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160B1 -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160B1
KR101682160B1 KR1020150065600A KR20150065600A KR101682160B1 KR 101682160 B1 KR101682160 B1 KR 101682160B1 KR 1020150065600 A KR1020150065600 A KR 1020150065600A KR 20150065600 A KR20150065600 A KR 20150065600A KR 101682160 B1 KR101682160 B1 KR 10168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able
copper tube
cylindrical portion
wire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071A (ko
Inventor
권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Priority to KR102015006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1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quartz; glass; glass wool; slag wool; vitreous enamels
    • H01B3/084Glass or glass wool in bi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6Conductive polymers, e.g. polyethylene, therm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열선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감아서 무기 절연체를 형성시키는 절연 심선 형성단계; 상기 절연심선 외부에 동관을 삽입하고, 상기 동관을 원형 인발기에서 수축, 인발을 수회 반복하여 일정 굵기의 외경을 가진 동관피복을 형성시키는 동관피복 형성단계; 상기 동관피복에 외장 시트 피복을 형성하여 히팅케이블을 제조하는 단계; 스노우 멜팅 면적에 대하여 산출된 길이를 참조하여 상기 히팅케이블 및 리드전선에 대한 재단 및 탈피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단 및 탈피된 히팅케이블 측에 동관 슬리브 및 외측 및 내측 열수축튜브를 미리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발열선에 MgO 실린더 블럭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MgO 실린더 블럭이 장착된 발열선의 일단과 상기 리드전선의 리드 심선을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발열선의 일단과 상기 리드 심선, MgO 실린더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 및 상기 탈피된 리드전선의 절연체 외부에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덮어서 열을 가하여 장착하는 단계;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동관 슬리브의 일측 원통부가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동관 슬리브의 타측 원통부는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동관슬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동관 슬리브의 상기 일측 원통부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에 압착하여 밀착시켜서 상기 동관 슬리브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타측 원통부의 단부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접속하여 연결시키는 접지 연결 단계; 상기 동관슬리브의 내부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에폭시 충진단계; 및 상기 동관슬리브 외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 시트 피복을 덮도록 배치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외측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Heating cable having lead wire connected thereto for melting sn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은 겨울철 눈에 의한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열선케이블이다.
일반적으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을 이용한 스노우 멜팅시스템은 표면에 온도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노면 내부에 배선된 히팅케이블을 이용하여 겨울철 눈으로 인한 결빙 발생기 온도와 습도를 자동 감지하여 융설 및 제빙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을 이용한 스노우 멜팅시스템은 경사진 도로, 교량구간 도로, 그늘로 인한 결빙이 심한 보차도, 건물 주차장 진입로, 램프 및 구조상 제설이 용이하지 않거나 취약한 이면 도로에 케이블을 포설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도로에 포설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히팅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히팅케이블(200)은 열선(201), 미네랄 절연체(202), 동관(203) 외장피복(204)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네랄 절연체(202)는 테프론 또는 실리콘 재질로 대체되기도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시스템(100)은 전체 도로(110)에서 융설하여야 할 부분을 선택하여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120)을 배선한 다음, 접속부(151, 152)에 의하여 비열선인 리드전선(141, 142)과 접속된다.
이러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시스템(100)은 도로 장치와 같이 오랜 기간동안 고장이 없이 운영이되어야 하는데 최근의 통계를 보면 접속부(151, 152)의 불량이 전체 수명 단축의 제일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 접속부(151, 152)는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케이블(110)과 비발열체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리드전선(141, 142)을 접속하는 장치이다.
