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001B1 - 퀴노아 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퀴노아 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001B1
KR101682001B1 KR1020150064424A KR20150064424A KR101682001B1 KR 101682001 B1 KR101682001 B1 KR 101682001B1 KR 1020150064424 A KR1020150064424 A KR 1020150064424A KR 20150064424 A KR20150064424 A KR 20150064424A KR 101682001 B1 KR101682001 B1 KR 10168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noa
tray
fixed
post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609A (ko
Inventor
임중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푸릇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푸릇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푸릇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0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4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05Peeling with st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퀴노아 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퀴노아의 소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원활 용이하게 탈피 및 세척하여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퀴노아 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퀴노아를 감싸고 있는 껍질을 비롯한 알곡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있게 세척함과 동시에 사포닌을 녹이면서 약간 불려질 수 있게 하여 일정정도 발아되게 유지함으로써 취식시 유익성분을 증대하고,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퀴노아 쿡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QUINOA COO}
본 발명은 퀴노아 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퀴노아의 소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원활 용이하게 탈피 및 세척하여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퀴노아 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시된 바와 같이 쌀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의 국민들이 주식으로 하는 대표적인 곡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는 쌀로 밥을 지어먹는 것이 단순히 끼니를 해결하는 수단만이 아니고 더 나아가 건강을 위한 보조적인 수단, 혹은 쌀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수단 등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를 테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성분이 함유된 쌀로 밥을 지어먹으면 자연스럽게 그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간편요리 형태로 전자렌지에 돌리기만 하면 쉽게 취식할 수 있는 형태의 대체 식품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퀴노아(Quinoa)가 주목 받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쿡(Cook), 즉 식사를 대용할 수 있는 대체 식품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퀴노아를 활용한 관련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3-0064593호(2003.08.02), 공개특허 제2009-0092841호(2009.09.01), 등록특허 제1377213호(2014.03.17)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퀴노아는 분류학적 고려 및 초본과 연관된 화학적 조성으로 인하여 유사-곡물로 분류된다. 20세기 초반부터 단백질 및 여러 무기염류가 풍부하다고 인정되었지만 이의 소비는 6000년 이상 안데스 산맥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잉카제국 케추아어로, 퀴노아는 "곡물의 어머니"라는 뜻이며, 18세기 및 19세기, 안데스 지역을 여행한 식물학자들은 이를 높이 평가하였다.
퀴노아의 학명은 Chenopodium quinoa Willd. 아종. 퀴노아이고, 통상 속명은 케추아어:quinua, kiuna; 스페인어:quinoa, quinua, arroz del Peru; 불어:quinoa, petit riz, riz du Prou; 영어:quinoa, quinua로 불리우고 있으며, 케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는 일년생 초본으로서 환경조건 및 유전자형에 따라 키는 0.5 내지 2.1 미터 정도이고, 중심 뿌리는 분지가 많아 서리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다.
문헌에 따르면, 퀴노아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이를 테면 단백질, 지질, 폴리페놀, 수용성 섬유소, 생 섬유소, 과당, 토코페롤, 스쿠알렌, 스테롤, 알파-리놀레산, 5-헥사데센산, 스테아린산, 아라키딕산, 아이카세노익산, 비헤닉산, 9-도코세노익산, 테트라코세노익산 등 다양한 성분을 들 수 있다.
또한, 퀴노아 알곡에는 사포닌, 특히 트리테르펜계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인체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사포닌과 달리 퀴노아 알곡에 포함된 사포닌은 배탈, 설사 등을 유발하므로 식용시에는 이를 배제해야 한다.
