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316B1 - Boiler device - Google Patents

Boil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316B1
KR101682316B1 KR1020150188382A KR20150188382A KR101682316B1 KR 101682316 B1 KR101682316 B1 KR 101682316B1 KR 1020150188382 A KR1020150188382 A KR 1020150188382A KR 20150188382 A KR20150188382 A KR 20150188382A KR 101682316 B1 KR101682316 B1 KR 10168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conduit
heat
movement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한철
Original Assignee
명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한철 filed Critical 명한철
Priority to KR102015018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3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radi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radiated
    • F24H7/065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radiated with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radiated
    • F24H7/067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radiated with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A boiler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iler device comprises: a combustion unit where a firewood fuel is combusted; a body unit guiding a flow of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unit; and a heat exchanging unit where a pipe guiding the flow of fluid and a member storing heat therein and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unit to guide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unit are installed.

Description

보일러장치{BOILER DEVICE}BOILER DEVICE

본 발명은 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열방식으로 물을 가열하므로 관로 외측에 결로가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il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being generated outside a pipe by heating water in a heat accumulating manner.

일반적으로, 보일러장치는 연료를 직접 연소시켜서 난방을 하는 소규모의 난로와, 실내에 방열기(放熱器)를 설치되는 동시에 실외에 보일러가 설치되어 증기 또는 온수를 통하여 난방을 수행하도록 하는 증기난방 또는 온수난방이 있다.Generally, a boiler device is a small-sized heater that burns fuel directly to heat it, a steam heater that installs a radiator in the room, and a boiler is installed outside to perform heating through steam or hot water, There is heating.

또는 열(熱)가스·증기·온수·전열(電熱) 등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게 하여 실내에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난방과, 벽·바닥·천장 속에 설치된 파이프 내부로 온수 또는 열풍 등이 통과되도록 하여 벽·바닥·천장의 표면온도를 높여서 난방하는 복사난방(輻射煖房) 및 태양열 등을 이용한 여러 가지 난방방법이 있다.Or hot air heating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by using heat, gas, steam, hot water, electric heat or the like, and hot water or hot air pass through the pipe installed in the wall, floor, or ceiling There are various heating methods using radiant room and solar heat to increa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wall, floor and ceiling so as to be heated.

종래의 관류 보일러를 사용하는 경우,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열원에 노출되면서, 관로의 내외부 온도차가 급격히 크게 발생하므로 관로의 외부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화목 보일러에서는 결로 발생시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져서 그을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나무나 석탄 등을 연소시켜 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티가 연도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어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연도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어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다.When a conventional flow boiler is used, a duc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water is exposed to a heat source,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uct is rapidly increased, so that condensation may occur outside the duct. In the harmonics boiler, when condensation occurs, incomplete combustion occurs and soot occurs. In addition, when boilers are used by burning wood or coal, the inconveniences generated in the burning proces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year, which causes a problem of fi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ollutan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are discharged outdoors through the year, which causes air pollutio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6782호(2013.11.21 공개, 발명의 명칭: 보일러형 보일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26782 (published on November 21, 2013, entitled " Boiler-type boil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열방식으로 물을 가열하므로 관로 외측에 결로가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il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outside a pipe by heating water in a heat accumulation man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티와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보일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iler apparatus that reduces the emissions of fumes and contaminants.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장치는: 화목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와,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몸체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에는 열을 축열하는 부재와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설치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oil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bustion section in which a combustible fuel is combusted; a body sec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section; a combustion section projecting inward from the body section to move up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section; And a heat exchanging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and having a member for storing heat and a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삭제delete

또한 몸체부는, 연소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되며,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가 상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portion and forms a passag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connection pipe portion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또한 열교환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의 내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번갈아 가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연소가스의 이동도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heat exchanging par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ternately from the inside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is also guided in the zigzag direction.