상기 접속부(151, 152)는 도로 면에 매설되는 특성상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압력을 빈번하게 받게 되는데, 이러한 빈번한 압력 변화와, 사용시에 있어서 반복적인 인장응력이나 ?? 응력에 의해 내부 열선이 접속부 내에서 히팅케이블의 외장 동관에 접촉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외부 압력으로 인한 내부 절연 공간의 불평형, 접속부에서 발열선의 발열이 반복으로 인한 절연층 경화현상으로 틈새가 발생되거나, 공기 및 습기의 유입으로 인한 절연 파괴로 누전이 발생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1342호에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1342(융설 도로포장구조체 및 융설 도로포장방법)
본 발명은 외부의 기계적 외력에 대하여 내부 접속부의 변형을 억제하고, 절연 파괴로 인한 불량을 줄여서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열선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감아서 무기 절연체를 형성시키는 절연 심선 형성단계; 상기 절연심선 외부에 동관을 삽입하고, 상기 동관을 원형 인발기에서 수축, 인발을 수회 반복하여 일정 굵기의 외경을 가진 동관피복을 형성시키는 동관피복 형성단계; 상기 동관피복에 외장 시트 피복을 형성하여 히팅케이블을 제조하는 단계; 스노우 멜팅 면적에 대하여 산출된 길이를 참조하여 상기 히팅케이블 및 리드전선에 대한 재단 및 탈피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단 및 탈피된 히팅케이블 측에 동관 슬리브 및 외측 및 내측 열수축튜브를 미리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발열선에 MgO 실린더 블럭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MgO 실린더 블럭이 장착된 발열선의 일단과 상기 리드전선의 리드 심선을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발열선의 일단과 상기 리드 심선, MgO 실린더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 및 상기 탈피된 리드전선의 절연체 외부에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덮어서 열을 가하여 장착하는 단계;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동관 슬리브의 일측 원통부가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동관 슬리브의 타측 원통부는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동관슬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동관 슬리브의 상기 일측 원통부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에 압착하여 밀착시켜서 상기 동관 슬리브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타측 원통부의 단부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접속하여 연결시키는 접지 연결 단계; 상기 동관슬리브의 내부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에폭시 충진단계; 및 상기 동관슬리브 외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 시트 피복을 덮도록 배치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외측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동관슬리브는, 제1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직선형 원통부와,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로부터 연장되어 테이퍼형 경사진 각도를 가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직선형 원통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말단에는 상기 접지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관슬리브는, 수평 길이 95 ~10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길이는 75~ 80mm,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직경은 12~ 14mm 이고,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의 길이는 20 ~ 25mm, 제1 직선형 원통부의 직경은 9 ~ 11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심선은, 상기 발열선의 외부에 상기 유리섬유사를 나선형태로 감은 횡권형 무기 절연체를 형성한 다음, 상기 횡권형 무기 절연체 외부에 상기 유리섬유사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은 편조형 무기 절연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gO 실린더 블럭은, MgO 분말 20 ~ 80 중량%, 아세테이트(acetate), 알코올(alcohol), 케톤(Ketone), 크실렌(Xylene), 테르피네올(Terpineol), 텍사놀(Texanol) 중 어느 하나의 용제를 20~80 중량%를 혼합한 후, 압출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폭시 충진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가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동관슬리브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와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의 일측과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를 덮도록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를 배치한 후, 상기 배치된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키는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 장착 단계; 및 상기 장착된 제1 외측 열 수축튜브가 장착된 부분을 넘어선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의 일측과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의 일측을 덮도록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를 배치한 후, 상기 배치된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키는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권형 무기 절연체는 전체 무기 절연체의 두께의 80~90%이며, 상기 편조형 무기 절연체는 전체 무기 절연체의 두께의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열선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횡권과 편조로 감아서 무기 절연체를 형성시키는 절연심선 외부에 동관피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압출하여 외장시트가 피복된 히팅케이블;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을 제1 길이로 탈피된 동관피복에 대하여 제2 길이로 탈피된 발열선에 MgO실린더 블럭이 삽입되며, 상기 MgO실린더 블럭이 삽입된 발열선의 일단과 리드전선의 탈피된 리드심선이 압착슬리브에 의하여 접속된 접속부; 상기 동관피복과 접속부 및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피복을 탈피한 절연체의 일측을 포함하도록 덮어서 열 수축에 의하여 장착되는 내측 열수축 튜브;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내부에 포함하며, 일측 원통부가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의 일부를 덮고, 타측 원통부는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배치된 일측 원통부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에 압착하여 밀착시켜서 장착되는 동관슬리브; 상기 동관슬리브 내부를 충진시키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상기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상기 동관슬리브의 일측에 접속시키는 접지부;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의 일측과 상기 일측 원통부를 덮어서 수축시킨 제1 외측 열수축 튜브; 및 상기 제1 외측 열수축튜브가 장착된 부분을 넘어선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일측과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을 덮어서 수축시킨 제2 외측 열수축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은 기존의 미네랄 절연체보다 내습력 및 기계적인 강도가 양호하여 보다 높은 절연성 및 신뢰성을 주며, 무기 절연체의 공정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치밀한 무기 절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은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압력이나 반복적인 ?? 응력에 견딜 수 있는 내 크랙성을 가진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접속부 내부에서 발열선이 외부의 기계적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절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에 포설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히팅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300)은 발열선(301)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절연된 무기 절연체(302, 303)로 형성되며, 유리섬유사로 절연된 무기 절연체(302, 303) 외부를 금속피복(304)으로 압착 피복된다.
