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708B1 - 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708B1
KR101683708B1 KR1020150026569A KR20150026569A KR101683708B1 KR 101683708 B1 KR101683708 B1 KR 101683708B1 KR 1020150026569 A KR1020150026569 A KR 1020150026569A KR 20150026569 A KR20150026569 A KR 20150026569A KR 101683708 B1 KR101683708 B1 KR 10168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wire
holding
holding portion
insulating trolley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1708A (en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쓰노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5Arrangements for fixing trolley wires to supporting-lines which are under te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체결 장치(10)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제1 유지부(1a)에 의해 유지하는 베이스부(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하는 애자부(2)와,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재(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애자부(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ing apparatus for an insulating trolley wire hav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higher workability and an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same. The fastening device 10 includes a base portion 1 for holding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by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a base portion 1 for holding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n engaging portion 2 for holding the second end portion 22a by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and an engaging portion 2 for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2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And a spring member 3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spring member 3. The base portion 1 movably accommodates the insulator 2 along a direction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by the spring member 3.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are arranged so as to oppose each other through a virtual reference line 24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Description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ed trolley wire fastening device and an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ed trolley wire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절연 트롤리 와이어(trolley wire)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한 체결 장치(tightening device)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ghtening device capable of fastening an insulating trolley wire and an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same

종래, 다양한 생산 현장 등에서 반송(搬送) 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반송 기계는, 크레인이나 호이스트(hoist) 등의 하역 장치를, 이동 기기(機器)에 의해 이동시킨다. 반송 기계는, 이동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동 급전(給電) 시스템으로서, 절연 트롤리가 이용되고 있다. 절연 트롤리는, 이동 기기의 집전(集電) 장치를 통하여, 절연 트롤리 와이어로부터 이동 기기에 급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conveying machine has been used in various production sites. The transporting machine moves a loading device such as a crane or a hoist by a mobile device. BACKGROUND ART [0002] A transporting machine is a mobile feeding system that supplies electric power to a mobile device, and an insulating trolley is used. The insulating trolley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mobile device from the insulating trolley wire through a current collecting device of the mobile device.

이 종류의 절연 트롤리로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와 1차 측의 전력선을 접속하는 접속기를 사용하여,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절연 트롤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2―1096호)를 참조]. As this type of insulating trolley, there is known an insulating trolley that applies a tension to an insulating trolley wire by using an insulating trolley wire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power line on the primary sid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No. 2012-1096).

특허 문헌 1의 절연 트롤리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여 시공함으로써,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길이가 긴 경우라도,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자중(自重)에 의해 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에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는 경우,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직선형으로 장거리에 걸쳐 비교적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The insulation trolley of Patent Document 1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warping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insulation trolley wire even when the length of the insulation trolley wire is long by applying tension to the insulation trolley wire. In the insulating trolley, when a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for imparting tension to the insulating trolley wire is constituted, the insulating trolley wire can be linearly and relatively simply installed over a long distance.

그런데, 절연 트롤리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가 직선형의 경로에 시공되는 경우뿐아니라, 곡선형의 경로를 포함하는 복잡한 경로에 시공되는 경우도 있다. 절연 트롤리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보다 시공성이 우수한 구조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전술한 절연 트롤리의 구조만으로는, 시공성이 충분하지 않아, 다른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Incidentally, the insulating trolley may be constructed not only when the insulating trolley wire is installed in a straight path, but also in a complicated path including a curved path. The insulation trolley is required to hav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structure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the structure of the insulation trolley described above is insufficient in workability, and another improvement is required.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2―1096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1096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ing apparatus for an insulating trolley wire hav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 higher workability, and an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same.

본 발명에 관한 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베이스부(1)와, 애자부(碍子部)(2)와, 한 쌍의 스프링재(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는, 제1 유지부(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端部)(21a)를 상기 제1 유지부(1a)에 의해 유지한다. 상기 애자부(2)는, 제2 유지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상기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한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상기 제1 유지부(1a)와 상기 제2 유지부(2a)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베이스부(1)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애자부(碍子部)(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상기 제1 유지부(1a)와 상기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part 1, an insulator part 2 and a pair of spring materials 3 . The base portion 1 is provided with a first holding portion 1a. The base portion 1 holds the first end 21a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by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The insulator 2 has a second holding portion 2a. The insulator 2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by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insulator 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come close to each other. The base portion 1 movably accommodates the insulator portion 2 along a direction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by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through a virtual reference line 24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

본 발명에 관한 형태의 절연 트롤리(30)는, 전술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상기 제3 유지부(11a)에 의해,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상기 제1 단부(21a)와는 반대의 제3 단부(21b)를 유지한다. 상기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접속 블록(12)은, 상기 제4 유지부(12a)에 의해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trolley wire)(22)의 상기 제2 단부(端部)(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를 유지한다. 상기 체결 장치(tightening device)(10)는, 상기 제1 접속 블록(11)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 상기 제2 접속 블록(1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sulating trolley 3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trolley wire 20a,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ncludes a third holding portion 11a.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holds the third end 21b opposite to the first end 21a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by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ncludes a fourth holding portion 12a.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is connected to the fourth holding portion 12a by a fourth holding portion 12a opposite to the second end 2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Thereby retaining the end portion 22b. The tightening device 1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nd the first connection trolley wire 21 an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and the first connection trolley wire 21. [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is increased.

도 1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의 주요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의 다른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의 다른 주요부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ulating trolley equipped wit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n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fas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6 is a rear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n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fasten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ssential part of an insulating trolley having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ssential part of the insulating trolley provided wit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각각의 도면이 나타내는 부재의 크기나 위치 관계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要素)는, 복수의 요소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 하나의 부재로 복수의 요소를 겸용하는 태양(態樣)이라도 되고, 하나의 부재의 기능을 복수의 부재에 의해 분담하여 실현해도 된다. Hereinafter,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me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The size and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members shown in the drawings may exaggerate to clarify the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ach element (element) constituting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elements are constituted by one member and a plurality of elements are also used as one member, The function of the member may be realized by sharing by a plurality of members.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와, 애자부(2)와, 한 쌍의 스프링재(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제1 유지부(1a)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제1 유지부(1a)에 의해 유지한다. 애자부(2)는, 제2 유지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한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체결 장치(10)는, 또한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부(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한 쌍의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애자부(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게 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가상의 기준선(24)을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는, 본 발명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1 단부에 대응한다. 1 to 3,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portion 1, an insulator portion 2, a pair of spring members 3, . The base portion 1 is provided with a first holding portion 1a. The base portion 1 holds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by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The insulator 2 has a second holding portion 2a. The insulator 2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by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insulator 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come close to each other. The fastening device 10 further includes an adjustment section 4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The base portion 1 movably accommodates the insulator 2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by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are arranged so as to oppose each other through a virtual reference line 24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In Fig. 1, the imaginary baseline 24 is shown by a one-dot chain line.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한 쌍의 스프링재(3)를 대향하여 배치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connecting a pair of the pair of insulating trolley wires 20a through a virtual reference line 24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spring material 3 of the spring member 3 is arranged so as to face the spring member 3 can be provided.

최초에, 체결 장치(10)가 사용되는 절연 트롤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insulating trolley 30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10 is used will be described.

