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62B1 - Disposer of food waste - Google Patents
Disposer of food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3862B1 KR101683862B1 KR1020140076083A KR20140076083A KR101683862B1 KR 101683862 B1 KR101683862 B1 KR 101683862B1 KR 1020140076083 A KR1020140076083 A KR 1020140076083A KR 20140076083 A KR20140076083 A KR 20140076083A KR 101683862 B1 KR101683862 B1 KR 101683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waste
- tank
- fermentation tank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4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92 echocard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7 li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1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adsorption ste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를 개시한다.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발효되는 쓰레기발효조와,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에 따라 발생하는 쓰레기발효조의 습한공기를 흡입하도록 쓰레기발효조와 결합되는 하우징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습한공기가 제습되도록 습한공기와 냉각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재와,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의 열교환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어 냉각공기를 열교환부재로 공급하는 열교환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ood garbage disposal facility. The disclosed food garbage disposal facility includes a garbage fermentation tank into which food garbage is introduced and fermented, a housing coupled with the garbage fermentation tank to absorb humid air from the garbage fermentation tank caused by the fermentation of food garbage, A heat exchange memb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the cooling air; and a heat exchange expans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ly the cooling air to the heat exchange member so that the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is incr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교반하는 교반부의 내부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처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먹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가 매일 배출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짧은 시간에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이 빠르게 번식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In general, food waste left in homes and restaurants is discharged daily. Such food garbage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which causes spoilage in a short time, causing odor and causing bacteria to multiply rapidly.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생활쓰레기 중 3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배출되는 양이 매우 많으며, 그 처리가 매우 어렵다. 통상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지에 매립 처리하거나 소각 처리하였으나, 매립지가 제한되고 매립 및 소각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한 연구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Especially, the amount of food garbage is so large as to occupy more than 30% of the household garbage, and the treatment is very difficult. In general, food waste is buried in landfill or incinerated. However, as the landfill is limited and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arise due to landfill and incineration, studies for treating food waste are proceeding in various forms.
최근까지도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으나,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수거함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방법 이외에는 아직까지 특별한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Until recently, although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treat food waste more hygienically, there is no specific method other than collection of most food waste using a separate collection box.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처리하여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는 하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및 부숙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음폐수 등과 같은 2차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 2차 오염물질을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Recently, food waste has been fermented and recycled as compost. However, there is a lot of odor in the process of fermentation and composting of food waste, a large amount of secondary pollutants such as waste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treat secondary pollutants.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풍 및 단열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외면의 마모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고,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레이트가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롤 타입 단열셔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roll type heat insulating shutter which can prevent the wear and scratch of the outer surfac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발효되는 쓰레기발효조;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쓰레기발효조의 습한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쓰레기발효조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습한공기가 제습되도록 상기 습한공기와 냉각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재; 및 상기 습한공기와 상기 냉각공기의 열교환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공기를 상기 열교환부재로 공급하는 열교환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garbage fermentation tank into which food waste is charged and fermented; A housing coupled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for absorbing moist air of the waste fermentation tank caused by fermentation of food waste; A heat exchange memb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so that the humid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is dehumidified; And a heat exchange expans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ly the cooling air to the heat exchange member so that a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is increased.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쓰레기발효조와 연결되어 상기 습한공기를 유입하는 습한공기유입구; 상기 열교환부재를 통해 제습되는 건조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공기배출구; 상기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냉각공기유입구; 및 상기 쓰레기발효조와 연결되며, 상기 습한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는 가열공기를 상기 쓰레기발효조로 배출하는 가열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humid air inlet connected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to introduce the humid air; A dry air outlet for discharging dry air to be dehumidified through the heat exchange member; A cooling air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air flows; And a heated air outlet connected to the refuse tank for discharging heated air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humid air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건조공기가 공냉되어 상기 냉각공기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상기 건조공기배출구와 상기 가열공기배출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ying air outlet and the heated air outlet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dry air discharged from the dry air outlet is air-cooled and flows into the cooling air inlet.
또한, 상기 열교환확장부는, 상기 습한공기와 상기 냉각공기가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냉각공기가 상기 열교환부재에 구비되는 복수의 냉각공기이송유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냉각공기분할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eat exchange expansion unit may include: a partition member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o that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are transferred to the respective compartmented spaces; And a cooling air splitting and supply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cooling ai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cooling air transfer paths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 member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열교환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외면에 상기 습한공기가 접촉되고, 내부로 상기 냉각공기가 이송되는 열교환파이프; 및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습한공기의 채류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공기유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exchang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members inside the housing, the humid air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member, and the cooling air being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 pipe; And an air induction plate for dividing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increase a time of accumulation of the humid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또한, 상기 발효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쓰레기발효조로 공급되는 공기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rmentation air circu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xygen generator provid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oxygen to supply oxygen to the air supplied from the housing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또한, 상기 발효공기순환장치는, 상기 쓰레기발효조의 내부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강제흡입하는 공기강제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rmentation air circu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ir forced circulation unit for forcedly sucking the inner air of the waste fermentation tank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집수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며, 하면이 상기 배수밸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drain valve for discharging water to be collected therein,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rain val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롤 타입 단열셔터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내면에 단열부재가 부착되므로, 방풍 및 단열성이 향상되고, 롤업될 때 단열부재가 외면과 접촉하게 되어 외면의 마모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며, 슬레이트가 한 반향으로만 회전되어 흔들림이나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type heat-insulating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t insulating memb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roll type heat insulating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improving the wind and heat insulating property. Scratches, and the like, and the slate can be rotated only by one echo to reduce shaking or tremb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이물질제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성숙조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와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고정부재와 지지봉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와 발효공기순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공기순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평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제습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제습기를 도시한 도 20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공기냉각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공기냉각기를 도시한 도 2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의 공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3 is a side view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particle rem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ash matur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te fermenter and a stir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te ferm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g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r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im fixing member and a support bar fasten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15.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te fermentation tank and a fermentation ai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ermented ai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 exchange and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0 showing a heat exchange and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 air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n end view of FIG. 22 showing a dry air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n air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air flow of a food waste dispos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롤 타입 단열셔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liding roll type heat insulating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이물질제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lan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te foreign material remover. FIG.