또한 열교환부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몸체부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적재되며 연소가스의 열을 전달받아 축열하는 축열부재 및 축열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case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and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a heat accumulating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portion to receive heat of the combustion gas and storing heat, And a conduit portion for guiding the fluid.

또한 케이스부의 일측은 몸체부의 측벽에 고정되며, 케이스부의 타측은 몸체부의 측벽과 이격되어 연소가스가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ase part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moves.

또한 축열부재는, 모래, 백회가루(마그네샤), 자갈, 및 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white fly (magnesia), gravel, and stone.

또한 관로부는, 제1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며 축열부재의 내측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관로 및 제1관로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관로를 따라 연장되어 제2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uit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it arranged in a staggered arrangement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fluid and a second conduit located inside the first conduit and extending along the first condu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lui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wo conduits.

또한 제1관로를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온수로 사용되며, 제2관로를 따라 흐르는 제2유체는 난방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fluid flowing along the first channel is used as hot water and the second fluid flowing along the second channel is used as heating water.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장치는, 열교환부의 내측에 축열부재가 설치되어 축열방식으로 물을 가열하므로, 케이스부의 외측에 발생되는 결로 및 결로에 의한 그을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boil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accumulating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heat exchanging unit to heat water in a heat accumulating man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oot generated by condensation and condensation generated outside the case unit.

또한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부가 몸체부의 내측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연소가스의 배출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열교환부와 연소가스가 접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heat exchange unit formed in a plate shape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zigzag direction, so that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combustion gas increases and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나무나 석탄 등을 연소시켜 난로를 사용할 경우,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티가 침전부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에는 불티가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urnace is used by burning wood, coal or the like, the burning generated in the burning process is precipitated in the precipitating solution in the settling portion, and the burning gas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ing pipe portion does not include burning The risk of fir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침전부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에는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대기오염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ause of air pollution since pollutant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are precipitated in the precipitating solution in the settling portion, and the combustion gas moving outwardly through the exhaust pipe portion contains little contaminant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에서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oil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exchang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boil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heat exchang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nne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il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t exchang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작이나 나무를 원료로 하는 보일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xample of the boiler device made of wood or wood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에서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exchang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member is separated from a heat exchang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il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nnel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1)는, 화목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10)와, 연소부(1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90)의 이동을 안내하는 몸체부(20) 및 몸체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몸체부(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연소가스(90)의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에는 열을 축열하는 부재와 유체(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설치되는 열교환부(30)를 포함한다.1 to 3, a boiler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unit 10 in which a harmful fuel is combusted, a combustion gas 10 generated in the combustion unit 10 9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90 which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0 and moves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And a heat exchanging part (30) in which a pip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100) is installed.

연소부(10)는 화목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며, 화목 연료의 연소로 연소가스(90)를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소부(10)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10)에 사용되는 연료는 나무, 석탄, 등유, 경유,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연소부(10)의 전방에는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부재(12)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부재(12)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연소부(10)의 전방을 개폐한다.Various types of combustion sections 10 can be use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combustion section 10 where combustion of harmonious fuel is performed and combustion gas 90 is generated by combustion of harmonics fuel. The fuel used in the combustion unit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wood, coal, kerosene, light oil, and gas. A door member 12 for injecting fuel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combustion unit 10. [ The door member 12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combustion unit 10 by the rotation operation.

몸체부(20)는 연소부(1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90)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20)는 연소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소가스(90)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몸체부(20)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에는 연소부(10)가 연결되며 상측에는 연소가스(90)의 배출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37)가 연결된다. 따라서 연소부(1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90)는 몸체부(2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후 연결관로부(37)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다.The body 2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forming a passag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90 generated in the combustion unit 10. The body portion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portion 10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passag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90.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the combustion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the connection pipe portion 37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9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90 generated in the combustion section 10 is moved upward through the body section 20 and then moved upward through the connection duct section 37.

