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903B1 -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 Google Patents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903B1
KR100904903B1 KR1020080085419A KR20080085419A KR100904903B1 KR 100904903 B1 KR100904903 B1 KR 100904903B1 KR 1020080085419 A KR1020080085419 A KR 1020080085419A KR 20080085419 A KR20080085419 A KR 20080085419A KR 100904903 B1 KR100904903 B1 KR 10090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rames
cover member
guid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102008008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1Auxiliary apparatus with electrical connections for office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2Cable inlet in worktop or desk, e.g. gromm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 상판에 대하여 하측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를 위해서 배선통로를 구비한 책상용 레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책상용 레그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이격배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2 프레임과, 제1,2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책상 상판을 지지시키는 지지부재와, 제1,2 프레임에 고정되어 제1,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제1,2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부재와 함께 전선이 통과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책상용 레그에 있어서, 제1,2 프레임(20,30)의 상단부 개구에 각각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홈(61a)과 상기 제1 홈(61a)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홈(61b)이 형성된 가이드홈(61)과, 제2 홈(61b)과 이격되며 상기 제2 홈(61b)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홈(62)이 형성된 가이드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40)는 그 양단부가 절곡된 절곡면(41)과, 그 절곡면(41)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42)와, 하단부에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43)이 형성되어서, 각 절곡면(41)이 제1,2 프레임(20,30)에 각각 결합되고, 커버부재는 제1 커버부재(70)와 제2 커버부재(80)를 구비하며, 제1 커버부재(70)는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홈(61)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1)와 위치결정홈(62)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72)가 형성되어서, 제1 홈(61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 홈(61a)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제2 커버부재(80)는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2 프레임(20,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돌기(42)에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81)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Desk leg having wire passage}
본 발명은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 상판에 대하여 하측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책상용 레그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또는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책상 위에는 컴퓨터, 전화기 등 다수의 전자기기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의 전선을 책상 밑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외관상 보기가 안 좋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전선의 배선처리를 위한 종래 책상용 레그가 도1 및 도2에 도시되었다.
종래 책상용 레그는 제1,2 프레임(2,3)과, 연결부재(4)와, 제1 커버부(5)와, 제2 커버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 프레임(2,3)은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책상 상판의 하측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재(4)는 상기 제1,2 프레임(2,3) 사이에 배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상하방향 이격되는 복수의 걸림턱(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커버부(5)는 상기 제1,2 프레임(2,3)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커버부(5)의 상부에는 가이드부(6)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6)에는 갈고리형의 가이드홈(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부(5)에는 상기 걸림턱(4a)에 걸리는 복수의 고리부(5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커버부(7)는 상기 가이드부(6)의 가이드홈(6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6a)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7a)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 책상용 레그는 책상의 상판으로부터 하측으로 배선되는 전선을 제1,2 프레임(2,3)과 제1 커버부(5) 사이의 공간부에 수용시켜 외부로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제2 커버부(7)가 가이드홈(6a)을 따라 아래로 내려진 상태에서는 전선을 수평방향으로도 배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책상 레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가 있다.
제2 커버부(7)가 제1 커버부(5)에 결합되어 있어서 제2 커버부(7)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제2 커버부(7)를 파지하기 곤란하므로, 제2 커버부(7)를 다시 상승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상판의 하측으로만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시, 제2 커버부(7)가 제1,2 프레임(2,3)에 대하여 상승된 후 가이드홈(6a)의 갈고리부분에 삽입되면, 제2 커버부(7)는 제1 커버부(5) 내측으로 몰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 커버부(5)의 외측면과 제2 커버부(7)의 외측면이 단턱을 형성하여 미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책상 위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위치, 종류 등의 변경으로 배선처리된 전선의 재배선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제1 커버부(5)를 분리하면 제2 커버부(7)도 함께 분리해야 되므로, 재배선처리의 완료 후에 배선의 변경이 불필요했던 전선까지 다시 제2 커버부(7)의 전선통과홈(7b)에 끼워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6)가 제1 커버부(5)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운송 중 또는 사용중 충격에 의해 가이드부(6)가 파손되기 쉬우며, 파손된 가이드부(6)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일체로 형성된 제1 커버부(5)를 함께 교체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책상 상판에 대하여 하측 및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전선이 통과되는 배선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하도록 한 책상용 레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하측 및 수평방향으로의 전선 배선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배선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책상용 레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배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2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책상 상판을 지지시키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1,2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2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전선이 통과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책상용 레그에 있어서, 상기 제1,2 프레임의 상단부 개구에 각각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홈이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제2 홈과 이격되며 상기 제2 홈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양단부가 절곡된 절곡면과, 그 절곡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와, 하단부에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 절곡면이 상기 제1,2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측면에 각각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커버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2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홈에 대해 45°내지 90°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프레임의 하단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제2 홈을 제2 커버부재 측으로 연장형성함으로써 제1 커버부재가 제1,2 프레임에 대하여 상승되어 제2 홈에 안착되면 제1 커버부재는 제2 커버부재와 외측면이 일치하게 되어 외관상 미관을 뛰어나게 한다.