발열선(301)은 니크롬선, 동니켈선, 동크롬선, 철크롬선 중에서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기 절연체(302, 303)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는 무알칼리 유리질 재료를 백금로에서 녹여 작은 구멍으로부터 인출하여 섬유로 제조하는 것으로, 습기를 축적하거나 흡수하는 성질이 없으므로 습기에 의한 절연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없으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 섬유는 기존의 미네랄 절연체보다 기계적인 강도가 양호하여 더욱 높은 절연성 및 신뢰성을 주며, 유리 섬유의 특성상 고온을 유지할 수 있다.
금속피복(304)은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을 압축 인발기에 통과시켜서 압착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금속피복(304)은 동관을 사용한 동관피복으로 제조된다.
금속피복(304)은 외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변화로부터 무기 절연체 및 도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며, 전체적으로 히팅 케이블의 설치 가공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금속피복(304)의 외부에는 수지로 형성된 수지 외장시트 피복(305)이 피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 외장시트 피복(305)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코팅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10)은,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23)을 제1 일정길이로 탈피된 동관피복(22)에 대하여 제2 일정길이로 탈피된 발열선(21)에 MgO실린더 블럭(31)이 삽입되며, 상기 MgO실린더 블럭(31)이 삽입된 발열선의 일단과 리드전선의 탈피된 리드 심선이 압착슬리브에 의하여 접속된 접속부(43); 상기 동관피복과 접속부 및 상기 리드전선을 외장피복을 탈피한 절연체의 일측을 수축하여 장착시키는 제1 내측 열 수축 튜브(55) 및 제2 내측 열 수축 튜브(56); 상기 제1 내측 열 수축 튜브(55) 및 제2 내측 열 수축 튜브(56)를 내부에 포함하며, 제1 직선형 원통부(61)가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22)의 일부를 덮고, 제2 직선형 원통부(63)는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12)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배치된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61)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에 압착하여 밀착시켜서 장착되는 동관슬리브(60); 상기 동관 슬리브 내부를 충진시키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67); 상기 리드전선의 실드선(19)을 상기 동관 슬리브의 일측에 접속시키는 접지부(42);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23)의 일측과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61)를 덮어서 수축시킨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51); 및 상기 제1 외측 열 수축튜브가 장착된 부분을 넘어선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 일측과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을 덮어서 수축시킨 제2 외측 열 수축튜브(52)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절연 심선 제조단계(410)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연 심선은 발열선(301)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절연된 무기 절연체(302, 303)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연 심선(30)은 발열선(301)의 외부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유리섬유사를 무기 절연체 전체 두께의 80~ 90%까지 횡권으로 나선형태로 감아서 횡권형 무기 절연체(302)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횡권형 무기 절연체(302)를 횡권으로 함으로써, 편조보다 치밀하고 빠르게 피복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1차 횡권형 무기 절연체(302) 외부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유리섬유사를 무기 절연체 외경의 나머지 10~ 20%까지 편조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서 편조형 무기 절연체(303)를 형성한다.
편조는 옷감 짜듯이 지그재그 두 방향으로 유리섬유사를 배열하여 감음으로써, 외부를 감싸는 기계적 강도가 횡권보다 치밀하고 강하게 유지되며, 굴곡성이 좋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권과 편조로 이중 직조된 무기 절연층은 치밀성과 기계적 강도를 모두 갖추면서도 편조로만 제조하는 것보다 빠르게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종래에는 이 유리섬유 대신 통상 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방식의 재료를 사용하여 도체에 입혀지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습기에 약하며,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리섬유(fiber glass) 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리 섬유는 무알칼리 유리질 재료를 백금로에서 녹여 작은 구멍으로부터 인출하여 섬유로 제조하는 것으로, 습기를 축적하거나 흡수하는 성질이 없으므로 습기에 의한 절연 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없으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 섬유는 기존의 미네랄 절연체보다 기계적인 강도가 양호하여 보다 높은 절연성 및 신뢰성을 주며, 유리섬유의 특성상 고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무기 절연체(302, 303)를 만드는 경우에는, 도체 표면에 유리섬유를 횡권과 편조를 반복하여 피복 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빠르게 되고 치밀한 무기 절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절연 심선 제조단계(410) 이후에는 금속피복 인발 가공단계(420)가 수행된다.