한편 몸체부(20)의 외측에는 몸체부(20) 내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게이지(22)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게이지(22)를 보고 연소가스(90)의 온도를 측정하여 연료의 재공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gauge 2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20 is provided outside the body 20. Therefore, the user can determine the re-supply of the fuel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gas 90 by looking at the gauge 22.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30)는 몸체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몸체부(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연소가스(90)의 이동을 안내하며, 열교환부(30)의 내측에는 열을 축열하는 부재와 유체(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설치된다. 또한 열교환부(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0)의 내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번갈아 가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연소가스(90)의 이동도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열교환부(30)와 연소가스(90)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3 to 6, the heat exchange unit 30 guides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90 that protrudes inward of the body 20 and moves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20, Inside the heat exchanging part (30), there is provided a member for accumulating heat and a condu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100). The heat exchanging part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ternately from the insid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art 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90 in the zigzag direction, The contact area of the combustion gas 90 is increased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는 케이스부(31)와 축열부재(36)와 관로부(37)를 포함한다.The heat exchang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part 31, a heat accumulating member 36, and a channel part 37.

케이스부(31)는 수납공간(35)을 구비하며 몸체부(2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케이스부(31)의 일측은 몸체부(20)의 측벽에 고정되며, 케이스부(31)의 타측은 몸체부(20)의 측벽과 이격되어 연소가스(90)가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부(31)는 복수로 구비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상하 이격된다. 또한 케이스부(31)는 몸체부(20)의 일측에 있는 측벽과, 이에 마주하는 타측에 있는 측벽에 번갈아 가며 고정되므로 케이스부(31)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몸체부(20) 내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31)는, 내측에 수납공간(35)이 구비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몸체(33)와, 케이스몸체(33)의 상측을 개폐하는 커버부재(34)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33)의 일측은 몸체부(20)의 내측에 고정되며, 케이스몸체(33)의 타측은 몸체부(20)의 내측과 이격되어 연소가스(90)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케이스몸체(33)와 커버부재(34)는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된다.The case 31 has a storage space 35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inside of the body 20. One side of the case part 31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20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part 31 is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2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mbustion gas 90 moves. A plurality of case portions 31 are provided and are vertically spaced at a set interval. The case 31 is alternately fixed to the side wall on one side of the body 20 and the side wall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0 so that the case 31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20 in a zigzag shape. The case 31 includes a case body 33 having a storage space 35 inside and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 cover member 3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ide of the case body 33 do. One side of the case body 33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body 33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0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90 moves upward do. The case body 33 and the cover member 34 are formed of a material that facilitates heat transfer.

축열부재(36)는 케이스부(31)의 내측에 적재되며, 연소가스(90)의 열을 전달받아 축열하는 한편, 관로부(37)를 따라 흐르는 유체(100)를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부재가 축열부재(36)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부재(36)는, 모래, 백회가루(마그네샤), 자갈, 및 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부재(36)로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 연소가스(90)의 열이 케이스부(31)를 통해 모래를 사용하는 축열부재(36)로 전달되어 축열되며, 축열부재(36)의 내측에 설치된 관로부(37)도 축열부재(36)의 온도 상승으로 가열된다. 모래는 비열이 높아 축열효과가 우수하므로 축열부재(36)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se 31 and receives heat of the combustion gas 90 to heat and heat the fluid 100 flowing along the conduit portion 37, A member of a kind can be used as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white fly powder (magnesia), gravel, and stone. When the sand is used as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the heat of the combustion gas 90 is transferred to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using sand through the case portion 31 and is heat-accumulated, The installed conduit portion 37 is also heated by the temperature rise of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Since the sand has a high specific heat and is excellent in the heat storage effect, it is suitable to be used as the heat storage member (36).

