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75Y1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875Y1 KR200183875Y1 KR2020000000363U KR20000000363U KR200183875Y1 KR 200183875 Y1 KR200183875 Y1 KR 200183875Y1 KR 2020000000363 U KR2020000000363 U KR 2020000000363U KR 20000000363 U KR20000000363 U KR 20000000363U KR 200183875 Y1 KR200183875 Y1 KR 2001838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housing
- hot air
- discharge
- stir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4682 ON-OFF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47 non-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9 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량의 수분이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공간(18a,18b)이 구획되어 있는 프레임(18); 상기 제1공간(18a)에 고정설치되며, 분쇄 또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배출되도록 투입부(21)와 배출부(22)를 가진 원통형상의 하우징(19); 상기 하우징(19) 내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골구루 교반하는 스크류식 교반수단; 상기 교반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하우징(19) 내로 열풍을 발생시키고 열풍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증발된 고온의 수증기를 소정경로로 순환시키는 열풍순환수단; 및 상기 제2공간(18b)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9) 및 열풍순환수단과 상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9)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액화시켜 외부로 배출하고 잔류된 기체는 상기 하우징(19) 내로 재공급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분쇄 또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에 잔류하는 수분을 열풍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건조하여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case (12) for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for drying food waste in which a large amount of moisture remains; A frame 18 installed in the case 12 and having first and second spaces 18a and 18b defined therein; A cylindrical housing (19) fixedly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18a) and having an input portion (21) and a discharge portion (22) to input and discharge the crushed or compressed food wast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9), screw-type stirring means for stirring the food was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tirring means at a constant speed; Hot air circulation means for generating hot air into the housing 19 and circulating hot steam evaporated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food waste by hot air in a predetermined path; And fixedly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18b and connected to the housing 19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eans to liquefy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flowing out of the housing 19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Cooling means for re-supply into the housing 19; by removing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crushed or compressed food waste easily and smoothly using hot air, it is dried to remove the odor and recycled as compost or the like. Provides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Description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건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재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nd to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and smoothly drie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an be recycled.
최근, 환경공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산업폐기물은 물론 가정이나 공공식당에서 나오는 폐기물의 처리문제가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중요시도고 있다.In recent years, as environmental pollu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 as well as waste from homes and public restaurants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problem.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폐기물과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가정이나 공공식당에서 나오는 폐기물들은 폐기물의 수거비용과 처리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과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로 분류하여,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들은 비닐봉지에 넣어서 수거하고 소각장에서 소각처리하거나 또는 땅속에 매립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이나 공공식당에서 나오는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들은 대부분 음식물 쓰레기로서 이들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비닐봉지가 파손되면 쓰레기 중에 합유된 액체가 유출되게 되므로 수거시 주위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소각처리 시에도 에너지의 소비가 많으며 또한, 당속에 매립하는 경우애ㅔ는 오염된 액체가 주위로 흘러나오거나 땅속으로 침출되어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In general, waste can be classified as either waste that can be recycled or reused and waste that cannot be recycled. In particular, wastes from households or public restaurants are categorized as recyclable and non-recyclable wastes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collection and disposal of wastes.Recyclable wastes are collected in plastic bags and incinerated at incinerators. Or are buried in the ground. As such, most of the non-recyclable waste from households or public restaurants is food waste, which often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so when the plastic bag containing food waste is broken, the liquid contained in the waste is collected. In addition to pollu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ity, there is a larg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during incineration, and in the case of landfilling, the polluted liquid flows out or leaches into the ground, causing problems.
이에,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분리수거되도록 한 여러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로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기와 음식물 쓰레기용 압축기 등이 개발 사용되어지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food waste processo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remove and separate water from food wastes. As a conventional food waste processor, a dehydrator for food wastes and a compressor for food wastes are used. It is being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기는 모터동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탈수통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배출되게 한 것으로, 원심력에 의한 탈수작용은 효과적이나,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는 구성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처리시 사용자에게 매우 불쾌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회전력에 의해 탈수통의 배수구 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쉽게 끼어 잔류하게 되므로, 사용중 수시로 청소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food waste processor, the food waste dehydrator rotates a dehydration container in which food waste is accommodated by a motor power, thereby discharging the water of food waste by centrifugal force. Although it is effective, the odor emitted from food waste can be left as it is, which is not only very unpleasant to the user during the dehydration of food waste, but also the food waste is easily trapped in the drain of the water container due to the rotational force. Therefore, it was to give cumbersome problems, such as the need for frequent cleaning during use.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용 압착기는 배수공을 갖는 탈수용기와 압착판으로 형성되어, 사용시에는 탈수용기 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시킨 후, 수용된 음식물을 압착판을 이용, 수동 또는 자동으로 압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되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압력을 작용시켜 수분을 배출되게 한 구성으로서, 그 작용되는 압착력이 매우 미약하여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 내에 다량의 수분을 잔류시키는 등 탈수작용에 있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압착기 또한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퇴비 등으로 재활용한다 해도 악취가 심하여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ood waste compactor is formed of a dehydration container having a drain hole and a pressing plate, in use, after receiving the food waste into the dehydration container, the received food is included in the food waste by compressing the food manually or automatically using a pressing plate. The dehydrated water is dehydrated, and it is a component that discharges water by applying pressure by a user's manual work. Not only did it give an ineffective problem, but also such a food waste compactor also has a odor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such as the above-mentioned food waste dehydrator, which is left to the user as it is unpleasant, even if recycled as compost. Bad smell, environment around There is the problem of pollu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분쇄 또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건조하여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재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that can be recycled in a state where odors are removed by easily and smoothly drying crushed or compressed food wastes. .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도면이고,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FIG. 1;
도 3은 도 2의 교반수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means of FIG.
