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246B1 -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246B1
KR101683246B1 KR1020150097946A KR20150097946A KR101683246B1 KR 101683246 B1 KR101683246 B1 KR 101683246B1 KR 1020150097946 A KR1020150097946 A KR 1020150097946A KR 20150097946 A KR20150097946 A KR 20150097946A KR 101683246 B1 KR101683246 B1 KR 10168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arphone
microphone
control modu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홍
김병수
강주형
최상수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15009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음성출력잭에 삽입되는 이어폰잭과 좌우측 이어스피커 및 이어마이크를 복수의 전선을 내장한 이어폰 케이블로 연결하는 이어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잭과 상기 좌우측 이어스피커의 분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이어폰 케이블에 형성되어 이어마이크를 제외한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분기부와 우측 이어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에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을 배치시키고, 상기 PCB기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서트사출방식으로 몰딩물질을 일체로 덮어서 형성되는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가 구비된 제어모듈에서 이어마이크를 분리하여 우측 이어스피커와 분기점 사이에 이어마이크를 인서트사출방식으로 형성하고 분기점과 이어잭 사이에 제어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의 케이블접속부위가 단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Earphone Assembly Seperating Earmic from Cotro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가 구비된 제어모듈에서 이어마이크를 분리하여 우측 이어스피커와 분기부 사이에 이어마이크를 인서트사출방식으로 형성하고 분기부와 이어잭 사이에 제어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B기판상에 실장되는 이어마이크선의 접속부위가 단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어셈블리는 휴대용 전자장치, 예컨대 라디오 수신기, PMP, MP3, 테이프 플레이어, 시디플레이어, DMB, 또는 휴대폰 등의 음성출력잭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를 이어폰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전자기기의 액세서리로 제공된다.
최근에 휴대폰의 MP3 플레이어 기능 및 지상파 또는 위성DMB 기능이 추가되고 데이터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서비스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중에 휴대폰을 통한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은 물론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이어폰 케이블도 모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2선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3선 및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3선 이상의 다선 케이블로 발전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이어폰 어셈블리는 휴대폰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이어마이크를 내장하는 제어모듈을 필요로 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어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이어폰잭(101), 좌측 이어스피커(1022), 우측 이어스피커(103), 분기부(104), 제어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이어스피커(103)와 분기부(104) 사이에 통화 온오프스위치, 볼륨 업다운조절기, 및 이어마이크가 구비된 제어모듈(10)을 배치하기 때문에 사용자 조작이 어렵고 우측 이어스피커 측으로 무게가 쏠려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모듈을 휴대용 전자기기의 음성출력잭과 결합되는 이어잭(10)과 분기부(104) 사이에 위치시키게 하면 이어마이크가 사용자의 얼굴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히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제어모듈 내에 구비되는 PCB기판상에 납땜되는 이어마이크선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모듈내에 설치되어 케이블연결을 지지하는 부싱부를 필요로 하여 부품수가 늘어나 제조비용은 증가하면서도 제어모듈에 연결된 이어마이크선이 납땜구조로 연결되기 때문에 단선을 완전히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어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이어마이크를 사용자 음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면서도 통화 온오프스위치 및 볼륨 업다운조절기를 구비하는 제어모듈은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지점에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선의 단선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에 관한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KR 10-2013-0019756호(공개일 2013.02.2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어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이어마이크를 사용자 음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면서도 통화 온오프스위치 및 볼륨 업다운조절기를 구비하는 제어모듈은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지점에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선의 단선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음성출력잭에 삽입되는 이어폰잭과 좌우측 이어스피커 및 이어마이크를 복수의 전선을 내장한 이어폰 케이블로 연결하는 이어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잭과 상기 좌우측 이어스피커의 분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이어폰 케이블에 형성되어 이어마이크를 제외한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분기부와 우측 이어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에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을 배치시키고, 상기 PCB기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서트사출방식으로 몰딩물질을 일체로 덮어서 형성되는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은,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이어마이크선이 납땜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납땜단자; 및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이어마이크선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이어마이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은,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PCB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일직선으로 통과하며, 우측 이어스피커신호용 돈체선과 접지용 도체선이 코어와 실드형태로 배치되어 단일의 동축케이블 구조로 형성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는, 상기 PCB기판의 후면에 SMT방식으로 실장되고 