둘째, 제1 커버부재가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커버부재만을 연결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책상 위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위치, 종류 등의 변경으로 배선처리된 전선의 재배선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제2 커버부재만을 연결부재로부터 분리하여 변경하고자하는 전선의 배선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넷째, 제1,2 프레임 사이의 공간부에 책상 상판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수용시켜서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깔끔하게 배선처리할 수 있다.
다섯째, 제1 커버부재를 아래로 내려서 전선을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인접한 책상으로 배선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섯째, 사용중 파손 등의 이유로 가이드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가이드부재만을 제1,2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가 채용된 책상의 사시도이며, 도4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의 분리사시도이며,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사용 레그의 결합상태도이며, 도6는 도5에서 제2 커버부재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30)과, 연결부재(40)와, 지지부재(50)와, 가이드부재(60), 제1 커버부재(70), 제2 커버부재(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30)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프레임은(20)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과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제1 프레임(20)과 상기 제2 프레임(30)을 연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판상의 부재로서, 그 양단부가 절곡된 절곡면(41)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40)에는 그 절곡면(41)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결합돌기(42)가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43)이 마련된다. 연결부재(40)의 각 절곡면(41)은 제1,2 프레임에 각각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2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용접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제1,2 프레임의 상단부와 책상 상판(1) 하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50)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선통과로(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0)는 가이드홈(61)과 위치결정홈(6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홈(61)은 상기 가이드부재(6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홈(61a)과 제2 홈(61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홈(61a)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61b)은 제1 홈(61a)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2 홈(61b)은 상기 제1 홈(61a)의 상단부로부터 책상 상판(1)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홈(61a)에 대하여 45°내지 90°로 형성된다. 즉 제2 홈(61b)은 제1 홈(61a)의 상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수평면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45°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2 홈(61b)의 길이는 상기 제1 홈(61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홈(62)은 상기 제2 홈(61b)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제2 홈(61b)이 형성된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홈(62)은 제2 홈(61b)과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제1,2 프레임(20,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부재(40)와 함께 전선이 통과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커버부재는 제1 커버부재(70)와 제2 커버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부재(70)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가이드돌기(71)와 위치결정돌기(72)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돌기(71)는 상기 가이드홈(6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커버부재(70)의 양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72)는 상기 위치결정홈(62)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커버부재(70)의 양측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돌기(72)는 상기 가이드돌기(71)와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70)는 제1 홈(61a)을 따라서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제2 홈(61b)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 기 가이드부재(60)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80)는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1,2 프레임(20,30)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커버부재(80)는 결합홈(81)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홈(81)은 상기 연결부재(40)의 결합돌기(42)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2)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책상용 레그가 책상 상판(1)에 조립된 상태에서 책상 위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의 전선을 배선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 책상 상판에 대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
먼저, 책상 상판(1)에 대하여 하측으로만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를 위해서 상기 제1 커버부재(70)를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 커버부재(70)를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면, 가이드돌기(71)가 가이드홈(61)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가이드돌기(71)가 제1 홈(61a)의 최상부까지 상승되면 수평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72)가 위치결정홈(62)의 위치까지 상승된다. 그 후, 제1 커버부재(70)를 당겨서 가이드돌기(71)가 제2 홈(61b)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홈(61b) 및 위치결정홈(62)은 수평면에 대하여 지 면을 향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므로, 제2 홈(61b)의 단부 및 위치결정홈(62)의 단부까지 제1 커버부재(70)가 이동되면 제1 커버부재(7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책상 상판(1)에 형성된 관통공(1a)을 통하여 전자기기의 전선을 상판(1) 하측으로 연장시키는 경우에, 전선을 제1 커버부재(70)의 전선통과홈(73)에 끼워지도록 하며, 제1,2 프레임(20,30)과 연결부재(40) 사이로 연장시킨고, 연장된 전선을 연결부재(40)에 마련된 전선통과공(43)을 통과시켜 배선처리한다. 그 후 제2 커버부재(80)를 연결부재(40)에 결합한다.