그리고 도 4는 도 2의 배출부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charge portion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압축기 12... 케이스11 ... compressor 12 ... case
13... 덮개부재 14... 조작부13 ... Cover member 14 ... Control panel
15... 시간조절부 16... 온-오프 스위치15 ... Timer 16 ... On-off switch
17... 설치구 18... 프레임17 ... Installation 18 ... Frame
19... 하우징 21... 투입부19 ... Housing 21 ... Input
21a... 투입공 21b... 투입개폐부재21a ... Input hole 21b ... Input and closing member
22... 배출부 22a... 배출공22 ... outlet 22a ... outlet
22b... 배출개폐부재 23... 감지부22b ... Exhau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 ... Sensor
24... 피센싱부재 25... 받이부재24 ... sensing member 25 ... receiving member
26... 회전축 27... 제1교반블레이드26 ... rotating shaft 27 ... first stirring blade
28... 제2교반블레이드 29... 삽부재28 ... 2nd stirring blade 29 ... Shovel member
32... 구동모터 33... 구동스프로킷32 ... drive motor 33 ... drive sprocket
34... 체인 35... 종동스프로킷34 ... chain 35 ... driven sprocket
36... 제어부 41... 송풍기36 ... control unit 41 ... blower
43... 히팅부재 44... 제1순환경로43. Heating element 44 ... First net environment
45... 제2순환경로 51... 냉각기45 ... 2nd Pure Environment Furnace 51 ... Cooler
52... 냉각실 52c... 배수구52 ... Cooling chamber 52c ... Drain
53... 유도편53 ... Ju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다량의 수분이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제1공간에 고정설치되며, 분쇄 또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배출되도록 투입부와 배출부를 가진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골구루 교반하는 스크류식 교반수단; 상기 교반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하우징 내로 열풍을 발생시키고 열풍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증발된 고온의 수증기를 소정경로로 순환시키는 열풍순환수단; 및 상기 제2공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및 열풍순환수단과 상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액화시켜 외부로 배출하고 잔류된 기체는 상기 하우징 내로 재공급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for drying the food waste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 remains, the case; A frame installed in the cas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spaces defined therein; A cylindrical housing fixedly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the cylindrical housing having an input part and a discharge part to input and discharge the crushed or compressed food waste; Screw-type stirr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stirring the food was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tirring means at a constant speed; Hot air circulation means for generating hot air into the housing and circulating hot steam evaporated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food waste by hot air in a predetermined path; And cooling means fixedly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a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eans to liquefy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flowing out of the housing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o supply the remaining gas back into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나사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형의 제1교반블레이드와, 상기 동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블레이드의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나사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형의 제2교반블레이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1교반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깔려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퍼올리는 삽부재가 고정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the first stirring blade of the spiral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to move the food waste in the screw direction; It is provided on the coaxial and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irst stirring blade having a spiral second stirring blade for moving the food waste in the screw reverse direction, the first stirring blade is a food waste sprea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vel member for pumping up is fixedly installed.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종동스프로킷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 drive sprocket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rotary shaft and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and the chain is the rotary shaft It is preferable to have a driven sprocket for rotating the.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어 하우징 내로 고온의 열풍을 송풍하도록 히팅부재가 구비된 송풍기와, 상기 냉각수단과 하우징 및 송풍기에 관상으로 연결되어 열풍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증발된 고온의 수증기를 상기 냉각수단으로 경유시키고 다시 상기 송풍기로 복귀시키는 순환경로를 포함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air circulation means is fixed to the housing and a blower equipped with a heating member to blow high temperature hot air in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means, the housing and the blower tubularly evaporated from food waste by hot ai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irculation path for passing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to the cooling means and return to the blower again.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 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소정온도로 냉각되며 하우징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수증기를 급냉하여 액화시킴으로써 액체는 외부로 배출하고 잔류기체는 상기 송풍기로 재공급하는 냉각실을 구비하되, 상기 냉각실은 고온의 수증기가 파형을 이루며 경유하도록 상하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유도판을 포함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cooler and the cooler, the internal space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quenching and liquefying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supplied from the housing, and the residual gas is returned to the The cooling chamber may be provided, and the cooling cha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uction plates installed up and down so that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passes through the wave.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배출개폐부재와, 상기 배출개폐부재에 설치되어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출개폐부재가 개방될 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th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separation distance, the detection unit is a control unit Whe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open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preferabl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to provide a drive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따라서, 분쇄 또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에 잔류하는 수분을 열풍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건조하여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refore, the water remaining in the crushed or compressed food waste can be easily and smoothly removed by using hot air, so that it can be dried in a state where odors are removed and recycled as compost.