절연 트롤리(3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3)에 유지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접촉하는 집전 장치(31)를 통하여, 이동 기기(32)에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 장치(10)를 통하여,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은,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다선식(多線式)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란, 복수 개의 도체(導體)를 1개의 절연 피복으로 연결한 다극(多極) 도체 일괄형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말한다. The insulating trolley 30 supplies power to the mobile device 32 through the current collector 31 contacting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held by the rail 23 as shown in Fig. . 5, the insulating trolley 30 is provided with a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a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through a fastening device 10.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cludes a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a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use a multi-wire insulation trolley wire. The multi-wire insulating trolley wire refers to a multi-pole conductor bundle typ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 which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 connected by one insulating sheath.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체(21s)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체(21s)는, 도전성(導電性)이 우수한 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도체(21s)는, 장척(長尺)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4개의 제1 도체(21s)를 1개의 제1 절연 피복(21t)과 연결하고 있다. 제1 절연 피복(21t)은, 도체 피복부(21u)와 연결부(21v)를 구비하고 있다. 도체 피복부(21u)는, 제1 도체(21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체 피복부(21u)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볼 때, C자 형상을 하고 있다. 도체 피복부(21u)는, C자 형상의 개구홈(21w)으로부터 제1 도체(21s)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도체(21s)는, 도체 피복부(21u)의 개구홈(21w)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면(21wa)을 가지고 있다. 연결부(21v)는, 인접하는 도체 피복부(21u)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체 피복부(21u)와 연결부(21v)는, 수지의 일체 형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체(21s)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구리 합금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도체(21s)는, 예를 들면, 구리의 단층(單層)이라도 되고, 스테인레스와 구리와의 다층 구조라도 된다. 제1 도체(21s)는, 노출면(21wa)이 평면으로 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노출면(21wa)이 V자형으로 오목한 홈으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제1 절연 피복(21t)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비닐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1개의 제1 도체(21s)만을 구비한 구조라도 되고, 2개 이상의 제1 도체(21s)를 구비한 구조라도 된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예를 들면, 이동 기기(32)의 제어나 급전을 위해, 3개 내지 8개의 제1 도체(21s)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복수의 제1 도체(21s)를 구비하는 경우, 제1 도체(21s)를 일정한 피치로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도체(21s)의 피치는, 예를 들면, 20㎜로 할 수 있다.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4개의 제2 도체(22s)를 1개의 제2 절연 피복(22t)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이동 기기(32)의 집전 장치(31)가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도체(21s)와 제2 도체(22s)가 나란히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has a first conductor 21s. As the first conductor 21s, a conductor excellent in conductivity (conductivity) can be used. The first conductor 21s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connects four first conductors 21s to one first insulating cover 21t. The first insulation coating 21t has a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and a connection portion 21v.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or 21s.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has a C shape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onductor 21s is exposed from the C-shaped opening groove 21w. The first conductor 21s has an exposed surface 21wa exposed from the opening groove 21w of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The connecting portion 21v is configured to connect adjacent conductor covering portions 21u.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v can be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resin.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ductor 21s,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copper, copper alloy or stainless steel can be used. The first conductor 21s may be, for example, a single layer of copper, or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stainless steel and copper. The first conductor 21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xposed surface 21wa is flat or the exposed surface 21wa is a V-shaped concave groove.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insulation coating 21t,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excellent in electric insulation such as a vinyl chloride resin can be used.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may have only one first conductor 21s or two or more first conductors 21s.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ree to eight first conductors 21s for controlling or feeding the mobile device 32,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21s, the first conductors 21s can be provided at a constant pitch. The pit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21s may be, for example, 20 mm.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may have the same construction as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connects the four second conductors 22s by one second insulation coating 22t.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re arranged such that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31 of the mobile device 3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The first conductor 21s and the second conductor 22s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move the first conductor 21s and the second conductor 22s.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는, 베이스부(1)와, 애자부(2)와, 한 쌍의 스프링재(3)에 더하여, 조정부(4)와, 제1 장력 받이구(6)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평판형의 기체(基體) 부재(1b)와, 가이드 벽(1c)과, 결합벽(1d)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부재(1b)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으로 하고 있다. 가이드 벽(1c)은, 직사각형의 기체 부재(1b)의 한 변을 따라, 기체 부재(1b)로부터 상승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체 부재(1b)에는, 한 쌍의 가이드 벽(1c)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벽(1c)은, 기체 부재(1b)의 한 변을 따른 일단부에 결합벽(1d)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벽(1d)은, 기체 부재(1b)와 가이드 벽(1c)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결합벽(1d)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1e)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는, 예를 들면, 아연 도금 강판(鋼板)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의 재료는, 아연 도금 강판 등의 금속 재료에만 한정되지 않고,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1)는, 기체 부재(1b)와 한 쌍의 가이드 벽(1c)에 에워싸인 범위에, 제1 유지부(1a)와 애자부(2)를 수용하고 있다. 제1 유지부(1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와, 협지(sandwich) 부재(1ad)를 구비하고 있다.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adjusting section 4 and the first tension receiving section 6 in addition to the base section 1, the insulator section 2, the pair of spring materials 3, . The base portion 1 is provided with a flat base member 1b, a guide wall 1c and a coupling wall 1d. The base member 1b has a rectangular outer shape in plan view. The guide wall 1c is provided so as to rise from the base member 1b along one side of the rectangular base member 1b. In the base member 1b, a pair of guide walls 1c are provided so as to oppose each other. In the guide wall 1c, a coupling wall 1d is provided at one end along one side of the base member 1b. The joining wall 1d is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base member 1b and the guide wall 1c. As shown in Fig. 3, the joining wall 1d has a first through hole 1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base portion 1 can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galvanized steel plate. The material of the base portion 1 is not limited to a metal material such as a galvanized steel sheet but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e base portion 1 accommodates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insulator portion 2 in a range surrounded by the base member 1b and the pair of guide walls 1c. 3,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ncludes a first cap portion 1aa, a second cap portion 1ab, a third cap portion 1ac, and a sandwich member 1ad .

제1 캡부(1aa)는, 시트부(seat portion)(1ae)와, 스텝부(段部)(1af)와, 가압부(1ag)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1ae)는, 직육면체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스텝부(1af)는, 시트부(1ae)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시트부(1ae)의 표면으로부터 일단(一段)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1ag)는, 스텝부(1af)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ag)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1ah)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1ah)는, 시트부(1ae)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일단과 반대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캡부(1aa)는, 시트부(1ae)와, 스텝부(1af)와, 가압부(1ag)를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캡부(1a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시트부(1ae)와 가압부(1ag)의 연장부(1ah)와의 사이에서 협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가 시트부(1ae)와 가압부(1ag)의 연장부(1ah)와의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단부(21a)가 스텝부(1af)에 닿음으로써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삽입이 규제된다. The first cap portion 1aa includes a seat portion 1ae, a step portion 1af, and a pressing portion 1ag. The seat portion 1ae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step portion 1af is configured to be one step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a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1ae. The pressing portion 1ag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af.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ressing portion 1ag has an extended portion 1ah. The extension portion 1ah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1ae towar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n the first cap portion 1aa, the sheet portion 1ae, the step portion 1af, and the pressing portion 1ag are integrally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e first cap portion 1aa is configured to hold the first end 21a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 The first cap portion 1a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seat portion 1ae and the extension portion 1ah of the pressing portion 1ag . When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is inserted between the seat portion 1ae and the extending portion 1ah of the pressing portion 1ag, The inse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is restricted by the contact portion 21a touching the step portion 1af.

제2 캡부(1ab)는, 제1 캡부(1a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캡부(1ab)는, 가압부(1ag)가 시트부(1ae)의 중앙부에 형성된 점이 제1 캡부(1aa)와 주로 상위하다. 제3 캡부(1ac)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수직인 면에 대하여, 제1 캡부(1aa)와 대칭인 구조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캡부(1ab)는, 제1 캡부(1aa)와 제3 캡부(1ac)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4개의 제1 도체(21s) 중,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1 캡부(1aa)만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의 2개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하나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1 캡부(1aa)의 가압부(1ag)와 제2 캡부(1ab)의 가압부(1ag)로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의 2개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하나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2 캡부(1ab)의 가압부(1ag)와 제3 캡부(1ac)의 가압부(1ag)로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4개의 제1 도체(21s) 중,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3 캡부(1ac)만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3 캡부(1ac)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캡부(1aa)와 제3 캡부(1ac)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제2 캡부(1ab)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에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도체의 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The second cap portion 1ab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irst cap portion 1aa. The second cap portion 1ab is mainly different from the first cap portion 1aa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1ag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t portion 1ae. The third cap portion 1ac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cap portion 1aa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have. The second cap portion 1ab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p portion 1aa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s configured so that one of the first conductors 21s among the four first conductors 21s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can be held by only the first cap portion 1aa have. The first cap portion 1aa holds one first conductor 21s through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s configured to hold one first conductor 21s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with two pieces of the first cap portion 1aa and the second cap portion 1ab . The first cap portion 1aa and the second cap portion 1a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21s via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and the pressing portion 1ag of the first cap portion 1aa, 1ab.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s configured to hold one first conductor 21s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by the second cap portion 1ab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 The second cap portion 1ab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are formed so that one first conductor 21s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1ag of the second cap portion 1ab and the second cap portion 1c via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1ac.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s configured so that one of the first conductors 21s of the four first conductors 21s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can be held by only the third cap portion 1ac . The third cap portion 1ac holds one first conductor 21s through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by means of a multidirec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p portion 1aa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second cap portions 1ab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p portion 1aa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onductors in the case of using the insulating trolley wire.

