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846B1 -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846B1
KR101682846B1 KR1020157019619A KR20157019619A KR101682846B1 KR 101682846 B1 KR101682846 B1 KR 101682846B1 KR 1020157019619 A KR1020157019619 A KR 1020157019619A KR 20157019619 A KR20157019619 A KR 20157019619A KR 101682846 B1 KR101682846 B1 KR 10168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jet
water
tube
nozzle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812A (ko
Inventor
아키오 미나미야마
유타카 니시츠지
고지 오키무라
가즈유키 히나미
도모치카 하마모토
다카오 곤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03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using material which dissolves or changes phase after the treatment, e.g. ice, CO2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8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1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compacting surfaces, e.g. shot-pe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B24C3/32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for internal surfaces, e.g. of tub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21C17/01Inspec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vesse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21C19/207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reactor compon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8Measuring reactor flu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02E30/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 있어서, 계장 관대(83)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클램프통(201)과, 클램프통(201)을 계장 관대(83)에 고정 가능한 클램프편(210)과, 원통 형상을 이루어 클램프통(201) 내에 설치되어서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노즐 가이드(221)와, 노즐 가이드(221)의 내부를 승강 가능한 내면 WJP 노즐(105)과, 노즐 가이드(221)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224)을 마련함으로써,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WATER JET PEENING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WATER JET PEENING}
본 발명은 원자로 용기에 설치되는 관대 및 그 주변을 보수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압수형 원자로(PWR : Pressurized Water Reactor)를 구비하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는, 경수를 원자로 냉각재 및 중성자 감속재로서 사용하고, 노심 전체에 걸쳐 비등하지 않는 고온 고압수로 하고, 이 고온 고압수를 증기 발생기로 보내어 열 교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터빈 발전기로 보내어 발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자력 발전 플랜트에서, 가압수형 원자로는, 충분한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종 구조물 등을 정기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 검사를 시공해서 문제를 발견한 경우에는, 그 문제에 관계된 필요 개소를 보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압수형 원자로에서, 원자로 용기 본체는 하경을 관통하는 다수의 계장 관대가 설치되고, 이 각 계장 관대는, 노 내측의 상단부에 노내 계장 안내관이 고정되는 한편, 노 외측의 하단부에 콘딧 튜브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성자속을 계측 가능한 중성자속 검출기는, 콘딧 튜브에 의해 계장 관대로부터 노내 계장 안내관을 통해서 노심(연료 집합체)까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계장 관대는, 노내 계장통이 원자로 용기 본체의 부착 구멍에 끼워넣어져 용접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노내 계장통이나 이 노내 계장통의 용접부 및 그 주변부에 인장 응력이 잔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장기 사용에 의해 응력 부식 깨짐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종래부터 표면의 인장 잔류 응력을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함으로써, 응력 부식 깨짐을 방지하도록 한 워터젯 피닝 기술이 있다. 이 워터젯 피닝은, 수중에서 금속 부재 표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고, 금속 부재 표면의 인장 잔류 응력을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워터젯 피닝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1141호 공보
그런데, 계장 관대(노내 계장통)의 내면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을 행하는 경우, 이 계장 관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중성자속 검출기를 심블 튜브와 함께 소정 길이만큼 콘딧 튜브를 통하여 외부(하부)로 빼내 둔다. 그러나 노내 계장통의 내면에 워터젯 피닝을 행하면, 분사된 고압수에 의해 노내 계장통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 수압에 의해 중성자속 검출기를 다시 가압하고, 심블 튜브가 이동해서 수납실측으로 튀어나와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 안전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는, 계장 관대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클램프통과, 상기 클램프통을 상기 계장 관대에 고정 가능한 클램프 기구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클램프통 내에 설치되어서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내부를 승강 가능한 내면 워터젯 피닝 노즐(이하, WJP 노즐)과,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클램프통 내에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설치하고, 이 위치 결정 부재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수중에서 내면 WJP 노즐로부터 계장 관대의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 계장 관대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되고, 분사된 고압수는 중성자속 검출기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위치 결정 부재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게 되어,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배수 구멍은, 상기 플랜지부에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배수 구멍이 위치 결정 부재의 플랜지부에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됨으로써, 내면 WJP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는, 복수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수되게 되어, 배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부재가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와 계장 관대를 간극 없이 배치하게 되어, 내면 WJP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복수의 배수 구멍으로 적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계장 관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검출 장치는 위치 결정 부재가 계장 관대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검출하므로, 계장 관대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클램프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단부가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검출 로드와, 상기 검출 로드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검출 로드의 하단부가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면, 검출기가 이 검출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게 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계장 관대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클램프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 가능한 작동편을 갖고, 상기 작동편을 통하여 상기 검출 로드가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부재의 작동편이 계장 관대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하면, 검출 로드가 이동하게 되어, 위치 결정 부재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고정밀도로 검출함으로써, 계장 관대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검출 로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내면 WJP 노즐이 위치 결정 부재의 내부를 승강하므로, 검출 로드를 위치 결정 부재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검출 로드가 내면 WJP 노즐의 승강을 방해하는 일은 없고, 안정된 워터젯 피닝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콘딧 튜브의 일단부가 상기 계장 관대에게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가 감시실까지 연장 설치되어서 연결되고, 선단부에 중성자속 검출기가 장착된 심블 튜브가 상기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계장 관대를 통해서 원자로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심블 튜브의 단부를 상기 콘딧 튜브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고정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 장치에 의해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심블 튜브를 이동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감시실 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콘딧 튜브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지그와, 상기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심블 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지그와, 상기 제1 고정 지그와 상기 제2 고정 지그의 이격을 저지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상기 심블 튜브와 상기 콘딧 튜브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감시 장치에 의해 심블 튜브와 콘딧 튜브의 고정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미연에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은, 계장 관대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클램프통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클램프통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계장 관대에 고정하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을 상기 클램프통을 통해서 상기 계장 관대까지 하강시키는 공정과, 상기 내면 WJP 노즐로부터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한 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계장 관대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공정과, 상기 내면 WJP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설치된 배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중에서 내면 WJP 노즐로부터 계장 관대의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 계장 관대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되고, 분사된 고압수는 중성자속 검출기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위치 결정 부재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게 되어,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서는, 상기 계장 관대로부터 콘딧 튜브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 심블 튜브를 이동 불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내면 WJP 노즐로부터 고압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서는, 상기 내면 WJP 노즐로부터 상기 계장 관대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할 때, 상기 심블 튜브와 상기 콘딧 튜브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미연에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 의하면, 클램프통 내에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설치하고, 이 위치 결정 부재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을 마련하므로,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내면 워터젯 피닝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워터젯 피닝 장치의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검출 장치에 의한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워터젯 피닝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원자로 용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원자로 용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워터젯 피닝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가압수형 원자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원자로 용기의 계장 관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검출 장치에 의한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Ⅲ-XVⅢ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예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예를 조합해서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1은,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개략 구성도, 도 12는, 가압수형 원자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3은, 원자로 용기의 계장 관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원자로는, 경수를 원자로 냉각재 및 중성자 감속재로서 사용하고, 노심 전체에 걸쳐 비등하지 않는 고온 고압수로 하고, 이 고온 고압수를 증기 발생기로 보내어 열 교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터빈 발전기로 보내어 발전하는 가압수형 원자로이다.