이러한 특징으로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가정 또는 공공 음식점에서 배출되고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직접 공지의 음식물 쓰레기용 압축기(11) 또는 분쇄기(미도시)의 배출구(미도시)에 장착하거나, 압축기(11) 또는 분쇄기(미도시)와 분리하여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rying and recycling food waste that is discharged from a home or a public restaurant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directly The food waste may be mounted on an outlet (not shown) of a compressor 11 or a crusher (not shown),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mpressor 11 or a crusher (not shown).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사각형의 돔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 내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제1 및 제2공간(18a,18b)이 구획되어 있는 프레임(18)과, 상기 제1공간(18a)에 고정설치되며 압축기(11) 또는 분쇄기(미도시)로부터 압축 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배출되도록 투입부(21)와 배출부(22)를 가지고 있는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19)과, 상기 하우징(19) 내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골구루 교반하는 스크류식 교반수단과, 상기 교반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소정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하우징(19) 내로 열풍을 발생시키고 열풍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증발된 고온의 수증기를 소정경로로 순환시키는 열풍순환수단 및 상기 제2공간(18b)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9) 및 열풍순환수단과 상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9)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액화시켜 외부로 배출하고 액화되고 남은 잔류기체를 상기 하우징(19) 내로 다시 공급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건조장치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6)를 더 포함한다.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2 having a rectangular dome shape and a frame 18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2 and having first and second spaces 18a and 18b partitioned. ), And having an input part 21 and an outlet part 22 fixedly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18a and having a compressed or pulverized food waste from the compressor 11 or a crusher (not shown). A cylindrical housing 19, a screw-type stirring means installed in the housing 19 to stir the food waste as it rotates, and a power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tirring means at a constant speed. Hot air circulating means and a second air hole for generating hot air into the housing 19 and circulating the hot water vapor evaporated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food waste by the hot air in a predetermined path. It is fixed to (18b) and is complementary to the housing 19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eans to liquefy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flowing out of the housing 19 to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liquefied residual gas remaining in the housing (19) Cooling means for feeding back into the chamber). 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36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케이스(12)는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대략 육면체의 돔형상을 가지되, 하부는 후술되는 프레임(18)이 수용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2)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하우징(19)의 투입부(21)가 노출되도록 개폐되는 덮개부재(13)를 가지고 있으며, 상면의 일측에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된 조작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14)는 후술되는 제어부(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부(15)와,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16)를 구비하고 있다.The case 12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dome shape to form an inner space, and the lower part is open to accommodate the frame 18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2 has a cover member 13 that opens and closes to expose the input portion 21 of the housing 19 to be described later, and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4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have. The operation unit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6 to be described later, the time adjusting unit 15 for adjus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food waste, and on-off switch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6) is provided.
