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83B1 -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683B1
KR101682683B1 KR1020140132349A KR20140132349A KR101682683B1 KR 101682683 B1 KR101682683 B1 KR 101682683B1 KR 1020140132349 A KR1020140132349 A KR 1020140132349A KR 20140132349 A KR20140132349 A KR 20140132349A KR 101682683 B1 KR101682683 B1 KR 10168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information
unit
reference data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381A (ko
Inventor
박종화
권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뷰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무노스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뷰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무노스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뷰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4013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피 스캔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센싱부, 상기 스캔한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입력부, 및 상기 편집된 정보를 일정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MOBILE DAIRY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능화된 일정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통신의 급속한 성장은 모든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 항목들이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 기기들 사이에서 통신될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어, 셀룰라 또는 이동 전화는 더 이상 전화상의 음성 통신에 국한되지 않고 디지털 네트워킹(즉, 인터넷 통신, 텍스트 메시징 등)과 같은 다른 디지털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모바일 다바이스의 대표적인 예인 휴대폰이 없는 하루는 생각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토탈 문자 서비스로 칭하여지는 메일링 기능,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 나아가 수많은 소셜네트워킹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일리 다이어리 (daily planner, 일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갖추거나 사용자에 의해 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데일리 다이어리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달력에 이벤트 리마인더(reminder)를 입력시킴으로써 다가올 이벤트 스케줄을 조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다이어리는 다가오는 이벤트가 걸려 있을 때 알람이나 시청각 메시지들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자 리마인더를 보내는 고유의 혜택을 제공한다.
현재 디지털 다이어리는 비즈니스맨을 위한 매우 성공적인 도구였음을 증명해 왔고,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인 하드 카피(hard copy)나 종이로 된 데일리 다이어리들의 수요를 대체해 오고 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디지털 미디어 파일들은 달력 날짜에 따라 손쉽게 분류되고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결혼 비디오는 결혼 날짜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파티에서 찍은 사진들은 파티 날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들은 미디어 파일의 생성 날짜에 기반해 미디어 파일을 분류시키는 예들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미디어 파일은 미디어 파일이 사용되거나 제공된 날짜 또는 수취인이 그 파일을 수신한 날짜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은 프레젠테이션 날짜에 따라 분류되고 친구로부터의 개인적 텍스트 파일은 수신된 날짜에 따라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다이어리도 종이로 된 기존의 다이어리를 완전히 대처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른바, 입력 및 입력 후 열람의 편리함이 아직은 일반적인 종이 형태의 다이어리를 완전히 압도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최근 지능형 모바일 디바이스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는 실정에서도 다이어리의 사용환경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술문헌]
1. 웹다이어리와 메신저를 연계한 인터넷 일정관리 시스템 및그 서비스 방법(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46846호)
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특정일 알림방법(특허출원번호 제 10-2003-00898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이 간편하고 자체적인 지능형 일정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피 스캔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센싱부, 상기 스캔한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입력부, 및 상기 편집된 정보를 일정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각도를 변환시키는 각도변환모듈,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키는 리사이징모듈, 및 상기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보정하는 색상보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대비하여 일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부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 스캔 대상물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부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호 데이터는 도형, 바코드, QR코드 및 색상값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일정정보에 상기 식별부호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이어리 디바이스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식별부호에 따라 이미지를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또한, 상기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기본 레퍼런스 데이터 또는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레퍼런스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폴트 데이터이고, 상기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는 추가 저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특성단어 또는 미리 설정된 문장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단어는 시간단어, 장소단어, 인명단어 및 내용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장패턴은 문장 간의 배열패턴(평서문 의문문) 또는 상기 특성단어와 인접한 문장의 위치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스캔했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텍스트 정보에 상기 특성단어 또는 상기 문장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상기 특성단어 또는 상기 문장패턴을 단어벡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단어벡터를 분류하는 자동분류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텍스트를 이루는 작성 언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텍스트를 자동 번역하는 자동번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텍스트 정보에서 유사 특성단어 및 유사 문장패턴을 추출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유사 특성단어와 상기 문장패턴을 상기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분류모듈은 상기 단어벡터를 시간벡터, 장소벡터, 인명벡터 및 내용벡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일정 정보 출력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정보 출력 응용 프로그램에 상기 분류된 단어벡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촬상된 일정 영상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되므로 기존의 종이 다이어리의 사용 및 전자 다이어리의 사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즉, 종이 다이어리와 연동하여 온라인 자료화 및 저장, 관리 가능 일정관리, 할일 관리 가능 메모/아이디어, 회의록, 레포트 등 자료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텍스트로 변환된 일정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텍스트가 자동으로 분류되어 저장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일정관리가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 대상인 아나로그 다이어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에 포함된 입력부의 편집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에 포함된 제어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에 포함된 제어부가 일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의 입력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 대상인 아나로그 다이어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100)는 센싱부(110), 제어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100)는 저장부(160) 및 통신부(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100)에 서버(200)에 대한 구성을 더 포함하고, 다른사용자/SNS(300)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시스템(1000)이 구현된다.