금속피복 인발 가공단계(420)에서는 상기 절연심선 외부에 상기 절연심선의 편조형 무기 절연체 외경보다 10% ~ 20% 큰 내경을 가진 동관을 삽입하고, 상기 동관을 원형 인발기에서 수축, 인발을 수회 반복하여 일정 굵기의 외경을 가진 금속피복(304)으로 피복된다.
금속피복 인발 가공단계(420) 이후에는 외장시트 피복 단계(430)가 수행된다.
외장시트 피복 단계(430)에서는 상기 금속피복(304)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압출하여 외장시트 피복(305)을 형성한다.
외장시트를 피복하여 완성된 히팅케이블(300)은 소정의 길이로 드럼에 장착된다.
다음은 히팅케이블(300)과 리드전선을 접속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준비된 히팅케이블(300)과 리드전선에 대한 재단 및 탈피단계(440)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수행된다.
먼저, 히팅케이블 길이 재단 단계에서는 스노우멜팅이 필요한 면적과 사용전압 등을 고려하여 히팅케이블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길이에 접속 공정을 위하여 양단의 100 ~ 120mm의 여유를 두고 재단(cut out)을 한다.
다음은, 스노우멜팅이 설치되는 경계 지점으로부터 제어반, 혹은 정크션박스(J/B)까지의 연결을 위한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길이에 접속 공정을 위하여 50 ~ 70mm의 여유를 두고 리드전선을 재단한다.
재단 공정 이후에는 탈피공정이 수행된다.
히팅케이블 탈피 공정에서는 먼저 외장 시트 피복(23)인 HDPE jacket을 90 ~ 100mm 1차적으로 탈피하여 동관피복(22)이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은 동관피복(22)을 파이프커터를 이용하여 유리섬유 무기 절연체를 탈피하되, 30mm 길이로 탈피하여 발열선(21)을 노출시킨다.
다음은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41)을 50mm 길이로 탈피하여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노출시킨 후, 감겨진 실드선을 모두 꼬아서 일측에 배치하여 리드전선의 내부 절연체(12)를 노출시킨다.
다음은 리드전선의 내부 절연체(12)를 15mm 탈피하여 리드심선(11)을 15mm 길이로 노출시킨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히팅케이블과 리드전선에 대한 재단 및 탈피단계(440) 이후에 금속제보호관 및 열 수축 튜브 삽입단계(450)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제보호관은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동 재질의 동관 슬리브(60)로 제조된다.
금속제보호관 및 열 수축튜브 삽입단계(450)에서는 추후 장착 공정을 준비하기 위해 탈피된 히팅케이블(300) 또는 리드전선 측에 동관슬리브(60)와 외측 및 내측 방수형 열 수축튜브를 미리 삽입하여 작업에 편리한 위치에 배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 열수축 튜브는 동관 슬리브(60)의 일측 접속 단부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1 외측 열 수축튜브(51)와 상기 제1 외측 열 수축튜브(51)를 포함하여 전체 접속부위를 감싸서 외장 피복에 밀착시키도록 장착하는 제2 외측 열 수축튜브(5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51)는 제2 외측 열 수축튜브(52)의 감싸는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제2 외측 열 수축튜브(52)만 배치하고 제1 외측 열수축 튜브(51)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외측 열 수축튜브(51)는 내경이 8mm이며, 제2 외측 열 수축튜브(52)는 내경이 16mm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속부의 금속피복으로 사용되는 동관슬리브(60)는 소정의 제1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직선형 원통부(61)와,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테이퍼진 경사부(62)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직선형 원통부(63)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63)의 말단에는 접지단자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관 슬리브(60)의 총 길이 약 95 ~105mm이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길이는 75~ 80, 직경은 12~ 14mm이며, 제1 직선형 원통부의 길이는 20 ~ 25mm, 직경은 9 ~ 11mm로 형성된다.
외측 열 수축튜브 및 동관 슬리브는 접속부가 도로나 인도 등의 포장면 하단부에 위치함에 따른 반복적인 충격과 진동 등의 혹독한 특성으로부터 수밀을 방지하고 내부 접속 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추후 열수축 튜브 장착 공정을 준비하기 위해 리드전선 측에 내측 열 수축튜브를 미리 삽입하여 일정 위치에 배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측 열 수축튜브는 접속부위를 감싸기 위한 제1 내측 열 수축튜브(55)와 상기 제1 내측 열 수축튜브(55)를 포함한 접속부위를 감싸서 동관피복에 밀착시키는 제2 내측 열 수축튜브(56)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측 열 수축튜브(55)는 내경이 5mm 길이 45mm이며, 제2 내측 열 수축튜브(56)는 내경이 6mm, 길이 65mm로 구성된다.
