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32B1 -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32B1
KR101683132B1 KR1020140094095A KR20140094095A KR101683132B1 KR 101683132 B1 KR101683132 B1 KR 101683132B1 KR 1020140094095 A KR1020140094095 A KR 1020140094095A KR 20140094095 A KR20140094095 A KR 20140094095A KR 101683132 B1 KR101683132 B1 KR 10168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bracket
moun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332A (ko
Inventor
장민우
이창우
김현우
이창환
권기보
이민우
최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영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영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영금속
Priority to KR102014009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단과 상기 밀착단의 상부에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에 수직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상기 전단프레임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전단프레임과 이격되게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후단프레임;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후단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후단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장착되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가변 브라켓;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가로프레임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프수단;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복수개의 후단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1결합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연결프레임을 결합 브라켓의 체결홈과 각도조절돌기를 이용하여 장착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한 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후단프레임의 각도를 가변 브라켓을 통해 가변시킬 수 있어 연결프레임 및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패널을 지지 및 고정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8680호의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화석 연료의 대량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환경 파괴 등에 의해 기상 이변이 일어나고 자연 재해의 피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대체 에너지의 개발 및 사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무공해 에너지이면서 경제성이 있는 태양 에너지 수집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태양 에너지를 수집하여 이용하는 분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태양열을 수집하여 난방이나 온수 급탕에 이용하는 태양열 분야이고, 다른 하나는 실리콘 반도체 등으로 구성된 태양 전지(Solar Cell)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기가 발생되는 현상(광전효과, Photoelectric Effect)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 분야이다. 초창기에는 주로 태양열을 수집하여 난방 및 온수로 이용하는 태양열 분야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태양 전지 관련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태양광 발전 분야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태양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거나 발전하기 위해서는 태양열 또는 태양에너지를 수집하는 장치가 필수적이며 이를 태양광 모듈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북반구에 위치한 한국의 지리적 특성상 태양이 항상 남쪽에서 뜨고 지므로, 상기 태양광 모듈이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가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종래의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10)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막대형상의 부재들이 결합된 프레임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10)는 태양광 고정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며 일단이 설치 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주 지지봉(12)과 상기 주 지지봉(12)에 결합되며 상기 태양광 고정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 지지봉(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태양광 모듈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주 지지봉(12)은 서로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측단부는 설치 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태양광 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모듈을 경사진 보조 지지봉(14)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였으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태양광 모듈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 및 태양광 모듈을 고정 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정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주 지지봉(12)의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 지지봉(14)의 장착 각도를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건물 등의 옥상 바닥면에 수직되게 장착되는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가변 브라켓을 통해 간편하게 장착하고, 후단프레임의 각도를 가변 브라켓을 통해 가변시키며, 태양광 패널을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상부에 클램프수단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손상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단과 상기 밀착단의 상부에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에 수직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상기 전단프레임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전단프레임과 이격되게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후단프레임;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후단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후단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장착되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가변 브라켓;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가로프레임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프수단;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복수개의 후단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1결합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ㅛ"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밀착단의 양단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단에는 상기 돌출단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은 중공의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반원형상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하부에 장착되며, 원형 형상의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구비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반원 형상으로 반원 형상의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에 상기 제2결합부재의 각도조절돌기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부과, 상기 제2장착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원형 형상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의 장착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 브라켓은 "H"자 형상으로 상기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기 후단프레임에 삽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돌기가 형성되는 제3결합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3결합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제4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결합부재는 상기 단속돌기의 하부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단속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4결합부재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홀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단과, 상기 장착단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3결합부재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체결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브라켓은 이격되게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돌출단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부와,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후단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후단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공이 형성되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장공은 상기 가변부의 일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변부의 타단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후단프레임의 일단이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해 상기 체결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단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이 안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장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단이 밀착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장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제1장착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제1장착홈에서 돌출되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요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관통홀로 관통된 상기 볼트의 일단과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2연결단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이 안착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장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하부면 양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요홈과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제2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1밀착부는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안착부의 양단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밀착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1돌기와 대응되게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의 양단에 장착되는 케이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커버는 판재로 상부단과 하부단이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절곡된 상기 상부단과 하부단의 끝단에는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에 체결되어 양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부클램프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중 중앙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에 체결되어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사이를 고정하는 미들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클램프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접지하는 접지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제1고정홀이 형성된 단부클램프몸체와, 상기 단부클램프몸체를 상기 가로프레임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클램프는 하부면에는 인접하는 태양광 패널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부 양단에는 인접하는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단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제2고정홀이 형성된 미들클램프몸체와, 상기 미들클램프몸체를 상기 가로프레임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단부클램프몸체 또는 상기 미들클램프몸체의 상부에서 제1고정홀 또는 제2고정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의 일단과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연결프레임을 결합 브라켓의 체결홈과 각도조절돌기를 이용하여 장착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한 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후단프레임의 각도를 가변 브라켓을 통해 가변시킬 수 있어 연결프레임 및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둘째,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을 클램프수단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손상시키지 않고 견고하게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다.