센싱부(110)는 카메라 또는 이의 등가물로 구성되는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 다이어리(50)의 일정 내용을 촬영 또는 스캔한다. 아날로그 다이어리(50)에는 식별부호가 이미지로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참조부호 51은 날짜와 관련된 정보가, 참조부호 52 내지 54에는 작업의 종류에 따른 식별부호가 이미지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 데이터는 도형, 바코드, QR코드 및 색상값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할 저장부(160)에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부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서 후술할 제어부(120)는 촬상된 이미지의 카테고리를 자동 분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후술할 표시부에서는 이러한 식별부호 자체를 다이어리의 UI로 표현되도록 출력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분류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더욱 나아가, 후술할 제어부(120)는 촬상된 이미지 전체에서 이러한 식별부호에 따른 부분을 분할하여 여러장의 이미지로 데이터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분할된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각각 입력부를 통해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고, 추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10)가 촬상한 이미지는 제어부(120)가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공지된 OCR 기법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촬상된 이미지의 각도를 변환시키는 각도변환모듈(미도시),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키는 리사이징모듈(미도시), 및 상기 이미지의 색상 값을 보정하는 색상보정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게 되므로 변환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각도변환모듈은 촬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의 배열이 이루는 각도를 변환하는데, 더욱 상세하게 텍스트로 인식된 부분이 60 내지 90%가 가상의 수평에서 기울어진 각도를 판별하여 이를 수직이 되도록 전체 이미지를 회전 보정한다. 리사이징모듈은 카메라 화면 내에 자동 각도 조절 틀을 제공하여 틀에 맞취 촬영하는 경우에 사다리꼴로 촬영된 이미지를 직사각형의 이미지로 자동 변경되도록 한다.
또한, 색상보정모듈은 촬상 이미지에서 추출된 색상 값을 레퍼런스 다이어리 색상 값으로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색상보정모듈은 촬상 이미지의 명도 또는 채도를 설정 범위 이내에서 레퍼런스 다이어리의 명도 또는 채도와 유사하도록 보정한다.
즉, 촬상 시마다 환경이 틀리므로 명도 및 채도가 고정값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서 채도와 명도를 보정하여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주도록 보정을 수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명도 및 채도의 보정작업은 3색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색상 값도 유사하도록 더 포함시켜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샤프니스(sharpness), 노출값(exposure) 및 화이트밸랜스(white balence)에 대한 팩터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가 일정 레퍼런스를 대비하여 일정 정보를 산출하는 더욱 자세한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입력부(130)는 이와 같이 보정되어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메모한 모든 정보를 활용하기 보다는 필터링하여 특정 부분만 활용하여 전자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으므로 입력부(130)는 이에 대해 편집툴을 제공한다.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정보가 나타나는 다이어리의 세부 화면이 구현되거나,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의 화상과 텍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부(140)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액정 표시패널, 플라즈 표시패널 및 음극선관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표시부(140) 상에는 터치패널이 배치될 수 있는데, 터치패널은 표시부(140)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한다.
통신부(150)는 서버와 연결하거나 서버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 외도에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로 부터 전송받아 모바일 다이어리의 일정을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클라우드 서버에 연동되어 사용자가 PC 등에서 다이어리의 내용을 수정, 확인, 인쇄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특성단어를 포함한 데이터를 말한다. 특성단어란 예를 들어 어떤 두 사람간의 대화가 텍스트로 존재하고 있다고 할 때, 그 대화에는 중요한 약속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그 약속의 시간과 관련되는 시간단어, 그 약속의 장소와 관련된 장소단어, 그 약속의 내용과 관련되는 내용단어 등이 특성단어로 정의되어 저장부(160)에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한편, 저장부(160)는 상기한 서버를 이용하여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의 외부에 따로 구성하는 것도 당연하다.
