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10B1 -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10B1
KR101683910B1 KR1020100115131A KR20100115131A KR101683910B1 KR 101683910 B1 KR101683910 B1 KR 101683910B1 KR 1020100115131 A KR1020100115131 A KR 1020100115131A KR 20100115131 A KR20100115131 A KR 20100115131A KR 101683910 B1 KR101683910 B1 KR 10168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nnel information
frequency
tuner
tu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817A (ko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9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는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1 튜너부,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2 튜너부,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턴 온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면 턴 온하고,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Apparatus for Dual Tuner and thereby Method}
실시 예는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1개의 MPEG Decoder에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1개의 튜너가 필요하며 2개의 MPEG Decoder에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2개의 튜너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PVR 혹은 PIP 등 한 제품에 두 개의 튜너가 들어 있는 경우 2개의 튜너를 모두 사용해야 하며, 따라서 한 제품에 1개의 튜너가 있는 경우보다 2배의 전원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튜너부에 공급되는 제1 채널정보와 제2 튜너부에 공급되는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제1 튜너부 또는 제2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는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1 튜너부,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2 튜너부,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턴 온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면 턴 온하고,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제1 튜너부를 통해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를 입력받고, 제2 튜너부를 통해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를 입력받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면 제1 튜너부 또는 제2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 중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지 아니한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비교하는 단계,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제1 튜너부에 배치된 제1 주파수부 또는 제2 튜너부에 배치된 제2 주파수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제1 주파수부와 제2 주파수부를 연결하는 단계, 제1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튜너부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채널정보는 제1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채널정보는 제2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제1 튜너부에 공급되는 제1 채널정보와 제2 튜너부에 공급되는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제1 튜너부 또는 제2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제1 튜너부 또는 제2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튜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튜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는 제1 튜너부(110), 제2 튜너부(120), 제1 스위칭부(130) 및 제2 스위칭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제1 튜너부(110)는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TS1)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튜너부(110)는 제1 주파수부(111)와 제1 복조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제1 주파수는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를 동조하는 것이다.
제1 복조부(112)는 제1 주파수로부터 제1 채널정보(TS1)를 제공받아 제1 채널정보(TS1)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복조부(112)는 영상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0)가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튜너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2 튜너부(120)는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TS2)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튜너부(120)는 제2 주파수부(121)와 제2 복조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제2 주파수부(121)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를 동조하는 것이다.
제2 복조부(122)는 제2 주파수로부터 제2 채널정보(TS2)를 제공받아 제2 채널정보(TS2)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복조부(122)는 영상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60)가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부(160)는 제2 튜너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1 스위칭부(130)는 제1 튜너부(110) 및 제2 튜너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가 동일하면 턴 온(Turn on)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Turn off)하는 것이다.
즉, 제1 스위칭부(130)는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가 동일하면 턴 온(Turn on)하여 제1 주파수부(111)와 제2 주파수부(12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Turn off)하여 제1 주파수부(111)와 제2 주파수부(121)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1 스위칭부(130)의 일단은 제1 주파수부(111)와 제1 복조부(1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위칭부(130)의 타단은 제2 주파수부(121)와 제2 복조부(1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부(130)가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함으로써, 제1 주파수부(111)와 제2 주파수부(121)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스위칭부(130)가 턴 온(Turn on)되면 제1 주파수부(111) 또는 제2 주파수부(121)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는 다르지만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스위칭부(130)가 턴 온(Turn on)되어 제1 복조부(112)와 제2 복조부(122)는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를 공용하거나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를 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복조부(112)와 제2 복조부(122)는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 또는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주파수부(111) 또는 제2 주파수부(121)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주파수부(111) 또는 제2 주파수부(121)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시킴으로써, 전원의 소모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스위칭부(140)는 제1 튜너부(110) 및 제2 튜너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를 비교하여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가 동일하면 턴 온(Turn on)하고,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Turn off)하는 것이다.
즉, 제2 스위칭부(140)는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가 동일하면 턴 온(Turn on)하여 제1 튜너부(110)와 제2 튜너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Turn off)하여 제1 튜너부(110)와 제2 튜너부(12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2 스위칭부(140)의 일단은 제1 복조부(112)와 제1 디스플레이부(15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칭부(140)의 타단은 제2 복조부(122)와 제2 디스플레이부(1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부(140)가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함으로써, 제1 튜너부(110)와 제2 튜너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스위칭부(140)가 턴 온(Turn on)되면 제1 튜너부(110) 또는 제2 튜너부(120)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제1 채널정보(TS1)와 제2 채널정보(TS2)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스위칭부(140)가 턴 온(Turn on)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150)와 제2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채널정보(TS1)를 공용하거나 제2 채널정보(TS2)를 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0)와 제2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채널정보(TS1) 또는 제2 채널정보(TS2)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튜너부(110) 또는 제2 튜너부(120)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튜너부(110) 또는 제2 튜너부(120)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시킴으로써, 전원의 소모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스위칭부(140)가 턴 온(Turn on)되면 제1 스위칭부(130)는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이다. 이는 제1 채널정보(TS1)에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가 포함되고 제2 채널정보(TS2)에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즉, 제2 스위칭부(140)가 턴 온(Turn on)되면 제1 채널정보(TS1) 또는 제2 채널정보(TS2)를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스위칭부(130)를 턴 온(Turn on)하여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IF1) 또는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IF2)를 중첩하여 전원을 낭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듀얼 튜너 장치의 동작 방법을 블록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1 튜너부를 통해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를 입력받고, 제2 튜너부를 통해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를 입력받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면 제1 튜너부 또는 제2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 중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지 아니한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비교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제1 튜너부에 배치된 제1 주파수부 또는 제2 튜너부에 배치된 제2 주파수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주파수부와 제2 주파수부를 연결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튜너부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인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채널정보는 제1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채널정보는 제2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튜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튜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튜너부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를 제1 튜너부로 입력받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2 튜너부는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후, 제1 튜너부는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면 제1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제1 튜너부에 배치되는 제1 주파수부와 제1 복조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는 제1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제1 채널정보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제2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제2 채널정보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제2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제1 채널정보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제1 채널정보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제2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함으로써 전원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후,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채널정보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와 같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스위칭부가 턴 온되어 제1 튜너부와 제2 튜너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튜너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면 AGC 전압이 0V가 될 수 있다.