협지 부재(1ad)는, 바닥편(1aj)과, 협지편(sandwich piece)(1ak)을 구비하고 있다. 협지편(1ak)은, 바닥편(1aj)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ad)는,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를 바닥편(1aj)에 탑재해 둘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협지 부재(1ad)는,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를, 한 쌍의 협지편(1ak)에 의해, 끼워넣어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편(1ak)의 각각에는, 개구부(1an)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ad)는, 협지편(1ak)의 개구부(1an)에 의해, 제1 캡부(1aa)나 제3 캡부(1ac)의 돌출되어 형성된 끼워맞춤부(1am)와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ad)의 재료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협지 부재(1ad)는, 금속판의 펀칭 가공,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The sandwiching members 1ad are provided with a bottom piece 1aj and a sandwich piece 1ak. The nipping pieces 1ak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iece 1aj. The nip member 1ad is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cap portion 1aa, the second cap portion 1ab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piece 1aj. The nip member 1ad is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cap portion 1aa, the second cap portion 1ab and the third cap portion 1ac can be sandwiched and held by the pair of holding pieces 1ak . In each of the pair of holding pieces 1ak, an opening 1an is formed. The nip member 1ad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am formed by protruding the first cap portion 1aa or the third cap portion 1ac by the opening 1an of the holding piece 1ak have. As the material of the sandwiching member 1ad,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can be used. The nipping member 1ad can be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제1 유지부(1a)에서는, 제1 캡부(1aa), 제2 캡부(1ab)나 제3 캡부(1ac)와, 협지 부재(1ad)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캡부(1aa), 제2 캡부(1ab)나 제3 캡부(1ac)와, 협지 부재(1ad)를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는 구조뿐아니라,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제1 유지부(1a)는, 나사에 의해, 협지 부재(1ad)를 베이스부(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는, 제1 유지부(1a)와, 제1 유지부(1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애자부(2)를 수납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가이드 벽(1c)을 따라, 애자부(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the first cap portion 1aa, the second cap portion 1ab, the third cap portion 1ac, and the nip member 1ad may be fixed by screws.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is configured not only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ap portion 1aa, the second cap portion 1ab, the third cap portion 1ac and the nipping member 1ad are fixed by screw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can fix the holding member 1ad to the base portion 1 with a screw. The base portion 1 houses a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an insulator portion 2 arranged to face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The base portion 1 is configured so that the insulator 2 can move along the guide wall 1c.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유지한다. 애자부(2)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애자부(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b)와, 슬라이딩부(2b)를 연결하는 연결편(2c)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부(2b)는, 직육면체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연결편(2c)은, 직사각형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애자부(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b)를,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연결편(2c)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2c)은, 격리벽(2d)과 고정부(2e)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편(2c)은, 복수의 격리벽(2d)과 복수의 고정부(2e)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고정부(2e)는, 격리벽(2d)끼리의 사이나 격리벽(2d)과 슬라이딩부(2b)와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격리벽(2d)은, 슬라이딩부(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격리벽(2d)은, 연결편(2c)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2e)는, 연결편(2c)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고정부(2e)는, 제2 도체(22s)로 덮혀 있어 보이지 않는다. 격리벽(2d)은, 고정부(2e)보다 연결편(2c)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높게 하고 있다. 고정부(2e)에는, 제2 유지부(2a)가 고정된다. 제2 유지부(2a)는, 예를 들면, 비스(vis)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2e)는, 제2 유지부(2a)를 나사 멈춤 가능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스를 나사 멈춤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insulator 2 holds the second end 22a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The insulator 2 has a rectangular outer shape in plan view. The insulator 2 has a pair of sliding portions 2b and a connecting piece 2c connecting the sliding portions 2b. The sliding portion 2b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connecting piece 2c has a rectangular plate-like outer shape. The insulator 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2c so that the pair of sliding parts 2b can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iece 2c has an insulating wall 2d and a fixing portion 2e. The connecting piece 2c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walls 2d and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2e. The fixing portion 2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ng walls 2d and between the separating wall 2d and the sliding portion 2b. The isolation wall 2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2b. The isolation wall 2d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iece 2c. The fixing portion 2e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iece 2c. In Fig. 1 and Fig. 2, the fixing portion 2e is covered with the second conductor 22s and is invisible. The isolation wall 2d has a height of protrusion from the connecting piece 2c higher than that of the fixed portion 2e.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2e. As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for example, a vis may be used. The fixing portion 2e is formed with a screw hole so that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can be screwed. The screw hole is structured so that the screw can be screw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애자부(2)는, 복수의 격리벽(2d) 중, 대향하는 격리벽(2d)의 사이에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서의 도체 피복부(22u)로부터 돌출된 제2 도체(22s)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격리벽(2d)과 슬라이딩부(2b)와의 사이에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서의 도체 피복부(22u)로부터 돌출된 제2 도체(22s)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가 고정부(2e)를 덮도록,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배치된다. 제2 단부(22a)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도체(22s)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단부(22a)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22sa)가 제2 도체(22s)에 형성되어 있다. 애자부(2)에서는, 제2 유지부(2a)가 제2 도체(22s)의 구멍부(22sa)에 삽통(揷通)된다. 애자부(2)는, 제2 도체(22s)의 구멍부(22sa)에 삽통된 제2 유지부(2a)를 고정부(2e)에 나사 멈춤함으로써,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애자부(2)는, 제2 유지부(2a)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고정부(2e)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리는 장력에 대하여,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유지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애자부(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b)의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배치하는 격리벽(2d)의 수를 적절하게 증감함으로써,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도체의 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2b)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공(2k)이 형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제2 관통공(2k)에 긴 볼트(3a)가 삽통된다. 긴 볼트(3a)는, 일단에 헤드부(3b)를 구비하고 있다. 긴 볼트(3a)는, 베이스부(1)의 결합벽(1d)을 통하여 제1 장력 받이구(6)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너트(3c)가 일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긴 볼트(3a)의 타단측에 있어서, 제1 와셔(washer)(4a)를 통하여, 제2 너트(4b) 및 제3 너트(4c)가 장착된다. The insulator 2 is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walls 2d facing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alls 2d by a second conductor 22s. The insulator 2 can accommodate the second conductor 22s protruding from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2u in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between the isolation wall 2d and the sliding portion 2b . The insulator 2 is provided with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so that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covers the fixing portion 2e. The second end portion 22a is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conductor 22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 In the second end portion 22a, as shown in Fig. 3, a hole portion 22sa is formed in the second conductor 22s. In the insulator 2,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is inserted into the hole portion 22sa of the second conductor 22s. The insulator 2 is fixed to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by screwing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inserted into the hole portion 22sa of the second conductor 22s into the fixing portion 2e . The insulator 2 is fixed to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by securing the second end 2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to the fixing portion 2e by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can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tension appl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 The insulator 2 is provided on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by appropriate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isolating walls 2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pair of sliding portions 2b,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number of conductors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or is used. The sliding portion 2b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2k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sulator 2, the long bolt 3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2k. The long bolt 3a has a head portion 3b at one end. The long bolt 3a has a first nut 3c mounted on one end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through the coupling wall 1d of the base portion 1. [ The fastening device 10 is equipped with the second nut 4b and the third nut 4c through the first washer 4a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long bolt 3a.