또한,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쓰레기이물질제거기(10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숙성발효기(200)로 이송되어 숙성 및 발효처리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쓰레기숙성발효기(20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숙성조(210)에서 숙성된 후, 쓰레기발효조(220)로 투입되어 발효처리된다.As shown in FIGS. 1 to 8,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arbage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 is removed from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쓰레기이물질제거기(100)에서 비닐 등과 같은 부패하지 않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쓰레기숙성조(210)로 투입된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ermentation effect of the food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non-perishable foreign substances such as vinyl are removed from the waste foreign
쓰레기이물질제거기(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분리부(120)와,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이물질이 제거된 쓰레기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40)와, 이물질분리부(1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150)와, 제1 컨베이어(14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쓰레기저장조(160)를 더 포함한다.The trash
더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음식물 쓰레기가 본체(110)로 투입되기 전에 탈수기(도시생략)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며, 쓰레기저장조(16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스크류 이송방식을 통해 쓰레기숙성조(210)로 이송되어 처리된다.In addition, the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removes moisture by a dehydrator (not shown) before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본체(110)는 설치구조물에 힌지결합되며, 기울기조절부(130)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이물질분리부(120)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호퍼(111)를 구비하고, 이물질분리부(1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제2 컨베이어(150)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타단부에 배출가이드부재(113)를 구비한다. 이때, 호퍼(111)는 일단부가 이물질분리부(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는 호퍼(111)를 통해 이물질분리부(12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물질분리부(12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본체(110)는 이물질분리부(12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1 컨베이어(140)로 이송하는 쓰레기이송부(11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쓰레기이송부(11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이송설치부(110a)가 연장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본체(110)는 쓰레기이송부(115)가 컨베이어에 의해 형성되고, 이송설치부(110a)의 단부에 제1 컨베이어(140)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부가 형성된다. 쓰레기배출홀부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 컨베이어(140)로 투하된다.The
이물질분리부(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드럼(121)과, 이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커팅부(123)와, 회전드럼(1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물질분리부(120)는 본체(110)에 의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21)의 회전을 통해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면서 절단한다. 즉, 이물질분리부(120)는 회전드럼(121)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여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드럼(121)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회전드럼(121)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배출가이드부(113)로 배출시킨다.The foreign
회전드럼(121)은 커팅부(123)에 의해 잘게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이송부(115)로 배출되도록 쓰레기배출공(121a)이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회전드럼(121)은 회전축을 통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부재(121b)가 양단부 내면에 각각 구비된다. 더하여, 회전드럼(121)은 호퍼(111)의 하단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축결합부재(121a)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또한, 회전드럼(121)은 회전에 의해 특정크기 이하로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배출공(121a)을 통해 쓰레기이송부(115)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커팅부(123)는 회전드럼(121)의 내부에 탈착되며, 회전드럼(121)에 의해 회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커팅한다. 이러한, 커팅부(123)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커팅날(123a)과, 이 커팅날(123a)과 접합되어 회전드럼(121)의 내면에 결합되는 탈착판(123b)과, 이 탈착판(123b)을 회전드럼(121)에 고정하기 위한 탈착부재(123c)를 포함한다.The cutting
커팅날(123a)은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삼각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커팅날(123a)은 용접을 통해 탈착판(123b)과 접합된다. 탈착판(123b)은 탈착부재(123c)가 관통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된다.The
탈착부재(123c)는 회전드럼(121) 및 탈착판(123b)을 관통하는 볼트와, 이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다.The
기울기조절부(130)는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10)와 결합되어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기울기조절부(130)는 본체(11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31)와, 이 지지부재(131)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33)와, 이 볼트부재(133)에 접합되어 설치구조물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재(135)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부재(135)에는 공구를 체결하여 볼트부재(1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파지부(135a)가 형성된다.The
지지부재(131)는 볼트부재(133)가 회전을 통해 승강될 때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The
볼트부재(133)는 하단부가 베이스부재(135)에 접합되고, 상단부가 지지부재(131)에 체결되며, 베이스부재(13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지지부재(131)에서 승강된다.The low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조절부(130)는 본체(1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The
한편, 제1 컨베이어(140)는 본체(110) 및 제2 컨베이어(15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저장조(160)로 이송한다.The
제2 컨베이어(150)는 회전드럼(1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공급된다. 제2 컨베이어(150)로 공급되는 이물질은 작업자에 의해 완전하게 분리처리되고,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만이 제1 컨베이어(140)로 투하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컨베이어(150)는 제1 컨베이어(140)의 상측에 위치하며, 그 길이가 제1 컨베이어(14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또한, 구동부(125)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드럼(121)과 연결되는 감속기가 본체(110)에 고정되고, 감속기에 정역모터가 설치되어 회전드럼(121)을 정역회전시킨다.The driv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는 본체(110)의 호퍼(111)를 통해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드럼(121)의 회전을 통해 회전드럼(121)에서 이송되면서 커팅날(123a)에 의해 절단된다.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ood waste put into the
이때, 쓰레기배출공(121a)보다 작게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배출공(121a)을 통해 쓰레기이송부(115)로 이탈되며, 비닐이나 뼈 등과 같은 이물질은 커팅날(123a)에 의해 절단되지 않고 회전드럼(121)의 내부에서 계속 이송되어 배출가이드부(113)를 통해 제2 컨베이어(150)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food waste that is cut smaller than the
그리고, 제2 컨베이어(150)로 배출되어 이송되는 이물질은 작업자에 의해 비닐과 같은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고, 뼈 등과 같이 썩을 수 있는 이물질은 제1 컨베이어(140)로 투하된다.The foreign matter, such as vinyl,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to the
특히,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와 양에 따라 기울기조절부(130)에 의해 본체(110)의 기울기가 조절된다. 즉, 본체(110)의 기울기가 크면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가 빨라져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본체(110)의 기울기가 작으면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가 늦어져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tilt of the
