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046B1 -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046B1
KR101683046B1 KR1020150132273A KR20150132273A KR101683046B1 KR 101683046 B1 KR101683046 B1 KR 101683046B1 KR 1020150132273 A KR1020150132273 A KR 1020150132273A KR 20150132273 A KR20150132273 A KR 20150132273A KR 101683046 B1 KR101683046 B1 KR 101683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ght
pattern
emergency
deceler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형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3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9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automatically taking corrective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2Driver type; Driving style; Driver adaptive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성향에 따른 감속, 제동 및 비상등 점멸 상황을 소정의 패턴으로 저장하고, 급제동 상황 발생 시 기저장된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와 차량의 감속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급제동 감지부, 상기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는 패턴 분석부 및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감속이 발생하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비상등 점멸 패턴이 저장된 이후에는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자동으로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top signal}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성향에 따른 감속, 제동 및 비상등 점멸 상황을 소정의 패턴으로 저장하고, 급제동 상황 발생 시 기저장된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는 주행 도중에 갑작스런 위험 상황, 응급 상황 또는 전방차량으로 인해 급제동을 해야 할 경우, 비상등을 점멸시켜 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이 속도를 줄이거나 전방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비상등의 온오프를 위한 비상등 스위치를 운전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므로, 운전이 능숙하지 않은 운전자가 급제동을 한 이후에도 비상등을 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2차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비상등 스위치는 운전이 능숙한 운전자의 경우에도 비상등 스위치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차량에는 급제동 상황 시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Emergency Stop Signal, ESS)이 탑재되고 있다.
종래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량의 감속 정도에 따라 브레이크 램프 및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주기능과, 차량에 탑재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급제동 상황을 감지한 후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부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술한 주기능 및 부가기능의 발동을 위한 발동 조건이 사전에 설정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는 주기능 및 부가기능의 발동 조건이 획일적으로 설정됨에 따라, 운전자의 성향과 무관하게 비상등 점멸이 이루어지고, 급제동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전술한 발동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가 55km/h 이상인 상태에서 차량의 제동으로 인한 감속 정도가 7m/s² 이상이거나 ABS가 작동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차량의 속도가 55km/h 이하인 상태에서 급제동을 한 경우에는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탑재된 경우에도, 비상등의 점멸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운전자가 직접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급제동 상황 발생 시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반영된 패턴으로 비상등을 점멸시켜 급제동 경보가 이루어지게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제동 상황의 발생 시,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와, 차량의 감속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급제동 감지부;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분석하여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는 패턴 분석부; 및 급제동 상황이 다시 발생할 경우,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부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감속량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계산된 감속량들의 평균값을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업데이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부는 브레이크가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 제어부는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차량의 감속량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보다 큰 경우에만 비상등을 점멸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제동 감지부는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동작 감지수단; 차량의 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브레이크의 동작에 따른 감속 정도를 측정하는 속도 모니터링수단;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을 감지하는 비상등 입력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적용 또는 미적용 여부를 입력받는 옵션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급제동 상황의 발생 시, 급제동 감지부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 및 차량의 감속을 감지하는 단계; (2) 상기 급제동 감지부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3) 패턴 분석부가,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4)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감속이 다시 발생하면, 비상등 제어부가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패턴 분석부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감속량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계산된 감속량들의 평균값을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업데이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패턴 분석부는, 브레이크가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비상등 제어부는,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차량의 감속량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보다 큰 경우에만 비상등을 점멸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와 상기 제 (4)단계의 사이에, (A) 운전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적용 또는 미적용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와 차량의 감속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급제동 감지부, 상기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는 패턴 분석부 및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감속이 발생하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비상등 점멸 패턴이 저장된 이후에는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자동으로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의 동작, 차량의 감속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기준으로 비상등 점멸 패턴이 저장되고,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비상등 