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68B1 -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68B1
KR101683468B1 KR1020150064843A KR20150064843A KR101683468B1 KR 101683468 B1 KR101683468 B1 KR 101683468B1 KR 1020150064843 A KR1020150064843 A KR 1020150064843A KR 20150064843 A KR20150064843 A KR 20150064843A KR 101683468 B1 KR101683468 B1 KR 10168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enter
blades
pocke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789A (ko
Inventor
권대훈
김영목
윤경원
Original Assignee
(주)성신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신엔스텍 filed Critical (주)성신엔스텍
Priority to KR102015006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18Air cleaners acting by absorption or adsorption; trapping or removing vapours or liquids, e.g. originating from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 분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블레이드의 제1포켓을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에 형성하여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는 한편 이에 의해 수분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이다.

Description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Demister device intake system for eliminating moisture}
본 발명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 분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블레이드의 제1포켓을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에 형성하여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는 한편 이에 의해 수분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이다.
최근, 미국과 북유럽 선박강국인 노르웨이 등 선진국은 해풍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선박 엔진을 보호하고, 선박연료에 포함된 고농도 황성분과 석유계 연료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선박의 엔진은 해풍에 함유된 수분과 염기(NaCl, 염화나트륨)를 걸러내지 않으면 고가의 선박 엔진에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분 분리기를 사용한다.
상기 수분 분리 장치는 케이싱(10)을 구비하고, 케이싱(10)에 일정한 간격으로 "S"자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20)가 장착되며, 각각의 블레이드(20)는 "S" 자 형태로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의 절곡된 부분에 수분제거용 포켓들 즉, 제1포켓(21), 제2포켓(22)을 형성하고, 제2포켓(22)에 근접하여 제3포켓(23)을 구비한다.
이때, 공기유입구로부터 수분 분리 장치의 각각의 블레이드들(20) 사이의 틈새들로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유입받아 수분분리장치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0)의 굴곡된 부분에 위치된 포켓들(21,22,23)을 통해 공기중에 수분을 걸러내어 하부케이싱판의 절곡부(10-1, 10-2) 밑면으로 낙하되는 물방울들을 하부의 물통으로 배출하며, 이와 동시에 공기 배출구로 수분이 걸러진 공기를 공급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분을 공기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공기를 선박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수분분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분 분리 장치의 제1포켓(21)의 경우 메인 바디(M)의 절곡되는 부분 중 도면상 상부 방향의 최고점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공기가 통과할 때 상기 제1포켓(21)에 걸림되는 양이 많아서 압력 강하가 많이 일어나고 이에 의해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수분 분리 장치 및 블레이드 자체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140592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70235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06372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18622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89370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1598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레이드의 제1포켓을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에 형성하여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는 한편 이에 의해 수분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 층 적층되는 것으로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와, 상기 메인 바디(M) 중앙 일 측에 형성되는 제1포켓(110)과, 상기 메인 바디(M) 끝단에 형성되는 제2포켓(120) 및 제3포켓(130)을 포함하는 수분 분리 장치의 블레이드로서, 상기 제1포켓(110)은 상기 메인 바디(M)의 최고점(P)에 해당하는 부분의 곡률 중심(O1)을 지나는 수직 방향 중심선(CL)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서 상기 메인 바디(M)의 상면에 요홈되되, 상기 제1포켓(110)은 상기 메인 바디(M)의 두께 방향으로 요홈되어 형성된 공간부(111)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공기 유동의 하류 방향 일 부분을 덮는 커버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111)의 바닥면 중 원주 방향의 길이 중심점(O2)에서 상기 곡률 중심(O1)까지 연장된 직선(SL)과 상기 중심선(CL)은 상기 곡률 중심(O1)에서 교차되되 그 각도는 상기 중심선에서 시계 방향으로 18도 내지 20도로 형성되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커버부(112)로 덮여지지 않은 개방부(113)의 원주 방향 길이(LW1)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W1,W2)사이로서 높이 방향 중심에서 원주 방향의 길이(LW2)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 중 상기 중심선(CL) 방향 측벽(W1)에서 상기 