이와 같이, 쓰레기이물질제거기(100)에서 이물질이 분리되어 쓰레기저장조(160)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류 이송방식을 통해 쓰레기숙성발효기(200)로 이송되어 숙성 및 발효처리된다. 이를 도 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ood waste separated from the wast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성숙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와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te fermenter and a stir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te ferm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숙성발효기(200)는 쓰레기저장조(160)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숙성하여 숙성 및 발효처리한다. 이러한, 쓰레기숙성발효기(200)는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숙성하고, 여러 단계의 발효 과정을 퇴비화 시킨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숙성발효기(2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숙성하기 위한 쓰레기숙성조(210)와, 이 쓰레기숙성조(210)로부터 음식물 쓰레가 공급되며,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하는 쓰레기발효조(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9 to 12, the
또한, 쓰레기숙성발효기(200)는 숙성 및 발효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숙성 및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쓰레기숙성조(210) 및 쓰레기발효조(220)에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230)가 각각 설치된다.The
이러한, 쓰레기숙성발효기(200)는 하나의 쓰레기숙성조(210)에 2개 이상의 쓰레기발효조(220)가 병렬로 연결되며, 쓰레기숙성조(210)에서 숙성된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발효조(220)로 동시에 공급되어 발효처리된다. 이때, 쓰레기발효조(220)는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다단으로 설치된다.In the
쓰레기숙성조(210)는 쓰레기저장조(16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가 스크류방식을 통해 투입되며,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기(230)에 의해 교반되면서 숙성된다. 이러한, 쓰레기숙성조(2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숙성탱크(211)와, 이 숙성탱크(21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탱크분할부(213)를 포함한다.In the
이때, 쓰레기숙성조(210)는 음식물 쓰레기의 원활한 숙성을 위하여 발효미생물이 투입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쓰레기숙성조(210)는 숙성탱크(211)에 교반기(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탱크분할부(213)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이는 교반기(230)에 의해 교반되면서 숙성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이 원활하게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하여, 쓰레기숙성조(210)에 병렬로 연결된 모든 쓰레기발효조(220)로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한 양으로 동시에 공급되므로, 모든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가 균일하게 진행된다.The
숙성탱크(211)는 후면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211a)가 형성되고, 전면에 숙성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211b)가 형성된다. 숙성탱크(211)의 배출구(211b)는 연결부재(240)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와 연결된다.The aging
또한, 숙성탱크(211)는 음식물 쓰레기를 숙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다습한 습한공기를 외부의 발효공기순환장치(300)로 배출시키기 위한 내부공기배출구(21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숙성탱크(211)는 발효공기순환장치(300)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습공기유입구(211d)가 형성된다. 이때, 숙성탱크(211)는 내부공기가 발효공기순환장치(200)에 의해 원활하게 순환되면서 제습될 수 있도록 내부공기배출구(211c) 및 제습공기유입구(211d)가 상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숙성탱크(211)는 내부공기배출구(211c) 및 제습공기유입구(211d)가 복수개 형성되며, 복수의 내부공기배출구(211c) 및 제습공기유입구(211d)가 연통케이스(211e)에 의해 커버된다. 연통케이스(211e)는 배관을 통해 발효공기순환장치(300)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aging
또한, 숙성탱크(211)는 탱크분할부(213)에 의해 내부가 3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10일 내지 13일 정도 숙성된 후, 쓰레기발효조(220)로 투입된다. 더하여, 숙성탱크(211)는 탱크덮개(215)에 의해 밀폐되고, 탱크덮개(215)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숙성조확인도어(215a)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aging
탱크분할부(213)는 판형태를 가지며, 2개가 숙성탱크(211)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숙성탱크(211)를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탱크분할부(213)는 그 외면이 숙성탱크(211)에 용접을 통해 접합되고, 중앙부에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위한 개구부(213a)가 형성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쓰레기숙성조(210)는 교반기(230) 및 탱크분할부(213)에 의해 내부에서 숙성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배출구(211b)까지 채워지면 배출구(211b)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숙성조(210)는 배출구(211b)의 높이가 쓰레기발효조(220)의 투입구(22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The
쓰레기발효조(220)는 연결부재(240)를 통해 숙성탱크(211)의 배출구(213a)와 연결되며, 숙성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발효처리된다. The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220)는 쓰레기숙성조(210)에 병렬로 연결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점진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다단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다단으로 배치되는 쓰레기발효조(220)는 연결부재(24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쓰레기발효조(220)에서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쓰레기발효조(220)로 이송되면서 발효처리된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쓰레기발효조(220)는 그 크기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는데, 이는 단계적으로 발효처리됨에 부피가 점차 감소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적정한 용량으로 수용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모든 쓰레기발효조(22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다습한 습한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발효공기순환장치(30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쓰레기발효조(220)는 내부에서 발효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됨과 동시에 발효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발효공기순환장치(300)에 의해 내부 온도가 50 ~ 60도씨로 유지된다.The fermentation
이와 같은, 쓰레기발효조(22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발효되는 발효탱크(221)와, 이 발효탱크(221)의 내부를 구획하는 탱크격벽부(223)와, 발효탱크(221)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탱크지지부(225)와, 교반기(230)의 탈착을 위한 탈부착설치부(227)를 포함한다.The
발효탱크(221)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 및 배출되는 투입구(221a) 및 배출구(221b)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발효탱크(221)는 내부의 발효공간이 탱크격벽부(223)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투입구(211a)가 연결부재(240)를 통해 쓰레기숙성조(210)의 배출구(211b)와 연결된다.The
또한, 발효탱크(221)는 내부에서 발효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이와 이웃하는 다른 쓰레기발효조(220)로 이송되도록 투입구(221a)와 배출구(221b)가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즉, 발효탱크(221)는 내부에서 발효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221b)의 높이까지 채워진 후에 배출구(221b)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효탱크(221)의 투입구(221a)와 배출구(221b)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투입구(221a)가 배출구(221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탱크(221)는 탱크커버(221c)에 의해 밀폐되고, 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탱크커버(221c)에 발효조확인도어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탱크격벽부(223)는 교반기(230)에 의해 발효탱크(221)에서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됨은 물론 발효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탱크(221)의 투입구(221a)에서 배출구(221b)로 천천히 이동시키게 된다.The surface of the food waste which is stirred in the
이를 위하여, 탱크격벽부(223)는 발효탱크(221)에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접합되고, 상단부에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위한 관통부(223a)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탱크격벽부(223)는 발효탱크(221)에 이격되게 2개가 설치되어 발효탱크(221)의 발효공간을 제1 발효공간(220a), 제2 발효공간(220b) 및 제3 발효공간(220c)로 분할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투입구(221a)를 통해 발효탱크(221)의 제1 발효공간(220a)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관통부(223a)까지 채워지면서 발효처리된 후, 관통부(223a)를 통해 제2 발효공간(220b)으로 이송되어 계속하여 발효처리된다. 즉, 탱크격벽부(223)에 의해 분할되는 쓰레기발효조(220)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제1 발효공간(220a)에서 제3 발효공간(220c)까지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발효처리된다.To this end, two or more tank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쓰레기발효조(22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 발효공간(220a), 제2 발효공간(220b) 및 제3 발효공간(220c)을 따라 저속으로 이동되면서 10일 내지 15일 동안 발효처리된 후 배출된다. 이때, 쓰레기발효조(22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처리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용량에 맞게 적정하게 투입되어야 한다.For example, the food waste put into one of the