상기 프레임(18)은 고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2)의 형상에 대응되는 바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술되는 하우징(19) 및 냉각수단이 수용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된 제 1 및 제2공간부(18a,18b)가 각각 구획되어 있다.The frame 18 is formed of a bar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se 12 so as to support the high load, the first and the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housing 19 and the cool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and fixed; The second space portions 18a and 18b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상기 하우징(19)은 일정길이를 가진 원통형상으로서 상면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일측 바닥면에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부(21)는 케이스(12)의 덮개부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투입공(21a)과, 상기 투입공(21a)의 주위에 설치되어 투입공(21a)을 개폐하는 투입개폐부재(21b)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2)는 하우징(19)의 바닥부분 즉, 도면의 좌측부분에 형성된 배출공(22a)과, 상기 배출공(22a)의 주위에 설치되어 배출공(22a)을 개폐하는 배출개폐부재(22b)와, 상기 배출개폐부재(22b)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개폐부재(22b)의 이송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23)와, 상기 감지부(23)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우징(19)에 고정설치되어 감지부(23)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신호를 반사하여 감지부(23)가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하는 피센싱부재(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23)는 후술되는 제어부(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6)는 배출개폐부재(22b)가 개방될 때 감지부(23)에 의해 배출개폐부재(22b)와 피센싱부재(24)와의 이격거리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의 구동모터(32)에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9)은 상기 배출공(22a)의 주위에 고정되어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받아 낼 수 있도록 배출개폐부재(22b)의 개방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받이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17은 배출개폐부재(22b)와 받이부재(2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12)의 측면에 형성된 설치구이다.The housing 19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with an input portion 21 into which food waste is input, and a discharge portion 22 for discharging dried food waste is formed on on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9. It is. The inlet 21 is an inlet 21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member 13 of the case 12 and an inlet installed around the inlet 21a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1a.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1b is provided. As shown in FIG. 3, the discharge part 22 is disposed around the discharge hole 22a and the discharge hole 22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9, that is, the left part of the drawing. A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mber 22b for opening and closing 22a, a detecting unit 23 installed at an end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and detecting a conveying dista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And a sensing member 24 fixed to the housing 19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eflecting a predetermined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ing unit 23 so that the sensing unit 23 detects the separation distance. Here, the sensing unit 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6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unit 36 is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by the detection unit 23 whe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is opened. And a 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ignal between the sensing member 24 and the driv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driving motor 32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housing 19 is fixed around the discharge hole (22a) receiving member 25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to receive the dried food waste in a separate container Is installed. Here, reference numeral 17 is an installation tool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12 so that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and the receiving member 25 are exposed to the outsid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수단은 동력전달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우징(19)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6)과, 상기 회전축(26) 상에 설치되어 하우징(19)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골구루 교반하는 스크류 형상의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를 구비한다. 상기 제1교반블레이드(27)는 소정길이를 이루는 자형상의 금속부재가 나사정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26)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6)의 회전시 하우징(19)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점차 배출부(22) 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교반블레이드(29)는 대략 제1교반블레이드(27)의 소정길이 보다 짧은 자형상의 금속부재가 나사역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교반블레이드(27)의 내부영역 동축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6)의 회전시 제1교반블레이드(27)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부(22) 쪽의 반대편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는 하우징(19) 내에서 나사방향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후술되는 열풍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교차되게 교반한다. 또한, 상기 제1교반블레이드(27)에는 하우징(19)의 바닥면에 깔려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퍼올리기 위한 삽부재(29)가 양측 날부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다수개 고정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삽부재(29)는 제1교반블레이드(27)가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9) 바닥에 깔린 음식물 쓰레기를 퍼올려 상방에서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의 몸체 쪽으로 쏟아내는 기능을 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교반시켜 가능한한 빨리 건조시키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4, the stirring means has a rotary shaft 26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19 so a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is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26 to support the housing 19. And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having a screw shape for stirr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shell).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26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crew-shaped metal member form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stirr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housing 19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6 To gradually move toward the outlet 22. The second stirring blade 29 is formed in a shape of a metal member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bent in a screw reverse direction to be installed on the inner axi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27. At the time of rotation of 26, the food waste that is stirred by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art 22.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are rotated in the housing 19 so as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screw direction, and stir to cross the hot air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food waste. In addition,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fixed to a plurality of shovel members 29 for spreading the food waste lai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9 in a staggered direction to both blades. That is, as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rotated, the shovel member 29 spreads the food waste sprea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9 and pours it upward toward the body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Function. This is to dry food as quickly as possible by stirring food waste easily and smoothly.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하우징(19)의 하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모터박스(31)와, 상기 모터박스(31)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32)는 구동축(32a)에 구동스프로킷(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한편, 하우징(19)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26)의 일단 즉, 도면의 오른쪽 부분에는 구동스프로킷(33)의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체인(34)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로킷(3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프로킷(33)은 종동스프로킷(35)의 직경 보다 작게 구비되어 종동스프로킷(35)이 일정비로 감속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provided with a motor box 31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9, and a drive motor 32 installed in the motor box (31). The drive motor 32 is provided with a drive sprocket 33 on the drive shaft 32a, while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26 installed in the housing 19, that is, the right part of the drawing, of the drive sprocket 33 A driven sprocket 35 is connected to the chain 34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Here, the drive sprocket 33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ven sprocket 35 so that the driven sprocket 35 is decelerated at a constant ratio.