곡률 중심(O1)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CL)사이 거리(LW3)의 비율은 1:11~12 : 2.8~3.5가 되도록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수 층 적층된 블레이드의 공기 유입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1)와, 상기 적층된 블레이드(100,100-1)의 최고점과 상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의 저면 사이의 중심선(CL) 방향 이격거리(L2)와, 상기 다수 층 적층된 블레이드의 공기 토출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3)와 상기 블레이드의 공기 유동 방향 길이(L5)의 비율은 1 : 0.7~0.75 :1:5.6~5.7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이격거리(L1)와, 상기 블레이드의 제1포켓(110)의 커버부(120) 외측면와 인접하는 블레이드와의 거리로서 상기 커버부(120) 외측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L4)와의 비율은 1 : 0.5~0.6이 되도록 형성되는 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M1)를 가지는 블레이드(100,100-1)와 상기 블레이드(100,100-1)의 적층 방향 상부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가 배치되되, 상기 블레이드(100-1)의 메인 바디(M1) 중 최고점(P,P1)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선(TL)과, 상기 상부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2)의 메인 바디(M2) 중 공기가 유입 되는 방향의 메인 바디(M,M2)가 교차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접선과 상기 접선에 교차되는 메인 바디(M2)의 각도는 예각을 기준으로 38도 내지 39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제1포켓을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에 형성하여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는 한편 이에 의해 수분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분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수분 분리 장치의 블레이드 및 이에 의한 수분 분리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분리 장치의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분리 장치의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와, 상기 메인 바디(M) 중앙 일 측에 형성되는 제1포켓(110)과, 상기 메인 바디(M) 끝단에 형성되는 제2포켓(120) 및 제3포켓(130)을 포함하며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다수 층 적층되며 이는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블레이드(100)의 경우 상기 메인 바디(M)의 최고점(P)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 방향, 즉 도 3에서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포켓(110)은 종래보다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상 우측)에 치우치게 형성되어 종래보다 공기의 걸림이 완화된다.
이에 의해 종래보다 압력 강하가 감소되는 한편 분리 효율 또한 증가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포켓(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M)의 최고점(P)에 해당하는 부분의 곡률 중심(O1)을 지나는 수직 방향 중심선(CL)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 즉,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서 상기 메인 바디(M)의 상면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포켓(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M)의 두께 방향으로 요홈되어 형성된 공간부(111)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공기 유동의 하류 방향 일 부분을 덮는 커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을 커버부(112)가 덮되 공기 유동의 하류 방향 즉, 도면상 우측 일 부분을 상기 커버부(112)가 덮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좌측 부분은 개방되어 개방부(113)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간부(111)는 그 바닥면 중 원주 방향의 길이 중심점(O2)에서 상기 곡률 중심(O1)까지 연장된 직선(SL)과 상기 중심선(CL)은 상기 곡률 중심(O1)에서 교차되되 그 각도는 상기 중심선에서 시계 방향으로 18도 내지 20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최고점(P)이 형성되는 부분의 곡률 중심(O1)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중심선(CL)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곡률 중심(O1)과 사이 바닥면의 중심점(O2)사이를 잇는 직선(SL)을 그리면 상기 중심선(CL)과 직선(SL)은 상기 곡률 중심(O1)에서 교차되고, 상기 직선(SL)에서 중심선(CL)까지의 각도는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18도 내지 20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위치에 상기 공간부(111)를 형성하는 것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압력 강하를 감소하고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험 결과 상기 각도가 19도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포켓(110)을 경유하는 공기에서 수분이 상기 공간부(111)로 투입되므로 최대 효율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커버부(112)로 덮여지지 않은 개방부(113)의 원주 방향 길이(LW1)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W1,W2)사이로서 높이 방향 중심에서 원주 방향의 길이(LW2)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 중 상기 중심선(CL) 방향 측벽(W1)에서 상기 곡률 중심(O1)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CL)사이 거리(LW3)의 비율은 1:11~12 : 2.8~3.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W1 : LW2 : LW3의 비율이 1:11~12 : 2.8~3.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하며 특히 상기 LW1이 2.8mm이고 LW2가 32mm이며 LW3가 8.88mm를 가져 그 비율이 1 : 11.4 : 3.17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100)는 다수 층 적층되며 그 사이의 거리 또한 중요하다.