한편, 발효탱크(221)는 탱크지지부(225)에 의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안정되게 설치됨은 물론 설치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된다. 이를 통해 2개 이상의 발효탱크(221)를 다단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하여, 탱크지지부(225)는, 발효탱크(221)의 하면에 결합되는 탱크안착부재(225a)와, 이 탱크안착부재(225a)와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판부재(225b)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판부재(225b)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된다.The
탱크안착부재(225a)는 발효탱크(221)를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탱크지지부(225)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지지판부재(225b)와 접합된다. 이러한, 탱크안착부재(225a)는 발효탱크(211) 및 지지판부재(225b)와 용접방식에 의해 접합된다.The
지지판부재(225b)는 발효탱크(221)의 설치높이에 따라 적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지지판부재(225b)를 절단사용하여 발효탱크(221)의 설치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하게 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탱크지지부(225)는 탱크안착부재(225a)와 지지판부재(225b)가 각각 형성되어 접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220)는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을 위한 교반기(230)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발효탱크(221) 및 탱크격벽부(223)에 탈부착설치부(227)가 각각 구비된다. 이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에 교반기(2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교반기(23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탈부착설치부(227)는 교반기(230)가 발효탱크(221) 및 탱크격벽부(223)에 각각 형성되는 설치장공(227a)과, 이 설치장공(227a)으로 삽입된 교반기(230)의 이탈을 방지히는 이탈방지판(227b)을 포함한다. 이러한, 탈부착설치부(227)는 설치장공(227a)으로 교반기(230)가 삽입 또는 이탈되고, 설치장공(227a)의 상단부가 이탈방지판(227b)의 결합을 통해 커버된다. 이때, 이탈방지판(227b)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발효탱크(221) 및 탱크격벽부(223)에 탈착된다.The attaching / detaching
교반기(230)는 쓰레기숙성조(210) 및 쓰레기발효조(220)에 각각 설치되어 숙성 또는 발효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230)를 도 10, 도 11,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고정부재와 지지봉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단면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g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ir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1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5. FIG.
도 10, 도 11,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230)는 쓰레기숙성조(210) 및 쓰레기발효조(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40)과, 이 회전축(240)에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유닛(250)과, 회전축(240)을 구동하는 구동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교반기(230)의 회전축(240)은 통해 쓰레기숙성조(210)의 설치공 및 쓰레기발효조(220)의 설치장공(227a)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10, 11, and 13 to 16, the
또한, 교반기(230)는 탱크분할부(213) 및 탱크격벽부(223)에 의해 그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는 숙성탱크(211) 및 발효탱크(221)에 용이하게 설치됨은 물론 교반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교반유닛(250)이 회전축(240)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를 통해, 교반기(230)는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숙성 및 발효처리되는 쓰레기의 수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230)는 회전축(240)이 분당 3 내지 5회 회전할 수 있다.In the
교반유닛(250)은 숙성탱크(211) 및 발효탱크(221)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되며, 회전축(240)과 함께회전하면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된 숙성탱크(211) 및 발효탱크(221)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교반유닛(250)은 회전축(240)과 결합되는 축결합부(251)와, 이 회전축(240)과 수평을 이루도록 축결합부(251)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교반부재(253)를 포함한다. 이때, 교반부재(253)는 회전축(2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The stirring
축결합부(251)는 회전축(240)과 결합되는 림부재(251a)와, 이 림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봉부재(251b)와, 교반부재(253)를 접할 수 있도록 지지봉부재(251b)에 결합되는 링부재(251c)를 포함한다. 또한, 축결합부(251)는 회전축(240)에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림부재(251a)와 회전축(240)이 림고정부재(255)에 의해 탈착되고, 림부재(251a)와 지지봉부재(251b)가 지지봉체결부재(257)에 의해 탈착된다.The shaft coupling portion 251 includes a
림고정부재(255)는 회전축(240)에서 림부재(251a)의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림부재(251a)에 형성되는 체결공(255a)과, 이 체결공(255a)에 체결되어 회전축(240)에 밀착되는 볼트부재(255b)를 포함한다. 또한, 림고정부재(255)는 볼트부재(255b)에 의해 회전축(240)에 결합되는 림부재(251a)의 유동이 완전하게 방지되도록 회전축(240)의 외면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유동방지홈부(255c)를 더 포함한다.The
이러한, 림고정부재(255)를 통해 회전축(240)에 결합되는 림부재(251a)의 위치를 교반부재(253)의 길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축(240)에 결합된 림부재(251a)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지지봉체결부재(257)는 림부재(251a)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57a)와, 이 암나사부(257a)에 결합되도록 지지봉부재(251b)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57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봉체결부재(257)를 이용하여 지지봉부재(251b)를 림부재(251a)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The suppor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220)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에 따라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습한공기가 발효공기순환장치(300)로 강제흡입되어 처리된 후 다시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220)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내부 공기가 발효공기순환장치(300)로 강제흡입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식물 쓰레기 발효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악취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the food waste is fermented, the humid air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generated in the
또한, 쓰레기발효조(220)는 발효공기순환장치(300)를 통해 가열된 건조공기가 유입되므로, 내부의 발효온도 및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y air heated by the ferment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공기순환장치(300)는 쓰레기발효조(220)의 배출구(221b)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켜 제습한 후, 쓰레기발효조(220)의 투입구(221a)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ermenta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발효조와 발효공기순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공기순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단면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ermented ai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ermented air cir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제습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제습기를 도시한 도 2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공기냉각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공기냉각기를 도시한 도 22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의 공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흐름도이다.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 exchange and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0 showing a heat exchange and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2 showing a dry air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y air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ir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air flow of the waste disposal facility.
