielle et terminal d'un reseau maille
PCT/FR2010/050308 WO2010100364A1 (fr) 2009-03-03 2010-02-24 Méthode de calibration d'un terminal a antenne multisectorielle et terminal d'un réseau ma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84A KR20110129384A (ko) 2011-12-01
KR101683932B1 true KR101683932B1 (ko) 2016-12-22

Family

ID=4140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543A KR101683932B1 (ko) 2009-03-03 2010-02-24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메시 네트워크 단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312276A1 (ko)
EP (1) EP2404395B1 (ko)
JP (1) JP2012519991A (ko)
KR (1) KR101683932B1 (ko)
CN (1) CN102342047B (ko)
AU (1) AU2010219499A1 (ko)
BR (1) BRPI1007974A2 (ko)
FR (1) FR2942925A1 (ko)
HK (1) HK1163385A1 (ko)
WO (1) WO2010100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9000A1 (en) * 2011-10-11 2013-04-11 Broadcom Corporation Beamforming training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a directional antenna
KR101989250B1 (ko) * 2017-12-19 2019-06-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 d2d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
US10840596B2 (en) * 2018-05-22 2020-11-17 Plume Design, Inc. Tunable antenna system for Bluetooth and Wi-Fi bands with electronically-reconfigurable and mechanically-identical antenn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340A1 (en) * 2003-06-19 2005-03-24 Ipr Licensing, Inc. Antenna steering for an access point based upon spatial diversity
US20070152903A1 (en) 2005-12-30 2007-07-05 Micro Mobio Printed circuit board based smart antenna
US20080233888A1 (en) * 2007-03-23 2008-09-25 Saliga Stephen V Multi-band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3018B2 (ja) * 1989-09-19 1998-04-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式
US5761619A (en) * 1995-03-23 1998-06-02 Telefoanktiebolaget Lm Ericsson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515635B2 (en) * 2000-09-22 2003-02-04 Tantivy Communications, Inc. Adaptive antenna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3946987B2 (ja) * 2001-11-28 2007-07-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バンド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US6640087B2 (en) * 2001-12-12 2003-10-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ervice efficacy in an ad-hoc mesh network
JP2003332971A (ja) * 2002-05-09 2003-11-21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通信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0488091C (zh) * 2003-10-29 2009-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于cdma系统中的固定波束成形装置及其方法
UA91506C2 (ru) * 2004-06-16 2010-08-10 Конинкли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Распределенное резервирование ресурсов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произвольной структуры
JP4762735B2 (ja) * 2005-02-16 2011-08-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通信経路制御装置、通信経路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4774791B2 (ja) * 2005-04-06 2011-09-14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周波モジュール
US8102868B2 (en) 2006-01-05 2012-01-24 Folusha Forte B.V., Llc Interleaved and directional wireless mesh network
US8089881B2 (en) * 2006-03-03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pectrum use efficiency in a mesh network
US20080003948A1 (en) * 2006-06-29 2008-01-03 Patrick Mitran Calibration systems and techniques for distributed beamforming
US8964634B2 (en) * 2009-02-06 2015-02-24 Sony Corporation Wireless home mesh network bridging adap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340A1 (en) * 2003-06-19 2005-03-24 Ipr Licensing, Inc. Antenna steering for an access point based upon spatial diversity
US20070152903A1 (en) 2005-12-30 2007-07-05 Micro Mobio Printed circuit board based smart antenna
US20080233888A1 (en) * 2007-03-23 2008-09-25 Saliga Stephen V Multi-band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84A (ko) 2011-12-01
HK1163385A1 (en) 2012-09-07
AU2010219499A1 (en) 2011-09-08
JP2012519991A (ja) 2012-08-30
CN102342047A (zh) 2012-02-01
WO2010100364A1 (fr) 2010-09-10
BRPI1007974A2 (pt) 2016-09-13
EP2404395B1 (fr) 2017-02-08
US20110312276A1 (en) 2011-12-22
EP2404395A1 (fr) 2012-01-11
FR2942925A1 (fr) 2010-09-10
CN102342047B (zh)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ayama et al. Wireless data center networking with steered-beam mmwave links
Singh et al. Distributed coordination with deaf neighbors: efficient medium access for 60 GHz mesh networks
US2018020620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US7215928B2 (en) Path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040162115A1 (en) Wireless antennas, networks, methods, software, and services
Subramanian et al. Addressing deafness and hidden terminal problem in directional antenna based wireless multi-hop networks
CN105027460A (zh) 用于室内无线局域网的智能天线平台
US20110317625A1 (en) Antenna Diversity
EP3432632B1 (e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US8027315B2 (en) Antenna diversity
Vilzmann et al. A survey on MAC protocols for ad hoc networks with directional antennas
EP3322105B1 (en) Beam training method and device for multi-user scenario
JP2008113450A (ja) 無線通信用アダプティブアレイ及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683932B1 (ko) 멀티-섹터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메시 네트워크 단말
Song et al. A survey of single and multi-hop link schedulers for mmWave wireless systems
US11923613B2 (en) Fixed wireless systems and methods incorporating a beam steering antenna
Choudhury et al. Mac-layer capture: A problem in wireless mesh networks using beamforming antennas
JP2003069469A (ja) 無線通信用アダプティブアレイ及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Mahmud et al. Two-dimensional cooperation-based asynchronous multichannel directional MAC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s
CN110100468A (zh) 接入点设备及通信方法
Cirullo et al. A solution to network protocol issues for directional ad-hoc networks through topology control and a multiple-radio-per-node architecture
Kubisch et al. A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ultiple selectable, fixed-orientation antennas
Coyle et al. On MANET design using Directional Antennas
Man et al. Video transport over multi hop directional wireless networks
Bhusal et al. A coordinated multiband MAC protocol for energy-efficient multi-Gbps wireless 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