셋째, 태양광 패널을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하는 클램프수단이 태양광 패널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태양광 패널에 클램프수단의 그림자를 발생시키지 않아 태양광 패널의 집광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모듈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단프레임이 가변 브라켓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제2결합 브라켓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단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제1결합 브라켓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연결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가로프레임이 고정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가로프레임에 케이블 커버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단프레임이 가변 브라켓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제2결합 브라켓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단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제1결합 브라켓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연결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가로프레임이 고정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가로프레임에 케이블 커버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1000)은,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1100)과,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과, 복수개의 후단프레임(1300)과, 가변 브라켓(1400)과,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과,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과,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700)과, 클램프수단(1800)과, 결합 브라켓(19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은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은 "ㅛ"자 형상을 가지며 밀착단(1110)과 돌출단(1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단(1110)은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돌출단(1120)은 상기 밀착단(1110)의 상부로 이격되게 돌출된다. 상기 밀착단(1110)의 양단에는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는 장공(111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단(1120)에는 상기 돌출단(1120) 사이로 삽입되는 후술되는 전단프레임(1200) 및 가변브라켓(14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는 삽입홀(112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상기 복숙개의 베이스 브라켓(1100)에는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 및 후단프레임(1300)을 장착하게 위한 가변 브라켓(1400)이 장착된다. 상기 전단프레임(1200) 및 후단프레임(1300)은 중공의 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과 상기 후단프레임(1300)은 가변 브라켓(140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가변 브라켓(1400)은 상기 후단프레임(1300)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에 장착되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변 브라켓(1400)은 몸체부(1410)와 가변부(14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410)는 이격되게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의 돌출단(1120)과 체결수단인 볼트(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1420)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14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변부(1420)로는 상기 후단프레임(1300)이 삽입되고, 상기 가변부(1420)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공(1420a)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장공(1420a)은 상기 가변부(1420)의 일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변부(1420)의 타단 둘레면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일단이 걸리는 스토퍼(1420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410)에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과 체결되기 체결수단인 볼트(B)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공(141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410)에 복수개의 장착공(1410a)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1400)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의 돌출단(1120) 사이로 삽입된 후 볼트(B)가 상기 돌출단(1120)의 삽입홀(1120a)을 통해 상기 장착공(1410a)으로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베이스 브라켓(1100)에 상기 가변 브라켓(1400)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가변부(1420)의 외측으로 상기 후단프레임(1300)이 끼워짐으로 인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1400)에 상기 후단프레임(1300)이 장착되고, 상기 가변부(1420)가 원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장착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부(1420)의 일단 외측 둘레면에 스토퍼(1420b)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후단프레임(1300)이 일측으로 가변되는 각도를 구속하게 된다.
상기 가변부(1420)에 장착된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장착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외측에서 체결수단인 볼트(B)를 상기 조절장공(1420a)으로 삽입하면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장착 각도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1100)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전단프레임(1200)과 후단프레임(1300)은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과 후단프레임(1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과 복수개의 후단프레임(1300)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에 의해 연결될 때 결합 브라켓(1900)이 사용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1900)은 제1결합 브라켓(1910)과 제2결합 브라켓(19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 브라켓(1910)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과 후술되는 연결프레임(1500)을 결합시키며, 상기 제1결합 브라켓(1910)은 제1결합부재(1911)와 제2결합부재(19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1911)는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의 상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전단프레임(1200)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912)와, 상기 삽입부(1912)와 일체로 구비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1장착부(191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912)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의 상부에 삽입된 상기 제1결합부재(191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1912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912)의 상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911)가 상기 전단프레임(1200)의 상부로 삽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걸림턱(1912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912b)이 상기 전단프레임(1200)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재(1911)의 삽입이 단속된다.
