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493B1 -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493B1
KR101268493B1 KR1020130002541A KR20130002541A KR101268493B1 KR 101268493 B1 KR101268493 B1 KR 101268493B1 KR 1020130002541 A KR1020130002541 A KR 1020130002541A KR 20130002541 A KR20130002541 A KR 20130002541A KR 101268493 B1 KR101268493 B1 KR 10126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plate
electricity
heat collecting
angle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웅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 filed Critical (주)비에스
Priority to KR102013000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발전 가로등의 발전모듈을 통해 생산한 전기를 전기사업자에게 보내고, 가로등을 사용할 때는 전기사업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태양광 집광판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전기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판에 설치한 태양 전지셀에 연결된 마이크로 인버터에서 전기 계량부와 전력공급선를 통하여 전기사업자에게 공급되고, 램프에는 전기사업자로부터 전력공급선과 전기 계량부 및 타이머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인버터는 제1 차단기와 주 차단기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와 타이머에는 제2 차단기와 주 차단기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태양열 집열판이 연결된 집열판 연결대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태양열 집열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각도조절장치의 하측과 지주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회전제어장치를 설치하는 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열 집열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측으로 고정 브라켓이 연결되고 하측으로 회전 안내축에 결합하는 회전축의 절개부 내부에서 조절볼트가 관통하는 경사 조절구와;
상기 경사 조절구가 관통하며 고정 브라켓에 형성한 체결구멍의 외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가 관통하는 체결구멍의 안쪽에서 체결바에 나사식 결합되어 고정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체결바에서 노출되는 경사 조절구에 결합되어 중앙에 설치한 고정 집열판의 하측에서 분할되고 좌우 이동 레일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톱퍼를 설치한 좌우 이동 집열판과 상기 좌우 이동 레일의 하측에 설치한 상하 이동 레일에서 분할되고 내부에 스톱퍼를 설치한 상하 이동 집열판으로 이루어지는 태양열 집열판의 경사각도 조절을 고정하는 고정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Self-generation power system with solar concentrator angle adjustable streetlights}
본 발명은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발전 가로등의 발전모듈을 통해 생산한 전기를 전기사업자에게 보내고, 가로등을 사용할 때는 전기사업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태양광 집광판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전기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나 공원,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야간 운행이나, 보행자의 야간 통행시에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주변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조명 수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일정 지역이나, 일정 구간에 걸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만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가로등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는 제어반에 타이머 등을 설치하여 타이머에 의해 가로등의 점등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은 보통 시간당 200∼400W 정도의 전기를 소비함으로써 연간 소비전력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전기 요금 부담이 가중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태양광 집광판이나, 풍력발전기 등을 내장한 발전모듈과, 발전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비축하는 축전지와, 축전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기를 점등하는데 사용하는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축전지의 과방전을 방지하고, 인버터의 작동을 제어하며, 가로등의 점등과 소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로 구성된 자가발전 가로등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자가발전 가로등의 전력 시스템은 낮 시간에 발전모듈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가로등 내부에 설치한 축전지에 저장하였다가, 해가 진 후 가로등을 점등할 시간이 되면 가로등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가로등을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집광판에 설치한 태양전기셀에 내장한 발전모듈이 전기를 충분하게 생산할 수 있을 정도로 낮 시간의 일조량이 충분하기 않거나, 풍력발전기를 설치한 발전모듈이 충분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 등으로 인하여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량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해가 진 후 가로등을 점등해야 할 시간 동안에 가로등을 지속적으로 점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로등 내부에 축전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로등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로등을 설치할 때 축전지의 안전을 위한 보강 조치가 필요하므로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로등 내부에 축전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로등 외부에서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축전지가 합성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충격에 의해 폭발을 일으키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가 많고 습도가 높은 여름 장마철의 경우에는 축전지의 단자 부분이 부식되어 축전지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며, 동절기에 외부 기온이 크게 낮아지면 축전지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 축전지의 사용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지주의 상측으로 태양광 집광판을 설치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공급하여 사용하도록 설치한다. 