도 17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공기순환장치(300)는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공기인 습한공기를 흡입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제습기(300a)와, 이 열교환제습기(300a)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하여 열교환제습기(300a)로 공급하는 건조공기냉각기(300b)를 포함한다.17 to 24, the fermentation
이러한, 발효공기순환장치(300)는 쓰레기발효조(220)에서 발생하는 습한공기와, 건조공기냉각기(300b)에서 냉각된 냉각공기를 열교환제습기(300a)에서 열교환시켜 습한공기(고온다습)의 습기를 게거한다. 또한, 발효공기순환장치(300)는 건조공기냉각기(300b)에서 냉각된 냉각공기를 열교환제습기(300a)에서 습한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여 쓰레기발효조(220)로 공급한다. 이로 인하여,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 공기가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게 된다.The fermented
열교환제습기(300a)는 쓰레기발효조(220)의 습한공기와 건조공기냉각기(300b)의 냉각공기를 열교환하여 습한공기를 제습함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가열한다.The heat exchange and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제습기(300a)는 습한공기 및 냉각공기가 각각의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하우징(310)과, 이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는 습한공기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냉각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열교환제습기(300a)는 열교환부(320)가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310)으로 흡입되는 습한공기가 하우징(310)과 열교환부(320)사이로 이송되고, 냉각공기가 열교환부(320)의 내부로 이송하게 된다.For this, the heat exchange and
또한, 열교환제습기(300a)는 쓰레기발효조(220)의 공기를 강제흡입하여 발효공기순환장치(300)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강제순환부(330)와, 하우징(310) 및 열교환부(320)를 순환하는 공기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부(340)를 더 포함한다.The heat exchange and
하우징(310)은 습한공기유입구(311), 건조공기배출구(313), 냉각공기유입구(315) 및 가열공기배출구(317)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310)은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의 열교환에 의해 열교환부(32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수되며, 저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319)를 더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310)은 저수된 응축수가 원활하게 배수밸브(319)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면이 배수밸브(319)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습한공기유입구(311)는 공기강제순환부(330)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에서 강제흡입되는 습한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공기강제순환부(330)는 배관에 의해 습한공기유입구(311) 및 쓰레기발효조(220)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공기강제순환부(330)는 쓰레기발효조(220) 내부의 습한공기를 습한공기유입구(311)를 통해 하우징(310)으로 강제송풍시킨다.The
그리고, 습한공기유입구(311)를 통해 하우징(310)으로 강제흡입되는 습한공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하면서 발생하는 열기와 습기로 인하여 고온다습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humid air forcedly inhaled into the
건조공기배출구(313)는 열교환부(320)를 통해 제습되는 건조공기가 건조공기냉각기(300b)로 이송되도록 배관을 통해 건조공기냉각기(300b)와 연결된다.The
냉각공기유입구(315)는 건조공기냉각기(300b)에서 냉각되는 냉각공기가 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관을 통해 건조공기냉각기(300b)와 연결된다.The cooling
가열공기배출구(317)는 열교환부(3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가열공기가 쓰레기발효조(220)로 공급되도록 배관을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와 연결된다.The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10)은 습한공기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는 습한공기가 하우징(310)의 내부로 이송되면서 열교환부(320)로 이송되는 냉각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따라 습한공기에 함유되는 습기가 응축된다. 그리고, 건조공기배출구(313)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건조공기는 건조공기냉각기(300b)에서 공냉되어 하우징(310)의 냉각공기유입구(315)로 유입된다.The
다시 설명하면, 고온다습한 쓰레기발효조(220)의 습한공기는 하우징(3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이송되면서 열교환부(320)의 내부로 이송하는 냉각공기와 열교환되어 습기가 제거된다. 즉, 쓰레기발효조(220)에서 배출되는 습한공기가 제습됨과 동시에 열교환부(320)의 내부로 이송되는 냉각공기가 가열되어 쓰레기발효조(220)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The humid air of the hot and
열교환부(320)는 습한공기와 냉각공기가 각각의 유로를 통해 이송하도록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열교환부(320)는 습한공기유입구(311)를 통해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는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유입구(315)를 통해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는 건조공기를 열교환시켜 습한공기를 제습함과 동시에 건조공기를 가열한다.The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20)는 습한공기와 냉각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재(321)와,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교환확장부(323)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열교환부재(321)는 열교환확장부(323)를 통해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는 습한공기를 제습함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가열하도록 습한공기와 냉각공기를 열교환한다. 이러한, 열교환부재(321)는 그 양단부가 용접을 통해 열교환확장부(323)와 접합되는 열교환파이프(321a)와, 습한공기가 이송하는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공기유도판(321b)을 구비한다.The
열교환파이프(321a)는 열교환확장부(323)로 유입되는 냉각공기의 흐름이 저하되면서 모든 열교환파이프(321a)로 균일하게 이송되도록 하우징(310)의 내부에 상하, 좌우로 연속되게 배열된다. 이로 인하여, 열교환파이프(321a)에 의한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의 열교환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The
더하여, 공기유도판(321b)은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는 습한공기가 열교환파이프(321a)의 외부에서 보다 오랜시간 채류하도록 열교환파이프(321a) 사이에 위치하도록 열교환확장부(323)에 결합되어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공기강제순환부(330)를 통해 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습한공기가 하우징(310)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송되면서 건조공기배출구(313)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열교환파이프(321a)에 의한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의 열교환효율이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the
열교환확장부(323)는 습한공기가 열교환파이프(321a)의 외부로 이송되고, 냉각공기가 열교환파이프(321a)의 내부로 이송하도록 하우징(3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열교환확장부(323)는 쓰레기발효조(220) 및 건조공기순환기(300b)와 각각 연결되도록 어느 하나의 열교환확장부(323)가 냉각공기유입구(315)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열교환확장부(323)가 가열공기배출구(317)와 연통된다.The heat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확장부(323)는 열교환파이프(321a)의 양단부에 접합되며,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23a)와, 냉각공기를 모든 열교환파이프(321a)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열교환파이프(321a)의 일단부측에 형성되는 냉각공기분할공급부(323b)를 포함한다. 또한, 열교환확장부(323)는 열교환파이프(321a)에서 가열되는 가열공기가 병합되도록 열교환파이프(321a)의 타단부측에 형성되는 가열공기병합부(323c)를 더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heat
구획부재(323a)는 습한공기와 냉각공기가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송하도록 하우징(310)의 양단부 내면에 접합되어 하우징(310)의 내부를 구획한다.The