제1 실시예의 가압수형 원자로를 갖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자로 격납 용기(11)는 내부에 가압수형 원자로(12) 및 증기 발생기(13)가 격납되어 있고, 이 가압수형 원자로(12)와 증기 발생기(13)는 고온측 송급 배관(14)과 저온측 송급 배관(15)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고온측 송급 배관(14)에 가압기(16)가 설치되고, 저온측 송급 배관(15)에 일차 냉각수 펌프(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감속재 및 일차 냉각수(냉각재)로서 경수를 사용하고, 노심부에 있어서의 일차 냉각수의 비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1차 냉각 계통은 가압기(16)에 의해 150 내지 160 기압 정도의 고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수형 원자로(12)에서, 연료(원자 연료)로서 저농축 우라늄 또는 MOX에 의해 일차 냉각수로서 경수가 가열되고, 고온의 일차 냉각수가 가압기(16)에 의해 소정의 고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고온측 송급 배관(14)을 통해서 증기 발생기(13)로 보내진다. 이 증기 발생기(13)에서는, 고온 고압의 일차 냉각수와 이차 냉각수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하여져, 냉각된 일차 냉각수는 저온측 송급 배관(15)을 통해서 가압수형 원자로(12)로 복귀된다.
증기 발생기(13)는, 가열된 이차 냉각수, 즉 증기를 송급하는 배관(31)을 통하여 증기 터빈(32)과 연결되어 있고, 이 배관(31)에 메인 증기 격리 밸브(33)가 설치되어 있다. 증기 터빈(32)은, 고압 터빈(34)과 저압 터빈(35)을 가짐과 함께, 발전기(발전 장치)(3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고압 터빈(34)과 저압 터빈(35)은, 그 사이에 습분 분리 가열기(37)가 설치되어 있고, 배관(31)으로부터 분기된 냉각수 분기 배관(38)이 습분 분리 가열기(37)에 연결되는 한편, 고압 터빈(34)과 습분 분리 가열기(37)는 저온 재열관(39)에 의해 연결되고, 습분 분리 가열기(37)와 저압 터빈(35)은 고온 재열관(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증기 터빈(32)의 저압 터빈(35)은 복수기(41)를 갖고 있으며, 이 복수기(41)는 배관(31)으로부터 바이패스 밸브(42)를 갖는 터빈 바이패스 배관(43)이 접속됨과 함께, 냉각수(예를 들어, 해수)를 급배하는 취수관(44) 및 배수관(45)이 연결되어 있다. 이 취수관(44)은, 순환수 펌프(46)를 갖고, 배수관(45)과 함께 타단부가 바다 속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복수기(41)는 배관(47)이 접속되어 있고, 복수 펌프(48), 접지 콘덴서(49), 복수 탈염 장치(50), 복수 부스터 펌프(51), 저압 급수 가열기(5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관(47)은 탈기기(53)가 연결됨과 함께, 메인 급수 펌프(54), 고압 급수 가열기(55), 메인 급수 제어 밸브(5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증기 발생기(13)에서, 고온 고압의 일차 냉각수와 열 교환을 행해서 생성된 증기는, 배관(31)을 통해서 증기 터빈(32)[고압 터빈(34)으로부터 저압 터빈(35)]으로 보내져, 이 증기에 의해 증기 터빈(32)을 구동해서 발전기(36)에 의해 발전을 행한다. 이때, 증기 발생기(13)로부터의 증기는, 고압 터빈(34)을 구동한 후, 습분 분리 가열기(37)에 의해 증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거됨과 함께 가열되고 나서 저압 터빈(35)을 구동한다. 그리고, 증기 터빈(32)을 구동한 증기는, 복수기(41)로 해수를 사용해서 냉각되어서 복수가 되고, 접지 콘덴서(49), 복수 탈염 장치(50), 저압 급수 가열기(52), 탈기기(53), 고압 급수 가열기(55) 등을 통해서 증기 발생기(13)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가압수형 원자로(12)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자로 용기(61)는, 그 내부에 노내 구조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원자로 용기 본체(62)와 그 상부에 장착되는 원자로 용기 덮개(상경)(6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원자로 용기 본체(62)에 대하여 원자로 용기 덮개(63)가 복수의 스터드 볼트(64) 및 너트(6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원자로 용기 덮개(63)를 제거함으로써 상부가 개구 가능하고, 하부가 반구 형상을 이루는 하경(66)에 의해 폐색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상부에 일차 냉각수로서의 경수(냉각재)를 공급하는 입구 노즐(입구 관대)(67)과, 경수를 배출하는 출구 노즐(출구 관대)(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이 입구 노즐(67) 및 출구 노즐(68)과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주수 노즐(주수 관대)이 형성되어 있다.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내부에서, 입구 노즐(67) 및 출구 노즐(68)보다 상방에 상부 노심 지지판(69)이 고정되는 한편, 하방의 하경(66) 근방에 위치해서 하부 노심 지지판(70)이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노심 지지판(69) 및 하부 노심 지지판(70)은, 원판 형상을 이루어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노심 지지판(69)은 복수의 노심 지지 로드(71)를 통하여 하방에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연통 구멍이 형성된 상부 노심판(72)이 연결되어 있다.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내부에 원통 형상을 이루는 노심조(73)가 내벽면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노심조(73)는, 상부가 상부 노심판(72)에 연결되고, 하부에 원판 형상을 이루어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연통 구멍이 형성된 하부 노심판(74)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 노심판(74)은 하부 노심 지지판(70)에 지지되어 있다. 즉, 노심조(73)는 원자로 용기 본체(62)의 하부 노심 지지판(70)에 현수 지지되게 된다.