즉, 다수 층 적층된 블레이드의 공기 유입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1)와, 상기 적층된 블레이드(100,100-1)의 최고점과 상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의 저면 사이의 중심선(CL) 방향 이격거리(L2)와, 상기 다수 층 적층된 블레이드의 공기 토출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3)와 상기 블레이드의 공기 유동 방향 길이(L5)의 비율은 1 : 0.7~0.75 :1:5.6~5.7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블레이드의 공기 유동 방향 길이(L5)를 135.6mm로 하고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1)와 토출 측 이격 거리(L3)는 24mm로 하며, 상기 적층된 블레이드(100,100-1)의 최고점과 상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의 저면 사이의 중심선(CL) 방향 이격거리(L2)는 17.7mm로 하여 그 비율이 1 : 0.74 : 1 : 5.6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제1포켓(110)의 커버부(120) 외측면와 인접하는 블레이드와의 거리로서 상기 커버부(120) 외측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L4)와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이격거리(L1)의 비율은 1 : 0.5~0.6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이격거리(L1)가 상술한 바와 같이 24mm인 경우 상기 거리(L4)는 13.7mm이 되어 상기 거리(L4)와 이격거리(L1)의 비율은 1 : 0.5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100)는 다수 층 적층되는 것으로서 상기 블레이드(100)사이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각도 또한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M1)를 가지는 블레이드(100,100-1)와 상기 블레이드(100,100-1)의 적층 방향 상부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1)의 메인 바디(M1) 중 최고점(P,P1)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선(TL)과, 상기 상부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2)의 메인 바디(M2) 중 공기가 유입 되는 방향의 메인 바디(M2)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접선(TL)의 연장선상에 상기 메인 바디(M2)가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접선(TL)과 상기 메인 바디(M)의 교차점 사이의 각도는 예각을 기준으로 38도 내지 39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각도가 38.3도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도는 상기 메인 바디(M)의 교차점을 지나는 접선과 상기 최고점을 지나는 접선(TL) 사이의 각도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100)에 대한 실험 결과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100)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해석한 것으로서 공기의 수분 입자는 11?m이고, 상대 습도는 85%이다.
또한, 상술된 곡률 중심(O1)과 사이 바닥면의 중심점(O2)사이를 잇는 직선(SL)을 그리면 상기 중심선(CL)과 직선(SL)은 상기 곡률 중심(O1)에서 교차되고, 상기 직선(SL)에서 중심선(CL)까지의 각도는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19도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커버부(112)로 덮여지지 않은 개방부(113)의 원주 방향 길이(LW1)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W1,W2)사이로서 높이 방향 중심에서 원주 방향의 길이(LW2)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 중 상기 중심선(CL) 방향 측벽(W1)에서 상기 곡률 중심(O1)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CL)사이 거리(LW3)의 비율은 상기 LW1이 2.8mm이고 LW2가 32mm이며 LW3가 8.88mm를 가져 그 비율이 1 : 11.4 : 3.17이 되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블레이드의 공기 유동 방향 길이(L5)를 135.6mm로 하고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1)와 토출 측 이격 거리(L3)는 24mm로 하며, 상기 적층된 블레이드(100,100-1)의 최고점과 상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의 저면 사이의 중심선(CL) 방향 이격거리(L2)는 17.7mm로 하여 그 비율이 1 : 0.74 : 1 : 5.65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이격거리(L1)가 상술한 바와 같이 24mm인 경우 상기 거리(L4)는 13.7mm이 되어 상기 거리(L4)와 이격거리(L1)의 비율은 1 : 0.57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접선(TL)과 상기 메인 바디(M)의 교차점 사이의 각도는 예각을 기준으로 38.3도로 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해석한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강하 P는 106.26Pa이고, 효율은 32.5%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효율은 수분을 걸러내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의 수학식1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1]
토출되는 수분 유량/투입되는 수분 유량 X 100
즉, 본 발명에 의한 경우 효율이 종래보다 대략 15%이상 증가하며 압력 강하 또한, 대략 10%이상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포켓(110)의 위치와 형상 그리고 메인 바디(M)의 형상을 최적화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블레이드 110 : 제1포켓
111 : 공간부 112 : 커버부
113 : 개방부 120 : 제2포켓
130 : 제3포켓

Claims (5)

  1. 다수 층 적층되는 것으로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와, 상기 메인 바디(M) 중앙 일 측에 형성되는 제1포켓(110)과, 상기 메인 바디(M) 끝단에 형성되는 제2포켓(120) 및 제3포켓(130)을 포함하는 수분 분리 장치의 블레이드로서,
    상기 제1포켓(110)은 상기 메인 바디(M)의 최고점(P)에 해당하는 부분의 곡률 중심(O1)을 지나는 수직 방향 중심선(CL)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서 상기 메인 바디(M)의 상면에 요홈되되,