이처럼, 책상의 상판(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은 제1,2 프레임과 연결부재(40)와 제2 커버부재(80)가 형성하는 공간부에 수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재(70)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재(70)의 외측면과 연결부재(40)의 외측면이 서로 동일 평면 상에서 정렬되므로, 종래 제1 커버부재(70)와 연결부재(40)가 서로 단턱을 형성하는 것보다 외관상 보기가 좋게 된다.
2. 책상 상판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
인접한 책상으로 전선을 배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커버부재(70)를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부재(70)를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비스듬이 상방향으로 밀면, 가이드돌기(71)가 제2 홈(61b)을 따라서 이동된다. 가이드돌기(71)를 제2 홈(61b)의 타단부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제1 커버부 재(7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돌기(71)는 제1 홈(61a)을 따라서 이동되고, 위치결정돌기(72)는 위치결정홈(62)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커버부재(80)를 분리하여 제1 커버부재(70)만을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커버부재(70)를 용이하게 파지하게 하여, 제1 커버부재(70)를 원할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커버부재(7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책상 상판(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지지부재(50)의 전선통과로(51)를 경유하여 제1 커버부재(70)의 상면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책상으로 전선을 연장시킨다.
물론, 책상 상판(1)에 대하여 하측 및 수평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은 상기 제1 커버부재(70)를 제1,2 프레임(20,30)에 대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과정에 의해 배선처리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책상 상판(1)의 하측으로만 연장되는 전선의 배선처리시, 종래 제2 커버부(7)가 제1,2 프레임(2,3)에 대하여 상승되면 제1 커버부(5) 내측으로 몰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비하여, 제2 홈(61b)을 제2 커버부재(80) 측으로 연장형성함으로써 제1 커버부재(70)가 제2 홈(61b)의 단부에 안착되면 제2 커버부재(80)와 외측면이 일치하게 되어 외관상 미관을 뛰어나게 한다.
또한, 종래 제2 커버부(7)가 제1 커버부(5)에 결합되므로 제2 커버부(7)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커버부(7)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곤란한 문제를 개선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제1 커버부재(70)가 가이드부재(60)에 결합되고, 제2 커버부재(80)만을 연결부재(4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커버부재(7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책상 위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위치, 종류 등의 변경으로 배선처리된 전선의 재배선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제2 커버부재(80)만을 연결부재(40)로부터 분리하여 변경하고자하는 전선의 배선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제1 커버부재(70)의 전선통과홈(73)과 지지부재(50)의 전선통과로(51)를 통과하는 전선 중에서 변경이 불필요한 전선은 그대로 유지시키고, 변경하고자하는 전선만 배선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종래처럼 전선의 재배선을 위해서 제1 커버부(5)를 분리하면, 제2 커버부(7)도 함께 분리해야 되므로, 재배선 후 배선의 변경이 불필요한 전선까지 다시 제2 커버부(7)의 전선통과홈(7b)에 끼워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제1 커버부재(70)에 위치결정돌기(72)를 구비하므로, 위치결정돌기(72)가 위치결정홈(62)에 삽입되어 제1 커버부재(70)가 가이드부재(6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선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제2 커버부재(80)의 결합홈(81)에 연결부재(40)의 결합돌기(42)를 끼워맞춤으로써, 제2 커버부재(80)를 용이하게 연결부재(4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종래 파손 등의 이유로 가이드부(6)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커버부(5)를 함께 교체해야 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는, 가이드부재(60)과 제2 커버부재(80)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가 필요한 부재만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종래 책상 레그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의 책상 레그의 결합상태도,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가 채용된 책상의 사시도,
도4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의 분리사시도,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통로를 갖는 책사용 레그의 결합상태도,
도6는 도5에서 제2 커버부재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베이스 프레임 20... 제1 프레임
30... 제2 프레임 40... 연결부재
41... 절곡면 42... 결합돌기
43... 전선통과공 50... 지지부재
60... 가이드부재 61... 가이드홈
62... 위치결정홈 61a... 제1 홈
61b... 제2 홈 70... 제1 커버부재
71... 가이드돌기 72... 위치결정돌기
73... 전선통과홈 80... 제2 커버부재

Claims (2)

  1.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배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2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책상 상판을 지지시키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1,2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2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전선이 통과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책상용 레그에 있어서,