노심(75)은, 상부 노심판(72)과 노심조(73)와 하부 노심판(74)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노심(75)은, 내부에 다수의 연료 집합체(7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료 집합체(76)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연료봉이 지지 격자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묶여서 구성되고, 상단부에 상부 노즐이 고정되는 한편, 하단부에 하부 노즐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노심(75)은 내부에 다수의 제어봉(7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다수의 제어봉(77)은, 상단부가 통합되어 제어봉 클러스터(78)로 되고, 연료 집합체(76)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노심 지지판(69)은, 이 상부 노심 지지판(69)을 관통해서 다수의 제어봉 클러스터 안내관(79)이 고정되어 있고, 각 제어봉 클러스터 안내관(79)은, 하단부가 연료 집합체(76) 내의 제어봉 클러스터(78)까지 연장되어 있다.
원자로 용기(61)를 구성하는 원자로 용기 덮개(63)는, 상부가 반구 형상을 이루어 자기식 잭의 제어봉 구동 장치(80)가 설치되어 있고, 원자로 용기 덮개(63)와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8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다수의 제어봉 클러스터 안내관(79)은, 상단부가 제어봉 구동 장치(80)까지 연장되고, 이 제어봉 구동 장치(80)로부터 연장되어 제어봉 클러스터 구동축(82)이, 제어봉 클러스터 안내관(79) 내를 통해서 연료 집합체(76)까지 연장되어, 제어봉 클러스터(78)를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어봉 구동 장치(8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제어봉 클러스터(78)에 연결됨과 함께, 그 표면에 복수의 주위 홈을 길이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봉 클러스터 구동축(82)을 자기식 잭으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하경(66)을 관통하는 다수의 계장 관대(83)가 설치되고, 이 각 계장 관대(83)는 노 내측의 상단부에 노내 계장 안내관(84)이 연결되는 한편, 노 외측의 하단부에 콘딧 튜브(85)가 연결되어 있다. 각 노내 계장 안내관(84)은, 상단부가 하부 노심 지지판(70)에 연결되어 있고,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상하 연접판(86, 87)이 설치되어 있다. 심블 튜브(88)는, 중성자속을 계측 가능한 중성자속 검출기(도시 생략)가 장착되어 있고, 콘딧 튜브(85)로부터 계장 관대(83) 및 노내 계장 안내관(84)을 통해, 하부 노심판(74)을 관통해서 연료 집합체(76)까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봉 구동 장치(80)에 의해 제어봉 클러스터 구동축(82)을 이동해서 연료 집합체(76)로부터 제어봉(77)을 소정량 빼냄으로써, 노심(75) 내에서의 핵 분열을 제어하고, 발생한 열 에너지에 의해 원자로 용기(61) 내에 충전된 경수가 가열되어, 고온의 경수가 출구 노즐(68)로부터 배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 발생기(13)로 보내진다. 즉, 연료 집합체(76)를 구성하는 원자 연료가 핵 분열함으로써 중성자를 방출하고, 감속재 및 일차 냉각수로서의 경수가, 방출된 고속 중성자의 운동 에너지를 저하시켜서 열 중성자로 하고, 새로운 핵 분열을 일으키기 쉽게 함과 함께, 발생한 열을 빼앗아서 냉각한다. 한편, 제어봉(77)을 연료 집합체(76)에 삽입함으로써, 노심(75) 내에서 생성되는 중성자수를 조정하고, 또한 제어봉(77)을 연료 집합체(76)에 모두 삽입함으로써, 원자로를 긴급하게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원자로 용기(61)는 노심(75)에 대하여, 그 상방에 출구 노즐(68)에 연통하는 상부 플레넘(89)이 형성됨과 함께, 하방에 하부 플레넘(9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자로 용기(61)와 노심조(73) 사이에 입구 노즐(67) 및 하부 플레넘(90)에 연통하는 강수관(9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수는 입구 노즐(67)로부터 원자로 용기 본체(62) 내로 유입되어, 강수관(91)을 하부 방향으로 흘러내려 하부 플레넘(90)에 이르고, 이 하부 플레넘(90)의 구면 형상의 내면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안내되어서 상승하고, 하부 노심 지지판(70) 및 하부 노심판(74)을 통과한 후, 노심(75)으로 유입된다. 이 노심(75)으로 유입된 경수는, 노심(75)을 구성하는 연료 집합체(76)로부터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이 연료 집합체(76)를 냉각하는 한편, 고온이 되어서 상부 노심판(72)을 통과해서 상부 플레넘(89)까지 상승하고, 출구 노즐(68)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자로 용기(61)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장 관대(83)는, 노내 계장통(95)이 원자로 용기 본체(62)의 하경(66)에 형성된 부착 구멍(96)에 끼워 넣어지고, 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가 하경(66)의 내면에 용접[개선 용접부(97)]에 의해 고정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원자로 용기 본체(62)는, 모재가 되는 저합금강의 내면에 스테인리스강이 오버레이 용접되어서 구성되고, 니켈기 합금제의 노내 계장통(95)이 이 원자로 용기 본체(62)의 부착 구멍(96)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니켈기 합금제의 재료에 의해 원자로 용기 본체(62)에 용접[개선 용접부(97)]되어 있다.