점멸 패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므로, 급제동 상황이 발생하면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적합한 패턴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급제동 감지부(110), 패턴 분석부(120), 비상등 제어부(130) 및 옵션 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제동 감지부(110)는 급제동 상황 및 이에 따른 운전자의 대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 및 차량의 감속을 감지하여 급제동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급제동 상황이 발생한 이후의 소정 시간 안에 운전자에 의한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대응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급제동 감지부(110)는 브레이크 동작 감지수단(111), 속도 모니터링수단(112) 및 비상등 입력 감지수단(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동작 감지수단(111)은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브레이크 스위치(brake switch) 또는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 ECU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도 모니터링수단(112)은 차량의 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브레이크의 동작에 따른 감속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속도 센서(vehicle speed sensor) 또는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 ECU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등 입력 감지수단(113)은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운전자에 의해 비상등 버튼이 조작되고, 비상등 스위치가 턴-온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 ECU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제동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 차량의 감속 정도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는 후술할 패턴 분석부(120)로 입력되어, 운전자의 성향을 분석하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패턴 분석부(120)는 상기 급제동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성향에 따른 비상등 점멸 패턴을 분석하고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 운전자가 비상등(10)을 켜는 패턴, 예컨대, 어느 정도의 감속이 이루어질 때 비상등(10)이 켜지는지의 여부 및 차량을 제동시킨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비상등(10)이 켜지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저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분석부(120)는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계산하여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분석부(120)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감속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감속량들의 평균값으로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급제동 상황에서의 차량의 감속 정도, 비상등(10)의 조작 여부 및 조작 시간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각각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급제동 상황에서 비상등(10)을 켜는 행위가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므로, 상기 패턴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이용하여, 후술할 비상등 제어부(130)가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반영된 패턴으로 비상등(10)을 점멸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차 또는 주차를 위해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상황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패턴 분석부(120)는 브레이크가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방지하고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상등 제어부(130)는 비상등(1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감속이 발생하면, 운전자가 비상등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비상등(10)을 점멸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등 제어부(130)는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차량의 감속량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보다 큰 경우에만 비상등(10)을 점멸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등 제어부(130)는 비상등(10)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으나, 비상등(10)의 점등을 위한 릴레이 또는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옵션 입력부(140)는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적용 또는 미적용 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 입력부(140)는 운전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등 제어부(130)를 동작시켜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라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비상등 제어부(130)를 턴-오프시켜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이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급제동 상황에 따른 제동, 감속 및 비상등을 켜는 일련의 패턴을 반복적으로 분석하여 저장함으로써,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적합한 패턴으로 비상등(10)을 점멸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운전자의 성향이 반영된 비상등 점멸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급제동 상황이 발생하면, 급제동 감지부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 및 이에 따른 차량의 감속을 감지한다(S110).
이때, 상기 급제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패턴 분석부로 입력되게 된다.
다음, 상기 급제동 감지부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한다(S120).
이때, 상기 급제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 및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패턴 분석부로 입력되게 된다.
다음, 상기 패턴 분석부가, 상기 급제동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한다(S130).
이때, 상기 패턴 분석부는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계산하여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차량의 주행 도중에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전술한 제 110단계 및 제 120단계가 반복 수행되고, 상기 패턴 분석부는 급제동 상황별 감속량을 계산하여 저장한 후, 상기 급제동 상황별 감속량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 분석부는, 브레이크가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지거나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주행중인 경우에만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옵션 입력부에서, 운전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적용 또는 미적용 여부를 입력받는다(S140).
이때, 상기 옵션 입력부에서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적용하도록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비상등 제어부가 동작하여 비상등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적용하지 않도록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술한 제 110단계 내지 제 130단계가 반복 수행되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업데이트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감속이 다시 발생하면, 상기 비상등 제어부가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킨다(S150).