클립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이어마이크 PCB기판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이어마이크용 홀이 형성된 사출금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가 구비된 제어모듈에서 이어마이크를 분리하여 우측 이어스피커와 분기점 사이에 이어마이크를 인서트사출방식으로 형성하고 분기점과 이어잭 사이에 제어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의 케이블접속부위가 단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어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의 전체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마이크용 PCB를 인서트사출하기 위한 사출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음성출력잭에 삽입되는 이어폰잭과 좌우측 이어스피커 및 이어마이크를 복수의 전선을 내장한 이어폰 케이블로 연결하는 이어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의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는, 이어폰잭(1), 좌측 이어스피커(2), 우측 이어스피커(3), 분기부(4), 제어모듈(10), 및 이어마이크 몰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어폰잭(1)은 3.5Φ 이어잭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이어스피커(2)와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3)는 좌우 스피커선, 접지선, 이어마이크선, 제어선 중 하나 이상의 전선을 포함하는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이어폰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어폰잭(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 케이블은, 상기 좌측 이어스피커(2)와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3) 사이에 위치하는 분기부(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어폰잭(1)과 상기 분기부(4)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이어폰 케이블(30)과, 상기 좌우측 이어스피커(2,3)와 분기부(4) 사이에 위치하는 좌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40) 및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0)은, 상기 이어폰잭(1)과 상기 좌우측 이어스피커(2,3)의 분기부(4)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이어폰 케이블(30)에 형성되어 이어마이크를 제외한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상기 분기부(4)와 우측 이어스피커(3) 사이에 위치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50)에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20)는, 상기 PCB기판(6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도 5에 도시된 사출금형(80)에 삽입한 다음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상기 PCB기판(60)에 몰딩물질을 일체로 덮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제어모듈(10)로 부터 이어마이크를 분리하여 제어모듈(1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이어폰 착용시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동시 착용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 몰딩부(20) 내의 신호선을 줄일 수 있어 노이즈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앞서 상술한 이어마이크 몰딩부(20)는,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상에 복수의 납땜단자(61) 및 이어마이크모듈(6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납땜단자(61)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50)에 포함된 복수의 이어마이크선 끝단이 각각 납땜방식으로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에 납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마이크모듈(63)은,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에 끝단이 납땜방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이어마이크선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사용자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50)은, 우측 이어스피커신호용 도체선과 접지용 도체선이 코어와 실드형태로 배치되어 단일의 동축케이블 구조로 형성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51)는,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PCB기판(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20)를 일직선으로 통과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51)는, 상기 PCB기판(60)의 후면에 SMT방식으로 실장되고 클립부재(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가 구비된 제어모듈에서 이어마이크를 분리하여 우측 이어스피커와 분기점 사이에 이어마이크를 인서트사출방식으로 형성하고 분기부와 이어잭 사이에 제어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의 케이블접속부위가 단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도 2에서와 같이 이어마이크를 조립하기 위하여 부싱부(111)와 제어모듈(110)의 상하커버를 초음파 융착 조립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도 4에서와 같이 이어마이크용 PCB(60)를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이며 별도의 부싱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싱부(110)가 이어마이크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인장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이어마이크선과 몰딩물질이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어 이어마이크 몰딩부(20)를 구성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은 부싱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마이크용 PCB를 인서트사출하기 위한 사출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을 인서트 사출하여 이어마이크 몰딩부(20)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이어마이크용 홀(81)이 형성된 사출금형(8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측 이어스피커 서브케이블(50)에 이어마이크 몰딩부(20)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사출금형(80)에 이어마이크용 홀(81)을 형성하는 것은 이어마이크용 PCB기판(60)에 장착되는 이어 마이크모듈(63)이 사출압력으로 인한 사출금형 내 고온고압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출금형(80)내 형성되는 이어마이크용 홀(81)은 사출금형을 구성하는 상부금형의 배기공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금형(80)에 주입되는 몰딩물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레탄 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 몰딩부(20)에 의하여 이어마이크가 우측 이어스피커용 케이블(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종래 이어마이크가 제어모듈에 결합된 이어폰 어셈블리에서와 같이 마이크선 및 제어선을 포함한 다수의 신호선을 납땜방식으로 고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수의 신호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싱부를 필요로 하지 않아 무게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적이 큰 부싱부가 없어지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외관상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이어폰잭 2 : 좌측 이어스피커