그로 인해, 노내 계장통(95), 개선 용접부(97) 및 그 주변부에 인장 응력이 잔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장기 사용에 의해 응력 부식 깨짐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원자로 보수 장치로서의 워터젯 피닝(WJP) 장치에 의해 이 표면의 인장 잔류 응력을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함으로써, 응력 부식 깨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워터젯 피닝 장치는, 수중에서 금속 부재 표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고, 금속 부재 표면의 인장 잔류 응력을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그리고, 워터젯 피닝 장치에 의해 하경(66)의 표면 인장 잔류 응력을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할 경우, 이 워터젯 피닝 장치를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에 장착해서 작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내면 워터젯 피닝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워터젯 피닝 장치의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검출 장치에 의한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워터젯 피닝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원자로 용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원자로 용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워터젯 피닝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원자로 용기(61)[원자로 용기 본체(62)]의 하경(반구부)(66)에 설치된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에 설치된다. 즉, 원자력 발전 플랜트에 있어서, 원자로 건물(도시 생략)은 작업 플로어(1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업 플로어(121)보다 하방에 캐비티(122)가 설치되고, 이 캐비티(122)에 냉각수가 저류되고 있다. 이 캐비티(122)는, 내부에 원자로 용기(61)가 배치되어, 현수 지지되고 있다.
원자로 건물은, 천정 크레인(123)이 설치되고, 훅(124)을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원자로 건물은, 캐비티(122)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5)이 부설되고, 이동식 크레인(126)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이동식 크레인(126)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향(도 7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향으로 교차(직교)하는 다른 방향(도 7에서, 지면 직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동 호이스트(1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 호이스트(127)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승강 가능한 훅(128)을 갖고 있다.
설치용 폴(111)은, 긴 부재이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에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설치용 폴(111)은, 복수의 분할 폴로 구성되고, 플랜지부끼리를 밀착시켜, 복수의 스윙 볼트에 의해 양자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설치용 지그로서 설치용 폴(111)을 사용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이며, 예를 들어 와이어나 케이블, 로프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자로 용기(61)는 암반 등의 견고한 지반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1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원자로 용기(61)는, 이 콘크리트 구조물(131)에 형성된 원통부(132)에 배치되어, 현수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131)은, 원자로 용기(61)의 하방에 위치해서 심블 튜브 배관실(13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콘딧 튜브(85)는, 일단부가 하경(66)의 계장 관대(83)에 연결되어, 심블 튜브 배관실(133)을 만곡해서 배선된 후, 타단부가 집합되어서 감시실(134)에 배치되어 있다.
중성자속 검출기(135)는, 심블 튜브(88)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콘딧 튜브(85)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원자로의 가동 시에는 원자로 용기(61)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워터젯 피닝의 시공 시에는, 심블 튜브(88)를 통하여 중성자속 검출기(135)를 원자로 용기(61)로부터 빼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장치 본체(102)와 클램프 장치(103)와 내면 WJP 노즐(105)을 갖고 있다. 클램프 장치(103)는, 장치 본체(102)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해서 배치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외주면에 끼워 맞추어 클램프함으로써, 장치 본체(102)를 계장 관대(83)에 고정하는 것이다. 내면 WJP 노즐(105)은, 노내 계장통(95)의 내면에 인장 고압수를 분사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면 WJP 노즐(105)은, 장치 본체(102)에 설치된 승강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할 수 있어, 하경(66), 개선 용접부(97), 노내 계장통(95)의 소정의 영역에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장치 본체(102)에 대하여 시공 감시용 카메라(106)와 장치 위치 결정용 카메라(107, 108)가 설치되어 있다. 시공 감시용 카메라(106)는 장치 본체(102)에 고정되어, 수평 지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촬영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치 위치 결정용 카메라(107, 108)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각도 θ(예를 들어, 90도)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고, 조명을 갖고 있다. 이 장치 위치 결정용 카메라(107, 108)는, 장치 본체(102)에 대하여 승강 실린더(109)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위치 결정 시에 하강 위치로 이동하고,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작업 시의 상승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장치 본체(102)의 상부에 연결축(110)이 고정되어 있고, 설치용 폴(111)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워터젯 피닝 장치(101)에 있어서의 클램프 장치(103)에 있어서,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통(201)은 상부 클램프통(202)과 하부 클램프통(203)이 볼트(204)에 의해 체결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장치 본체(102)에 볼트(20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클램프통(201)은, 내측의 하부에 지지통(206)이 배치되고, 하단부가 클램프통(201)의 하단부에 볼트(207)에 의해 고정되고, 이 지지통(206)은 내측에 가이드통(208)이 끼워 맞추어지고, 하단부가 지지통(206)의 하단부에 볼트(20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클램프편(210)은, 지지통(206)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지지통(206) 및 가이드통(208)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판 스프링(211)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 지지되고 있다.
지지통(206)은, 상단부에 제1 피스톤 가이드(212)가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고, 이 제1 피스톤 가이드(212)의 상단부에 제2 피스톤 가이드(213)가 볼트(214)에 의해 고정되고, 이 제2 피스톤 가이드(213)는, 상단부가 클램프통(201)[상부 클램프통(202)]에 볼트(2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1 클램프 피스톤(216)은 하부 클램프통(203)과 제1 피스톤 가이드(21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클램프 피스톤(217)은 상부 클램프통(202)과 제2 피스톤 가이드(21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클램프 피스톤(216)과 제2 클램프 피스톤(217)은, 나사부(218)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제1 클램프 피스톤(216) 및 제2 클램프 피스톤(217)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제1 클램프 피스톤(216)은 하단부의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도록 내주부에 경사면(21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클램프편(210)은, 내면측이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외면에 따르는 만곡 형상을 이루고, 외면측에 상방을 향해서 하부 클램프통(203)과의 간극이 서서히 커지는 경사면(2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클램프 피스톤(216)은, 하단부가 각 클램프편(210)과 하부 클램프통(203) 사이로 침입하고, 경사면(216a)이 각 클램프편(210)의 경사면(210a)에 접촉하고 있다.