때문에, 페루 등지에서는 퀴노아를 섭취하기 전에 약 하루 정도 물에 불려 사포닌을 눅여 제거한 다음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렇게 물에 불려서 가공하게 되면 대량 생산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대체식품으로 퀴노아 쿡을 제조할 때 물에 불려 약간 발아되게 함으로써 취식시 배탈, 설사 등을 방지하고, 건강에 이로운 대체식품 개발이 가능하게 하면서 대량으로 빠르게 생산할 수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퀴노아 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퀴노아를 불린 후 세척하고, 발아시킨 다음 스팀 냉각하여 제품화하는 퀴노아 쿡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세워 설치되며,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고정플랜지가 돌출된 포스트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랜지는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프레임 상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포스트하우징은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5개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포스트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각각 고정암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암의 단부에는 그물형 퀴노아트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암은 각각 작동포스트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포스트는 상기 포스트하우징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암은 5개 중 어느 하나가 홈포지션으로 설정되고, 홈포지션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포스트의 하단에는 고정판이 연결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실린더로드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은 승하강실린더에 접속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하단은 턴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포스트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하단면 중앙에는 축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홈에는 종동베벨기어의 종동축이 상기 포스트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턴테이블의 회전반대방향으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에는 구동베벨기어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는 회전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모터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암이 일정각도씩 회전되는 위치에는 각각 불림유닛, 세척유닛, 발아유닛 및 스팀냉각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불림유닛은 퀴노아를 불리기 위한 수조이고, 상기 세척유닛은 공기펌프로 기포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구이며, 상기 발아유닛은 암실을 형성하여 35℃의 물 속에 일정시간 동안 머무르게 하여 퀴노아를 발아시키는 기구이고, 상기 스팀냉각유닛은 98℃의 수온을 갖는 열수를 이용해 스팀을 만들고, 이 스팀을 10분간 방사하여 퀴노아를 충분히 숙성시킨 후 냉각수를 직분사하여 상온으로 냉각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노아 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암의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트레이틀체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퀴노아트레이는 상기 트레이틀체에 끼울 수 있도록 퀴노아를 담고 쏟을 수 있도록 퀴노아트레이의 상단에 트레이커버가 힌지고정되며, 트레이커버의 둘레에는 상기 트레이틀체 보다 큰 걸림플랜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틀체에 끼웠을 때 걸림플랜지가 걸리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퀴노아를 감싸고 있는 껍질을 비롯한 알곡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있게 세척함과 동시에 사포닌을 녹이면서 약간 불려질 수 있게 하여 일정정도 발아되게 유지함으로써 취식시 유익성분을 증대하고,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퀴노아 쿡 제조장치는 전체적인 배치가 원형으로서 통상적으로 사각형상의 공장 내부에 배치가 용이하고, 또한 소형화하여 가정용 장치로 제작하기도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퀴노아 쿡 제조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퀴노아 쿡 제조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퀴노아트레이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퀴노아 쿡은 생퀴노아를 반입한 뒤 불순물 제거 및 사포닌 제거를 위해 일정시간 동안 물로 마찰시켜 불린 다음, 98℃ 부근에서 약 10분간 조리하고, 냉수로 상온까지 냉각한 후 배수하고 개별포장한 다음 살균처리하여 출하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때, 생퀴노아를 도정하고 물에 불려 사포닌과 이물질을 충분히 분리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소 2-3시간 이상이지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에어폭포 방식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발아 촉진을 위해 약 29℃ 정도의 물에 약 3시간 정도 침전시켜야 하므로 최소 6시간 정도 소요된다.
더구나, 이러한 작업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속작업이 불가능하며, 가사 연속작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퀴노아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공정과 공정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퀴노아를 이전 공정의 용기(container)에서 새로운 공정의 용기로 100% 이동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장치가 제안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퀴노아 쿡 제조장치는 포스트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은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세워 설치되고,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고정플랜지(110)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랜지(110)는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프레임(120) 상에 안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은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5개의 슬라이딩홈(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딩홈(130)은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 형성된다.
즉,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하방향을 향해 절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130)에는 각각 고정암(140)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암(140)의 단부에는 퀴노아트레이(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퀴노아트레이(150)는 일종의 채반으로서, 사각박스 형태의 그물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퀴노아는 좁쌀 크기로 매우 작은 알갱이이기 때문에 상기 퀴노아트레이(150)의 메쉬는 매우 작아야 하며, 촘촘해야 한다.