제1 장력 받이구(6)는, 제1 고정판(6a)과, 고정벽(6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판(6a)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판(6a)은, 제1 나사 지지부(6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나사 지지부(6d)는, 도 3에 나타낸 제1 볼트(25)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제1 고정판(6a)과 제1 볼트(25)로 레일(23)을 협지함으로써, 레일(23)에 고정된다. 제1 고정판(6a)은,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 제1 고정판(6a)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정벽(6b)을 2개씩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판(6a)에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고정벽(6b)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고정벽(6b)의 삽통공(揷通孔)에 긴 볼트(3a)가 삽통된다. 긴 볼트(3a)는,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설치된 헤드부(3b)와 제1 너트(3c)로, 제1 고정판(6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고정벽(6b)을 끼워넣고 있다. 긴 볼트(3a)는, 헤드부(3b)와 제1 너트(3c)에 의해, 한 쌍의 고정벽(6b)을 끼워넣는 것에 의해, 제1 장력 받이구(6)에 고정된다. 제1 장력 받이구(6)에는, 제1 고정판(6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고정벽(6b) 사이에 스페이서(6c)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c)는, 한 쌍의 고정벽(6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6c)는, 원기둥형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c)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c)의 통공은, 긴 볼트(3a)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긴 볼트(3a)와 제1 너트(3c)를 사용하여, 베이스부(1)의 결합벽(1d)과 제1 장력 받이구(6)의 고정벽(6b)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인장(引張) 상태에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레일(23)에 가설(架設)할 수 있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의해, 애자부(2)를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장력을 캐치(catch)하기 위해,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에 있어서, 제1 유지부(1a) 측에 설치되어 있다.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late 6a and a fixing wall 6b. The first fixing plate 6a is formed in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when seen in a plan view. The first fixing plate 6a is provided with a first screw supporting portion 6d. The first screw supporting portion 6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bolt 25 shown in Fig. 3 is threadably engageable.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is fixed to the rail 23 by holding the rail 23 with the first fixing plate 6a and the first bolt 25. The first fixing plate 6a has two fixing walls 6b protruding from the first fixing plate 6a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fixing plate 6a, the fixing walls 6b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a long bolt 3a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the fixing wall 6b. The long bolt 3a has a pair of opposed fixing walls 6b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6a with a head portion 3b and a first nut 3c provided on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long bolt 3a is fixed to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by fitting the pair of fixing walls 6b by the head portion 3b and the first nut 3c.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is provided with a spacer 6c between a pair of opposite fixing walls 6b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6a. The spacers 6c can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fixing walls 6b. The spacer 6c is formed in a cylindrical outer shape. The spacer 6c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of the spacer 6c is formed so that the long bolt 3a can pass through. The fastening device 10 is form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wall 1d of the base part 1 and the fastening wall 6b of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using the long bolt 3a and the first nut 3c Respectively. The fastening device 10 can straddle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on the rail 23 while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is stretched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tension receiving tool 6 has a function of tensioning the insulator 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are separated by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Is provided on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so as to catch the acting tension.

애자부(2)는, 긴 볼트(3a)를 통하여, 베이스부(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긴 볼트(3a)는, 스프링재(3)를 유지하고 있다. 스프링재(3)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긴 볼트(3a)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재(3)의 중심부를 통하고 있다. 긴 볼트(3a)는, 결합벽(1d)으로부터 돌출하고, 애자부(2)를 통하여 결합벽(1d)과 반대의 부분에, 스프링재(3)를 배치하고 있다. 체결 장치(10)는, 베이스부(1)와 애자부(2)를 연결하기 위해, 베이스부(1)의 결합벽(1d)으로부터 돌출하는 긴 볼트(3a)를, 애자부(2)의 제2 관통공(2k), 제2 와셔(4d), 스프링재(3), 제1 와셔(4a)에 통하여, 제2 너트(4b), 제3 너트(4c)에 의해 고정시킨다. 제1 와셔(4a)와 제3 너트(4c)는, 긴 볼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너트(4b)를 협지하여 위치하고 있다. 제1 와셔(4a)와 제3 너트(4c)는, 긴 볼트(3a)에 대한 제2 너트(4b)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는, 서로 역방향으로 조여 느슨함을 방지하는 더블 너트를 구성하고 있다. The insulator 2 is mov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 through a long bolt 3a. The long bolt (3a) holds the spring material (3). As the spring material 3, for example, a coil spring can be used. The long bolt 3a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pring member 3 formed of a coil spring. The long bolt 3a protrudes from the engaging wall 1d and the spring material 3 is disposed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engaging wall 1d through the engaging portion 2. The fastening devic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ongated bolt 3a protruding from the engagement wall 1d of the base portion 1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2b of the engaging portion 2 to connect the base portion 1 and the insulator portion 2 Is fixed by the second nut 4b and the third nut 4c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k, the second washer 4d, the spring member 3 and the first washer 4a. The first washer 4a and the third nut 4c are positioned by sandwiching the second nut 4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bolt 3a. The first washer 4a and the third nut 4c are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nut 4b with respect to the long bolt 3a is not shifted. The second nut 4b and the third nut 4c constitute a double nut which is tight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revent slack.

체결 장치(10)에서는, 제2 와셔(4d)를 통하여, 스프링재(3)의 일단이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체결 장치(10)에서는, 스프링재(3)에 의해, 애자부(2)에 유지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유지부(2a)가 제1 유지부(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다. 애자부(2)에서는, 긴 볼트(3a)가 삽통된, 스프링재(3)에 의해,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베이스부(1)는, 한 쌍의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애자부(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긴 볼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를 이동시킴으로써, 레일(23)에 가설 후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체결 장치(10)는, 한 쌍의 스프링재(3) 각각에 대응하여, 긴 볼트(3a)와, 긴 볼트(3a)에 조합되는 제3 너트(4c)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 각각은, 긴 볼트(3a)가 삽통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긴 볼트(3a)는, 일단측이 베이스부(1)에 고정된다. 긴 볼트(3a)는, 타단측에 제3 너트(4c)가 장착된다. 애자부(2)는, 긴 볼트(3a)가 삽통되는 제2 관통공(2k)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관통공(2k)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은, 긴 볼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애자부(2)와 제3 너트(4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은, 긴 볼트(3a)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도록, 애자부(2)를 압압(押壓)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장치(10)는, 한 쌍의 스프링재(3) 각각에 대응하여, 긴 볼트(3a)와 제3 너트(4c)를 구비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조정부(4)를 구성할 수 있다. 조정부(4)는, 더블 너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정부(4)는,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로 더블 너트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는, 스프링재(3)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부(4)를 구성하고 있다. 조정부(4)는, 제2 너트(4b)나 제3 너트(4c)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fastening device 10, one end of the spring member 3 is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insulator 2 through the second washer 4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held by the insulator 2 is brought closer to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by the spring member 3 in the fastening device 10, Direction. In the insulator 2, since the resilient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spring member 3 into which the long bolt 3a is inserted, 2 insulation trolley wire 22 in order to provide tension to the insulation trolley wire 22. The spring member 3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insulator 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come close to each other. The base portion 1 movably accommodates the insulator portion 2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by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The pair of spring members 3 are arrang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The fastening device 10 moves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fter being fixed to the rail 23 by moving the second nut 4b and the third nut 4c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bolt 3a, Can be adjusted. In other words, the fastening device 10 has the long bolt 3a and the third nut 4c combined with the long bolt 3a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pair of spring materials 3. Each of the pair of spring materials 3 is a coil spring through which the long bolt 3a is inserted. The long bolt 3a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1 at one end. The long bolt 3a has a third nut 4c mounted on the other end thereof. The insulator 2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2k through which the long bolt 3a is inserted. The second through holes 2k are form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s 1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s 2a facing each other are aligned. The coil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insulator 2 and the third nut 4c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bolt 3a.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spring presses the insulator 2 so as to face one end side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long bolt 3a. The fastening device 10 can constitute the adjustment portion 4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cluding the long bolt 3a and the third nut 4c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spring materials 3.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djustment portion 4 is formed of a double nut. The adjusting portion 4 can be formed as a double nut by the second nut 4b and the third nut 4c. That is, the second nut 4b and the third nut 4c constitute an adjusting unit 4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3. The adjusting section 4 may be constituted by only the second nut 4b or the third nut 4c.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3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에 의해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와는 반대의 제3 단부(21b)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3 단부(21b)는, 본 발명의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2 단부에 대응한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4 단부(22b)는, 본 발명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2 단부에 대응한다. 체결 장치(10)의 베이스부(1)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은,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 및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수용되는 장척형의 레일(23)의 제1 면(23aa)을 따라 설치된다. 베이스부(1)와 제1 접속 블록(11)은, 레일(23)의 제1 면(23aa)에 고정된다. 제2 접속 블록(12)은, 레일(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5, in the insulating trolley 30 using the fasten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nd a connection block 12.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provided with a third holding portion 11a.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holds the third end portion 21b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by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The third end 21b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in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ncludes a fourth holding portion 12a.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holds the fourth end portion 22b opposite to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by the fourth retaining portion 12a. The fourth end portion 22b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1 of the fastening device 10 and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are accommodated Type rail 23 along the first surface 23aa. The base portion 1 and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re fixed to the first surface 23aa of the rail 23.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23.