클램프통(201)은, 하부 클램프통(203)과 제1 클램프 피스톤(216)과 제2 클램프 피스톤(217)에 의해 방(A)이 구획되고, 이 방(A)으로의 제1 에어 공급구(2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통(201)은 상부 클램프통(202)과 하부 클램프통(203)과 제2 클램프 피스톤(217)에 의해 방(B)이 구획되고, 이 방(B)으로의 제2 에어 공급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에어 공급구(219)로부터 방(A)에 에어를 공급하면, 제1 클램프 피스톤(216)과 함께 제2 클램프 피스톤(217)이 하강하고, 경사면(216a)이 각 클램프편(210)의 경사면(210a)을 가압함으로써, 각 클램프편(210)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를 클램프할 수 있다. 한편, 제2 에어 공급구(220)로부터 방(B)에 에어를 공급하면, 제2 클램프 피스톤(217)을 통하여 제1 클램프 피스톤(216)이 상승하고, 경사면(216a)이 각 클램프편(210)의 경사면(210a)으로부터 이격함으로써, 각 클램프편(210)이 판 스프링(211)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클램프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통(201)을 계장 관대(83)에 고정 가능한 본 발명의 클램프 기구는, 제1 클램프 피스톤(216), 제2 클램프 피스톤(217), 각 클램프편(210)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통은, 클램프통(201), 지지통(206), 가이드통(208), 피스톤 가이드(212, 213)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지지통(206) 및 제1 피스톤 가이드(212)는, 내부에 노즐 가이드(위치 결정 부재)(2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노즐 가이드(221)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내면 WJP 노즐(105)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노즐 가이드(221)는, 내부의 직경이 작아진 가이드면(221a)이 설치되고, 내면 WJP 노즐(105)의 연결 로드(105a)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노즐 가이드(221)는, 원통부(222)와, 이 원통부(22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223)가 일체를 이루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가이드(221)는 플랜지부(223)에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224)이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각 배수 구멍(224)은, 일단부가 노즐 가이드(221)의 내부에 연통하고, 타단부가 노즐 가이드(221)와 지지통(206)[가이드통(208)] 사이의 공간부(소정 간극)(S)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공간부(S)는 하방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하강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외측에 클램프 장치(103)가 끼워 넣어져,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러면, 노즐 가이드(221)는 플랜지부(223)의 하면이 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면에 접촉해서 정지함으로써,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클램프편(210)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를 클램프한다.
또한,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하강해서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때, 노즐 가이드(221)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2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 장치(231)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는 노즐 가이드(221)는, 지지통(206) 및 제1 피스톤 가이드(212)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하단부에 플랜지부(작동편)(2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검출 로드(232)는 노즐 가이드(221)의 외측에서, 지지통(206) 및 제1 피스톤 가이드(212)를 상하로 관통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하단부가 플랜지부(223)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피스톤 가이드(213)(도 1 참조)는 하부에 안내 가이드(233)가 고정되어 있고, 각 검출 로드(232)는 상단부가 안내 가이드(233)를 상방으로 관통하고, 연결 부재(23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가이드(233)에 마그네트(235)가 고정되는 한편, 연결 부재(234)에 마그네트 센서(236)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하강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외측에 클램프 장치(103)가 끼워 넣어져,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노즐 가이드(221)는 플랜지부(223)의 하면이 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하고, 노내 계장통(95)에 압박되어 상승한다. 그러면, 각 검출 로드(232)는 하강하는 안내 가이드(233)에 대하여 상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연결 부재(234)의 마그네트 센서(236)가 안내 가이드(233)의 마그네트(235)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마그네트 센서(236)가 마그네트(235)를 검출하고, 이것을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하강이 정지되고,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에 의한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내면에 대한 워터젯 피닝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티(122)에 냉각수가 저류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 크레인(126)에 의해 설치용 폴(111)을 통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현수한다. 여기에서 이 이동식 크레인(126)을 사용해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계장 관대(83)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하면서, 전동 호이스트(127)를 사용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하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통(201)이 계장 관대(83)의 외측에 끼워넣어지고, 노즐 가이드(221)의 플랜지부(223)가 노내 계장통(95)에 접촉함으로써, 이 노즐 가이드(221)와 함께 검출 로드(232)가 상승한다. 그러면, 검출 장치(231)가 이것을 검출하고, 작업자는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하강을 정지한다. 여기서, 각 클램프편(210)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계장 관대(83)를 클램프하고,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계장 관대(83)에 고정된다.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계장 관대(83)에 고정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 WJP 노즐(105)이 클램프 장치(103) 내를 통해서 노내 계장통(95) 내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내면 WJP 노즐(105)은, 고압수를 분사한 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킴으로써,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노내 계장통(95)의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가 분사되게 되어, 노내 계장통(95)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된다. 한편,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는, 콘딧 튜브(85) 내에 중성자속 검출기(135)나 심블 튜브(88)가 있으므로 계장 관대(83) 내를 상승한다. 그리고, 각 배수 구멍(224)을 통해서 외측으로 흘러, 노즐 가이드(221)와 지지통(206)[가이드통(208)] 사이의 공간부(S)를 하강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 있어서는, 계장 관대(83)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클램프통(201)과, 클램프통(201)을 계장 관대(83)에 고정 가능한 클램프편(210)과, 원통 형상을 이루어 클램프통(201) 내에 설치되어서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노즐 가이드(221)와, 노즐 가이드(221)의 내부를 승강 가능한 내면 WJP 노즐(105)과, 노즐 가이드(221)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224)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 계장 관대(83)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되는 한편, 분사된 고압수는 중성자속 검출기(135)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노즐 가이드(221)의 배수 구멍(224)으로부터 배수되게 되어,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노즐 가이드(221)의 원통부(222)의 하단부에 플랜지부(223)를 설치하고, 배수 구멍(224)을 플랜지부(223)에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는, 복수의 배수 구멍(224)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수되게 되어, 배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노즐 가이드(221)를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노즐 가이드(221)와 계장 관대(83)를 간극 없이 배치하게 되어,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복수의 배수 구멍(224)으로 적정하게 유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노즐 가이드(221)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23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검출 장치(231)로서, 클램프통(20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하단부가 플랜지부(223)를 통하여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간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검출 