금속제 보호관, 외측 및 열 수축튜브 삽입단계(450) 이후에는 MgO 실린더 블럭 장착단계(460)가 수행된다.
MgO실린더 블럭(31)은 발열선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거나 약간 큰 사이즈의 내경을 가지며, MgO 블럭으로 고형화된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mm 외경의 발열선에 장착되는 MgO실린더 블럭(31)은, 약 7mm길이, 외경 4.6mm, 내경 2mm의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gO 실린더 블럭(31)은 발열선(21)과 동관피복(22) 사이의 내전압 특성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MgO 실린더 블럭(31)을 탈피된 발열선(21)에 장착함으로써, 탈피된 발열선(21)이 탈피된 후에도 히팅케이블의 중심선을 유지하게 되어 추후, 탈피된 발열선이 발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치면서 만곡되어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과 근접되어서 절연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열선이 내열성이 우수한 MgO 실린더 블럭(31)에 의하여 방호되어 에폭시 내에 발열선이 직접 접촉으로 인한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MgO실린더 블럭(31)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먼저, MgO 분말을 용매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만드는 단계가 수행된다.
반죽을 만드는 단계는 절연성 미네랄 성분의 MgO 분말을 용제와 혼합하여 반죽상태의 미네랄 절연체로 만들게 된다.
MgO 분말을 용매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만드는 단계에서는, 가능한 용매로서 아세테이트(acetate), 알코올(alcohol), 케톤(Ketone), 크실렌(Xylene), 테르피네올(Terpineol), 텍사놀(Texan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의 선택에 있어서는 어떤 용매이든 MgO 분말이 용해되어 반죽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분말 산화마그네슘의 투입량은 용매에 따라 전체 반죽 총량(분말 MgO + 용매)의 20~80중량% 정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O 분말이 20중량%미만으로 첨가되면 반죽이 묽게 되어 도체에 입혀진 채로 건조과정을 거쳐야 하는 추후의 공정에 도달하기도 전에 MgO가 흘러내리게 되거나, 건조 및 고형화에 있어 지나치게 긴 시간이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MgO 피복의 물리적 강도가 떨어져 충분히 긴 도선을 만들 수 없게 된다. 반면, MgO 분말이 8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반죽의 점도가 너무 높아 압출시 지나치게 큰 압력이 필요하게 되고, 성형성이 떨어져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죽을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의 성형 틀인 실린더 형상의 몰드(mold) 내로 유입시켜 파이프 형상으로 주조하거나, 혼련 압출하는 방법으로 압출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성형 된다.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압출된 실린더 형상의 반죽형태를 건조로에서 일정시간 건조시키면서 반죽을 만들기 위해 혼합된 용제를 건조시켜서 실린더 형상으로 고형화한다.
위와 같이 고형화되면 실린더형 MgO실린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MgO 실린더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여 MgO 실린더 블럭(31)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제 보호관, 외측 및 내측 열 수축 튜브 삽입 단계(450)와 상기 MgO 실린더 블럭 장착 단계(460)는 서로 공정 순서를 바꾸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MgO 실린더 블럭 장착단계(460) 이후에 발열선과 리드심선 접속단계(470)가 수행된다.
발열선과 리드 심선 접속단계(470)에서는 구리에 주석 도금한 원통형의 압착슬리브(43) 내에 양측에서 발열선과 리드심선을 삽입하고 프레스 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시킨다.
그 다음은, 내측 열수축 튜브 장착 단계(480)가 수행된다.
내측 열 수축 튜브 장착 단계(480)에서는, 먼저 제1 내측 열 수축 튜브(55)의 내부에 상기 MgO실린더 블럭(31) 및 압착슬리브(43)를 포함하고 일측 단부가 동관피복(22)을 덮도록 밀착되고 타측 단부가 리드전선의 절연체(12)의 일측을 덮도록 한 후, 제1 내측 열 수축 튜브(55)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킨다.
다음, 상기 제1 내측 열 수축튜브(55)를 포함한 접속부위를 감싸고 일측 단부가 제1 내측 열 수축튜브(55)가 밀착된 동관피복(22)을 넘어서 덮도록 제2 내측 열 수축 튜브(56)를 배치하고, 타측 단부가 제1 내측 열 수축튜브(55)가 밀착된 부분을 넘어선 리드전선의 절연체(12)의 일측을 덮도록 한 후, 제2 내측 열 수축 튜브(56)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킨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내측 열 수축 튜브 장착 단계(480) 이후에 금속제 보호관 장착 단계(490)가 수행된다.