그러나 가로등이 설치되는 방향이 일방적이지 못하여 가로등이 설치된 후 상측에 있는 태양광 집광판을 회전시켜 방향을 잡거나 태양광의 집광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로 하는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태양광 집광판이 정확한 방향과 각도로 설치되지 못하며, 이러한 방향과 각도로 제어하여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가로등의 설치작업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183189호(2012. 09. 10. 등록)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08-0079386호(2008. 09. 01. 공개) 문헌 3. 특허공개번호 제2010-0129927호(2010. 12. 10. 공개)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11-0006245호(2011. 06. 22. 공개)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자가발전 가로등에 축전지를 설치하지 않고, 태양광 집광판 등의 발전모듈로 인하여 생산한 전기를 전기사업자에게 보내고, 가로등을 사용하는 경우 전기사업자에게 전기를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하여 전기소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가로등의 지주 상측에 설치하는 태양광 집광판을 상하좌우로 펼쳐 더 큰 면적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가발전에 의한 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태양광 집광판의 하측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각도로 이동시켜 태양의 각도와 일치시켜 가장 바람직한 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판에 설치한 태양 전지셀에 연결된 마이크로 인버터에서 전기 계량부와 전력공급선를 통하여 전기사업자에게 공급되고, 램프에는 전기사업자로부터 전력공급선과 전기 계량부 및 타이머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인버터는 제1 차단기와 주 차단기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와 타이머에는 제2 차단기와 주 차단기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태양열 집열판이 연결된 집열판 연결대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태양열 집열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각도조절장치의 하측과 지주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회전제어장치를 설치하는 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열 집열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측으로 고정 브라켓이 연결되고 하측으로 회전 안내축에 결합하는 회전축의 절개부 내부에서 조절볼트가 관통하는 경사 조절구와;
상기 경사 조절구가 관통하며 고정 브라켓에 형성한 체결구멍의 외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가 관통하는 체결구멍의 안쪽에서 체결바에 나사식 결합되어 고정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체결바에서 노출되는 경사 조절구에 결합되어 중앙에 설치한 고정 집열판의 하측에서 분할되고 좌우 이동 레일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톱퍼를 설치한 좌우 이동 집열판과 상기 좌우 이동 레일의 하측에 설치한 상하 이동 레일에서 분할되고 내부에 스톱퍼를 설치한 상하 이동 집열판으로 이루어지는 태양열 집열판의 경사각도 조절을 고정하는 고정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자가발전 가로등에 축전지를 설치하지 않고, 태양광 집광판 등의 발전모듈로 인하여 생산한 전기를 전기사업자에게 보내고, 가로등을 사용하는 경우 전기사업자에게 전기를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하여 전기소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자가발전량에 관계없이 안정된 전기의 공급으로 필요한 시간에 점등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로등의 지주 상측에 설치하는 태양광 집광판에 상하 이동 집광판과 좌우 이동 집광판을 설치하여 이동 집광판을 펼쳐 더 큰 면적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가발전에 의한 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생산된 전기를 전기 사업자에게 공급하거나, 전기공급사업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과정에서 실제 소비 전력을 크게 낮추어 전기 요금의 부담을 줄이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집광판의 하측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집광판의 회전 제어가 가능하며, 경사지게 세워지는 각도를 간편하게 원하는 각도로 이동시켜 태양의 각도와 일치시켜 가장 바람직한 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요금이 거의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접을 상태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좌우 이동 집광판을 펼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상하 이동 집광판을 펼친 상태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에 관한 것으로, 바닥 설치대(24)를 통하여 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가로등(100)은 바닥 설치대(24)의 상측으로 지주(23)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23)의 상측에서 기둥 연결대(62)를 연결하여 램프(61)를 설치하며, 상기 지주(23)의 최 상측 또는 어느 한 부분에 태양광 집광판(1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태양광 집광판(10)에는 태양 전지셀(51)을 설치하고, 태양 전지셀(51)에서 생산된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인버터(52)와, 상기 마이크로 인버터(52)와 주 차단기(54)의 사이에는 제1 차단기(53)를 설치하여 전기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주 차단기(54)에는 전기 계량부(55)와 전력공급선(56)을 통하여 전기사업자(57)에게 생산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기사업자(57)와 전력공급선(58)이 연결되어 전기가 필요한 경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전기 계량부(55)와 주 