레일(23)은,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일(23)은, 장척형의 바닥판(23a)과, 한 쌍의 측벽(23b)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23b)은, 바닥판(2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23b)은, 바닥판(23a)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일(23)은, 바닥판(23a)과 한 쌍의 측벽(23b)에 의해,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23a)은, 1표면이 레일(23)의 제1 면(23aa)을 구성하고 있다. 바닥판(23a)은, 체결 장치(10)를 고정시키는 제1 볼트(25)를 삽통하는 제1 구멍(25aa)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23a)에는, 제2 구멍도 형성되어 있다. 장척형의 레일(23)은, 바닥판(23a)과 측벽(23b)으로 에워싸인 영역에,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 및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6, the rails 23 are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The rail 23 has a long bottom plate 23a and a pair of side walls 23b. The pair of side walls 23b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23a. The pair of side walls 23b are configured to rise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23a. The rail 23 is formed in a C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by a bottom plate 23a and a pair of side walls 23b. On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3a constitutes the first surface 23aa of the rail 23. The bottom plate 23a has a first hole 25aa through which a first bolt 25 for fixing the fastening device 10 is inserted. A second hole is also formed in the bottom plate 23a. The elongated rail 23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bottom plate 23a and the side wall 23b .

제1 접속 블록(1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본체(11s)와, 제1 커버(11t)와, 제3 유지부(11a)와, 제1 장착 나사(11u)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본체(11s)는, 평면에서 볼 때가 직사각형상이며, 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접속 본체(11s)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홈부(11ss)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홈부(11ss)는, 제1 오목부(11sa)와, 제3 관통공(11sb)와, 제2 오목부(11s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오목부(11sa)는, 접속 본체(11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 관통공(11sb)는, 접속 본체(11s)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11sc)는, 접속 본체(11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11sc)는, 제1 오목부(11sa)보다 깊고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홈부(11ss)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에서는, 인접하는 제1 홈부(11ss)의 사이에 제1 분리벽(11sd)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는, 제3 관통공(11sb)을 부분적으로 막도록, 제1 분리벽(11sd)의 높이 방향의 선단에 제1 분리벽(11sd)의 폭이 넓어지는 제1 광폭부(11se)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광폭부(11se)는, 접속 본체(11s)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접속 본체(11s)의 이면측(裏面側)으로부터 삽입되는 제3 유지부(11a)와 맞닿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 유리나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ncludes a connection body 11s, a first cover 11t, a third holding portion 11a and a first mounting screw 11u as shown in Fig. 7 have.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is rectangular in plan view and has a plate-like external shape.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has the first groove portion 11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groove portion 11ss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11sa, a third through hole 11sb,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11sc. The first concave portion 11sa i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s. The third through hole 11sb is configured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s. The second concave portion 11sc i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s. The second concave portion 11sc is configured to be deeper and concave than the first concave portion 11sa. In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a plurality of first groove portions 11ss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connection body 11s, a first separation wall 11sd is formed between adjacent first groove portions 11ss.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has a first widening portion 11s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eparation wall 11sd so as to partially cover the third through hole 11sb, 11se. The first wide portion 11se is configured so as to abut on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inserted from the back side of the connecting body 11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11s . As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for example, ceramic, glass, synthetic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제1 커버(11t)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상으로서,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커버(11t)는, 정사각형상의 4코너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단차부(段差部)(11t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단차부(11ta)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관통공(11t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11t)는, 제4 관통공(11tb)에 제1 장착 나사(11u)가 삽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커버(11t)는, 제1 장착 나사(11u)를 사용하여, 접속 본체(11s)에 장착된다. 제1 커버(11t)는, 접속 본체(11s)의 이면을 덮어, 제3 관통공(11sb)을 막도록 장착된다. 접속 본체(11s)는, 제1 커버(11t)의 제1 단차부(11ta)와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커버(11t)와 접속 본체(11s)와의 사이에 제3 유지부(11a)가 수용된다.The first cover 11t has a square shape in plan view and a flat plate-like outer shape. The first cover 11t has a first stepped portion 11ta projecting from the surface at four corners on a square. In the first stepped portion 11ta, a fourth through hole 11tb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The first cover 11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mounting screw 11u is inserted into the fourth through hole 11tb. The first cover 11t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body 11s using the first mounting screw 11u. The first cover 11t is mounted so as to cover the back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s and to cover the third through hole 11sb. The connection body 11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it with the first stepped portion 11ta of the first cover 11t.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cover 11t and the connecting body 11s.

제3 유지부(11a)는,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와, 제1 접속 나사(11n)와, 제1 나사판(11x)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유지부(11a)는, 복수의 제1 접속 나사(11n)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이며,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C자 형상의 개구를 사이에 두도록 돌출하는 제1 클로우부(11v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5 관통공(11v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복수의 제5 관통공(11v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1ve)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편(11ve)은, 나사공(11vf)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판(11x)은, 장척형의 평판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나사판(11x)은, 제1 접속 나사(11n)가 나사맞춤 가능한 제1 나사공(11x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판(11x)은, 복수의 제1 나사공(11xa)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나사판(11x)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 나사판(11x)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5 관통공(11vb)에 삽통된 제1 접속 나사(11n)가 제1 나사공(11xa)에 나사맞춤된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제1 클로우부(11va)와, 제1 나사판(11x)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접속 나사(11n)와의 사이에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도체(21s)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도체(21s)를 2개의 제1 접속 나사(11n)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함께 배치되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2개의 제1 접속 나사(11n)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나 제1 나사판(11x)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a first connecting screw 11n and a first screw plate 11x.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screws 11n.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s C-shaped when seen from the end face, and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s provided with a first claw portion 11va which protrudes so as to place a C-shaped opening there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has a fifth through hole 11vb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ncludes a plurality of fifth through holes 11vb.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has an extending piece 11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xtending piece 11ve has a screw hole 11vf. The first screw plate 11x has an external shape of an elongated flat plate. The first screw plate 11x has a first screw hole 11xa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ing screw 11n can be screwed. The first screw plate 11x has a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11xa. The first screw plate 11x is housed inside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The first screw plate 11x is screwed into the first screw hole 11xa when the first connecting screw 11n threaded into the fifth through hole 11vb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do.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law portion 11va and the first connecting screw 11n protruding from the first screw plate 11x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1 conductors 21s.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s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conductor 21s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can be fixed by using two first connecting screws 11n. Similarly,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s configured so that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disposed together with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can be fixed by using two first connecting screws 11n .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and the first screw plate 11x, for example, a copper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제1 접속 블록(11)에서는, 전선(33)이 제2 오목부(11sc)를 따라 도입된다. 전선(33)의 선단에는, 단자 금속 부재(33a)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금속 부재(33a)는, 금속 부재부(33b)와, 판부(33c)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부재부(33b)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판부(33c)는, 금속 부재부(33b)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판부(33c)는,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금속 부재부(33b)는, 예를 들면, 전선(33)의 편조(編組) 구리선을 코킹(caulking)하여 유지할 수 있다. 판부(33c)는, 제6 관통공(33d)을 구비하고 있다. 판부(33c)는, 제6 관통공(33d)에 결합 나사(11ua)가 삽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 관통공(33d)을 삽통된 결합 나사(11ua)는,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연장편(11ve)에 형성된 나사공(11vf)에 나사맞춤된다. 단자 금속 부재(33a)는, 제6 관통공(33d)을 삽통한 결합 나사(11ua)가 연장편(11ve)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고정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연장편(11ve)와 단자 금속 부재(33a)가 나사 맞춤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의 보호 커버(11j)를 구비해도 된다.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electric wire 33 is introduced along the second concave portion 11sc. A terminal metal member 33a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electric wire 33. [ The terminal metal member 33a is provided with a metal member portion 33b and a plate portion 33c. The metal member portion 33b has a cylindrical outer shape. The plate portion 33c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metal member portion 33b. The plate portion 33c has a flat external shape. The metal member portion 33b can hold, for example, a braided copper wire of the electric wire 33 by caulking. The plate portion 33c is provided with a sixth through hole 33d. The plate portion 33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gaging screw 11ua can be inserted into the sixth through hole 33d. The engaging screw 11ua threaded through the sixth through hole 33d is screwed into the threaded hole 11vf formed in the extending piece 11ve of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The terminal metal member 33a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by screwing the engaging screw 11ua through the sixth through hole 33d to the extending piece 11ve.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provided with a C-shaped protection cover (not shown) in cross section in order to protect a portion where the extension piece 11ve of the first connection metal member 11v and the terminal metal member 33a are screwed together, (11j).