금속제 보호관 장착 단계(490)에서는 먼저 금속제보호관으로 사용할 동관슬리브(60)를 상기 제2 내측 열 수축 튜브(56)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배치하되, , 제1 직선형 원통부(61)가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22)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하고, 제2 직선형 원통부는 리드 전선의 절연체(12)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한다.
다음은 상기 배치된 동관 슬리브(60)의 제1 직선형 원통부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22)에 압착하여 밀착시킨다.
다음은 접지 연결 단계(500)가 수행된다.
접지 연결 단계(500)에서는 제2 직선형 원통부의 단부에 형성된 접지단자(42)에 리드전선 탈피 단계에서 일측에 꼬아서 배치된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접속하여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동관피복과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누전시 접지를 통하여 누설전류의 측정에 따른 응답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전력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접지 연결 단계(500) 이후에는 에폭시 충진단계 (510)가 수행된다.
에폭시 충진 단계(510)에서는 넓게 형성된 동관 슬리브(60)의 제2 직선형 원통부의 일측 단부와 리드 전선의 절연체(1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측이 압착된 제1 직선형 원통부가 아래에 위치되도록 동관 슬리브(60)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2직선형 원통부의 공간을 통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주입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동관 슬리브(60)의 제1직선형 원통부 아래로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의 접속부는 도로나 계단 등의 포장면 하단에 위치하여 진동과 충격을 계속하여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폭시 충진제는, 절연 및 난연성의 특징을 가지며 경화 후에도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채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의 접속부에 적합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주제와 경화 및 유연성을 위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폭시 주제는 비페닐형 에폭시수지 또는 비스페놀형 에폭시수지 20~40중량%, 고산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40~60중량% 및 산변성 폴리카보네이트 20~ 40중량%로 구성된다.
첨가제는 상기 에폭시는 주제에 대하여 경화제 0.5-1.5중량부, 경화촉진제 0.01-1중량부 및 강화 충진제 0.5 ~ 1.5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폭시 경화제는, 아민계 경화제, 산무수물계 경화제, 이미다졸, 아디프산 및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화 촉진제로서는 2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포스핀류, 2,4,6 트리스 아미노메틸 페놀 등의 페놀류, 헥사메틸렌 테트라민 등의 아민류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 및 내크랙성을 위한 강화 충전제로서는 황산바륨 실리카, 규산칼슘, 초자섬유, 탄소섬유 등이며, 상기 충진제의 평균 입경은 0.5~75㎛로 형성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에폭시 충진 단계(510)에서 주입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에폭시 충진 단계(510)가 완료된 후에는 외측 열수축 튜브 장착단계(520)가 수행된다.
외측 열수축 튜브 장착단계(520)는 먼저, 미리 삽입된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51)를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23)의 일측과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61)를 충분히 덮도록 배치한 후, 상기 배치된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51)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킨다.
다음은 미리 삽입된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52)는 상기 밀착된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51) 및 상기 동관 슬리브(60)를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51)가 접착된 부분을 넘어선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23)의 일측과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41)을 충분히 덮도록 배치한 후, 상기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52)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은 기존의 미네랄 절연체보다 내습력 및 기계적인 강도가 양호하고, 더욱 높은 절연성 및 신뢰성을 주며, 무기 절연체의 공정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치밀한 무기 절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은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압력이나 반복적인 ?? 응력에 견딜 수 있는 내 크랙성을 가진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접속부 내부에서 발열선이 외부의 기계적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절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300: 히팅케이블
11: 리드 심선
12: 절연체
21, 301: 발열선
22: 동관피복
304: 금속피복
23, 305: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
31: MgO실린더 블럭
41: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
42: 접지단자
43: 접속부
51: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
52: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
55: 제1 내측 열 수축 튜브
56: 제2 내측 열 수축 튜브
60: 동관 슬리브
67: 에폭시 충진물
302, 303: 무기 절연체

Claims (10)

  1. 발열선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감아서 무기 절연체를 형성시키는 절연 심선 형성단계;
    상기 절연심선 외부에 동관을 삽입하고, 상기 동관을 원형 인발기에서 수축, 인발을 수회 반복하여 일정 굵기의 외경을 가진 동관피복을 형성시키는 동관피복 형성단계;