관로부(37)는 축열부재(36)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체(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부(37)는, 제1유체(102)의 이동을 안내하며 축열부재(36)의 내측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관로(38)와, 제1관로(38)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관로(38)를 따라 연장되어 제2유체(10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관로(39)를 포함한다.The conduit part 37 is located inside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100. The conduit portion 3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duit 38 that is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on the inside of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fluid 102, And a second conduit 39 extending along the first conduit 38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luid 104. As shown in FIG.

제1관로(38)는 축열부재(36)와 마주하므로 제1관로(38)를 따라 흐르는 제1유체(102)는, 제1관로(38)의 내측에 설치된 제2관로(39)를 따라 흐르는 제2유체(104)보다 비교적 고온상태이다. 따라서 제1관로(38)를 따라 흐르는 제1유체(102)는 온수로 사용되며, 제2관로(39)를 따라 흐르는 제2유체(104)는 난방수로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제1유체(102)와 제2유체(104)의 사용용도를 바꿀수 있으며, 제1유체(102)와 제2유체(104)를 물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유체(100)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제1관로(38)와 제2관로(39)의 입구와 출구는 케이스부(3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Since the first conduit 38 faces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the first fluid 102 flowing along the first conduit 38 flows along the second conduit 39 provided inside the first conduit 38 Is relatively higher in temperature than the flowing second fluid (104). Accordingly, the first fluid 102 flowing along the first channel 38 is used as hot water, and the second fluid 104 flowing along the second channel 39 is used as heating water. The use of the first fluid 102 and the second fluid 104 may be changed as necessary and the first fluid 102 and the second fluid 104 may be changed to another fluid 100 without using water .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first conduit 38 and the second conduit 39 extend outwardly through the case portion 31.

몸체부(20)의 상츠에 연결된 연결관로부(37)는 연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90)가 몸체부(2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안내할 수 있다.The connecting conduit portion 37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in a communicating shape and can guide the combustion gas 90 discharged from the body portion 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20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boiler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연소부(10)에서 화목 연료가 연소되어 연소가스(90)가 발생하면, 몸체부(2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소가스(90)가 이동한다. 이때 열교환부(3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몸체부(20)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연소가스(90)도 열교환부(3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굽어지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When the harmonic fuel is combusted in the combustion section 10 to generate the combustion gas 90, the combustion gas 90 mov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section 20. At this time, since the heat exchanging part 30 is installed in the zigzag shape inside the body part 20, the combustion gas 90 also moves upward while being guided by the heat exchanging part 30 and bent in a zigzag shape.

연소가스(90)가 열전도율이 높은 케이스부(31)와 접하면서 케이스부(31)의 내측에 위치한 축열부재(36)의 온도를 높인다. 축열부재(36)는 전달된 열을 비교적 오랜 시간 저장하는 한편, 축열부재(36)의 내측에 설치된 관로부(37)를 가열한다.The combustion gas 9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se portion 31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located inside the case portion 31 is raised.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stores the transferred heat for a relatively long time while heating the conduit portion 37 provided inside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관로부(37)는 2중관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유체(102)와 제2유체(104)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제1유체(102)와 제2유체(104)가 각각 가열되어 난방수와 온수로 사용된다. 한편 관로부(37)가 직접 열원에 노출되지 않고 축열부재(36)를 통해 열을 전달받으므로 열의 전달이 비교전 완만하게 이루어져서 관로부(37)의 외측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가 연소부(10)로 낙하되어 그을음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보일러장치(1)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fluid 102 and the second fluid 104 are h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uid 102 and the second fluid 104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Are respectively heated and used as heating water and hot wat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duit portion 37 receives heat directly through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heat source, the heat transfer is smooth before comparison,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outside the conduit portion 37. Therefore, the condensation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combustion unit 10 to generate soot,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oiler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exchang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1)는 침전부(50)와 보충부(60)와 배출관로부(37)와 밸브부(80)를 추가한 구성을 갖는다.7, the boiler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ling portion 50, a replenishing portion 60, a discharge pipe passage portion 37, and a valve portion 80 Respectively.