상기 제어부(36)는 케이스(12)의 조작부(14) 및 구동모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부(36)는 조작부(14)의 조절에 의해 구동모터(3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배출부(22)의 개폐동작에 따른 감지부(2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32)에 구동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3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4 and the drive motor 32 of the case 12. That is, the control unit 36 selectively drives the drive motor 32 by the adjustment of the operation unit 14.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23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22 and selectively provides a drive signal to the drive motor 32.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하우징(19)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송풍구(42)가 하우징(19) 내에 위치되는 송풍기(4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41)는 송풍구(42)의 내측부분에 히팅부재(43)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히팅부재(43)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히팅코일이다. 즉, 송풍기(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팅부재(43)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이 하우징(19) 내로 유입되고, 상기 열풍은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또한, 상기 열풍순환수단은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증발되어 생성된 고온의 수증기가 하우징(19)의 타측면에 형성된 유출구(19a)로 유출되어 후술되는 냉각수단으로 공급되는 경로인 제1순환경로(44)가 관상으로 구비되며, 냉각수단을 경유한 일부분의 기체가 냉각수단으로부터 유출되어 다시 송풍기(41)로 공급되는 경로인 제2순환경로(45)가 관상으로 구비된다.The hot air circulation means is provided with a blower 4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9, the blower 42 is located in the housing (19). Here, the blower 41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mber 43 in the inner portion of the blower 42, the heating member 43 is a heating coil to convert the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That i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41 is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43 so that hot air flows into the housing 19, and the hot air evaporate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being stirred. In addition, the hot air circulation means is a first circulation environment path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hot steam generated by evaporation of water in food waste is discharged to an outlet 19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9 and supplied to cooling means described later ( 44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a second net environment path 45,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a portion of gas passing through the cooling means flows out of the cooling means and is supplied to the blower 41,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유체를 발생하는 냉각기(51)와, 상기 냉각기(51)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소정온도로 냉각되며 하우징(19)으로부터 순환된 고온의 수증기를 급냉하고 액화하여 냉각수는 외부로 배출하고, 나머지 기체는 다시 송풍기(41)로 공급하는 냉각실(52)을 구비한다.The cooling means is installed in a cooler 51 generating a cooling fluid and an internal space of the cooler 51, the internal space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circulated from the housing 19 is quenched and liquefied to cool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remaining gas is provided with a cooling chamber 52 for supplying again to the blower (41).
상기 냉각실(52)은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순환경로(44)와 연결되는 유입구(52a)와, 경사지게 마련된 바닥면에 형성되어 고온의 수증기가 급랭하여 액화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52c)와,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순환경로(45)와 연결되는 유출구(52b)를 가진다. 또한, 냉각실(52) 내부에는 제1순환경로(44)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수증기가 파형을 이루며 내부공간을 경유하도록 상하 교차되는 유도판(53)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도판(53)은 판부재로서 천정면의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바닥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천정면의 유도판(53) 사이에 마련되도록 바닥면의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천정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한다. 즉, 냉각실(52)의 유입구(52a)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수증기는 교차되는 유도판(53)들에 교번적으로 충돌유도되어 파형의 흐름으로 경유하며, 경유 도중 액화된 냉각수는 배수구(52c)로 흘러나가고 잔류 기체는 유출구(52b)를 통해 다시 제2순환경로(45)를 따라 흘러 송풍기(41)로 재공급된다.The cooling chamber 52 is formed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ure environment path 44 and the inlet port 52a, and is formed on an inclined bottom surface to drain the cooling water liquefied by quenching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to the outside. 52c and an outlet 52b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net environment path 45.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duction plates 53 intersecting up and down are formed inside the cooling chamber 52 so as to form a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flowing through the first net environment path 44 and pass through the internal space. The guide plate 53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eiling surface as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to be provided between the guide plate 53 of the ceiling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2a of the cooling chamber 52 alternately induces collision with the guide plates 53 intersecting and passes through the flow of the wave, and the liquefied cooling water is drained through 52c), the remaining gas flows through the outlet 52b again along the second net environment path 45 and is re-supplied to the blower 41.
이하,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가정이나 식당 및 호텔 등의 공공 음식점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 예컨대, 수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지된 음식물 쓰레기용 압축기(11)에 투입하여 탈수 및/또는 압축한다. 그러면,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어느 정도 탈수되거나, 압축되어 체적이 축소된다.First, food wastes discharged from public restaurants such as homes, restaurants, hotels, etc., for example, food waste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are put into a known food waste compressor 11 to be dehydrated and / or compressed. Then, the food waste is dehydrated to some extent or compressed to reduce the volume.