그래야, 퀴노아가 빠져나가지 않고 갇혀 있을 수 있으며, 그물형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물에 세척하거나 불릴 때 물의 유출입을 원활하게 하여 퀴노아와 물이 잘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퀴노아의 크기가 작으므로 퀴노아는 젖은 상태에서는 퀴노아트레이에 밀착될 수 있는데, 만약 본 발명과 같이 퀴노아트레이가 퀴노아를 담은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으면 한 공정에서 다음공정으로 이동시마다 이전공정의 퀴노아트레이에 묻은 퀴노아를 완전히 털어서 다음공정의 퀴노아트레이로 옮기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과 노력(물을 분사하는 등)이 필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암(140)은 각각 작동포스트(160)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포스트(160)는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하강은 물론 상승 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암(140) 중 어느 하나를 홈포지션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면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제어가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는 일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후술되는 승하강실린더(200) 및 회전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작동포스트(160)의 하단에는 고정판(210)이 연결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10)에는 실린더로드(220)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로드(220)의 하단은 승하강실린더(200)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실린더(20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로드(220)가 인출되면서 상승하여 상기 고정판(210)을 밀어 올리게 되고, 결국 상기 고정판(210) 상에 고정된 작동포스트(220)가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암(140)도 상승되며, 고정암(140)이 슬라이딩홈(130)으로부터 이탈되면 작동포스트(22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승하강실린더(200)를 조작하여 상기 작동포스트(160)를 상승시킴으로써 각 고정암(140)에 장착된 퀴노아트레이(150)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어 연속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실린더(200)의 하단은 턴테이블(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310)은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310)의 하단면 중앙에는 축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312)에는 종동베벨기어(320)의 종동축(322)이 나사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종동축(322)은 상기 턴테이블(310)의 회전반대방향으로 상기축홈(312) 상에 나사체결되어야 한다.
이것은 턴테이블(310) 회전시 종동축(322)이 항상 잠금방향이 되게 하여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아주 중요한 개념중 하나이다.
아울러, 상기 종동축(322)은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의 바닥면을 관통해야 하므로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관통공(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310)의 둘레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베어링(B)이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원활하게 회전접촉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동베벨기어(320)에는 구동베벨기어(330)가 치결합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330)는 회전구동모터(300)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구동모터(300)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저면에 별도의 브라켓 등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모터(300)가 회전되면 구동베벨기어(330)가 회전되고, 이와 치결합된 종동베벨기어(320)가 회전되면서 턴테이블(31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턴테이블(310) 상에 고정된 승하강실린더(200)도 함께 회전되므로 결국, 상기 고정암(140)은 상기 승하강실린더(2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고, 또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구동모터(300)의 회전구동에 따라 일정각도씩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구동모터(300)에는 엔코더(미도시)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회전각도 제어를 더욱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회전구동모터(300)는 3시간마다 작동한다.
또한, 상기 작동포스트(160)의 상단 둘레면 중 상기 슬라이딩홈(13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자회전가능한 회전볼(170)을 더 설치하면 상기 작동포스트(160)가 승하강될 때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회전볼(170)은 반드시 작동포스트(160)의 상단 둘레면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동포스트(160)가 상승했을 때 포스트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작동포스트(160) 회전시 슬라이딩홈(1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전볼(170)은 볼브라켓(1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볼브라켓(172)은 브라켓축(174)에 의해 볼베어링(176)에 자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볼베어링(176)은 상기 작동포스트(160) 둘레면 중 일부에 매립 고정된다.
다른 한편, 상기 고정암(140)이 일정각도씩 회전되는 위치에는 도 1과 같은 불림유닛(400), 세척유닛(500), 발아유닛(600) 및 스팀냉각유닛(7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불림유닛(400)은 일종의 수조로서, 퀴노아를 담고 있는 퀴노아트레이(150)가 회전이동한 후 하강하여 일정시간 동안 머무름으로써 담긴 퀴노아를 불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불림과 동시에 사포닌을 용해 제거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유닛(500)은 하나의 공기펌프(510)를 통해 대형기포분사노즐(512)을 통한 큰 공기방울을 분사하여 1차 세척하는 과정과, 상기 대형기포분사노즐(512) 대비 상대적으로 현저히 작은 소형기포분사노즐(514)를 통한 미세 공기방울을 분사하여 2차 세척하는 과정을 거쳐 세척하도록 안내하는 유닛이다.