로드(232)와, 검출 로드(232)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마그네트 센서(236)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노즐 가이드(221)의 플랜지부(223)가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접촉하면, 플랜지부(223)에 의해 검출 로드(232)가 상승해서 마그네트 센서(236)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노즐 가이드(221)를 클램프통(201)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플랜지부(223)가 계장 관대(83)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 가능하게 하고, 플랜지부(223)를 통하여 검출 로드(232)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노즐 가이드(221)의 플랜지부(223)가 계장 관대(83)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하면, 검출 로드(232)가 상승하게 되어, 노즐 가이드(221)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고정밀도로 검출함으로써,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검출 로드(232)를 노즐 가이드(221)의 외부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내면 WJP 노즐(105)이 노즐 가이드(221)의 내부를 승강하므로, 검출 로드(232)를 노즐 가이드(221)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검출 로드(232)가 내면 WJP 노즐(105)의 승강을 방해하는 일 없이, 안정된 워터젯 피닝을 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5는, 검출 장치에 의한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젯 피닝 장치의 클램프 장치에서, 클램프통(301)은 내부에 복수의 클램프편(302)(클램프 기구)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 피스톤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해서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를 클램프할 수 있다. 클램프통(301)은, 내부에 노즐 가이드(위치 결정 부재)(303)가 고정되어 있다. 이 노즐 가이드(303)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내면 WJP 노즐(105)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노즐 가이드(303)는, 원통부(304)와, 이 원통부(30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305)가 일체를 이루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가이드(303)는 플랜지부(305)에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306)이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각 배수 구멍(306)은, 일단부가 노즐 가이드(303)의 내부에 연통하고, 타단부가 노즐 가이드(303)와 클램프통(301) 사이의 공간부(소정 간극)(S)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공간부(S)는, 하방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도 10 참조)가 하강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외측에 클램프통(301)이 끼워 넣어져,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러면, 노즐 가이드(303)는 플랜지부(305)의 하면이 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면에 접촉해서 정지함으로써,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각 클램프편(302)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를 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하강해서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때, 노즐 가이드(303)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3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 장치(311)에 있어서, 복수의 검출 로드(312)는 노즐 가이드(303)의 외측에서, 플랜지부(305)를 상하로 관통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하단부가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램프통(301)은, 안내 가이드(313)가 고정되어 있고, 각 검출 로드(312)는 상단부가 안내 가이드(313)를 상방으로 관통하고, 연결 부재(31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가이드(313)에 마그네트 센서(315)가 고정되는 한편, 연결 부재(314)에 마그네트(316)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하강하고,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외측에 클램프통(301)이 끼워 넣어져,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검출 로드(312)는 하단부가 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노내 계장통(95)에 압박되어 상승한다. 이때, 노즐 가이드(303)는 플랜지부(305)의 하면이 노내 계장통(95)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한다. 그러면, 검출 로드(312)는, 하강하는 클램프통(301)에 대하여 상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연결 부재(314)의 마그네트(316)가 안내 가이드(313)의 마그네트 센서(315)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마그네트 센서(315)가 마그네트(316)를 검출하고, 이것을 작업자에게 알리는 것으로,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하강이 정지되어,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계장 관대(8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에 의한 계장 관대(83)[노내 계장통(95)]의 내면에 대한 워터젯 피닝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워터젯 피닝 장치(101)를 하강하면, 클램프통(301)이 계장 관대(83)의 외측에 끼워 넣어지고, 검출 로드(312)의 하단부가 노내 계장통(95)에 접촉함으로써 상승한다. 그러면, 검출 장치(311)가 이것을 검출하고, 작업자는 워터젯 피닝 장치(101)의 하강을 정지한다. 여기서, 각 클램프편(302)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계장 관대(83)를 클램프하고,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계장 관대(83)에 고정된다.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계장 관대(83)에 고정되면, 내면 WJP 노즐(105)이 노내 계장통(95) 내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내면 WJP 노즐(105)은, 고압수를 분사한 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킴으로써,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노내 계장통(95)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가 분사되게 되어, 노내 계장통(95)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된다. 한편, 분사된 고압수는 중성자속 검출기(135)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노즐 가이드(303)의 배수 구멍(306)으로부터 공간부(S)에 배수되어서 하강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 있어서는, 계장 관대(83)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클램프통(301)과, 클램프통(301)을 계장 관대(83)에 고정 가능한 클램프편(302)과, 원통 형상을 이루어 클램프통(301) 내에 설치되어서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노즐 가이드(303)와, 노즐 가이드(303)의 내부를 승강 가능한 내면 WJP 노즐(105)과, 노즐 가이드(303)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306)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 계장 관대(83)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되는 한편, 분사된 고압수는 중성자속 검출기(135)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노즐 가이드(303)의 배수 구멍(306)으로부터 배수되게 되어,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워터젯 피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도 17의 XVⅢ-XVⅢ 단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젯 피닝 장치(101)는, 원자로 용기(61)[원자로 용기 본체(62)] 하경(반구부)(66)에 설치된 계장 관대(83)에 설치되어 있다. 즉, 설치용 폴(111)이 작업 플로어(1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부에 워터젯 피닝 장치(101)가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콘딧 튜브(85)는, 일단부가 하경(66)의 계장 관대(83)에 연결되고, 심블 튜브 배관실(133)을 만곡해서 배선된 후, 타단부가 집합되어서 감시실(134)에 배치되어 있다.
콘딧 튜브(85)는, 타단부가 감시실(134)에 설치된 시일 테이블(351)까지 연장 설치되어서 연결되고, 선단부에 중성자속 검출기(도시 생략)가 장착된 심블 튜브(8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심블 튜브(88)는, 감시실(134)로부터 콘딧 튜브(85)의 타단부에 삽입 가능하고, 계장 관대(83)를 통해서 원자로 용기(61)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실(134)에서, 콘딧 튜브(85)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심블 튜브(88)의 단부를 이 콘딧 튜브(85)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고정 장치(3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장치(352)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딧 튜브(85)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지그(353)와, 콘딧 튜브(85)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심블 튜브(88)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지그(354)와, 제1 고정 지그(353)와 제2 고정 지그(354)의 이격을 저지하는 연결 부재(355)를 갖고 있다.