    상기 제1포켓(110)은 상기 메인 바디(M)의 두께 방향으로 요홈되어 형성된 공간부(111)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공기 유동의 하류 방향 일 부분을 덮는 커버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111)의 바닥면 중 원주 방향의 길이 중심점(O2)에서 상기 곡률 중심(O1)까지 연장된 직선(SL)과 상기 중심선(CL)은 상기 곡률 중심(O1)에서 교차되되 그 각도는 상기 중심선에서 시계 방향으로 18도 내지 20도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1)의 상면 중 상기 커버부(112)로 덮여지지 않은 개방부(113)의 원주 방향 길이(LW1)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W1,W2)사이로서 높이 방향 중심에서 원주 방향의 길이(LW2)와, 상기 공간부(111)의 양 측벽 중 상기 중심선(CL) 방향 측벽(W1)에서 상기 곡률 중심(O1)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CL)사이 거리(LW3)의 비율은 1:11~12 : 2.8~3.5가 되도록 형성된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 층 적층된 블레이드의 공기 유입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1)와, 상기 적층된 블레이드(100,100-1)의 최고점과 상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의 저면 사이의 중심선(CL) 방향 이격거리(L2)와, 상기 다수 층 적층된 블레이드의 공기 토출 측의 적층 방향 이격거리(L3)와 상기 블레이드의 공기 유동 방향 길이(L5)의 비율은 1 : 0.7~0.75 :1:5.6~5.7이 되도록 형성되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측의 이격거리(L1)와, 상기 블레이드의 제1포켓(110)의 커버부(120) 외측면와 인접하는 블레이드와의 거리로서 상기 커버부(120) 외측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L4)와의 비율은 1 : 0.5~0.6이 되도록 형성되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메인 바디(M,M1)를 가지는 블레이드(100,100-1)와 상기 블레이드(100,100-1)의 적층 방향 상부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100-2)가 배치되되,
    상기 블레이드(100-1)의 메인 바디(M1) 중 최고점(P,P1)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선(TL)과,
    상기 상부측에 인접하는 블레이드(100-2)의 메인 바디(M2) 중 공기가 유입 되는 방향의 메인 바디(M,M2)가 교차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접선과 상기 접선에 교차되는 메인 바디(M2)의 각도는 예각을 기준으로 38도 내지 39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흡기 계통용 수분 분리장치.
KR1020150064843A 2015-05-08 2015-05-08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KR10168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43A KR101683468B1 (ko) 2015-05-08 2015-05-08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43A KR101683468B1 (ko) 2015-05-08 2015-05-08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89A KR20160131789A (ko) 2016-11-16
KR101683468B1 true KR101683468B1 (ko) 2016-12-07

Family

ID=5754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843A KR101683468B1 (ko) 2015-05-08 2015-05-08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42B1 (ko) * 2018-11-23 2020-09-14 주식회사 애니텍 세정액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데미스터를 구비하는 스크러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431A (en) * 1990-06-20 1992-04-14 Peerless Manufacturing Company High capacity vane
KR200318622Y1 (ko) 2003-04-18 2003-06-28 박윤상 공기 흡입구
KR200389370Y1 (ko) 2005-04-07 2005-07-14 서광옥 선박의 수분제거용 루버장치
KR200415983Y1 (ko) 2006-02-16 2006-05-09 임경상 물과 에어 분리장치
KR20120070235A (ko) 2010-12-21 2012-06-29 백광엔지니어링(주) 수분 분리용 통풍관
GB2492601A (en) 2011-07-08 2013-01-09 Altair Filter Technology Ltd Separator
KR101140592B1 (ko) 2012-03-23 2012-05-02 (주)지브텍 수분제거용 루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89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278B2 (en) Centrifugal fluid/particulate separator
US11511224B2 (en) Filtration media pack, filter elements, and air filtration media
US10213718B2 (en) Air intake water separator
US20130312720A1 (en) Head cover baffle system for improving oil mist separation
CN105289117A (zh) 新型除雾器
KR101553477B1 (ko) 수분 제거용 수분 분리 장치
US9480936B2 (en) Multistage composite fluid separator and filter
CN206175024U (zh) 窜漏气体用油分离器
JP2015517629A5 (ko)
KR101683468B1 (ko) 흡기 계통용 수분분리장치
US8663370B2 (en) Breather for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CN108601996B (zh) 具有变化通道和深波纹的折叠的过滤介质包
CN109414640B (zh) 具有锥形周边的过滤器元件
WO2016186108A1 (ja) 気液分離装置
CN107489484B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器及发动机
CN103422942B (zh) 一种油气分离器以及发动机缸盖护罩
WO2019128560A1 (zh) 一种高抗热震性能的蜂窝陶瓷过滤器
KR20160131783A (ko) 수분제거용 수분분리장치
CN205360840U (zh) 新型除雾器
JP4353473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ブローバイガスのオイル分離装置
CN104314641A (zh) 一种油气分离器
JP5693071B2 (ja) エアクリーナ
CN101367534B (zh) 管式降膜蒸发器的除沫装置
CN203962100U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结构
CN204152591U (zh) 一种油气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