    상기 동관피복에 외장 시트 피복을 형성하여 히팅케이블을 제조하는 단계;
    스노우 멜팅 면적에 대하여 산출된 길이를 참조하여 상기 히팅케이블 및 리드전선에 대한 재단 및 탈피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단 및 탈피된 히팅케이블 측에 동관 슬리브 및 외측 및 내측 열수축튜브를 미리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발열선에 MgO 실린더 블럭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MgO 실린더 블럭이 장착된 발열선의 일단과 상기 리드전선의 리드 심선을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발열선의 일단과 상기 리드 심선, MgO 실린더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 및 상기 탈피된 리드전선의 절연체 외부에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덮어서 열을 가하여 장착하는 단계;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동관 슬리브의 일측 원통부가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동관 슬리브의 타측 원통부는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동관슬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동관 슬리브의 상기 일측 원통부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에 압착하여 밀착시켜서 상기 동관 슬리브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타측 원통부의 단부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접속하여 연결시키는 접지 연결 단계;
    상기 동관슬리브의 내부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에폭시 충진단계; 및
    상기 동관 슬리브 외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 시트 피복을 덮도록 배치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외측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관슬리브는, 제1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직선형 원통부와,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로부터 연장되어 테이퍼형 경사진 각도를 가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직선형 원통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말단에는 상기 접지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관슬리브는, 수평 길이 95 ~10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길이는 75~ 80mm,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직경은 12~ 14mm 이고,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의 길이는 20 ~ 25mm, 제1 직선형 원통부의 직경은 9 ~ 11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심선은, 상기 발열선의 외부에 상기 유리섬유사를 나선형태로 감은 횡권형 무기 절연체를 형성한 다음, 상기 횡권형 무기 절연체 외부에 상기 유리섬유사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은 편조형 무기 절연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gO 실린더 블럭은,
    MgO 분말 20 ~ 80 중량%, 아세테이트(acetate), 알코올(alcohol), 케톤(Ketone), 크실렌(Xylene), 테르피네올(Terpineol), 텍사놀(Texanol) 중 어느 하나의 용제를 20~80 중량%를 혼합한 후, 압출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충진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가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동관슬리브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와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의 일측과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를 덮도록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를 배치한 후, 상기 배치된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키는 제1 외측 열 수축 튜브 장착 단계; 및
    상기 장착된 제1 외측 열 수축튜브가 장착된 부분을 넘어선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의 일측과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의 일측을 덮도록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를 배치한 후, 상기 배치된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의 외부에 열을 가하여 수축시켜서 밀착시키는 제2 외측 열 수축 튜브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권형 무기 절연체는 전체 무기 절연체의 두께의 80~90%이며, 상기 편조형 무기 절연체는 전체 무기 절연체의 두께의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제조방법.
  9. 삭제
  10. 발열선 외부를 유리섬유사로 횡권과 편조로 감아서 무기 절연체를 형성시키는 절연심선 외부에 동관피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압출하여 외장시트가 피복된 히팅케이블;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을 제1 길이로 탈피된 동관피복에 대하여 제2 길이로 탈피된 발열선에 MgO실린더 블럭이 삽입되며, 상기 MgO실린더 블럭이 삽입된 발열선의 일단과 리드전선의 탈피된 리드심선이 압착슬리브에 의하여 접속된 접속부;
    상기 동관피복과 접속부 및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피복을 탈피한 절연체의 일측을 포함하도록 덮어서 열 수축에 의하여 장착되는 내측 열수축 튜브;
    상기 내측 열수축 튜브를 내부에 포함하며, 일측 원통부가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의 일부를 덮고, 타측 원통부는 상기 리드전선의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배치된 일측 원통부를 원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탈피된 히팅케이블의 동관피복에 압착하여 밀착시켜서 장착되는 동관슬리브;
    상기 동관슬리브 내부를 충진시키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상기 리드전선의 실드선을 상기 동관슬리브의 일측에 접속시키는 접지부;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피복의 일측과 상기 일측 원통부를 덮어서 수축시킨 제1 외측 열수축 튜브; 및
    상기 제1 외측 열수축튜브가 장착된 부분을 넘어선 히팅케이블의 외장시트 일측과 상기 리드전선의 외장 피복을 덮어서 수축시킨 제2 외측 열수축튜브; 를 포함하되,