이러한 공기방울 세척은 불림 후 퀴노아 표면에 남아있는 미세여분의 찌꺼기는 물론 아직까지 녹지 않은 사포닌을 완전히 녹여 없애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척유닛(500)에는 초음파발생기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단시간내에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발아유닛(600)은 일종의 암실을 형성하여 35℃의 물 속에 일정시간 동안 머무르게 하여 퀴노아가 약간 발아되게 함으로써 그 유용성, 즉 유익성분을 배가시키기 위한 처리기이다. 물론 퀴노아의 발아는 불림단계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팀냉각유닛(700)은 98℃의 수온을 갖는 열수를 이용해 스팀을 만들고, 이 스팀을 10분간 방사하여 퀴노아를 취사하고 냉각수를 직분사하여 상온으로 냉각하는 유닛이다.
이러한 스팀냉각유닛(700)은 도시와 같이, 하우징(710) 내부에 스팀라인(720)이 배관되어 있어 퀴노아트레이(150)가 하우징(710) 속으로 장입되었을 때 스팀라인(720)을 통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팀 분사시 하우징(7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730)은 밀폐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고정암(140)이 하우징(710)에 걸리지 않도록 고정암(140)이 끼워질 수 있는 슬릿만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뚜껑(730)을 개폐하는데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뚜껑(730)의 개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자동 개폐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710)의 상부에는 다수다열 배열된 냉각수라인(740)이 설치되어 뚜껑(730) 개방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우징(710)의 바닥면에는 배수관(750)이 연결되어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면, 퀴노아 쿡을 만들기 위한 기본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홈포지션에서 퀴노아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만 수작업으로 진행된다고 보면 된다.
덧붙여, 퀴노아는 좁쌀 크기로 매우 작은 알갱이이기 때문에 옮겨 담아가며 작업하기가 무척 곤란하다.
즉, 옮기게 되면 잔류분이 많고 이를 매번 털어내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그물형 퀴노아트레이(150)를 사용하는데, 상기 퀴노아트레이(15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예시와 같이, 고정암(140)의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트레이틀체(142)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퀴노아트레이(150)는 상기 트레이틀체(142)에 끼울 수 있도록 하되, 퀴노아를 담고 쏟을 수 있도록 퀴노아트레이(150)의 상단에는 트레이커버(152)가 힌지고정되며, 트레이커버(152)의 둘레에는 상기 트레이틀체(142) 보다 큰 걸림플랜지(15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틀체(142)에 끼웠을 때 걸림플랜지(154)가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퀴노아트레이(150)의 로딩, 언로딩이 쉽고 작업성도 향상된다.
100: 포스트하우징 200: 승하강실린더
300: 회전구동모터

Claims (2)

  1. 퀴노아를 불린 후 세척하고, 발아시킨 다음 스팀 냉각하여 제품화하는 퀴노아 쿡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세워 설치되며,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고정플랜지가 돌출된 포스트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랜지는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프레임 상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포스트하우징은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5개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포스트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각각 고정암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암의 단부에는 그물형 퀴노아트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암은 각각 작동포스트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포스트는 상기 포스트하우징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암은 5개 중 어느 하나가 홈포지션으로 설정되고, 홈포지션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포스트의 하단에는 고정판이 연결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실린더로드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은 승하강실린더에 접속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하단은 턴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포스트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하단면 중앙에는 축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홈에는 종동베벨기어의 종동축이 상기 포스트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턴테이블의 회전반대방향으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에는 구동베벨기어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는 회전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모터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암이 일정각도씩 회전되는 위치에는 각각 불림유닛, 세척유닛, 발아유닛 및 스팀냉각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불림유닛은 퀴노아를 불리기 위한 수조이고, 상기 세척유닛은 공기펌프로 기포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구이며, 상기 발아유닛은 암실을 형성하여 35℃의 물 속에 일정시간 동안 머무르게 하여 퀴노아를 발아시키는 기구이고, 상기 스팀냉각유닛은 98℃의 수온을 갖는 열수를 이용해 스팀을 만들고, 이 스팀을 10분간 방사하여 퀴노아를 충분히 숙성시킨 후 냉각수를 직분사하여 상온으로 냉각하는 기구이며;
    상기 고정암의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트레이틀체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퀴노아트레이는 상기 트레이틀체에 끼울 수 있도록 퀴노아를 담고 쏟을 수 있도록 퀴노아트레이의 상단에 트레이커버가 힌지고정되며, 트레이커버의 둘레에는 상기 트레이틀체 보다 큰 걸림플랜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틀체에 끼웠을 때 걸림플랜지가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노아 쿡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모터는 3시간마다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노아쿡 제조장치.