차단기(54)를 통하여 제2 차단기(59)에서 램프(61)에 전기를 공급하여 점등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차단기(59)와 램프(61)의 사이에는 타이머(6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태양광 집광판(10)은 태양광을 공급받아 내장된 태양 전지셀(51)에서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며, 태양 전지셀(51)에서 생산된 전기는 직류전기이므로 마이크로 인버터(52)에 교류전기로 변환되어 전기사업자(57)에게 공급하거나, 전기사업자(57)로부터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마이크로 인버터(52)에서 교류 전기로 공급되면 제1 차단기(53)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주 차단기(54)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55)에 보내져 생산된 전기량을 계량한 후 전력공급선(56)을 통하여 전기사업자(57)에게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램프(61)를 점등하기 위해서는 전기사업자(57)로부터 전기를 전력공급선(58)으로 공급받아 전기 계량부(55)에서 공급받는 전기를 계량한 후 주 차단기(54)를 통하여 제2 차단기(59)의 제어여부에 따라 램프(61)를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차단기(59)와 램프(61)의 사이에는 타이머(60)를 설치하여 점등과 소등 시간을 입력하여 그에 따라 램프(61)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차단기(53)에서 주 차단기(54)를 통하여 전기사업자(57)에게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제2 차단기(59)를 통하여 램프(61)로 전기가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게 되고, 전기를 전기사업자(57)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경우 제1 차단기(53)를 통하여 전기가 마이크로 인버터(52)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태양 전지셀(51)과 마이크로 인버터(52) 또는 타이머(60)의 고장이 발생하여 가로등(100)의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주 차단기(54)를 이용해 제1 차단기(53)와 제2 차단기(59)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전압, 과전류 또는 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지주(23)의 상측으로 회전 제어장치(20)를 설치하여 태양광 집광판(10)을 자유롭게 회전하여 필요한 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회전 제어장치(20)의 상측에서 태양광 집광판(10)의 경사각도를 각도조절장치(30)에서 조절하여 필요한 위치에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접을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좌우 이동 집광판을 펼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광 집광판에 대한 상하 이동 집광판을 펼친 상태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태양광 집광판(1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고정 집광판(11)을 사용하게 되며, 고정 집광판(11)은 사면에서 집광판 보강대(25)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의 생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좌우 이동 집광판(12, 12a)과 상하 이동 집광판(13, 13a)을 슬라이드식으로 돌출시켜 집열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우 이동 집광판(12, 12a)은 고정 집광판(11)의 하측으로 중앙을 분할하여 양쪽으로 좌우 이동 레일(14)에 슬라이드식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좌우 이동 집광판(12, 12a)의 안쪽에는 스톱퍼(16)가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후 더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 이동 집광판(13, 13a)은 좌우 이동 레일(14)의 하측으로 중앙을 분할하여 양쪽으로 상하 이동 레일(15)에 슬라이드식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하 이동 집광판(13, 13a)의 안쪽에는 스톱퍼(17)가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후 더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태양광 집광판(10)은 고정 집광판(11) 하나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측으로 좌우 이동 집광판(12, 12a)을 더 설치하여 양쪽으로 좌우 이동 집광판(12, 12a)을 슬라이드식으로 노출시켜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생산량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태양광 집광판(10)은 좌우 이동 집광판(12, 12a)의 하측으로 설치한 상하 이동 집광판(13, 13a)를 더 설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하 이동 집광판(13, 13a)을 슬라이드식으로 노출시켜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생산량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태양광 집광판(10)의 집광판 보강대(25) 하측에는 각도조절장치(30)를 통하여 결합하고, 태양광 집광판(10)의 경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도조절장치(30)는 집광판 보강대(25)에 고정하는 집광판 연결대(32)가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 브라켓(31)은 상측으로 고정 연결구멍(33)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호상으로 경사 조절구멍(34)을 형성하며, 정면에는 체결구멍(37)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브라켓(31)에는 한쪽으로 절개부(45)를 형성하며 고정 연결구멍(33)과 경사 조절구멍(34)이 일치하는 2개의 구멍을 형성한 회전축(44)을 결합하여 고정 연결구멍(33)에서 고정볼트(35)를 결합하고, 경사 조절구멍(34)에는 조절볼트(36)를 통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절개부(45)가 위치한 내부에는 조절볼트(36)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경사 조절구(40)가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구멍(37)은 외측에서 경사 조절구(40)가 관통하는 체결바(42)를 끼워 외측의 돌출형상에 의해 걸려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고, 체결구멍(37)의 안쪽에서는 체결바(42)에 고정너트(41)를 결합하여 체결바(42)가 고정되도록 하며 외측으로 경사 조절구(40)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결사 조절구(40)의 노출부분에서는 고정핸들(43)을 결합하여 경사 조절구멍(34)에서 회전축(44)으로부터 고정 브라켓(31)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핸들(43)로 고정하는 것이다.