이때, 상기 비상등 제어부는,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차량의 감속량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보다 큰 경우 상기 비상등을 기설정된 횟수만큼 점멸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등 제어부는 상기 옵션 제어부에서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미적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거나, 차량의 시동이 오프될 때까지 동작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급제동 감지부
111 : 브레이크 동작 감지수단
112 : 속도 모니터링수단
113 : 비상등 입력 감지수단
120 : 패턴 분석부
130 : 비상등 제어부
140 : 옵션 입력부

Claims (11)

  1. 급제동 상황의 발생 시,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와, 차량의 감속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급제동 감지부;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분석하여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는 패턴 분석부; 및
    급제동 상황이 다시 발생할 경우,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분석부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감속량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계산된 감속량들의 평균값을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업데이트하되, 브레이크가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 제어부는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차량의 감속량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보다 큰 경우에만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제동 감지부는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동작 감지수단;
    차량의 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브레이크의 동작에 따른 감속 정도를 측정하는 속도 모니터링수단; 및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을 감지하는 비상등 입력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적용 또는 미적용 여부를 입력받는 옵션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7. (1) 급제동 상황의 발생 시, 급제동 감지부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 및 차량의 감속을 감지하는 단계;
    (2) 상기 급제동 감지부가, 운전자 조작에 의한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3) 패턴 분석부가, 브레이크의 동작 시간으로부터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까지의 감속량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4)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감속이 다시 발생하면, 비상등 제어부가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패턴 분석부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급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감속량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계산된 감속량들의 평균값을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으로 업데이트하되, 브레이크가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등 스위치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비상등 제어부는, 급제동 상황으로 인한 차량의 감속량이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에 따른 감속량의 평균값보다 큰 경우에만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와 상기 제 (4)단계의 사이에,
    (A) 운전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상등 점멸 패턴의 적용 또는 미적용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방법.
KR1020150132273A 2015-09-18 2015-09-18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3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73A KR101683046B1 (ko) 2015-09-18 2015-09-18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73A KR101683046B1 (ko) 2015-09-18 2015-09-18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046B1 true KR101683046B1 (ko) 2016-12-07

Family

ID=5757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273A KR101683046B1 (ko) 2015-09-18 2015-09-18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765A (ko) * 2020-09-24 2022-03-31 코우테크 주식회사 인공지능 및 gps를 이용한 자동 위험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54A (ko) * 1995-08-30 1997-03-27 한승준 자동차의 급제동시 자동 경보 장치
KR100324309B1 (ko) * 1993-06-16 2002-05-13 석 영 정 운전경보의자동제어방법및제어장치
KR20040082110A (ko) * 2003-03-18 2004-09-24 세진전자 주식회사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및 점멸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757505B1 (ko) * 2005-03-02 2007-09-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상등 자동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309B1 (ko) * 1993-06-16 2002-05-13 석 영 정 운전경보의자동제어방법및제어장치
KR970010354A (ko) * 1995-08-30 1997-03-27 한승준 자동차의 급제동시 자동 경보 장치
KR20040082110A (ko) * 2003-03-18 2004-09-24 세진전자 주식회사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및 점멸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757505B1 (ko) * 2005-03-02 2007-09-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상등 자동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765A (ko) * 2020-09-24 2022-03-31 코우테크 주식회사 인공지능 및 gps를 이용한 자동 위험표시장치
KR102478566B1 (ko) * 2020-09-24 2022-12-16 코우테크 주식회사 인공지능 및 gps를 이용한 자동 위험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146B2 (en) Saddle-ride vehicle with autonomous braking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0773647B2 (en) Method for triggering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process with variable warning time period
US7646290B2 (en) Deceleration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KR101484115B1 (ko) Led를 이용한 감속감응형 차량용 보조 브레이크등
KR20130028231A (ko) 차량 충돌 경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85318B1 (ko) 차량의 급제동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20026879A (ko) 차량의 긴급 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1683046B1 (ko) 인공지능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6677B1 (ko) 차량 추돌사고 예방 장치
JPH09142203A (ja) 自動車用追突警報装置
KR20100023487A (ko) 차량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
KR101743144B1 (ko) 차량용 제어장치
CN104786920A (zh) 一种汽车尾灯控制装置及方法
JP2019530054A (ja) 監視対象自動車及びそれぞれの自動車の車両挙動を学習する方法
KR101770733B1 (ko) 휠타입 건설기계용 브레이크등 작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82110A (ko)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및 점멸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KR101483441B1 (ko) 속도계 전류값 변위를 이용한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및 방법
KR20170008315A (ko) 차량 충돌 방지 테일 램프
KR0140771B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등방법
KR970026404A (ko) 브레이크 등 자동 점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50663B1 (ko) 차량의 급제동 및 도어 열림 표시방법
KR100559674B1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28479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자동 제어장치
KR20220119550A (ko) 운행차량의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