KR1020150064424A 2015-05-08 2015-05-08 퀴노아 쿡 제조장치 KR10168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424A KR101682001B1 (ko) 2015-05-08 2015-05-08 퀴노아 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424A KR101682001B1 (ko) 2015-05-08 2015-05-08 퀴노아 쿡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609A KR20160131609A (ko) 2016-11-16
KR101682001B1 true KR101682001B1 (ko) 2016-12-02

Family

ID=5754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424A KR101682001B1 (ko) 2015-05-08 2015-05-08 퀴노아 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7708A (zh) * 2018-07-20 2018-11-27 芜湖碧水谣医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全自动蔬菜清洗机
CN112023439B (zh) * 2020-09-16 2021-11-23 安阳工学院 一种藜麦皂苷提取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371248B (zh) * 2021-08-12 2021-10-08 南通绿萌食品有限公司 基于蔬菜加工的清洗脱水覆膜于一体的加工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538A (ja) 2000-07-27 2002-02-05 Izumi Fujita 大蒜用皮剥き装置、およびそれを使った大蒜の皮剥き方法
JP2003310229A (ja) 2002-04-15 2003-11-05 Saladcosmo Usa Corp もやしの根部と葉部の切除方法及び切除装置
JP2009261264A (ja) 2008-04-22 2009-11-12 Sapporo Breweries Ltd 発芽豆類の精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678A (ja) * 1997-12-05 1999-06-22 Suzuyo Kogyo Kk 浸漬大豆の子葉、胚軸、種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538A (ja) 2000-07-27 2002-02-05 Izumi Fujita 大蒜用皮剥き装置、およびそれを使った大蒜の皮剥き方法
JP2003310229A (ja) 2002-04-15 2003-11-05 Saladcosmo Usa Corp もやしの根部と葉部の切除方法及び切除装置
JP2009261264A (ja) 2008-04-22 2009-11-12 Sapporo Breweries Ltd 発芽豆類の精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609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003B1 (ko) 퀴노아 쿡 제조장치
KR101682001B1 (ko) 퀴노아 쿡 제조장치
CN105234120A (zh) 一种软胶囊自动洗丸机
KR200492397Y1 (ko) 조리용 솥 세척장치
CN110140784A (zh) 一种茶叶加工装置
CN209031165U (zh) 一种刺梨加工用的清洗装置
US2030092A (en) Automatic dishwasher
US20230414043A1 (en) Combined rice-washing device of cooking robot, and rice washing process
CN103075571B (zh) 自清洁式水龙头及其排放方法
CN102743114B (zh) 设有雨淋器和筛筐的自动洗菜机
CN209697663U (zh) 一种化工用玻璃试管清理装置
CN208228049U (zh) 一种奶牛乳头清洗设备
CN209135094U (zh) 一种从江香猪养殖用带有搅拌和清洁功能的食槽
CN208032469U (zh) 一种用于果蔬洗涤盐的二级混合罐
CN205757102U (zh) 花生浸泡洗涤煮熟生产装置
CN105937257A (zh) 一种水槽
CN209108989U (zh) 一种便于移动的饲料混料机
CN217446494U (zh) 一种植脂奶油生产用巴氏杀菌装置
CN207707258U (zh) 一种适用于生产固体饮料的红枣清洗装置
CN111096227A (zh) 一种用于家畜养殖的代谢笼
CN205093518U (zh) 果蔬消毒机
CN211488702U (zh) 一种滚筒式银杏清洗机
CN220899179U (zh) 一种食品检测用消毒装置
CN209498507U (zh) 一种土豆加工用清洗装置
CN217242324U (zh) 一种机械化农业种植用施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