이러한 쓰레기를 건조하여 악취 또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폐기하거나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압축된 쓰레기를 본 고안의 건조장치에 투입하여 건조시킨다.In order to dry these wastes and discard them in a state where odor or water is removed or recycle them as compost, the compressed wastes are put into a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i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케이스(12)의 덮개부재(13)를 열고 하우징(19)의 투입개폐부재(21b)를 개방시킨 다음 투입공(21a)으로 상기 쓰레기를 투입한다.1 and 2, first, the cover member 13 of the case 12 is open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1b of the housing 19 is opened, and then the insertion hole 21a is shown. Put the waste into
그리고, 조작부(14)의 시간조절부(15)를 조작하여 동작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100㎏의 압축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작동시간을 대략 2시간으로 맞춰 놓는다. 그런 다음, 온-오프 스위치(16)를 조작하여 교반수단을 구동시킨다. 이 때, 시간조절부(15)와 온-오프 스위치(16)의 조작이 완료되면, 제어부(36)는 구동모터(32)가 설정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면, 구동모터(32)의 구동축(32a)은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축(32a)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33)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스프로킷(33)의 구동력은 체인(34)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로킷(35)에 전달되고, 종동스프로킷(35)은 하우징(19) 내의 회전축(26)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종동스프로킷(35)은 구동스프로킷(3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일정비로 감속 회전된다.Then, the time adjusting section 15 of the operation section 14 is operated to set the operation time. For example, to dry 100 kg of compressed waste, the operation time is set to approximately 2 hours. Then, the on-off switch 16 is operated to drive the stirring means.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time adjuster 15 and the on-off switch 16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36 provides a drive control signal so that the drive motor 32 can be driven for a set time. Then, the drive shaft 32a of the drive motor 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shown by an arrow in the figure, and the drive sprocket 33 coupled to the drive shaft 32a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procket 33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sprocket 35 connected by the chain 34, and the driven sprocket 35 rotates the rotating shaft 26 in the housing 19. Here, since the driven sprocket 35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ve sprocket 33, the driven sprocket 35 is rotated at a constant ratio.
이와 같이, 회전축(26)이 회전됨에 따라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는 회전축(2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제1교반블레이드(27)는 회전축(26) 상에 나사정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됨과 동시에 하우징(19) 내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A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동시킨다. 이 때, 삽부재(29)는 제1교반블레이드(27)가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9)의 바닥면을 긁어내 깔려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퍼올린다. 이렇게 퍼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상방에서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의 몸체 쪽으로 쏟아 내려진다. 즉, 음식물 쓰레기는 제1교반블레이드(27)에 의해 하우징(19)의 바닥면에서 교반됨과 동시에 삽부재(29)에 의해 다시 분산되어 뿌려짐으로써 건조가 쉽게 된다. 아울러, 제2교반블레이드(28)는 제1교반블레이드(27) 내부영역의 동축 상에 나사역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됨과 동시에 제1교반블레이드(27)에 의해 교반되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B방향으로 역교반하면서 이동시킨다.As such, as the rotation shaft 26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26. However, since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bent in the screw direction on the rotating shaft 26, the first stirring blade 27 rotates and moves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housing 19 while stirring in the direction A shown by an arrow in the figure. At this time, the shovel member 29 scrape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9 as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rotated to spread the food waste. The food waste thus spread is poured down toward the bodies of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from above. That is, the food waste is agitat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9 by the first stirring blade 27 and is dispersed and scattered again by the shovel member 29 to facilitate drying.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tirring blade 28 is bent in a screw reverse direction on the coaxial portion of the inner region of the first stirring blade 27, the food waste that is rotated and agitated by the first stirring blade 27 is transferred. They are moved while stirring back in the B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s in the figure.
한편,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가 교반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송풍기(41)는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19) 내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공기는 송풍구(42)를 통해 하우징(19) 내로 송풍되기 이전에 히팅부재(43)에 의해 가열된다. 이러한 열풍은 송풍구(42)를 통해 하우징(19) 내로 방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증발된 수증기는 하우징(19)의 타측면에 형성된 유출구(19a)로 유출되고, 유출된 수증기는 제1순환경로(44)를 따라 유동되어 냉각실(52)의 유입구(52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다.Meanwhile, while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perform the stirring operation, the blower 41 sucks air from the atmosphere and supplies it into the housing 19. At this time, the air is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43 before being blown into the housing 19 through the air vent 42. This hot air is discharged into the housing 19 through the tuyeres 42, and the food waste is stirred by the stirr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o dry the food waste to evaporate moisture. Water vapor evaporated from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9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9, and the discharged water vapor flows along the first pure environment path 44 to open the inlet 52a of the cooling chamber 52. Through the inside.