상기 제1장착부(1913)의 반원형상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191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1913a)에는 후술되는 제2결합부재(1915)의 각도조절돌기(1917a)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부재(1915)는 제2장착부(1916)와 체결부(19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장착부(1916)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1917)는 상기 제2장착부(1916)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원형 형상을 가진다.
원형 형상을 가지는 상기 체결부(1917)의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각도조절돌기(1917a)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각조조절돌기(1917a)는 상기 제1결합부재(1911)의 제1장착부(1913)에 형성되는 체결홈(1913a)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2장착부(1916)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1915)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 하부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홀(191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체결홀(1916a)를 관통한 상기 볼트(B)의 일단에는 너트(N)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각도조절돌기(1917a)는 상기 체결부(1917)의 외측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1917)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1915)가 상기 제1결합부재(1911) 및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는 체결장공(1917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장공(1917b)이 상기 체결부(1917)의 내측 둘레면에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2결합부재(1915)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의 상부로 삽입되어도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에 형성된 홀(H)로 삽입되는 상기 체결수단인 볼트(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1300) 상부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300)과 후술되는 연결프레임(1500)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 브라켓(1950)이 장착된다. 상기 제2결합 브라켓(1950)은 "H"자 형상으로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3결합부재(1951)와,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3결합부재(1951)와 힌지결합하는 제4결합부재(1955)를 포함한다.
상기 제3결합부재(1951)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300)에 상기 제3결합부재(1951)가 삽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돌기(1951a)가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부재(1951)는 상기 단속돌기(1951a)를 중심으로 삽입돌기(1952)와 결합돌기(1953)로 구성되고, 상기 단속돌기(1951a)는 상기 제3결합부재(1951)의 중앙부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952)는 상기 단속돌기(1951a)의 하부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상기 삽입돌기(1952)가 상기 후단프레임(1300)의 상부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단속돌기(1951a)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돌기(1952)와 대응되게 결합돌기(1953)이 상기 단속돌기(195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953)에는 상기 제4결합부재(1955)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홀(1953a)이 형성된다.
상기 제4결합부재(1955)는 장착단(1956)과 체결단(1957)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단(1956)은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단(1957)은 상기 장착단(1956)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95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3결합부재(1951)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공(1957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단(1956)에는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하부에 체결수단인 볼트(B)에 의해 장착되기 위해 상기 볼트(B)가 관통하는 홀(195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1956a)을 관통한 볼트(B)에는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4결합부재(1955)는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하부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힌지홀(1953a)과 상기 힌지공(1957a)으로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고 볼트(B)의 일단에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결합부재(1951)와 상기 제4결합부재(1955)는 힌지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 및 후단프레임(1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프레임(1500)은 제1몸체부(1510)와, 제1안착부(1520)와, 제1밀착부(1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부(1510)는 사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몸체부(1510)의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몸체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단(151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510)의 상부에는 제1안착부(152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안착부(1520)에는 후술되는 가로프레임(1600)이 안착되며, 상기 제1안착부(1520)에는 가로프레임(16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000)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장착홈(1520a)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장착홈(1520a)에 장착되는 상기 고정수단(2000)은 볼트(2100)와, 체결부재(2200)와, 너트(2300)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2100)는 상기 제1장착홈(1520a)에 볼트(2100)의 머리가 삽입된다.