    상기 제1,2 프레임(20,30)의 상단부 개구에 각각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홈(61a)과 상기 제1 홈(61a)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책상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61b)이 형성된 가이드홈(61)과, 상기 제2 홈(61b)과 이격되며 상기 제2 홈(61b)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홈(62)이 형성된 가이드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40)는 그 양단부가 절곡된 절곡면(41)과, 그 절곡면(41)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42)와, 하단부에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43)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 절곡면(41)이 상기 제1,2 프레임(20,30)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제1 커버부재(70)와 제2 커버부재(8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부재(70)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측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홈(61)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1)와 상기 위치결정홈(62)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72)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홈(61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홈(61a)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커버부재(80)는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2 프레임(20,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42)에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81)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홈(61b)은 상기 제1 홈(61a)에 대해 45°내지 90°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프레임(20,30)의 하단부 및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2. 삭제
KR1020080085419A 2008-08-29 2008-08-29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KR10090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19A KR100904903B1 (ko) 2008-08-29 2008-08-29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19A KR100904903B1 (ko) 2008-08-29 2008-08-29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903B1 true KR100904903B1 (ko) 2009-06-29

Family

ID=4098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419A KR100904903B1 (ko) 2008-08-29 2008-08-29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9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13B1 (ko) * 2012-03-21 2013-04-09 김두철 책상의 전선 보관장치
KR101286274B1 (ko) 2011-09-02 2013-07-15 주식회사 네오퍼스 배선덕트 일체형 책상프레임
KR101318943B1 (ko) 2011-09-02 2013-10-17 주식회사 네오퍼스 배선덕트 일체형 책상프레임
KR20160013332A (ko) * 2014-07-24 2016-02-04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623043B1 (ko) * 2014-07-24 2016-05-2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N108552734A (zh) * 2018-05-03 2018-09-21 中山市铁韵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桌腿构件及桌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438Y1 (ko) * 1997-04-10 1999-06-15 권동열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KR200172181Y1 (ko) * 1999-09-29 2000-03-15 주식회사아모스아인스가구 사무용가구의 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438Y1 (ko) * 1997-04-10 1999-06-15 권동열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KR200172181Y1 (ko) * 1999-09-29 2000-03-15 주식회사아모스아인스가구 사무용가구의 다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74B1 (ko) 2011-09-02 2013-07-15 주식회사 네오퍼스 배선덕트 일체형 책상프레임
KR101318943B1 (ko) 2011-09-02 2013-10-17 주식회사 네오퍼스 배선덕트 일체형 책상프레임
KR101252713B1 (ko) * 2012-03-21 2013-04-09 김두철 책상의 전선 보관장치
KR20160013332A (ko) * 2014-07-24 2016-02-04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623043B1 (ko) * 2014-07-24 2016-05-2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683132B1 (ko) * 2014-07-24 2016-12-07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N108552734A (zh) * 2018-05-03 2018-09-21 中山市铁韵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桌腿构件及桌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903B1 (ko) 배선통로를 갖는 책상용 레그
US7605330B1 (en) Retractable power and communication outlet apparatus
CN107069348B (zh) 具有线缆连接器和安装连接器的连接器装置及其使用的连接器
CN102403605A (zh) 线缆连接器组件
CN105215600B (zh) 一种分立引线焊接定位装置
JP2013017702A (ja) 天板構造
KR101566385B1 (ko) 전선집게를 구비한 납땜지그
CN104368730A (zh) 一种二极管弯曲整型工装
KR101367164B1 (ko) 카메라 모듈용 폴딩장치
CN210879541U (zh) 一种五金加工用固定架
KR20160002632U (ko) 실험실용 가구 프레임 조립체
JP3241967U (ja) ダンベルとバーベルの支持構造
CN213615449U (zh) 一种芯片加工用的固定装置
CN214778438U (zh) 一种设备用提手
KR200437754Y1 (ko) 와이어하니스 연결용 커넥터의 홀더
JP2017018568A (ja) スライドレール取付機構
JP2022173781A (ja) 天板付き家具
CN205488736U (zh) 电连接器
CN211053621U (zh) 一种2m压线钳支架
CN215897846U (zh) 一种摄像模组组装用工作平台
JP5148193B2 (ja) 上棚付き机
CN207954945U (zh) 加工件贴片自动剥离装置
CN218160987U (zh) 一种电工电子实训用接线装置
CN216180032U (zh) 沙发座框连接件组装设备
KR100990739B1 (ko) 선재바구니용 언더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