냉각공기분할공급부(323b)는 냉각공기유입구(315)와 연통되며, 냉각공기가 열교환파이프(321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냉각공기이송유로를 통해 동시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구획부재(323a)에 의해 형성된다.The cooling air spli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확장부(323)는 쓰레기발효조(220)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로 보다 많은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냉각공기분할공급부(323b) 및 가열공기병합부(323c)의 내부에 산소발생부(340)가 각각 구비된다.The hea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강제순환부(330)로는 송풍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a blower may be used as the forced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공기냉각기(300b)는 습한공기와 냉각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습기가 제거되어 하우징(310)의 건조공기배출구(313)로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한다. 이때, 하우징(310)의 건조공기배출구(313)에 배출되는 건조공기는 건조공기냉각기(300b)에서 공냉을 통해 냉각된 후, 열교환부(320)로 공급되어 습한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냉매역할을 하게 된다.The dry air cooler 300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moves moisture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to cool the dry air discharged to the
이러한, 건조공기냉각기(300b)는 하우징(310)의 건조공기배출구(313)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스(350)와, 이 케이스(3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350)로 유입되는 건조공기를 냉각하는 공기냉각부(360)를 포함한다.The dry air cooler 300b includes a
케이스(350)는 일단부에 건조공기배출구(313)와 연결되는 건조공기유입구(35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하우징(310)의 냉각공기유입구(315)와 연결되는 냉각공기배출구(353)가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350)로 유입되는 건조공기는 공기냉각부(360)에 의해 공냉된다.The
공기냉각부(360)는 건조공기를 이송하는 냉각열교환부재(361)와, 이 냉각열교환부재(361)로 이송되는 건조공기를 공냉시키기 위한 열교환매체공급부재(363)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냉각부(360)는 냉각열교환부재(361)로 이송되는 건조공기를 열교환매체공급부재(363)에 의해 케이스(35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열교환매체를 이용하여 냉각시킨다.The
냉각열교환부재(361)는 건조공기가 내부로 이송되는 냉각파이프(361a)와, 이 냉각파이프(361a)를 케이스(35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고정판(361b)을 구비한다. 이때, 냉각열교환부재(361)의 냉각파이프(361a)는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파이프고정판(361b)에 상하, 좌우로 연속되게 복수개 구비된다.The cooling
파이프고정판(361b)은 케이스(35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건조공기분할공간부(355) 및 냉각공기병합공간부(357)가 각각 형성되도록 케이스(350)의 양단부 내면에 접합된다.The
파이프고정판(361b)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공기분할공간부(355)는 건조공기유입구(351)를 통해 케이스(350)로 유입되는 건조공기가 모든 냉각파이프(361a)로 동시에 이송시킨다. 이로 인하여, 냉각파이프(361a)의 내부를 이송하는 건조공기와 냉각파이프(361a)의 외부로 이송되는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 면적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건조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된다.The dry
더하여, 파이프고정판(361b)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공기병합공간부(357)는 케이스(350)의 냉각공기배출구(353)와 연통하며, 냉각파이프(361a)에서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체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oling air merging
즉, 파이프고정판(361b)은 케이스(3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와 열교환매체가 냉각열교환부재(361)와 열교환매체공급부재(363)로 각각 이송할 수 있도록 케이스(350)의 내부를 구획한다.That is to say, the
열교환매체공급부재(363)는 케이스(350)의 내부로 열교환매체인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363a)과, 송풍팬(363a)에 의해 흡입되는 열교환매체가 냉각파이프(361a)와 접촉하도록 케이스(350)에 형성되는 송풍유로(363b)를 포함한다.The heat exchange
송풍팬(363a)은 케이스(350)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송풍팬(363a)은 케이스(350)의 상면에 3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A plurality of blow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공기냉각기(300b)는 열교환제습기(300a)로 공급되는 냉각공기에 보다 많은 양의 산소가 포함될 수 있도록 건조공기분할공간부(355) 및 냉각공기병합공간부(357)의 내부에 산소발생부(340)가 각각 구비된다.The dry air cooler 3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y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공기순환장치(300)는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도시생략)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발효공기순환장치(300)는 제어부(도시생략)의 제어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가열공기의 공급을 감소시켜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고,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가열공기의 공급을 증가시켜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를 하강시킨다.In addition, the fermenta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쓰레기발효조(220)가 3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쓰레기발효조(220)의 설치 수량에 따라 발효, 분해, 건조처리를 차례로 진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다. 이러한, 쓰레기발효조(220)의 발효, 분해, 건조처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ree
예를 들어, 쓰레기발효조(220)가 3개일 경우 첫 번째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처리하고, 두 번째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처리하고, 세 번째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three
또한, 쓰레기발효조(220)가 6개일 경우 첫 번째와 두 번째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처리하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처리하고,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이때, 복수로 설치되는 쓰레기발효조(220)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분해, 건조처리됨에 따라 그 부피가 감소되므로, 그 부피가 단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olum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본체(110)의 호퍼(111)를 통해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드럼(121)의 회전을 통해 회전드럼(121)에서 이송되면서 커팅날(123a)에 의해 절단된다. 이때, 쓰레기배출공(121a)보다 작게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배출공(121a)을 통해 쓰레기이송부(115)로 이탈된다.The food waste put into the
그리고, 쓰레기이송부(115)로 투하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1 컨베이어(140)로 이송된 후, 제1 컨베이어(140)를 통해 쓰레기저장조(16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The food waste dropped to the
특히,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와 양에 따라 본체(110)의 기울기가 조절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 처리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드럼(12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으면 본체(110)의 기울기를 크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빨리함으로써,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증가시키고, 회전드럼(121)을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적으면 본체(110)의 기울기를 작게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낮춤으로써,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slope of the
이후, 이물질에 제거되어 쓰레기숙성조(21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를 위한 미생물이 투입된 후, 교반유닛(250)에 의해 교반되면서 10일 내지 13일 동안 숙성처리된다. 이때, 교반유닛(250)은 분당 3 내지 5회 회전하면서 숙성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한다.Thereafter, the food wastes which are removed from the foreign materials and put into the
그리고, 쓰레기숙성조(210)에서 숙성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211b)까지 채워진 후, 배출구(211b)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로 자유낙하되어 투입된 후, 10일 내지 15일 동안 발효처리된다.The food waste aged in the
쓰레기발효조(220)는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기(230)에 의해 교반되면서 발효처리된다. 또한, 쓰레기발효조(220)는 제1 발효공간(220a)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탱크격벽부(223)의 관통부(213a)까지 채워지면 관통부(213a)를 통과하여 제2 발효공간(220b)으로 이동되어 발효된다. 그리고, 제2 발효공간(220b)에서 발효처리되면서 채워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탱크격벽부(223)의 관통부(213a)를 통해 제3 발효공간(220c)으로 이동된다.The