즉, 조절볼트(36)가 고정 브라켓(31)의 경사 조절구멍(34)을 관통하여 결합함에 있어서, 고정 브라켓(31)의 내부에서 회전축(44)의 절개부(45)를 통하여 경사 조절구(40)와 회전축(44)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축(44)의 상측에서 고정볼트(35)가 고정 연결구멍(33)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브라켓(31)을 회전시키게 되면 경사 조절구멍(34)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집광판 연결대(32)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면서 태양광 집광판(10)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태양광 집광판(10)을 원하는 경사 각도로 조절한 후에는 경사 조절구(40)에 고정핸들(43)을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면서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장치(30)를 통하여 태양광 집광판(1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태양과 가장 근접한 상태로 태양광을 공급받아 전기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최초에 지주(23)의 상측에서 회전축(44)에 연결되어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제어장치(20)는 지주(23)의 상측에서 회전축(44)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축(44)의 하측 내경에 나사를 형성하여 회전 안내축(25)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 안내축(25)의 외경에 상측에서 베어링(27)을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27)은 상측으로 베어링 케이스(26)를 결합하여 회전축(44)으로 상측에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베어링 케이스(26)의 하측 내경에 나사를 형성하여 연결축(24)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축(24)의 하측 내경에 나사를 형성하여 지주(23)의 상측 외경으로 형성한 나사와 연결축(24)을 연결하는 것이다.
지주(23)의 상측에 연결한 상태에서 회전축(44)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태양광 집광판(10)의 위치를 설정하게 되고, 회전축(44)과 회전 안내축(25)을 견고하게 고정하면 베어링(27)에서 베어링 케이스(26)가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회전한 상태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회전축(44)과 베어링 케이스(26)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킨 후 다시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태양광 집광판(10)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 집광판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기사업자에게 공급하여 별도의 축전지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며,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사업자에게 전기를 공급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태양광 집광판의 설치시 태양광의 수집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태양광 집광판의 회전각도와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태양광 집광판 11 : 고정 집광판
12, 12a : 좌우 이동 집광판 13, 13a : 상하 이동 집광판
14 : 좌우 이동 레일 15 : 상하 이동 레일
16, 17 : 스톱퍼 18 : 집광판 보강대
20 : 회전제어장치 23 : 지주
24 : 연결축 25 : 회전 안내축
26 : 베어링 케이스 27 : 베어링
30 : 각도조절장치 31 : 고정 브라켓
32 : 집광판 연결대 33 : 고정 연결구멍
34 : 경사 조절구멍 35 : 고정볼트
36 : 조절볼트 37 : 체결구멍
40 : 경사 조절구 41 : 고정너트
42 : 체결바 43 : 고정핸들
44 : 회전축 45 : 절개부
51 : 태양 전지셀 52 : 마이크로 인버터
53 : 제1 차단기 54 : 주 차단기
55 : 전기 계량부 56, 58 : 전력공급선
57 : 전기사업자 59 : 제2 차단기
61 : 램프 62 : 기둥 연결대
100 : 가로등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태양열 집열판(10)에 설치한 태양 전지셀(51)에 연결된 마이크로 인버터(52)에서 전기 계량부(55)와 전력공급선(56)를 통하여 전기사업자(57)에게 공급되고, 램프(61)에는 전기사업자(57)로부터 전력공급선(58)과 전기 계량부(55) 및 타이머(6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인버터(52)는 제1 차단기(53)와 주 차단기(54)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55)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61)와 타이머(60)에는 제2 차단기(59)와 주 차단기(54)를 통하여 전기 계량부(55)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태양열 집열판(10)이 연결된 집열판 연결대(32)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31)과; 상기 고정 브라켓(31)에 연결되어 태양열 집열판(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30)와; 상기 각도조절장치(30)의 하측과 지주(23)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회전제어장치(20)를 설치하는 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열 집열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30)는 상측으로 고정 브라켓(31)이 연결되고 하측으로 회전 안내축(25)에 결합하는 회전축(44)의 절개부(45) 내부에서 조절볼트(36)가 관통하는 경사 조절구(40)와;
    상기 경사 조절구(40)가 관통하며 고정 브라켓(31)에 형성한 체결구멍(37)의 외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체결바(42)와;
    상기 체결바(42)가 관통하는 체결구멍(37)의 안쪽에서 체결바(42)에 나사식 결합되어 고정하는 고정너트(41)와;