제어부(120)에서는 이러한 저장부(160)의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한다. 즉, 제어부(120)는 변환되거나 수집한 텍스트 정보를 소정 가공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비하여 최종적으로 일정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이때, 산출된 일정정보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취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형식의 응용프로그램 내에서 약속명칭, 약속내용 등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스캔 입력한 다이어리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메일, 문자메세지, 응용프로그램 등에 포함된 일정과 관련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취합하여 이를 일정관리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인터랙티브하고 직관적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의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에 포함된 입력부의 편집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촬상된 이미지 영상은 텍스트로 전환되면서 전술한 식별 부호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각각의 테두리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D1, D2, ..., Dn으로 테이터 박스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이를 드롭존으로 터치 드래그하여 분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사용자가 할일, 일정 및 기타 영역으로 수동으로 드래그 분류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식별부호를 통해 제어부가 해당 식별부호가 의미하는 영역으로 자동 분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에 포함된 제어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에 포함된 제어부가 일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일례로 두 사람간의 대화(sm1 내지 sm5)를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는 도시한 SMS 외에도 SNS, 이메일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문자서비스 및 제어부가 변환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화(SM)의 예에서 제어부(120)는 "A프로젝트"(sm2), "내일모레"(sm4), "오전에"(sm4), "1층회의실에서"(sm5) 및 "보죠"(sm5)와 같은 일정정보를 탐지한다(sm4, sm5 참조). 또한, 이러한 전체 텍스트(SM)는 도면에 포함된 것처럼 시간정보(t1 내지 t5)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어부(120)는 이러한 시간정보(t1 내지 t5)를 관련 텍스트와 함께 탐지한다. 이러한 시간정보에 따라 제어부(120)는 각 텍스트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시간의 선후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기본 레퍼런스 데이터 또는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본 레퍼런스 데이터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의 초기 디폴트 상태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말하고,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는 학습에 의해 추가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즉,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는 후술할 제어부(120)가 유사한 특성단어 등을 발견하는 경우에 이를 추가적으로 레퍼런스 데이터로 형성하여 저장한 데이터이다.
한편,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전술한 특성단어와, 그리고 문장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특성단어는 시간단어, 장소단어, 인명단어 및 내용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저장부(160)에서는 시간, 장소, 및 인명과 관련이 있는 특성단어 자체의 레퍼런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문장패턴은 문장의 배열 패턴, 나아가 상기 특성단어와 인접한 문장의 배치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성단어의 주변에는 또 다른 특성단어가 발견될 확률이 커지므로, 특성단어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에 배치된 문장에서 특성 단어를 찾을지에 대한 패턴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참조부호 sm4에는 "내일모레"라는 시간단어가 포함되어 있는데, "내일모레 오젠에"라는 시간단어에 근접한 텍스트인 sm2, sm3, sm5 중에서 우선 특성단어로서 판단되는 시간단어, 장소단어를 제외한 나머지를 인명단어 또는 내용단어로 판단하게 된다. 즉, sm5의 "1층회의실에서"라는 것은 이미 특성단어인 시간단어로 분류되었으므로 제외하고, sm3의 "현재", "90%"와 sm2의 "지경부 A 프로젝트"라는 단어가 내용단어로 판단될 수 있다. 이중 최종적으로 "지경부 A 프로젝트"를 내용단어로서 판단하는 것은 제어부(120)에서 수행한다. 즉, 문장 패턴은 상기 예에서와 같이 특성단어를 포함하는 문장과 또 다른 특성단어(도 5에서는 내용단어)를 포함하는 문장까지의 거리에 대한 패턴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수집부(121), 분석부(123), 변환부(125) 및 자동분류모듈(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집부(121)는 스캐닝부가 탐지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부(123)로 보내는 데, 분석부(123)는 수집된 텍스트 정보를 전처리한다. 전처리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부가 정보, 예를 들어 한국어, 일본어의 경우에 조사, 부사, 형용사, 전치사 등을 어미에 의해 판단하고, 영어 등의 경우에는 부사, 형용사, 전치사 등을 단어자체로서 판단하여 제거한다.
한편, 수집부는 작성 언어의 종류에 따라서 이를 자동 번역하는 자동번역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번역부(122)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구성이면 족하다.
전처리 이후에 분석부(123)는 수집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성단어, 문장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한다. 한편, 분석부(123)는 수집된 텍스트 정보에서 특성단어와 유사한 유사특성단어 및 수집된 텍스트 정보에서의 문장패턴과 유사한 유사문장패턴을 전술한 학습 레퍼런스 데이트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100)에는 일정 정보 응용프로그램이 더 포함되는데, 사용자는 일정 정보 응용프로그램 상에서 통상적인 편집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본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출력되는 특성단어 외에 임의로 특성단어를 일정 정보 응용프로그램 상에 편집입력하게 되는 경우에 그 특성단어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문장패턴에 의해 선택된 특성단어가 아닌 경우에는 그 일정단어와 그 문장패턴을 새롭게 유사일정단어와 유사문장패턴으로서 저장하게 된다. 이때, 분석부(123)는 수집된 텍스트 정보와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를 대비 판단하는 경우에 이러한 유사일정단어 및 유사문장패턴까지 확장하여 대비 판단한다.