침전부(50)는 연결관로부(40)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와 연소가스(90)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가열된 공기와 연소가스(90)에 포함된 불티와 오염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저장용액(55)이 내측에 저장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부(50)는 침전몸체(52)와 경사안내부(57)와 배출밸브(59)를 포함한다.The settling portion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conduit portion 40 to supply the heated air and the combustion gas 90. The settled portion of the heated air and the combustion gas 90 contained therein, The storage solution 55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within the stored technical data. The sink portion 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settling body 52, an inclined guide portion 57, and a discharge valve 59.

침전몸체(52)는 연결관로부(40)와 배출관로부(70)가 연결되어 연소가스(90)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보충부(60)를 통해 저장용액(55)이 공급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몸체(52)는 상판부재(53)와 이동공간부(54)와 저장용액(55)을 포함한다.The sedimenting body 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40 and the discharge pipe portion 70 so that the combustion gas 90 is moved and the storage solution 55 is supplied through the replenishing portion 6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precipitation body 5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top plate member 53, a moving space portion 54, and a storage solution 55.

침전몸체(52)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침전몸체(5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부재(53)에는 연결관로부(40)와 배출관로부(70)가 연결된다. 침전몸체(52)의 내측에는 저장용액(55)이 저장되며, 저장용액(55)과 상판부재(53) 사이에는 연소가스(9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54)가 구비된다.The sedimenting body 52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and the connection pipe portion 40 and the drain pipe portion 70 ar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member 53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ttling body 52. The storage solution 55 is stored inside the precipitation body 52 and the movement space portion 54 is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solution 55 and the upper plate member 53 to move the combustion gas 90.

경사안내부(57)는 침전몸체(52)의 하측에 연결되며,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침전을 안내한다. 경사안내부(57)와 침전몸체(52)의 일부에 저장용액(55)이 저장되며, 저장용액(55)의 상측을 이동하는 공기와 연소가스(90)에 포함된 불티와 이물질은 저장용액(55)의 하측으로 침전되어 경사안내부(57)의 내측에 쌓인다. 경사안내부(57)의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경사안내부(57)를 따라 침전되는 불티와 이물질이 배출밸브(59)가 설치된 경사안내부(57)의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ttling body 52 and formed into a funnel shape to guide the settling of contaminants. The storage solution 55 is stored in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and a portion of the precipitation body 52. The air moving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solution 55 and the foreign substances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90, (55) and is accumulated inside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Since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is narrow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formed in a wider shape, foreign matter and foreign matter deposited along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provided with the discharge valve 59 Can be moved.

배출밸브(59)는 경사안내부(57)의 하측에 설치되어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밸브(59)는 수동으로 조작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경사안내부(57)에 연결된 관로를 개폐한다.Various kinds of valves may be use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discharge valve 59 disposed below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to discharge the settled contaminants. The discharge valve 5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manually operated and opens and closes a conduit connected to the inclined guide portion 57 by a rotating operation.

화목 연료로 사용되는 장작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불티는 연결관로부(40)를 통해 침전부(5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저장용액(55)에 접하면서 소멸되어 불티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firewood used as a fossil fuel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ttling portion 50 through the connection duct portion 40 and disappears while contacting with the storage solution 55, .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액(55)은 물을 사용하며, 물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액체가 저장용액(55)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torage solution 5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ses water. In addition to water, various kinds of liquids can be used as the storage solution 55.

보충부(60)는 침전부(50)와 연결되며, 침전부(50)에 저장된 저장용액(55)이 부족할 경우 보충부(60)가 동작되어 침전부(50)로 저장용액(55)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충부(60)는, 보충탱크(62), 표시창(64), 보충관로(66), 보충밸브(68)를 포함한다.The replenishing unit 60 is connected to the precipitating unit 50. When the storage solution 55 stored in the precipitating unit 50 is insufficient, the replenishing unit 60 is operated to supply the storage solution 55 with the precipitating unit 5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supplied technical idea. The replenishment section 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replenishment tank 62, a display window 64, a replenishment conduit 66, and a replenishment valve 68.