    상기 동관슬리브는, 제1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 직선형 원통부와, 상기 제1 직선형 원통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테이퍼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직선형 원통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형 원통부의 말단에는 접지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KR1020150065600A 2015-05-11 2015-05-11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600A KR101682160B1 (ko) 2015-05-11 2015-05-11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600A KR101682160B1 (ko) 2015-05-11 2015-05-11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71A KR20160133071A (ko) 2016-11-22
KR101682160B1 true KR101682160B1 (ko) 2016-12-05

Family

ID=5753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600A KR101682160B1 (ko) 2015-05-11 2015-05-11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77B1 (ko) 2019-08-21 2020-1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외경이 균일한 내열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 제조 방법 및 내열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140B1 (ko) * 2017-01-26 2019-03-13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히팅케이블의 전원연결부 보호방법 및 구조
CN107071936B (zh) * 2017-05-19 2023-04-28 佛山市高明毅力温控器有限公司 带编织网的绝缘电热线和电源线连接结构及其制造方法
CN109788587A (zh) * 2019-04-03 2019-05-21 常州西玛特电器有限公司 一种加热装置
CN110925597A (zh) * 2019-11-04 2020-03-27 张家港富瑞阀门有限公司 一种新型高压氢气集成瓶阀线束
KR102195531B1 (ko) * 2020-03-25 2020-12-28 (주)우신이앤씨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KR102356396B1 (ko) * 2020-06-01 2022-01-28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이에 대한 보수 구조체 및 보수방법
KR102356397B1 (ko) * 2020-06-23 2022-01-28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스노우멜팅용 히팅케이블, 이를 이용한 스노우멜팅 시스템
KR102304126B1 (ko) * 2021-03-25 2021-09-23 주식회사 태담 도로 결빙 블랙아이스 및 스노우 멜팅용 히팅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결빙 블랙아이스 및 스노우 멜팅 시스템
KR102400769B1 (ko) * 2021-08-24 2022-05-24 (주)동양후로아 스노우 멜팅 히팅패널이 매립된 투수 콘크리트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50B1 (ko) 2007-02-07 2007-11-16 김상수 전기 히팅 매트
KR101041412B1 (ko) 2010-02-05 2011-06-15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M.i 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1446736B1 (ko) 2014-04-18 2014-10-06 (주)우신이앤씨 내구성이 향상된 히팅케이블,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노우멜팅 및 히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42B1 (ko) 2010-02-02 2013-03-08 롯데건설 주식회사 융설 도로포장구조체 및 융설 도로포장방법
KR20120067386A (ko) * 2010-12-13 2012-06-26 김경숙 발열케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50B1 (ko) 2007-02-07 2007-11-16 김상수 전기 히팅 매트
KR101041412B1 (ko) 2010-02-05 2011-06-15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M.i 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1446736B1 (ko) 2014-04-18 2014-10-06 (주)우신이앤씨 내구성이 향상된 히팅케이블,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노우멜팅 및 히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77B1 (ko) 2019-08-21 2020-1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외경이 균일한 내열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 제조 방법 및 내열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071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160B1 (ko)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US9716378B2 (en) Cold shrinkable termination for an electric power cable
JPH0475604B2 (ko)
CN112435792A (zh) 一种末梢自热型抗冻自修复电缆
CN105097100A (zh) 一种内填充防水线束及其制作方法
KR101915637B1 (ko) 열성 경화 개선 구조를 갖는 절연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N112271657A (zh) 一种聚丙烯10kV模塑电缆接头及制作方法
CN109920586B (zh) 一种绝缘电缆及其制备方法
CN201017704Y (zh) 带钢管护套的油井加热专用电缆
CN100437839C (zh) 铝合金芯铝绞交联聚乙烯绝缘阻水架空电缆的制造方法
WO2016012050A1 (en) Tubular electrical insulator for a high voltage power transmission line
JPH0557802B2 (ko)
CN105139935A (zh) 一种交联聚乙烯绝缘电力电缆
CN111446032A (zh) 一种可防止10kV电力线路雷击断裂的架空绝缘导线及其制造方法
CN113161072B (zh) 预分支电缆的制造方法
CN203521017U (zh) 一种交联聚乙烯绝缘阻水电力电缆
CN101777705A (zh) 高压交联海底电缆软接头绝缘恢复
KR102356396B1 (ko)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이에 대한 보수 구조체 및 보수방법
CN210091743U (zh) 一种防水、防鼠蚁、双芯可分离型农用地埋线
CN107394721A (zh) 一种复合框架式低压母线槽及其制备方法
FI82510C (fi) Eluppvaermare foer roer. alkupaeivaen siirto 25.05.90
KR101096633B1 (ko) 병렬 저항형 mi 케이블 및 제조방법
CN101859611A (zh) 全封闭管式耐火阻燃母线
CN201303245Y (zh) 三层复合型电缆中间接头
CN110993203A (zh) 铝合金电缆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