3 : 우측 이어스피커 4 : 분기부
10 : 제어모듈 20 : 이어마이크 몰딩부
30 : 메인이어폰 케이블 40 : 좌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
50 :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 60 : 이어마이크용 PCB기판
61 : 납땜단자 62 : 이어마이크모듈
63 :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 70 : 클립부재
80 : 사출금형 101 : 이어폰잭
102 : 좌측 이어스피커 103 : 우측 이어스피커
104 : 분기부 110 : 제어모듈
111 : 부싱부

Claims (5)

  1. 휴대용 전자기기의 음성출력잭에 삽입되는 이어폰잭과 좌우측 이어스피커 및 이어마이크를 이어폰 케이블로 연결하는 이어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잭과 상기 좌우측 이어스피커의 분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이어폰 케이블에 형성되어 이어마이크를 제외한 통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 업다운조절기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분기부와 우측 이어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에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을 배치시키고, 상기 PCB기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서트사출방식으로 몰딩물질을 일체로 덮어서 형성되는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은,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이어마이크선이 납땜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납땜단자; 및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이어마이크선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이어마이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서브케이블은,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PCB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일직선으로 통과하며, 우측 이어스피커신호용 도체선과 접지용 도체선이 코어와 실드형태로 배치되어 단일의 동축케이블 구조로 형성되는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우측 이어스피커용 와이어는 상기 PCB기판의 후면에 SMT방식으로 실장되고 클립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는 상기 이어마이크용 PCB기판을 인서트 사출하여 사출성형되되, 이어마이크용 홀이 형성된 사출금형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의한 이어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어마이크 PCB기판을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어마이크 몰딩부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이어마이크용 홀이 형성된 사출금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150097946A 2015-07-09 2015-07-09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46A KR101683246B1 (ko) 2015-07-09 2015-07-09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46A KR101683246B1 (ko) 2015-07-09 2015-07-09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246B1 true KR101683246B1 (ko) 2016-12-21

Family

ID=5773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46A KR101683246B1 (ko) 2015-07-09 2015-07-09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9893A (zh) * 2017-05-18 2017-09-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输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15034A (zh) * 2020-05-14 2020-09-01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音频播放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019Y1 (ko) * 2001-01-19 2001-10-27 장세식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JP2005244823A (ja) * 2004-02-27 2005-09-08 Hosiden Corp 中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3289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KR20100126919A (ko) * 2009-05-25 2010-12-03 에스텍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용 마이크로폰 장치
KR20130019756A (ko) 2011-08-17 201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019Y1 (ko) * 2001-01-19 2001-10-27 장세식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JP2005244823A (ja) * 2004-02-27 2005-09-08 Hosiden Corp 中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3289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KR20100126919A (ko) * 2009-05-25 2010-12-03 에스텍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용 마이크로폰 장치
KR20130019756A (ko) 2011-08-17 201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안테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9893A (zh) * 2017-05-18 2017-09-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输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15034A (zh) * 2020-05-14 2020-09-01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音频播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3240B2 (ja) 受信装置、中継ケーブル及び電源装置
CN201508788U (zh) 按钮控制器组件和耳机
US778047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KR101865711B1 (ko) 마이크 홀이 배제된 휴대용 단말기
CN101352096A (zh) 带耳机的天线以及耳机
JP2006222892A (ja) イヤホンアンテナ
CN103262567A (zh) 多线天线移动通信装置
KR101683246B1 (ko) 이어마이크를 제어모듈에서 분리시킨 이어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N101378619B (zh) 电信号连接单元、天线装置和移动通信装置
CN102623865A (zh) 一种转接线配件
US9843095B2 (en) Antenna element and antenna device
KR20120099900A (ko) 휴대단말기 안테나장치
KR101382529B1 (ko) 이어폰 연결 케이블
KR101683250B1 (ko) 이어폰 케이블에 장착되는 이어마이크부의 납땜 최소화 pcb기판 구조 및 부싱구조
KR101853123B1 (ko) 이어폰 안테나 장치
JP5195768B2 (ja) 信号分離装置
US20110274285A1 (en) Earphone antenna of a portable terminal
KR101731035B1 (ko) 커넥팅 부재 및 커넥팅 부재로 연결된 결합 구조물
CN203416385U (zh) 一种耳机
JP2007188723A (ja) プラグの製造方法
US20060050893A1 (en) Headphone Antenna Assembly
JP2011205593A (ja) 接続機器および受信装置
CN106652994A (zh) 一种实现主动降噪的终端配件及终端组件
KR200450031Y1 (ko) 이어폰 어셈블리
CN112954535A (zh) 耳机配件以及耳机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