냉각실(52)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수증기는 저온으로 냉각된 내부공간을 경유하면서 대부분은 액화되어 냉각수로 배출되고, 액화되지 않은 일부분의 잔류기체는 다시 송풍기(41)로 공급 재순환된다. 부연설명하면, 고온의 수증기는 하우징(19)의 유출구(19a)를 통해 유출되어 제1순환경로(44)를 따라 흘러가 냉각실(52)의 유입구(52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다. 수증기는 저온의 분위기에서 급랭함에 따라, 그리고 저온의 유도판(53) 판상에 충돌유도되어 파형을 이루며 냉각실(52)을 경유하여 급랭함에 따라 대부분은 액화된다. 액화된 냉각수는 냉각실(52)의 벽면 또는 유도판(53)을 따라 흘러내려 경사진 바닥면을 타고 배수구(52c)를 통해 외부로 흘러나간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52)에 유도판(53)을 배치하여 고온의 수증기가 파형을 이루며 진행되도록 하는 이유는 냉각실(52) 내에서의 진행경로, 진행시간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수증기를 최대한 액체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함이다. 이 때, 액화되지 않고 잔류하는 일부분의 기체는 심한 악취를 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류기체는 송풍기(41)와 연결된 제2순환경로(45)를 따라 흡입됨과 동시에 히팅부재(43)에 의해 재가열되어 하우징(19) 내부로 다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건조중에 발생하는 고온의 수증기는 액화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액화되지 않은 잔류기체는 다시 하우징(19) 내로 공급되는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악취는 완전히 제거된다. 즉, 건조가 완료된 쓰레기는 악취가 제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Most of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chamber 52 is liquefied and discharged into the cooling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cooled to a low temperature, and the remaining gas which is not liquefied is supplied to the blower 41 again. In other words,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19a of the housing 19, flows along the first net environment path 44, and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52a of the cooling chamber 52. Most of the water vapor is liquefied as it is quenched in a low temperature atmosphere and impinges on a low temperature induction plate 53 plate to form a wave shape and is quenched via the cooling chamber 52. The liquefied cooling water flows down the wall surface or the guide plate 53 of the cooling chamber 52 and flows out through the drain port 52c through the inclined bottom surface. The reason for disposing the induction plate 53 in the cooling chamber 52 to allow the high temperature steam to proceed in a wave form is to increase the progress path, the running time, and the contact time in the cooling chamber 52 to improve the steam. This is to change the liquid state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gas remaining without liquefying gives off a bad odor, such residual gas is sucked along the second net environment path 45 connected to the blower 41 and at the same time reheated by the heating member 43 to the housing ( 19) It is fed back inside. As such,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drying is liquefi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dor from the food waste is completely removed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upplying the remaining gas that is not liquefied back into the housing 19. In other words, the trash after drying is in a state where odor is removed.
마지막으로, 시간조절부(15)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어부(36)는 자동적으로 구동모터(32)에 정지모드신호를 제공하고, 구동모터(32)는 정지모드로 변환된다. 건조가 완료된 쓰레기를 하우징(19)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배출개폐부재(22b)를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C방향으로 개방시킨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개폐부재(22b)와 피센싱부재(24)와의 이격거리는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감지부(23)는 피센싱부재(24)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36)에 제공한다.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36)는 감지부(23)를 통해 검출한 검출데이터를 기설정되어 있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구동모터(32)의 구동을 제어한다. 부연 설명하면, 배출개폐부재(22b)가 개방될 때 감지부(23)는 감지된 센서량 즉, 감지부(23)와 피센싱부재(24)와의 이격거리를 데이터화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다음 그 전기신호를 제어부(36)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6)는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검출데이터와 기설정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데이터는 배출개폐부재(22b)가 폐쇄된 상태에의 배출개폐부재(22b)와 피센싱부재(24)간 이격거리를 말한다. 상기 제어부(36)가 판단한 검출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를 초과하게 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전기신호를 구동제어신호로 변환하여 구동모터(32)에 정지모드 신호를 제공한다. 구동모터(32)가 구동모드로 변환되면, 제1 및 제2교반블레이드(27,28)는 나사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9) 내에 있는 건조 쓰레기를 배출공(22a) 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건조 쓰레기는 배출공(22a)으로 완전히 배출되고, 받이부재(25)에 안내되어 별도로 준비된 용기(미도시)에 담겨진다.Final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set by the time adjusting unit 15, the control unit 36 automatically provides the stop mode signal to the drive motor 32, the drive motor 32 is converted to the stop mode. In order to discharge the dried garbag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9,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is opened in the direction C shown by an arrow in the figur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and the sensing member 24 is out of the preset range. Then, the sensing unit 23 detects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nsing member 24 and provide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36. The control unit 36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compares the detection data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23 with preset reference data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32. In detail, when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mber 22b is opened, the sensing unit 23 converts the detected sensor amount,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unit 23 and the sensing member 24 into data, and then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electrical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36. The controller 36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nd compares the detected data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data. Here, the reference data refers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and the sensing member 24 whe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is clos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data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36 exceeds the reference data, the electric signal is converted into a drive control signal to provide a stop mode signal to the drive motor 32. When the drive motor 32 is converted to the drive mode,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lades 27 and 28 rotate in the screw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move the dry waste in the housing 19 toward the discharge hole 22a. Therefore, the dry waste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22a), and guided to the receiving member 25 is contained in a separately prepared container (not shown).