즉, 제1 고정 지그(353)에 있어서, 콘딧 튜브(85)는 단부가 시일 테이블(351)을 관통해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주부에 너트(401) 및 조인트 하부 본체(402)가 고정되어 있다. 조임 금속 부재(403)는 횡 방향의 U자 형상을 이루어, 상측 플랜지부(403a)에 패킹 압박 금속 부재(404)가 나사 결합하고, 고정 너트(405)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 패킹 압박 받이 금속 부재(406)가 고정되어 있다. 콘딧 튜브(85)는, 조임 금속 부재(403)의 하측 플랜지부(403b)에 고정 금속 부재(407)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부착 나사(40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하부 본체(402)와 패킹 압박 받이 금속 부재(406) 사이에 저압 시일 고무 패킹(409)이 압축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콘딧 튜브(85) 내의 심블 튜브(88)는, 패킹 압박 금속 부재(404)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제2 고정 지그(354)에 있어서, 심블 튜브(88)는, 주위에 고무 플레이트(411)가 권취되고, 평탄한 제1 플레이트(412)와 중간부가 만곡한 제2 플레이트(413)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412)와 제2 플레이트(413)는, 끼움 지지한 심블 튜브(88)의 양측에서 한 쌍의 체결 볼트(414) 및 체결 너트(415)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355)는, 끈, 케이블, 와이어 등의 연질 형상의 색이며, 제1 고정 지그(353)와 제2 고정 지그(354)에 권취함으로써, 양자의 이격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55)는 연질 형상의 색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경질 형상의 연결 로드나 연결 플레이트 등이라도 좋다.
또한, 고정 장치(352)에 의한 심블 튜브(88)와 콘딧 튜브(85)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361)가 설치되어 있다. 감시 장치(361)는, 감시실(134) 내에 배치되어서 고정 장치(352)를 촬영하는 카메라(362)와, 작업 플로어(121)에 설치된 작업실(363)에 설치된 감시 기기(364)를 갖고, 감시 기기(364)는 조작 장치(365)와 디스플레이(표시 장치)(36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362)는 촬영 화상을 감시 기기(364)에 출력 가능하고, 작업실(363)에 있는 작업자는, 디스플레이(366)에 의해 고정 장치(352)에 의한 심블 튜브(88)와 콘딧 튜브(85)의 고정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여기서, 워터젯 피닝 장치(101)에 의한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대한 워터젯 피닝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은, 도 1, 도 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장 관대(83)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클램프통(201)을 배치하는 공정과, 클램프통(201)에 설치된 노즐 가이드(위치 결정 부재)(221)가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계장 관대(83)에 고정하는 공정과, 계장 관대(83)로부터 콘딧 튜브(85)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 심블 튜브(88)를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105)을 클램프통(201)을 통해서 계장 관대(83)까지 하강시키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한 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킴으로써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노즐 가이드(221)에 설치된 배수 구멍(224)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또한,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할 때, 심블 튜브(88)와 콘딧 튜브(85)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이렇게 제3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 있어서는, 콘딧 튜브(85)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심블 튜브(88)의 단부를 콘딧 튜브(85)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고정 장치(35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 장치(352)에 의해 콘딧 튜브(85)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심블 튜브(88)를 이동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고정 장치(352)로서, 감시실(134) 내에 연장 설치된 콘딧 튜브(85)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지그(353)와, 콘딧 튜브(85)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심블 튜브(88)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지그(354)와, 제1 고정 지그(353)와 제2 고정 지그(354)의 이격을 저지하는 연결 부재(355)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장치에서는, 심블 튜브(88)와 콘딧 튜브(85)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36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감시 장치(361)에 의해 심블 튜브(88)와 콘딧 튜브(85)의 고정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미연에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 있어서는, 계장 관대(83)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클램프통(201)을 배치하는 공정과, 클램프통(201)에 설치된 노즐 가이드(위치 결정 부재)(221)가 계장 관대(83)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계장 관대(83)에 고정하는 공정과, 계장 관대(83)로부터 콘딧 튜브(85)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 심블 튜브(88)를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105)을 클램프통(201)을 통해서 계장 관대(83)까지 하강시키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한 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킴으로써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공정과,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노즐 가이드(221)에 설치된 배수 구멍(224)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 계장 관대(83)의 내면의 인장 잔류 응력이 압축 잔류 응력으로 개선되는 한편, 분사된 고압수는, 중성자속 검출기(135)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노즐 가이드(221)의 배수 구멍(224)으로부터 배수되게 되어,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방지해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계장 관대(83)로부터 콘딧 튜브(85)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 심블 튜브(88)를 이동 불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고압수를 분사하므로,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에서는, 내면 WJP 노즐(105)로부터 계장 관대(83)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할 때, 심블 튜브(88)와 콘딧 튜브(85)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따라서, 미연에 워터젯 피닝에 의한 심블 튜브(88)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61 : 원자로 용기
62 : 원자로 용기 본체
63 : 원자로 용기 덮개
66 : 하경(반구부)
83 : 계장 관대
85 : 콘딧 튜브
88 : 심블 튜브
95 : 노내 계장통
101 : 워터젯 피닝 장치(원자로 보수 장치)
102 : 장치 본체
103 : 클램프 장치
105 : 내면 WJP 노즐
201, 301 : 클램프통
206 : 지지통
208 : 가이드통
210, 302 : 클램프편(클램프 기구)
212 : 제1 피스톤 가이드
213 : 제2 피스톤 가이드
216 : 제1 클램프 피스톤
217 : 제2 클램프 피스톤
221, 303 : 노즐 가이드(위치 결정 부재)
231, 311 : 검출 장치
352 : 고정 장치
353 : 제1 고정 지그
354 : 제2 고정 지그
355 : 연결 부재
361 : 감시 장치

Claims (13)

  1. 계장 관대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클램프통과,
    상기 클램프통을 상기 계장 관대에 고정 가능한 클램프 기구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클램프통 내에 설치되어서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내부를 승강 가능한 내면 WJP(워터젯 피닝) 노즐과,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방사 형상으로 관통하는 배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배수 구멍은 상기 플랜지부에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계장 관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클램프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단부가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검출 로드와, 상기 검출 로드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클램프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면에 면 접촉 가능한 작동편을 갖고, 상기 작동편을 통하여 상기 검출 로드가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로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딧 튜브의 일단부가 상기 계장 관대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가 감시실까지 연장 설치되어서 연결되고, 선단부에 중성자속 검출기가 장착된 심블 튜브가 상기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계장 관대를 통해서 원자로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심블 튜브의 단부를 상기 콘딧 튜브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고정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감시실 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콘딧 튜브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지그와, 상기 콘딧 튜브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심블 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지그와, 상기 제1 고정 지그와 상기 제2 고정 지그의 이격을 저지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블 튜브와 상기 콘딧 튜브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장치.