상기 제1장착홈(1520a)에 삽입된 상기 볼트(2100)의 일단은 상기 제1장착홈(1520a)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기 볼트(2100)의 일단은 체결부재(2200)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2200)에는 상기 볼트(2100)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2100a)과 후술되는 가로프레임(1600)과 체결되는 체결요홈(2200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2200)를 관통한 상기 볼트(2100)의 일단은 너트(2300)과 결합되며, 상기 볼트(2100)와 상기 너트(2300)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2200)가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상부에 장착되게 되고, 상기 체결부재(2200)에 의해 후술되는 가로프레임(1600)이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2100)와 상기 너트(230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제1밀착부(1530)는 상기 제1몸체부(151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밀착부(1530)는 상기 제2결합부재(1915)의 장착부(1916)과 밀착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1915)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B)가 삽입되는 제2장착홈(1530a)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착부(1520)와 상기 제1밀착부(1530)는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안착부(1520)의 양단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제1돌기(152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1530)의 양단에는 상기 제1돌기(1520b)와 대응되게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기(1530b)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500)은 케이블 커버(15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커버(1540)는 상기 제1돌기(1520b) 및 제2돌기(1530b)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15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장착되며, 전선을 정리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 커버(1540)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판재의 상부단(1540a)과 하부단(1540b)이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일측으로 절곡된 상기 상부단(1540a)과 하부단(1540b)의 끝단에는 상기 제1돌기(1520b) 및 제2돌기(1530b)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540c)가 형성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540c)가 상기 제1돌기(1520b) 및 제2돌기(1530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커버(1540)가 상기 제1몸체부(15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커버(1540)에 의해 전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선을 제1몸체부(151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이 이격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500)과 교차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은 사각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제2몸체부(1610)와, 상기 제2몸체부(16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안착부(1620)와, 상기 제2몸체부(162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2밀착부(1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부(1610)의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몸체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2연결단(1610a)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부(1610)의 상부에는 제2안착부(162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안착부(1620)에는 후술되는 태양광 패널(1700)이 안착되며, 상기 제2안착부(1620)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1700)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1800)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장착홈(1620a)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장착홈(1620a)에는 클램프수단(1800)의 장착수단(1890)이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장착수단(1890)의 볼트(1890a) 머리가 장착된다.
상기 제2밀착부(1630)는 상기 제2몸체부(1610)의 하부면 양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재(2200)의 체결요홈(2200b)과 체결되는 체결돌기(1630a)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밀착부(1630)의 체결돌기(1630a)가 연결프레임(15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체결부재(2200)의 체결요홈(2200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로프레임(1600)이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700)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700)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클램프수단(18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태양광 패널(1700)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클램프수단(1800)은 상기 연결프레임(1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1600)에 체결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1700)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부클램프(1810)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 중 중앙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1700)의 사이를 고정하는 미들클램프(1850)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클램프(1810)은 단부클램프몸체(1820)와 장착수단(1890)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클램프(1850)는 미들클램프몸체(1860)와 장착수단(1890)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클램프몸체(1820)는 상기 가로프레임(1600)과 접지하는 접지부(1820a)와 상기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1700)을 고정하는 고정부(1820b)로 구성되고, 상기 단부클램프몸체(1820)에는 상기 가로프레임(1600)에 고정되도록 제1고정홀(1820c)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홀(1820c)로는 상기 장착수단(1890)의 볼트(1890a) 일단이 관통하고, 관통된 볼트(1890a)의 일단은 너트(1890b)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단부클램프몸체(1820)가 상기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미들클램프몸체(1860)는 하부면에 인접하는 태양광 패널(1700)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860a)와, 상기 간격유지부(1860a)의 상부 양단에는 인접하는 태양광 패널(1700)을 고정하는 고정단(1860b)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들클램프몸체(1860)에는 상기 가로프레임(1600)에 고정되도록 제2고정홀(1860c)이 형성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홀(1860c)로는 상기 장착수단(1890)의 볼트(1890a) 일단이 관통하고, 관통된 볼트(1890a)의 일단은 너트(1890b)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미들클램프몸체(1860)가 상기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단부클램프몸체(1820)와 상기 미들클램프몸체(1860)가 상기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태양광 패널(1700)이 상기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전단프레임(1200) 및 후단프레임(1300)의 상부에 연결프레임(1500)을 결합 브라켓(1900)의 체결홈(1913a)과 각도조절돌기(1917a)를 이용하여 장착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한 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후단프레임(1300)의 각도를 가변 브라켓(1400)을 통해 가변시킬 수 있어 연결프레임(500) 및 태양광 패널(1700)의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00) 상부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1700)을 클램프수단(1800)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1700)을 손상시키지 않고 견고하게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 패널(1700)을 가로프레임(1600)의 상부에 고정하는 클램프수단(1800)이 태양광 패널(17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태양광 패널(1700)에 클램프수단(1800)의 그림자를 발생시키지 않아 태양광 패널(1700)의 집광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100 : 베이스 브라켓
1200 : 전단프레임 1300 : 후단프레임
1400 : 가변 브라켓 1500 : 연결프레임
1600 : 가로프레임 1700 : 태양광 패널
1800 : 클램프수단 1900 : 결합 브라켓

Claims (21)

  1.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단과 상기 밀착단의 상부에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에 수직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상기 전단프레임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전단프레임과 이격되게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브라켓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후단프레임;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후단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후단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장착되는 각도를 가변시키는 가변 브라켓;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가로프레임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프수단;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복수개의 후단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1결합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후단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ㅛ"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밀착단의 양단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에는 상기 돌출단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은 중공의 사각형상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반원형상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하부에 장착되며, 원형 형상의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전단프레임임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구비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반원 형상으로 반원 형상의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에 상기 제2결합부재의 각도조절돌기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장착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부과,