이처럼, 쓰레기발효조(22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 발효공간(220a)에서 제2 발효공간(220b)을 거쳐 제3 발효공간(220c)까지 발효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되면서 발효처리된다.As the fermentation time has elapsed from the
그리고, 어느 하나의 쓰레기발효조(220)에서 발효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쓰레기발효조(220)로 이동되어 지속적으로 발효처리된다. The food waste fermented in any one of the
더하여, 교반기(230)는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점진적으로 이동되면서 발효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교반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쓰레기발효조(220)에서 발효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쓰레기발효조(220)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에 따라 발생하는 고온다습의 습한공기는 공기강제순환부(330)에 의해 열교환제습기(300a)의 하우징(310)으로 유입되어 열교환부(320)를 통해 열교환된 후 건조공기배출구(313)로 배출된다. 이때, 습한공기는 공기유도판(321b)에 의해 하우징(310)의 내부에 보다 오래 체류하게 되므로, 열교환파이프(321a)에 의한 열교환이 더욱 향상된다.The humid ai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generated due to the fermentation of food waste in the
열교환부(320)에서 습기가 제거되는 고온의 건조공기는 건조공기배출구(313)를 통해 건조공기냉각기(300b)로 공급되어 냉각된 후, 열교환제습기(300a)로 공급되어 습한공기의 응축을 위한 냉매로 이용된다.The high temperature dry air from which the moisture is removed from the
건조공기냉각기(300b)로 유입되는 고온의 건조공기는 냉각열교환부재(361)의 냉각파이프(361a)를 통해 이송되면서 송풍팬(363a)에 의해 케이스(350)로 유입되는 저온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The hot dry air flowing into the dry air cooler 300b is transferred through the
그리고, 건조공기냉각기(300b)에서 냉각되는 냉각공기는 열교환제습기(300a)로 공급되어 열교환파이프(321a)의 내부를 통해 이송하면서 하우징(310)으로 이송하는 고온다습한 습한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이로 인하여, 습한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되어 하우징(310)의 내부에 집수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에 집수된 응축수는 배수밸브(319)의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된다.The cooling air cooled in the drying air cooler 300b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 and
이후, 열교환파이프(321a)의 내부를 이송하면서 습한공기와 열교환되어 가열되는 가열공기는 가열공기배출구(317)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로 다시 투입된다. 이를 통해,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온도 및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쓰레기발효조(220)의 내부 온도가 54 내지 56도씨를 유지하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서서히 건조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heating air, which is heat-exchanged with the humid air while transferring the inside of the
또한, 쓰레기발효조(220)의 공기가 열교환제습기(300a) 및 건조공기냉각기(300b)를 순환하는 동안 산소발생부(340)에 의해 다량의 산소가 공급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효과가 더욱 향상된다.Further, since a large amount of oxygen is supplied by the
더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열교환제습기(300a) 및 건조공기냉각기(300b)를 거쳐 쓰레기발효조(220)로 다시 투입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악취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generat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쓰레기이물질제거기 110 : 본체
120 : 이물질분리부 130 : 기울기조절부
140 : 제1 컨베이어 160 : 쓰레기저장조
200 : 쓰레기숙성발효기 210 : 쓰레기숙성조
211 : 숙성탱크 213 : 탱크분할부
220 : 쓰레기발효조 221 : 발효탱크
300 : 발효공기순환장치 300a : 열교환제습기
300b : 건조공기냉각기 310 : 하우징
311 : 습한공기유입구 313 : 건조공기배출구
315 : 냉각공기유입구 317 : 가열공기배출구
320 : 열교환부 321 : 열교환부재
323 : 열교환확장부 330 : 공기강제순환부
340 : 산소발생부 350 : 케이스
351 : 건조공기유입구 353 : 냉각공기배출구
360 : 공기냉각부 361 : 냉각열고한부재
363 : 열교한매체공급부재100: Trash foreign matter remover 110: Body
120: Foreign matter separator 130: Tilt regulator
140: first conveyor 160: waste storage tank
200: Waste fermentation fermenter 210: Waste aging tank
211: aging tank 213: tank division
220: waste refining tank 221: fermentation tank
300: fermentation
300b: dry air cooler 310: housing
311: Moist air inlet 313: Dry air outlet
315: cooling air inlet 317: heated air outlet
320: heat exchanger 321: heat exchanger
323: heat exchange expanding section 330: air forced circulation section
340: oxygen generator 350: case
351: Dry air inlet 353: Cooling air outlet
360: air cooling part 361: cooling open one member
363: a heat-exchanged medium supply member
Claims (8)
상기 이물질분리부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쓰레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탈착되는 커팅부; 및 상기 회전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커팅날; 상기 커팅날과 접합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내면에 결합되는 탈착판; 및 상기 탈착판을 상기 회전드럼에 고정하는 탈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A garbage fermentation tank into which food waste is charged and fermented; A housing coupled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for absorbing moist air of the waste fermentation tank caused by fermentation of food waste; A heat exchange memb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so that the humid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is dehumidified; A heat exchange extens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supply the cooling air to the heat exchange member so that a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is increased; An oxygen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oxygen to supply oxygen to the air supplied from the housing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And a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for cutting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ermentation tank, wherein foreign matter is left in the interior of the fermentation tank, wherein the refuse fermentation tank comprises a fermentation tank in which food waste is charged and fermented, And a detachable mounting part provided in the fermentation tank and the tank partition wall so that the stirrer for stirring the food waste is detachable, wherein the detachable mounting part is provided in the fermentation tank and the tank partition wall part An installation slot formed in the fermentation tank and the tank partition wall so as to be seated; And an escape prevention plate for preventing the escape of the stirrer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slot,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includes: a rotary drum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wast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food waste is discharged; A cutting portion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rotary drum;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ry drum to drive the rotary drum,
The cutting portion includes a cutting blade; A detachable plate coupled to the cutting edge and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otary drum; And a detachable member for fixing the detachable plate to the rotary drum;