이후, 제2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즉,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 중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지 아니한 제2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제1 튜너부에 배치된 제1 주파수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는 다르지만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주파수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제2 주파수부를 통해 제1 복조부와 제2 복조부에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주파수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제2 주파수부를 통해 제1 복조부와 제2 복조부에 제공함으로써 전원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후, 제1 주파수부와 제2 주파수부를 연결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제1 복조부 및 제2 복조부와 같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스위칭부가 턴 온되어 제1 주파수부와 제2 주파수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 주파수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1 튜너부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튜너부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즉, 제1 튜너부와 제2 튜너부는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만 같고, 제1 채널정보와 제2 채널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만 함께 사용하고, 제1 튜너부가 제1 디스플레이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튜너부가 제2 디스플레이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후,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채널정보는 제1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채널정보는 제2 튜너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즉, 제1 튜너부에 공급되는 제1 채널정보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튜너부에 공급되는 제2 채널정보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튜너부와 제2 튜너부는 각자 영상신호를 복조하고 출력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채널정보 및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제2 채널정보 및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제1 튜너부 및 제2 튜너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AGC 전압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0.8V 이상 2.2V 이하가 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튜너부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 튜너부에 대한 동작설명은 도 3에 도시된 제1 튜너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이다. 즉, 도 3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1 튜너부 111 : 제1 주파수부
112 : 제1 복조부 120 : 제2 튜너부
121 : 제2 주파수부 122 : 제2 복조부
130 : 제1 스위칭부 140 : 제2 스위칭부
150 : 제1 디스플레이부 160 : 제2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1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1 튜너부;
    상기 제1 방송신호 출력부와 다른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2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2 튜너부;
    상기 제1 튜너부 및 상기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상기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상기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턴 온하고, 상기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와 상기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1 튜너부 및 상기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채널정보와 상기 제2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채널정보와 상기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면 턴 온하고, 상기 제1 채널정보와 상기 제2 채널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턴 오프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튜너부는
    상기 제1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동조하는 제1 주파수부;와
    상기 제1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1 채널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1 복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튜너부는
    상기 제2 방송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 채널정보의 주파수를 동조하는 제2 주파수부;와
    상기 제2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2 채널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복조시켜 출력하는 제2 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주파수부와 상기 제1 복조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부의 타단은 상기 제2 주파수부와 상기 제2 복조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 튜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채널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복조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타단은 상기 제2 복조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는 턴 오프되는 듀얼 튜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 주파수부 또는 상기 제2 주파수부가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듀얼 튜너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 튜너부 또는 상기 제2 튜너부가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듀얼 튜너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00115131A 2010-11-18 2010-11-18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8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131A KR101683910B1 (ko) 2010-11-18 2010-11-18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131A KR101683910B1 (ko) 2010-11-18 2010-11-18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817A KR20120053817A (ko) 2012-05-29
KR101683910B1 true KR101683910B1 (ko) 2016-12-07

Family

ID=4626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131A KR101683910B1 (ko) 2010-11-18 2010-11-18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9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302A (ja) * 2001-10-15 2003-04-25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及び選局復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772A (ko) * 2007-07-10 2009-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튜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302A (ja) * 2001-10-15 2003-04-25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及び選局復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817A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1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th video and network channels
JP2008227677A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KR102277668B1 (ko)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762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Connection Type of Dual Tuner
KR101683910B1 (ko) 듀얼 튜너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4410053B2 (ja) 放送受信装置
KR101989301B1 (ko) 전원 오프상태에서 루프 스루 동작하는 셋톱박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37794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US20060264170A1 (en)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KR101220292B1 (ko) 다중 대기모드를 갖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101376812B1 (ko) 2입력 1출력 수신기
KR20010011565A (ko) 절전기능을 갖춘 tv시스템
JP4551876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60006489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KR10074528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4845610B2 (ja) 地上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094643A (ko) 셋탑 박스
KR20050034034A (ko) Dmb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부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00003883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단일 튜너를 이용한 피아이피기능구현장치
KR20000009016U (ko) 양방향 외부단자를 구비한 텔레비전
JP2012080429A (ja) 放送受信装置
KR19990012836U (ko) 특정방송의 종영시 자동으로 서치 및 오프되는 다화면 텔레비전
KR20090106696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25248A (ko) 영상 기기의 채널 절환 장치 및 방법
KR19980066761A (ko) 티브이(tv) 자동 채널변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