제1 접속 블록(11)은, 전선(33)과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접속 본체(11s)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2 오목부(11sc)를 따라 삽입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3 단부(2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유지된 제3 단부(21b)를, 제3 관통공(11sb)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수납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제1 클로우부(11va)가 접속 본체(11s)의 제1 광폭부(11se)에 당겨 걸린 상태에서, 제1 커버(11t)에 의해 접속 본체(11s)에 압압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장착 나사(11u)가 접속 본체(11s)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제1 커버(11t)가 접속 본체(11s)에 장착된다. 제1 접속 블록(11)에서는, 제1 커버(11t)가 접속 본체(11s)에 장착됨으로써, 제1 광폭부(11se)와 제1 커버(11t)와의 사이에서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커버(11t)가 접속 본체(11s)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가 전선(33)을 덮어, 제1 도체(21s)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전선(33)을 통하여, 예를 들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접속 본체(11s)의 제1 오목부(11sa)에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3 단부(21b)가 삽입된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제1 절연 피복(21t)의 도체 피복부(21u)를 대응하는 제2 오목부(11sc)에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부(21v)의 일부가 미리 절제(切除)되어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연결부(21v)의 일부가 절제되어 절결부(切缺部)(21va)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electric wire 33 and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re integrally fixed by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is connected to the third end 21b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inserted along the second recess 11sc in the state of being housed inside the connecting body 11s Can be fixed.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houses the third end portion 21b held by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third through hole 11sb.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law portion 11va of the first connection metal member 11v is pulled by the first wide portion 11se of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and the first cover 11t To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first mounting screw 11u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body 11s so that the first cover 11t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body 11s.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first cover 11t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metal member 11v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de portion 11se and the first cover 11t, Can be maintained.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formed so that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covers the electric wire 33 and the first conductor 21s covers the electric wire 3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11t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body 11s,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can supply electric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for example, to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via the electric wire 33.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inserted with the third end 21b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into the first recess 11sa of the connection main body 11s.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connecting portion 21v so that the conductor covering portion 21u of the first insulating cover 21t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econd recessed portion 11sc ).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has a cutout portion 21va formed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connecting portion 21v.

제1 접속 블록(1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의해, 제1 접속 블록(11)에 관한 장력을 받기 위한 제2 장력 받이구(26)를 설치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에서는, 레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2 장력 받이구(26)를 제1 접속 블록(11)에서의 체결 장치(10)와 반대측에 설치하고 있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3)의 상기 제2 구멍에 삽통된 제2 볼트(27)에 의해, 레일(23)에 고정된다. 5,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1 by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23, A tension receiving hole 26 may be provided. In the insulating trolley 30, the second tension receiving tool 2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stening device 10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23. The second tension receiving member 26 is fixed to the rail 23 by a second bolt 27 threaded into the second hole of the rail 23 as shown in Fig.

제2 장력 받이구(2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정판(26a)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고정판(26a)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판(26a)은, 제2 나사 지지부(26d)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나사 지지부(26d)는, 도 6에 나타낸 제2 볼트(27)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제2 고정판(26a)과 제2 볼트(27)로 레일(23)을 협지함으로써, 레일(23)에 고정된다. 체결 장치(10)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레일(23)에 가설할 수 있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의해, 제1 접속 블록(11)에 인장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장력을 캐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tension receiving member 26 is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plate 26a. The second fixing plate 26a is formed in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when seen in plan view. The second fixing plate 26a is provided with a second screw supporting portion 26d. The second screw supporting portion 26d is configured to be screwable with the second bolt 27 shown in Fig. The second tension receiving tool 26 is fixed to the rail 23 by holding the rail 23 with the second fixing plate 26a and the second bolt 27. [ The fastening device 10 can lay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n the rail 23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s stretch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tension receiving tool 26 is installed by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 order to catch the tension acting o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by the force for pulling.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레일(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도 5에 나타낸 현수구(懸垂具)(3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수구(36)는,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으로 하고 있고,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폭 방향을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수구(3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36a)를 구비하고 있다. 현수구(36)는, 볼트(36a)에 의해 레일(23)에 고정된다. 볼트(36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배치되는 제1 면(23aa)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레일(23)의 바닥판(23a)에 형성된 제3 구멍에 삽통된다.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re provided with a hanging tool 36 shown in Fig. 5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23 . The water collecting port 36 is formed in a C shape when viewed in s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andwich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water outlet 36 has a bolt 36a. The water outlet 36 is fixed to the rail 23 by a bolt 36a. The bolts 36a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23a of the rail 23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23aa on which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re disposed, It is inserted into 3 holes.

제2 접속 블록(12)은, 제1 접속 블록(11)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체결 장치(10)를 통하여, 제1 접속 블록(11)과 대칭이 되도록 레일(23)에 배치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가 유지되는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제4 유지부(12a)는, 제3 유지부(11a)와 마찬가지로,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와, 복수의 제1 접속 나사(11n)와, 제1 나사판(11x)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4 유지부(12a)는,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와 제1 접속 나사(11n)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4 단부(22b)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s disposed on the rail 23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rough the fastening device 10.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s provided with a fourth holding portion 22b holding a fourth end portion 22b opposite to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held by the second holding portion 2a, And a part 12a. The fourth holding portion 12a is constituted by a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screws 11n and a first screw plate 11x similarly to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have. The fourth holding portion 12a is configured to hold the fourth end portion 22b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by the first connecting metal member 11v and the first connecting thread 11n have.

절연 트롤리(3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 블록(11)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레일(23)의 바닥판(23a)에 형성한 제1 개구부(24aa)로부터 레일(23)의 배면으로 되는 제2 면(23ab) 측으로 레이아웃(layout)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 상, 제1 접속 블록(11)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제1 전선(33s)이라고 한다. 절연 트롤리(30)는, 제2 접속 블록(12)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레일(23)의 바닥판(23a)에 형성한 제2 개구부(24ab)로부터 레일(23)의 제2 면(23ab) 측으로 레이아웃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 상, 제2 접속 블록(12)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제2 전선(33t)이라고 한다. 절연 트롤리(30)는, 레일(23)의 제2 면(23ab) 측에 설치한 단자 테이블(29)에 있어서,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단자 테이블(29)은,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을 전기적으로 접속할뿐아니라,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선(39)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단자 테이블(29)은,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과, 전력선(39)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제1 전선(33s)이나 제2 전선(33t)을 통하여,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급전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공통의 전선(33)을 사용하여 접속시켜도 된다. 절연 트롤리(30)는, 공통의 전선(33)을 사용함으로써, 제1 접속 블록(11)에 유지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접속 블록(12)에 유지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레일(23)의 제2 면(23ab) 측에서,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전선(33)으로 접속시킨다. 절연 트롤리(30)는,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전선(33)과 접속시켜, 제1 접속 블록(11)에 유지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접속 블록(12)에 유지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은, 제1 접속 블록(11)에 유지되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접속 블록(12)에 유지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와이어(bypass wire)(13)를 구성하고 있다. 바이패스 와이어(13)는, 레일(23)의 제1 면(23aa)과는 반대의 제2 면(23ab)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동 기기(32)의 이동의 방해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6, the electric trolley 30 extends from the first opening portion 24aa formed on the bottom plate 23a of the rail 23 to the rail 33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o the second surface 23ab, which is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3.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electric wire 33 derived from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is referred to as a first electric wire 33s. The insulating trolley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by the electric wire 33 led out from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from the second opening 24ab formed on the bottom plate 23a of the rail 23, (23ab) sid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electric wire 33 deriv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s referred to as a second electric wire 33t. The insulating trolley 3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ic wire 33s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33t in the terminal table 29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23ab side of the rail 23. The terminal table 29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ic wire 33s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33t as well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the electric power line 39 from the external electric power source. The terminal table 2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33s via the first wire 33s and the second wire 33t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33s, the second wire 33t, It is possible to feed the trolley wire 20a. The insulating trolley 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by using a common electric wire 33. [ The insulating trolley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held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nd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21 held in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by using the common electric wire 33. [ The wires 2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he insulating trolley 30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with the electric wires 33 on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23ab of the rail 23. The insulating trolley 3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to the electric wire 33 and connecting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held by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held in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electric wire 33s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33t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held 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and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1 held in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And constitutes a bypass wire 1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s 22 to each other. Since the bypass wire 13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surface 23a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23aa of the rail 2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ypass wire 13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32 .