한편, 수집된 텍스트 정보가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변환부(125)는 이를 단어 벡터(vector)로 변환한다. 단어 벡터는 특성단어 자체에 위치정보가 더 들어간 것을 말하고, 위치정보는 전술한 시간, 장소, 인명 및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자동분류모듈(126)은 이러한 위치정보로서 시간정보, 장소정보, 인명정보 및 내용정보라는 분류 기준에 따라 각 단어벡터를 분류한다. 분류된 각 단어벡터는 일정 정보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날짜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일정편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텍스트의 일정정보를 탐지하여 이를 지능적으로 일정 정보 응용프로그램에 로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직관적인 일정 관리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추가적 편집에 기인한 일정 관리 기능의 추가적 학습도 가능하므로 보다 편리한 지능형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이 사용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의 입력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다이어리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일정을 입력하고 수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7a에서와 같이 위 아래 터치 혹은 좌우 터치를 통해 다양한 열람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7b에서와 같이 일정의 세부 항목을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0: 모바일 다이어리 시스템
50: 아날로그 다이어리
100: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110: 센싱부
120: 제어부
121: 수집부
122: 자동번역부
123: 분석부
124: 확장부
125: 변환부
126: 자동분류모듈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통신부
160: 저장부
200: 서버
300: SNS/다른사용자

Claims (16)

  1. 피 스캔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센싱부; 상기 스캔한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입력부; 상기 편집된 정보를 일정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대비하여 일정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당초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데이터인 기본 레퍼런스 데이터 및 추가 저장되는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정 레퍼런스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특성단어 또는 미리 설정된 문장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특성단어는 시간단어, 장소단어, 인명단어 및 내용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부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 스캔 대상물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부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일정정보에 상기 식별부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식별부호에 따라 이미지를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패턴은 문장 간의 배열패턴(평서문 의문문) 또는 상기 특성단어와 인접한 문장의 위치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스캔했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텍스트 정보에 상기 특성단어 또는 상기 문장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상기 특성단어 또는 상기 문장패턴을 단어벡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단어벡터를 분류하는 자동분류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텍스트 정보에서 유사 특성단어 및 유사 문장패턴을 추출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유사 특성단어와 상기 문장패턴을 상기 학습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류모듈은 상기 단어벡터를 시간벡터, 장소벡터, 인명벡터 및 내용벡터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132349A 2014-10-01 2014-10-01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KR10168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349A KR101682683B1 (ko) 2014-10-01 2014-10-01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349A KR101682683B1 (ko) 2014-10-01 2014-10-01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81A KR20160039381A (ko) 2016-04-11
KR101682683B1 true KR101682683B1 (ko) 2016-12-20

Family

ID=5580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349A KR101682683B1 (ko) 2014-10-01 2014-10-01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158A (ko) * 2018-02-20 2019-09-16 경노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712B1 (ko) * 2019-07-17 2022-09-29 황주원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42B1 (ko) 2006-05-19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와 그 스케줄 관리 방법
JP2010176287A (ja) 2009-01-28 2010-08-12 Nec Corp 携帯機器および携帯機器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42B1 (ko) 2006-05-19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와 그 스케줄 관리 방법
JP2010176287A (ja) 2009-01-28 2010-08-12 Nec Corp 携帯機器および携帯機器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158A (ko) * 2018-02-20 2019-09-16 경노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
KR102067068B1 (ko) * 2018-02-20 2020-01-16 경노겸 축사일지 이미지를 이용한 축사일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81A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1829B2 (ja) 情報処理装置の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動作制御方法
US20180020076A1 (en) Electronic and mobile platform to create, store and exchange business cards
US100074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3211856A1 (en) Video information terminal and video display system
US20040153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US20110131299A1 (en) Networked multimedia environment allowing asynchronous issue tracking and collaboration using mobile devices
US9047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acting upon handwritten action items
US20090013250A1 (en) Selection and Display of User-Created Documents
JP2008547110A (ja) 電子ビジネスカードの送信および受信
US20100107050A1 (en) Digital photo frame with annot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11790160B2 (en) Collision avoidance for document field placement
US11972025B2 (en) Stored image privacy violatio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11816155B2 (en) Automated field placement for uploaded documents
US20220345498A1 (en) Shared image sanit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1682683B1 (ko) 모바일 다이어리 디바이스
US20170032558A1 (en) Multi-format calendar digitization
TW201528166A (zh) 針對經選取用於追蹤動作之電子郵件的提醒服務
US200801683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Related Entity Information
JP4288761B2 (ja) メール送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160011954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수기메모 저장방법
JP5757506B2 (ja) 電子出版物出力装置、電子出版物出力方法、プログラム
US201302546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e-mail in a portable terminal
CN101256592A (zh)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