보충탱크(62)는 침전부(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외부로 부터 저장용액(55)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보충탱크(62)의 내측에 저장된 저장용액(55)의 수위를 관찰하기 위해 보충탱크(62)의 측면에 표시창(64)이 구비된다. 또한 보충탱크(62)의 내측에 별도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보충탱크(62)에 저장된 저장용액(55)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The replenishing tank 62 is located above the settling portion 50 and receives and stores the storage solution 55 from the outside. A display window 64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plenishing tank 62 to observe the level of the storage solution 55 stored inside the replenishing tank 62. Further, another water level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replenishing tank 62 to measure the level of the storage solution 55 stored in the replenishing tank 62.

보충관로(66)는 보충탱크(62)와 침전부(50)를 연결하며, 보충탱크(62)의 저장용액(55)을 침전부(50)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plenishment conduit 6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connecting the replenishing tank 62 to the precipitating section 50 and moving the storage solution 55 of the replenishing tank 62 to the precipitating section 50 have.

보충밸브(68)는 보충관로(66)에 설치되어 저장용액(55)의 이동을 제어한다. 보충밸브(68)는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자동식밸브와,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수동식밸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 replenishment valve 68 is provided in the replenishment line 66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torage solution 55. The supplemental valve 68 can be selectively used as an automatic valve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and a manual valve rotated by a user's operation.

배출관로부(70)는 침전부(50)에 연결되어 연소가스(90)의 배출을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로부(70)의 일측은 상판부재(53)의 상측에 연결되며, 배출관로부(70)의 타측은 실외로 연장되어 연소가스(90)의 배출을 안내한다.The discharge pipe conduit portion 7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being connected to the settling portion 50 to form a conduit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90.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member 53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70 extends outdoors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90.

연결관로부(41)에 설치되는 밸브부(80)는, 연결관로부(41)를 통과하는 연소가스(90)의 유량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80)는 회전판(82)과 손잡이부재(도시생략)를 포함한다.Various types of valves may be used in the valve portion 80 provided in the connecting conduit portion 41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90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conduit portion 41. As shown in FIG. 7, the valve unit 8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rotating plate 82 and a handle member (not shown).

회전판(82)은 연결관로부(4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연결관로부(41)의 내측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ry plate 82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portion 41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41 by a rotation operation.

회전판(82)의 일측에는 손잡이부재가 연결된다. 손잡이부재는 회전판(82)에서 연결관로부(4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A handle memb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ry plate (82). The pull member extends from the rotary plate 82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41 and is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32)의 외측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케이스부(32)와 연소가스(90)가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케이스부(32)의 상하부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여 케이스부(32)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90)와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outer shape of the case 32 can be variously modified to increase the area in which the case 32 is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gas 90.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se portion 32 to increase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combustion gas 90 flowing along the outer side of the case portion 32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boiler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밸브부(80)를 동작시켜 연결관로부(41)의 관로를 개방한 후, 연소부(10)에서 연소가 이루어진다. 연소부(1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 손잡이부재를 조작하여 회전판(82)의 위치를 조절한다. 연료가 연소되기 전에는 연결관로부(41)의 내측관로를 최대한 개방하고, 연료의 연소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면 연결관로부(41)의 내측관로를 좁혀서 열손실을 방지한다.The valve portion 80 is operated to open the channel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41, and then the combustion is performed in the combustion portion 10.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bustion unit 10 is performed stably, the position of the rotary plate 82 is adjusted by operating the knob member. Before the fuel is combusted, the inner channel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41 is opened to the maximum, and when the combustion of the fuel starts to be stably performed, the inner channel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41 is narrowed to prevent heat loss.