  11. 계장 관대의 외주부측에 소정 간극을 두고 클램프통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클램프통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계장 관대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계장 관대에 고정하는 공정과,
    내면 WJP(워터젯 피닝) 노즐을 상기 클램프통을 통해서 상기 계장 관대까지 하강시키는 공정과,
    상기 내면 WJP(워터젯 피닝) 노즐로부터 캐비테이션 기포를 포함하는 고압수를 분사한 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계장 관대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공정과,
    상기 내면 WJP(워터젯 피닝)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설치된 배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장 관대로부터 콘딧 튜브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 심블 튜브를 이동 불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내면 WJP(워터젯 피닝) 노즐로부터 고압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 WJP(워터젯 피닝) 노즐로부터 상기 계장 관대의 내면에 고압수를 분사할 때, 상기 심블 튜브와 상기 콘딧 튜브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KR1020157019619A 2013-01-25 2014-01-23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KR10168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2503 2013-01-25
JP2013012503 2013-01-25
PCT/JP2014/051394 WO2014115812A1 (ja) 2013-01-25 2014-01-23 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812A KR20150099812A (ko) 2015-09-01
KR101682846B1 true KR101682846B1 (ko) 2016-12-05

Family

ID=5122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619A KR101682846B1 (ko) 2013-01-25 2014-01-23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28285B2 (ko)
EP (1) EP2937171B1 (ko)
JP (1) JP5897156B2 (ko)
KR (1) KR101682846B1 (ko)
ES (1) ES2720197T3 (ko)
WO (1) WO2014115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8332A1 (fr) * 2013-07-12 2015-01-16 Hitachi Ge Nuclear Energy Ltd Appareil de martelage au jet d'eau et procede de martelage au jet d'eau
CN107617981B (zh) * 2017-10-11 2019-03-01 中国航发北京航空材料研究院 一种喷丸强化大长径比盲孔的喷枪和强化方法
JP7036618B2 (ja) * 2018-02-16 2022-03-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撮影装置
CN109659045A (zh) * 2018-12-10 2019-04-19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用于核电站压力容器贯穿管的空化水射流表面强化处理系统及方法
CN110335689B (zh) * 2019-07-12 2020-08-28 哈尔滨工程大学 内孔定位装置、定位方法及爬行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141A (ja) 2005-01-24 2006-08-03 Hitachi Ltd 炉内計装筒の予防保全方法及び炉内計装筒の予防保全装置
JP2011083892A (ja) 2011-01-25 2011-04-28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管内面に対するウォータージェットピーニングによる残留応力改善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0241A (en) * 1972-07-24 1974-11-26 Chevron Res High pressure jet well cleaning
FR2694654B1 (fr) 1992-08-06 1994-11-04 Framatom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usinage de la surface interne d'une pièce tubulaire et notamment d'un adaptateur fixé sur le couvercle de la cuve d'un réacteur nucléaire à eau sous pression.
US5418824A (en) * 1993-05-19 1995-05-23 General Electric Company In situ inlet mixer cleaning system
JP3795111B2 (ja) 1995-11-14 2006-07-1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ピーニング装置
JP2859240B2 (ja) * 1997-03-18 1999-0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容器内の予防保全装置
JP3583031B2 (ja) 1998-08-12 200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圧力容器の内部構造部材のウォータージェットピーニング方法及びウォータージェットピーニング装置
US20090029631A1 (en) * 2005-09-23 2009-01-29 General Electric Mitigation of stress corrosion and fatigue by surface conditioning
JP5688384B2 (ja) * 2012-01-31 2015-03-25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141A (ja) 2005-01-24 2006-08-03 Hitachi Ltd 炉内計装筒の予防保全方法及び炉内計装筒の予防保全装置
JP2011083892A (ja) 2011-01-25 2011-04-28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管内面に対するウォータージェットピーニングによる残留応力改善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7171A1 (en) 2015-10-28
US9728285B2 (en) 2017-08-08
ES2720197T3 (es) 2019-07-18
KR20150099812A (ko) 2015-09-01
WO2014115812A1 (ja) 2014-07-31
EP2937171A4 (en) 2016-05-25
JP5897156B2 (ja) 2016-03-30
EP2937171B1 (en) 2019-03-06
US20150348659A1 (en) 2015-12-03
JPWO2014115812A1 (ja)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846B1 (ko)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US9739695B2 (en) Water jet peening compressive residual stress test method, test device, and test facility
US20130334444A1 (en) Radiation shielding method and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tructure
US20130336439A1 (en) Neutron flux detector guiding apparatus
US9914186B2 (en) Water jet peening device
KR101705476B1 (ko) 원자로 보수 장치의 설치 장치 및 방법
US20150325319A1 (en) Nozzle repair method and nuclear reactor vessel
EP2704152B1 (en) Nozzle repairing method
JP6081206B2 (ja) 原子炉補修監視装置及び原子炉補修方法
JP5755060B2 (ja) 制御棒クラスタ案内管用支持ピンの取外し方法及び装置
US9375813B2 (en) Nozzle repairing method and nuclear reactor vessel
KR20170108059A (ko) 파이프 스탠드 시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