반대로, 건조된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개폐부재(22a)를 밀어 배출공(22b)를 폐쇄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32)는 자동적으로 구동이 정지된다. 즉, 배출개폐부재(22b)와 피센싱부재(24) 간의 이격거리가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되면 감지부(23)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6)에 감지신호를 제공하게 되고, 제어부(36)는 이를 판독하여 구동모터(32)에 정지모드 신호를 제공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scharge of the dried garbage is completed,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a is pushed to close the discharge hole 22b. Then, the drive motor 32 is automatically stopped driving. That is,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b and the sensing member 24 is located within the preset range, the detection unit 23 detects this and provide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36, and the control unit 36 Reads this and provides a stop mode signal to the drive motor 32.
이와 같이, 건조되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악취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food waste that is dried and discharged can be recycled as compost or the like in which the odor is completely removed.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설계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design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분쇄 또는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에 잔류하는 수분을 열풍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건조하여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and smoothly removed by using hot air to remove moisture remaining in the crushed or compressed food waste, thereby drying in a state where odor is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recycled as compos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0363U KR200183875Y1 (en) | 2000-01-07 | 2000-01-07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0363U KR200183875Y1 (en) | 2000-01-07 | 2000-01-07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3875Y1 true KR200183875Y1 (en) | 2000-06-01 |
Family
ID=1963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0363U KR200183875Y1 (en) | 2000-01-07 | 2000-01-07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3875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527B1 (en) * | 2000-06-05 | 2003-04-16 | 자연과학산업(주) | Sludge drier using wasting heat |
KR100856982B1 (en) | 2007-05-17 | 2008-09-04 | 김진수 | Automatic food garbage dry treatment apparatus |
KR101152862B1 (en) | 2011-09-02 | 2012-06-12 | 이종실 |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KR20150145658A (en) * | 2014-06-20 | 2015-12-30 | 정태화 | Disposer of food waste |
-
2000
- 2000-01-07 KR KR2020000000363U patent/KR20018387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527B1 (en) * | 2000-06-05 | 2003-04-16 | 자연과학산업(주) | Sludge drier using wasting heat |
KR100856982B1 (en) | 2007-05-17 | 2008-09-04 | 김진수 | Automatic food garbage dry treatment apparatus |
KR101152862B1 (en) | 2011-09-02 | 2012-06-12 | 이종실 |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KR20150145658A (en) * | 2014-06-20 | 2015-12-30 | 정태화 | Disposer of food waste |
KR101683862B1 (en) * | 2014-06-20 | 2016-12-20 | (주) 참좋은환경 | Disposer of food was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34600A (en) | Refuse processing machine | |
US11590544B2 (en) | Waste disposer | |
KR200183875Y1 (en) |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 |
KR100250722B1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of wastes | |
JPH07294135A (en) |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101826974B1 (en) | Condenser for food garbage disposal machine | |
KR100925265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s waste matters | |
KR101868479B1 (en) | Food waste drying device | |
JP3176295U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JP3233152B2 (en) | Garbage processing machine | |
KR200245834Y1 (en) | Dry apparatus for food disposal | |
KR101826975B1 (en) | Processing method of food waste | |
TW201221238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 |
KR20140039645A (en) | Disposer of food waste | |
JP3070332B2 (en) | Garbage processing machine | |
KR102322930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toppage of Hot Air Supply Port of Hot Air Dryer and Hot Air Dryer Equipped the Apparatus | |
KR100512100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wet waste using microwave which has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removing disposed waste therefrom | |
KR100277383B1 (en) | Food Waste Drying Processor | |
KR100663702B1 (en) | Automatic drier for food waste | |
KR100594937B1 (en) | Apparatus for fertilizing garbage | |
JP2889467B2 (en) | Garbage processing machine | |
KR19990018789U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KR100239820B1 (en) | Substance mixing and crushing method for high-speed drying or high speed fermentation dryer and drying itself or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 |
KR101467554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 |
JP2686201B2 (en) |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