절연 트롤리(30)에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장력을 받으므로, 체결 장치(10), 제1 접속 블록(11), 제2 접속 블록(12)에 더하여, 도 8에 나타낸 고정 블록(14)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고정 블록(14)은, 고정 본체(14s)와, 제2 커버(14t)와, 제5 유지부(14a)와, 제2 장착 나사(14u)를 구비하고 있다. The insulating trolley 30 is tensioned by any one of the lengthwise directions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so that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device 10,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The fixing block 14 shown in Fig. 8 may be provided. The fixed block 14 includes a fixed body 14s, a second cover 14t, a fifth holding portion 14a, and a second mounting screw 14u.

고정 본체(14s)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상이며, 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고정 본체(14s)는, 단면(端面)을 따라, 복수의 제3 홈부(14ss)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홈부(14ss)는, 제3 오목부(14sa)와, 제7 관통공(14sb)과, 제4 오목부(14sc)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오목부(14sa)는, 고정 본체(14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7 관통공(14sb)은, 고정 본체(14s)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오목부(14sc)는, 고정 본체(14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4 오목부(14sc)는, 제3 오목부(14sa)와 같은 깊이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 본체(14s)에서는, 인접하는 제3 홈부(14ss)의 사이에 제2 분리벽(14sd)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본체(14s)는, 제7 관통공(14sb)을 부분적으로 막도록, 제2 분리벽(14sd)의 높이 방향의 선단에 제2 분리벽(14sd)의 폭이 넓어지는 제2 광폭부(14se)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본체(14s)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 유리나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xed body 14s is square in plan view and has a plate-like outer shape. The fixed body 14s has a plurality of third trenches 14ss formed along its end face. The third trench 14ss includes a third recess 14sa, a seventh through hole 14sb, and a fourth recess 14sc. The third concave portion 14sa i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fixed body 14s. The seventh through hole 14sb is configured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ed body 14s. The fourth concave portion 14sc i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fixed body 14s. The fourth concave portion 14sc is concave at the same depth as the third concave portion 14sa. In the fixed body 14s, a second separation wall 14sd is formed between adjacent third trenches 14ss. The fixing body 14s is provided with a second widening portion 14sd whose width is larger at the tip 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wall 14sd so as to partly cover the seventh through hole 14sb 14se. As the material of the fixing body 14s, for example, ceramic, glass, synthetic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제2 커버(14t)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상으로서,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커버(14t)는, 정사각형상의 4코너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단차부(14t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단차부(14ta)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관통부(14t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14t)는, 제1 접속 블록(11)의 제1 커버(11t)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 커버(14t)는, 제2 장착 나사(14u)를 사용하여, 고정 본체(14s)에 장착된다. 제2 커버(14t)는, 고정 본체(14s)의 이면을 덮어, 제7 관통공(14sb)을 막도록 설치된다. 고정 본체(14s)는, 제2 커버(14t)의 제2 단차부(14ta)와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블록(14)은, 제2 커버(14t)와 고정 본체(14s)와의 사이에 제5 유지부(14a)가 수용된다. The second cover 14t has a square shape in plan view and a flat plate-like outer shape. The second cover 14t has a second stepped portion 14ta projecting from the surface at four corners of the square. In the second stepped portion 14ta, a fourth penetration portion 14tb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The second cover 14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cover 11t of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The second cover 14t is mounted on the fixed body 14s using the second mounting screw 14u. The second cover 14t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body 14s and to cover the seventh through hole 14sb. The fixing body 14s is configured so as to be fitted to the second stepped portion 14ta of the second cover 14t. The fixing block 14 receives the fifth holding portion 14a between the second cover 14t and the fixing body 14s.

제5 유지부(14a)는, 제2 접속 금속 부재(14v)와, 제2 접속 나사(14n)와, 제2 나사판(14x)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는,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이며,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는, C자 형상의 개구를 사이에 두도록 돌출하는 제2 클로우부(14v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나사판(14x)은, 장척형의 평판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나사판(14x)은, 제2 접속 금속 부재(14v)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 나사판(14x)은, 제2 접속 나사(14n)에 수용된 상태로 제2 접속 나사(14n)가 나사맞춤된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는, 제2 클로우부(14va)와 제2 나사판(14x)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접속 나사(14n)와의 사이에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나 제2 나사판(14x)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fth holding portion 14a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a second connecting screw 14n and a second screw plate 14x.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has a C-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is provided with a second claw portion 14va which protrudes so as to place a C-shaped opening therebetween. The second screw plate 14x has an external shape of an elongated flat plate. The second screw plate 14x is hou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The second screw 14x is screw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screw 14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necting screw 14n.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is provided so as to sandwich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between the second claw portion 14va and the second connecting screw 14n projecting from the second screw plate 14x Consists of.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and the second screw plate 14x, for example, a copper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고정 블록(14)은, 제2 접속 금속 부재(14v)의 제2 클로우부(14va)가 고정 본체(14s)의 제2 광폭부(14se)에 당겨 걸린 상태에서, 제2 커버(14t)에 의해, 고정 본체(14s)에 압압된다. 고정 블록(14)은, 제2 장착 나사(14u)가 고정 본체(14s)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제2 커버(14t)가 고정 본체(14s)에 장착된다. 고정 블록(14)에서는, 제2 커버(14t)가 고정 본체(14s)에 장착됨으로써, 제2 광폭부(14se)와 제2 커버(14t)와의 사이에서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 블록(14)은, 레일(23)에 배치된다. 고정 블록(14)은, 레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고정 블록(14)에 관한 장력을 받으므로, 도 7에 나타낸 제2 장력 받이구(26)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The fixing block 14 is attached to the second cover 14t with the second claw portion 14va of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pulled by the second wide portion 14se of the fixed body 14s To the fixed body 14s. The second block 14t is mounted on the fixed body 14s by screwing the second mounting screw 14u to the fixed body 14s. In the fixing block 14, the second cover 14t is mounted on the fixed body 14s to hold the second connecting metal member 14v between the second wide portion 14se and the second cover 14t . The fixed block 14 is disposed on the rail 23. Since the fixing block 14 receives the tens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block 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23, the second tension receiving tool 26 shown in Fig. 7 can be appropriately arranged.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30)는, 천정 등에 레일(23)이 현수된다. 레일(23)은,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경로를 따라, 직선형이나 곡선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레일(23)은, 곡선형으로서, U자형 라인, L자형 라인, S자형 라인으로 시공할 수 있다. 레일(23)은, 이동 기기(32)가 주회(周回) 가능하도록, 긴 원형 등의 엔드리스 라인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In the insulating trolley 30 using the fasten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ls 23 are suspended from a ceiling or the like. The rail 23 can be formed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along the path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The rail 23 is curved and can be constructed as a U-shaped line, an L-shaped line, or an S-shaped line. The rail 23 can also be constructed as an endless line such as a long circular shape so that the mobile device 32 can be circled.

절연 트롤리(30)에서는, 직선 거리가 긴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시공하는 경우,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장력형 절연 트롤리만으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시공하는 경우, 곡선형으로 시공하는 것이 어려운 경향이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만곡시킨 곡선 부분 등을 포함하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시공하는 경우,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장력을 가하지 않고, 또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보다,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에서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교하여, 짧은 간격으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지만, 곡선을 포함하는 복잡한 경로에 시공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사용하는 경우,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교하여 긴 구간,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레일(23)에 유지시킬 수 있다. 장력형 절연 트롤리에서는, 예를 들면,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50m에 걸치 긴 구간, 레일(23)에 유지시킬 수 있다. The insulation trolley 30 constitutes a tension type insulation trolley that applies tension to the insulation trolley wire 20a when the insulation trolley wire 20a having a long straight distance is installed. When the insulation trolley wire 20a is applied only by the tension type insulation trolley, it tends to be difficult to construct the insulation trolley wire 20a in a curved shape. When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cludes a curved portion formed by curving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 The non-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can be applied without applying tension to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r without increas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ver the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In the non-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it is necessary to hold the insulation trolley wire 20a at short intervals in comparison with the tension type insulation trolley, but it can be installed in a complicated path including a curve. The insulating trolley 30 can hold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n the rail 23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compared with the non-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when the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is used. In the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for example,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can be held on the rail 23 over a long distance of 50 m.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스프링재(3)를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레일(23)에 대한 내장이 가능해져,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시켜,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체결 장치(10)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함으로써,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직선 거리가 비교적 긴 경우에 있어서,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이용할 수 있다. 체결 장치(10)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함으로써,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되도록 한 곡선의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mbedded in the rail 23 by arranging the spring material 3 along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The trolley and the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can be combined to have a higher workability. The fastening device 10 can use a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when the straight distance of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s relatively long by combining the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and the non-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In the case where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includes a curved path so that the insulating trolley wire 20a cur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mbining the tension insulating trolley and the non-tangential insulating trolley, Can be used.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장치(10)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30)에서는,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기기(32)에 이동용의 전력을 급전할뿐아니라, 이동 기기(32)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are preferably multi-wire insulating trolley wires. In the insulating trolley 30 having the fastening device 10, by using the multi-wire insulating trolley wire, not only the power for movement is supplied to the mobile device 32 but als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32 It becomes possible.