연소가스(90)와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불티와 오염물질은 열교환부(30)를 통과하며 제1유체(102)와 제2유체(104)를 가열한 후 연결관로부(37)를 통해 침전부(50)로 이동한다.The combustion gas 90 and the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30 to heat the first fluid 102 and the second fluid 104 and then, And moves to the front part 50.

연결관로부(41)를 통해 침전부(50)로 이동된 연소가스(90)로 인해 저장용액(55)이 가열되어 수증기를 발생한다.The storage solution 55 is heated by the combustion gas 90 moved to the settling portion 50 through the connection channel portion 41 to generate steam.

한편, 연소가스(90)와 함께 이동된 불티와 오염물질 등은 침전부(50) 내측에 구비된 이동공간부(54)를 이동하면서 저장용액(55)에 침전된다. Meanwhile, the waste and contaminants moved together with the combustion gas 90 are settled in the storage solution 55 while moving through the moving space portion 54 provided inside the settling portion 50.

또한 물을 저장용액(55)으로 사용하는 침전부(50)의 설치로, 화목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그을음 등의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수증기와 함께 적은 열기만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the provision of the settling portion 50 using water as the storage solution 55, contaminants such as soo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harmonic fuel are discharged,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부(30)의 내측에 축열부재(36)가 설치되어 축열방식으로 물을 가열하므로, 케이스부(31)의 외측에 발생되는 결로 및 결로에 의한 그을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부(30)가 몸체부(20)의 내측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연소가스(90)의 배출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열교환부(30)와 연소가스(90)가 접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무를 연소시켜 난로를 사용할 경우,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티가 침전부(50)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37)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90)에는 불티가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침전부(50)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37)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90)에는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대기오염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36 is provided inside the heat exchanging part 30 to heat the water in the heat accumulating manner, soot generated by condensation and condensation generated outside the case part 31 Can be prevented. The heat exchanging part 30 formed in a plate shape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inside the body part 20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90 in the zigzag direction so that the heat exchanging part 30 and the combustion gas 9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rea is increased and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wood is burned and the hearth is used, the burning gas generated in the burning process is precipitated in the precipitating solution in the settling portion 50, and the combustion gas 90 moved outward through the discharge duct portion 37 is burned The risk of fir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ollutan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is precipitated in the precipitating solution of the precipitating section 50 and the combustion gas 90 moved outwardly through the discharge pipe portion 37 contains little contaminants,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보일러장치
10: 연소부 12: 도어부재 20: 몸체부 22: 게이지
30: 열교환부 31,32: 케이스부 33: 케이스몸체 34: 커버부재 35: 수납공간 36: 축열부재 37: 관로부 38: 제1관로 39: 제2관로
40,41: 연결관로부
50: 침전부 52: 침전몸체 53: 상판부재 54: 이동공간부 55: 저장용액 57: 경사안내부 59: 배출밸브
60: 보충부 62: 보충탱크 64: 표시창 66: 보충관로 68: 보충밸브
70: 배출관로부 80: 밸브부 82: 회전판
90: 연소가스 100: 유체 102: 제1유체 104: 제2유체
1: Boiler unit
10: burner part 12: door member 20: body part 22: gau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40, 41:
50: settling portion 52: settling body 53: upper plate member 54: moving space portion 55: storage solution 57: inclined guide portion 59: discharge valve
60: Replenisher 62: Replenishment tank 64: Indication window 66: Replenishment line 68: Replenishment valve
70: discharge pipe portion 80: valve portion 82: spindle
90: combustion gas 100: fluid 102: first fluid 104: second fluid