    상기 체결바(42)에서 노출되는 경사 조절구(40)에 결합되어 중앙에 설치한 고정 집열판(11)의 하측에서 분할되고 좌우 이동 레일(14)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톱퍼(16)를 설치한 좌우 이동 집열판(12, 12a)과 상기 좌우 이동 레일(14)의 하측에 설치한 상하 이동 레일(15)에서 분할되고 내부에 스톱퍼(17)를 설치한 상하 이동 집열판(13)으로 이루어지는 태양열 집열판(10)의 경사각도 조절을 고정하는 고정핸들(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열 집열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4. 삭제
  5. 삭제
KR1020130002541A 2013-01-09 2013-01-09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10126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541A KR101268493B1 (ko) 2013-01-09 2013-01-09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541A KR101268493B1 (ko) 2013-01-09 2013-01-09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493B1 true KR101268493B1 (ko) 2013-06-04

Family

ID=4886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541A KR101268493B1 (ko) 2013-01-09 2013-01-09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4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332A (ko) * 2014-07-24 2016-02-04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N109556054A (zh) * 2018-10-30 2019-04-02 长春理工大学光电信息学院 一种物联网智能控制的太阳能路灯
KR20200100898A (ko) 2019-02-18 2020-08-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패널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849A (ko) * 2020-02-11 2021-08-19 장석기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 가로등
CN118959965A (zh) * 2024-10-14 2024-11-15 深圳市斯派克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控制光源变化的太阳能路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11Y1 (ko) * 2004-07-13 2004-10-11 (주)천하테크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KR20120067325A (ko) * 2012-06-04 2012-06-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장치 및 태양광 전지판 조절 방법
KR101183189B1 (ko) * 2012-05-14 2012-09-14 (주)비에스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11Y1 (ko) * 2004-07-13 2004-10-11 (주)천하테크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KR101183189B1 (ko) * 2012-05-14 2012-09-14 (주)비에스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가로등
KR20120067325A (ko) * 2012-06-04 2012-06-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장치 및 태양광 전지판 조절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332A (ko) * 2014-07-24 2016-02-04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683132B1 (ko) * 2014-07-24 2016-12-07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N109556054A (zh) * 2018-10-30 2019-04-02 长春理工大学光电信息学院 一种物联网智能控制的太阳能路灯
KR20200100898A (ko) 2019-02-18 2020-08-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패널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849A (ko) * 2020-02-11 2021-08-19 장석기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 가로등
KR102343400B1 (ko) * 2020-02-11 2021-12-27 장석기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 가로등
CN118959965A (zh) * 2024-10-14 2024-11-15 深圳市斯派克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控制光源变化的太阳能路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221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설치형 가로등
KR101268493B1 (ko)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WO2013024515A1 (ja) ハイブリッド発電式街路灯
KR101268492B1 (ko)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CN107270232A (zh) 一种倾角可自动调节的一体化太阳能路灯
JP6295282B2 (ja) 支柱直立型太陽電池設備
CN104751657A (zh) 一种新型环保交通信号灯
KR100936675B1 (ko) 태양광 가로등의 제어장치
CN208587833U (zh) 一种防积雪太阳能路灯
CN210800984U (zh) 角度可调的太阳能供电板固定装置
CN201339866Y (zh) 风光能源互补路灯
CN103471022A (zh) 一种太阳能照明系统
KR20090004281U (ko) 에이치아이디 램프를 구비하는 태양광 가로등
CN206545889U (zh) 一种太阳能路灯
CN215675010U (zh) 一种太阳能板可调节的太阳能路灯
CN110094681A (zh) 一种智慧照明路灯
KR20030062712A (ko) 태양전지패널장치
KR101183189B1 (ko)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가로등
CN203413525U (zh) 一种太阳能照明系统
KR20110008921A (ko) 등주 부착형 태양광 가로등 유닛
JP2023005635A (ja) 屋外灯用ソーラー発電装置
CN112128685A (zh) 一种新型风光互补路灯
CN112146045A (zh) 一种便于更换的防淋太阳能路灯
CN210601412U (zh) 一种太阳能路灯
CN104595836A (zh) 智能一体化太阳能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