절연 트롤리(30)는, 전술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에 의해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와는 반대의 제3 단부(21b)를 유지한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를 유지한다. 체결 장치(10)는, 제1 접속 블록(11)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 제2 접속 블록(1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ulating trolley 30 is provided with the fastening device 10 of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trolley wire 20a,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The first connection block 11 holds the third end portion 21b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21a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by the third holding portion 11a.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includes a fourth holding portion 12a. The second connection block 12 holds the fourth end portion 22b opposite to the second end portion 22a of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by the fourth retaining portion 12a. The fastening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which is hel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trolley wire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tension applied to the endless belt.

절연 트롤리(30)는,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로,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체결 장치(10)와, 제2 접속 블록(12)과, 체결 장치(10)와 제2 접속 블록(1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로,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절연 트롤리(30)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도,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에 전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에서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도,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insulating trolley 30 includes a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holding between the fastening device 10,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the fastening device 10 and the first connecting block 11, ), Thereby constituting a non-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The insulating trolley 30 includes a fastening device 10 and a second connecting block 12 and a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for holding between the fastening device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12, Thereby constituting a tension type insulating trolley. That is, the insulating trolley 30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22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21, It also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no tension is applied. Since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22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21 in the fasten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sion insulation trolley and the non- It becomes possible to combine them.

Claims (4)

제1 유지부를 구비하고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trolley wire)의 제1 단부(端部)를 상기 제1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는 베이스부;
제2 유지부를 구비하고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1 단부를 상기 제2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는 애자부(碍子部); 및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애자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스프링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와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각각은, 다선식(多線式) 절연 트롤리 와이어이고,
상기 제1 유지부는, 복수 있으며, 상기 제2 유지부는, 상기 제1 유지부에 대응하여 복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애자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유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유지부의 각각은, 가상의 기준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tightening device).
A base portion having a first holding portion and holding a first end of a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by the first holding portion;
An insulator portion having a second holding portion and holding a first end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by the second holding portion; And
A pair of spring member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insulator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h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Lt; / RTI >
Wherein each of the first insulation trolley wire and the second insulation trolley wire is a multi-wire insulation trolley wire,
Wherein the first hold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olding portions, the second hold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olding portions,
The base portion movably accommodates the insulator port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by the pair of spring members,
Wherein the pair of spring member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rough an imaginary reference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are arranged,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first hold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the second holding portions is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virtual reference line,
Tightening device of insulating trolley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 각각에 대응하여, 긴 볼트와, 상기 긴 볼트에 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 각각은, 상기 긴 볼트가 삽통(揷通)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긴 볼트는,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단측에 상기 너트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애자부는, 상기 긴 볼트가 삽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통공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긴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애자부와 상기 너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긴 볼트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을 향하도록 상기 애자부를 압압(押壓)하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ng bol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spring members, and a nut combined with the long bolt,
Wherein each of the pair of spring members is a coil spring in which the long bolt is inserted,
The long bolt has one end fixed to the base portion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nut,
The insulator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ong bolt is inserte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re aligned,
Wherein the coil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insulator and the n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bolt,
And urging the insulator portion toward the one end side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long bolt.
제1항에 기재된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의 제2 단부가 유지되는 제3 유지부를 구비한 제1 접속 블록; 및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의 제2 단부가 유지되는 제4 유지부를 구비한 제2 접속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블록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보다, 상기 제2 접속 블록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는,
절연 트롤리.
An insulated trolley wir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necting block having a third holding portion for holding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insulating trolley wire; And
A second connecting block having a fourth holding portion for holding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 RTI >
Wherein the fastening device is configured to increase a tension applied to the second insulating trolley wire hel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trolley wire and the second connecting trolley wire,
Isolated trolley.
삭제delete
KR1020150026569A 2014-08-18 2015-02-25 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 KR1016837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6171A JP6471930B2 (en) 2014-08-18 2014-08-18 Insulating trolley wire tightening device and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same
JPJP-P-2014-166171 2014-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708A KR20160021708A (en) 2016-02-26
KR101683708B1 true KR101683708B1 (en) 2016-12-07

Family

ID=5544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569A KR101683708B1 (en) 2014-08-18 2015-02-25 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1930B2 (en)
KR (1) KR101683708B1 (en)
CN (1) CN105984358B (en)
TW (1) TWI60272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8963B2 (en) * 2016-08-29 2020-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ightening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994658B2 (en) * 2017-01-26 2022-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equipped with it
DE102017111984A1 (en) 2017-05-31 2018-12-06 Conductix-Wampfler Gmbh Fixing device for a conductor rail and conductor rail system
DE102017130571A1 (en) * 2017-12-19 2019-06-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Current guide prof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938A (en)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ircuit partitioning member for insulated trolley
JP2012001096A (en) 2010-06-16 2012-01-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133B2 (en) * 1980-03-31 1983-07-18 松下電工株式会社 Trolley wire tensioning device
JPS58100823U (en) * 1981-12-29 1983-07-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Long insulated trolley wire terminal section
JPS62122838A (en) * 1985-11-25 1987-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erminal apparatus for insulated trolley wire
JPH037628A (en) * 1989-06-02 1991-01-14 Hitachi Cable Ltd Connection device for multiple-wire solid insulated trolley with supporting wire
JP3368702B2 (en) * 1994-12-26 2003-01-20 日立電線株式会社 Insulation trolley wire tightening device
JP2672792B2 (en) * 1995-02-28 1997-11-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Insulation trolley retractor
JPH11192864A (en) * 1998-01-05 1999-07-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Expansible connecting part of insulating trolley
JP2001105934A (en) * 1999-10-13 2001-04-17 Hitachi Cable Ltd Terminal anchoring device for insulated trolley wire
JP2001334847A (en) * 2000-05-26 2001-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erminal tightening member for insulating trolley wire
JP4174807B2 (en) * 2005-10-28 2008-11-05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Electrical entry cover for cable duct
KR101925149B1 (en) * 2012-01-30 2018-12-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xpansion joint
CN203481599U (en) * 2013-10-10 2014-03-12 林谋富 Trolley wire plugg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938A (en)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ircuit partitioning member for insulated trolley
JP2012001096A (en) 2010-06-16 2012-01-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708A (en) 2016-02-26
TW201607802A (en) 2016-03-01
CN105984358A (en) 2016-10-05
JP2016041552A (en) 2016-03-31
CN105984358B (en) 2018-07-27
TWI602723B (en) 2017-10-21
JP6471930B2 (en)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708B1 (en) 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
US7878868B2 (en) Multipurpose cable connector
KR101683707B1 (en) Insulated trolley
CA2967080C (en) Plug connector
MY154186A (en) Supporting belt
TWI506896B (en) Connector
KR101683709B1 (en) Insulated trolley
JP2017520096A (en) Plug-in connector
RU2442251C1 (en) The electrical connection plugs
KR100919427B1 (en) Cable tray supported apparatus
CN107791846B (en) Tensioning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same
JP2006238562A (en) Plug-in distribution board
CN103138058A (en) Cable connector base
KR100967386B1 (en) Busbar connecting clip
CN107791888B (en) Power supply circuit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same
CN212908169U (en) Get electric temperature measurement fastener
KR20150077023A (en) Integral terminal type power connecting cable
JP2010123375A (en) Shield grounding tool and fastening tool
JP2012009258A (en) Wiring duct, wiring duct connection member, electrical apparatus for wiring duct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wiring 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