Claims (9)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에는 열을 축열하는 부재와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설치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번갈아 가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연소가스의 이동도 지그재그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적재되며, 연소가스의 열을 전달받아 축열하는 축열부재; 및 상기 축열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장치.
A combustion section for burning fuel;
A body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ortion; And
And a heat exchanging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mov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projecting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 pip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and a member for storing heat,
The heat exchanging par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ternately from the inside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ody par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zigzag direction,
The heat exchanging unit may include a case part having a storage space and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body part; A heat storage member which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se and transfers heat of the combustion gas to the heat storage member; And a conduit portion located inside the heat accumulating member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소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되며,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가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portion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passag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mbustion gas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의 측벽과 이격되어 연소가스가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case part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mbustion gas mo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재는, 모래, 백회가루(마그네샤), 자갈, 및 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storage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white fly (magnesia), gravel, and st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는, 제1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축열부재의 내측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관로를 따라 연장되어 제2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it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it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 fluid and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regenerative member; And
And a second conduit located inside the first conduit and extending along the first conduit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cond flui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를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온수로 사용되며, 상기 제2관로를 따라 흐르는 제2유체는 난방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fluid flowing along the first conduit is used as hot water and the second fluid flowing along the second conduit is used as heating water.
KR1020150188382A 2015-12-29 2015-12-29 Boiler device KR101682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82A KR101682316B1 (en) 2015-12-29 2015-12-29 Boil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82A KR101682316B1 (en) 2015-12-29 2015-12-29 Boil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316B1 true KR101682316B1 (en) 2016-12-02

Family

ID=575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382A KR101682316B1 (en) 2015-12-29 2015-12-29 Boil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3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859A (en) * 2019-07-09 2021-01-19 여상호 A firewood boiler with rhombus-shaped heat sink to prevent fi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20669U (en) * 1989-05-31 1990-12-13 김영철 Hot water circulation device of heat storage boiler
KR100380805B1 (en) * 2000-04-21 2003-04-18 김보영 Boiler having ceramic plate
KR200333251Y1 (en) * 2003-08-04 2003-11-14 윤 구 김 Hot water boiler
KR20080030842A (en) * 2006-10-02 2008-04-07 박명출 A warm-wat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20669U (en) * 1989-05-31 1990-12-13 김영철 Hot water circulation device of heat storage boiler
KR100380805B1 (en) * 2000-04-21 2003-04-18 김보영 Boiler having ceramic plate
KR200333251Y1 (en) * 2003-08-04 2003-11-14 윤 구 김 Hot water boiler
KR20080030842A (en) * 2006-10-02 2008-04-07 박명출 A warm-wate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859A (en) * 2019-07-09 2021-01-19 여상호 A firewood boiler with rhombus-shaped heat sink to prevent fire
KR102434801B1 (en) * 2019-07-09 2022-08-22 여상호 A firewood boiler with rhombus-shaped heat sink to prevent f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6459A (en) Method and device for keeping coke furnace chambers hot when a waste heat boiler is stopped
US6817354B2 (en) Wood burning furnace
KR101682316B1 (en) Boiler device
RU2363890C2 (en) Combustive furnace
KR101287693B1 (en) Hybrid Boiler
KR200441449Y1 (en) Coal gas boiler
RU2363888C1 (en) Water-heating solid-propellant boiler
JP5583628B2 (en) Combustion appliances
NL7906458A (en) BOILER.
KR101594843B1 (en) Heating apparatus
KR101043317B1 (en) Heating system
RU2318164C2 (en) Water boiler for heat supply system
KR101369605B1 (en) Boiler
US2197619A (en) Conversion combustion chamber
KR101611030B1 (e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exhaust gas of firewood boiler
RU2670131C1 (en) Heating boiler
CN207065620U (en) Preheat the air pre-heater with rotary heating surface of the anti-incrustation of rotor First air cold end
CN211625355U (en) Waste heat utilization device for fuel gas stove
RU2755110C1 (en) Heating furnace
KR101459914B1 (en) Vertical firewood boiler
KR101370458B1 (en) Firewood stove
KR100858042B1 (en) A firewood fired boiler
CN207108906U (en) Combined type tedge heat exchanger system
RU2162574C1 (en) Hot water boiler
CN105299884A (en) Reversal combustion type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