Where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상기 쓰레기발효조와 연결되어 상기 습한공기를 유입하는 습한공기유입구;
상기 열교환부재를 통해 제습되는 건조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공기배출구;
상기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냉각공기유입구; 및
상기 쓰레기발효조와 연결되며, 상기 습한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는 가열공기를 상기 쓰레기발효조로 배출하는 가열공기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humid air inlet connected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for introducing the humid air;
A dry air outlet for discharging dry air to be dehumidified through the heat exchange member;
A cooling air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air flows; And
A heated air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refuse collection tank for discharging heated air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humid air to the waste fermentation tank;
Where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건조공기가 공냉되어 상기 냉각공기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상기 건조공기배출구와 상기 가열공기배출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dry air outlet and the heated air outlet so that the dry air discharged from the dry air outlet is air-cooled and flows into the cooling air inlet.
상기 습한공기와 상기 냉각공기가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냉각공기가 상기 열교환부재에 구비되는 복수의 냉각공기이송유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냉각공기분할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claim 1,
A partition member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umid air and the cooling air are transferred to the respective compartmented spaces; And
A cooling air dividing and supply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cooling ai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cooling air transfer paths provided in the heat exchanging member;
Where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상기 하우징으로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외면에 상기 습한공기가 접촉되고, 내부로 상기 냉각공기가 이송되는 열교환파이프; 및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상기 습한공기의 채류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공기유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he humid air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ooling air being conveyed to the inside; And
An air induction plate for dividing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increase a time of accumulation of the humid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Wherei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상기 쓰레기발효조의 내부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강제흡입하는 공기강제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ir forced circulation unit for forcedly sucking the inner air of the waste fermentation tank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집수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며, 하면이 상기 배수밸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drain valve for discharging water to be collected therein, and a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rain valve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6083A KR101683862B1 (en) | 2014-06-20 | 2014-06-20 | Disposer of food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6083A KR101683862B1 (en) | 2014-06-20 | 2014-06-20 | Disposer of food was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5658A KR20150145658A (en) | 2015-12-30 |
KR101683862B1 true KR101683862B1 (en) | 2016-12-20 |
Family
ID=5508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6083A KR101683862B1 (en) | 2014-06-20 | 2014-06-20 | Disposer of food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386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3875Y1 (en) * | 2000-01-07 | 2000-06-01 | 최광집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KR101296795B1 (en) * | 2011-05-12 | 2013-08-14 | (주)성진환경 | Garbage disposal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206B1 (en) | 2008-01-25 | 2009-04-03 | 중앙냉동기 주식회사 | Translator and method for food waste |
KR101162489B1 (en) * | 2008-07-17 | 2012-07-05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equipment and methods for Aerobic biological stabilization of biodegradable waste in muncipal waste |
KR20120041423A (en) * | 2010-10-21 | 2012-05-02 | 주식회사 라이징컴퍼니 | Environment-friendly mature fermentation fertilizer manufacturing apparatus |
KR101184149B1 (en) | 2011-01-14 | 2012-09-18 | 유택규 | The compost method used of fallen leaves and food waste |
-
2014
- 2014-06-20 KR KR1020140076083A patent/KR1016838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3875Y1 (en) * | 2000-01-07 | 2000-06-01 | 최광집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KR101296795B1 (en) * | 2011-05-12 | 2013-08-14 | (주)성진환경 | Garbage disposal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5658A (en) | 2015-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21106A1 (en) |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708030B1 (en) |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With Air Cooling System | |
KR101683860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1599989B1 (en) | Drying and fermenting apparatus for sludge | |
KR20160043283A (en) | crusher and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 |
KR20100107886A (en) | The drying apparatus for food garbage | |
KR101683866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1683865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0409230B1 (en) | Device for drying and fermenting garbage speedily | |
KR101683862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1683864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1683863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1683861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1683867B1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KR100199548B1 (en) | A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 | |
KR20100084969A (en) | Device for disposing food garbage | |
KR20170079907A (en) | Food waste disposal system of continuous processing type | |
KR20130024351A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20170002828U (en) | Device for organic waste | |
KR101868479B1 (en) | Food waste drying device | |
KR102194977B1 (en) |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 |
KR20170079915A (en) | Food waste disposal system of continuous processing type | |
KR20170079894A (en) | Food waste disposal system of continuous processing type | |
KR20170079908A (en) | Food waste disposal system of continuous processing type | |
KR101993350B1 (en) | Food waste and livestock excrement dispose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