    상기 제2장착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원형 형상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의 장착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 브라켓은,
    "H"자 형상으로 상기 후단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기 후단프레임에 삽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돌기가 형성되는 제3결합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3결합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제4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재는,
    상기 단속돌기의 하부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단속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4결합부재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홀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단과,
    상기 장착단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3결합부재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체결단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브라켓은,
    이격되게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돌출단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부와,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후단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후단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공이 형성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공은 상기 가변부의 일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부의 타단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후단프레임의 일단이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해 상기 체결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장착공이 형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단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이 안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장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단이 밀착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장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밀착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제1장착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제1장착홈에서 돌출되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요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관통홀로 관통된 상기 볼트의 일단과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제2연결단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이 안착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이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장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하부면 양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요홈과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제2밀착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1밀착부는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안착부의 양단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1돌기와 대응되게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기가 형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의 양단에 장착되는 케이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커버는,
    판재로 상부단과 하부단이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절곡된 상기 상부단과 하부단의 끝단에는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에 체결되어 양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부클램프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중 중앙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에 체결되어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사이를 고정하는 미들클램프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단부클램프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접지하는 접지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제1고정홀이 형성된 단부클램프몸체와,
    상기 단부클램프몸체를 상기 가로프레임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미들클램프는,
    하부면에는 인접하는 태양광 패널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부 양단에는 인접하는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단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제2고정홀이 형성된 미들클램프몸체와,
    상기 미들클램프몸체를 상기 가로프레임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단부클램프몸체 또는 상기 미들클램프몸체의 상부에서 제1고정홀 또는 제2고정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의 일단과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20140094095A 2014-07-24 2014-07-24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68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95A KR101683132B1 (ko) 2014-07-24 2014-07-24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95A KR101683132B1 (ko) 2014-07-24 2014-07-24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32A KR20160013332A (ko) 2016-02-04
KR101683132B1 true KR101683132B1 (ko) 2016-12-07

Family

ID=5535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095A KR101683132B1 (ko) 2014-07-24 2014-07-24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7192B (zh) * 2016-05-24 2019-05-03 广东保威新能源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光伏支架及其安装方法
CN107623483B (zh) * 2017-09-13 2019-05-17 如皋福大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给菜园供电的可调节式太阳能板
KR20200111560A (ko) 2019-03-19 2020-09-29 (주) 제이에스파워 영농형 솔라패널 지지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2165092B1 (ko) * 2020-02-11 2020-10-13 주식회사 엘라이온 골형 반사판을 이용한 양면형 태양광 집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03B1 (ko) * 2008-08-29 2009-06-29 주식회사 리바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KR101268493B1 (ko) * 2013-01-09 2013-06-04 (주)비에스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83B1 (ko) * 2012-04-12 2014-11-1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03B1 (ko) * 2008-08-29 2009-06-29 주식회사 리바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KR101268493B1 (ko) * 2013-01-09 2013-06-04 (주)비에스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32A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43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460683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A2717691C (en) Slider clip and photovoltaic structure mounting system
KR101683132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US9117951B2 (en) Solar cell module support structure
KR101611358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902126B1 (ko) 태양광 발전 설비의 패널 고정장치
KR101635562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A2454416A1 (en) A system for removably and adjustably mounting a device on a surface
KR101713199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20140138495A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JP2013221393A (ja) 屋根固定型太陽光パネルの支持構造物
KR101989915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패널 각도조절장치
CN105827186A (zh) 适用于复杂地形的可调式单柱光伏支架
KR20140119230A (ko)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20150101202A (ko) 지붕판넬 상의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101117619B1 (ko) 다층 태양전지 어레이
KR101796966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
KR101405534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 구조물
KR20140005878U (ko) 태양광 경사 가변형 구조물
KR101586725B1 (ko) 가정용 태양광 발전 거치대 구조
KR102263280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KR200486184Y1 (ko) 전신주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설비
KR20230081236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
KR20190095726A (ko) 접이식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