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47B1 -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47B1
KR101680447B1 KR1020150020251A KR20150020251A KR101680447B1 KR 101680447 B1 KR101680447 B1 KR 101680447B1 KR 1020150020251 A KR1020150020251 A KR 1020150020251A KR 20150020251 A KR20150020251 A KR 20150020251A KR 101680447 B1 KR101680447 B1 KR 10168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s
liquid crystal
control panel
light
ligh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654A (ko
Inventor
유창재
이유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4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27/323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H01L27/3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227/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광조절패널과 상기 광조절패널 상에 배치된 투명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광조절패널은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상기 상하부 기판들이 서로 바라보는 면들 상에 각각 배치된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및 상기 상하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 액적들은 그 내부에 액정 분자들과 막대형 염료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Light control panel and transparent display having the same and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light if necessary}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표시장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소자로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외부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표시장치로서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 블랙의 경우에는 화소에서 발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광이 그대로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블랙을 구현하기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2007/0057932호는 적층된 유기발광소자인 투명 양면발광 패널과 광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조절부는 액정층과 그 양단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편광판은 광의 투과율을 낮출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어, 투명표시장치의 광투과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투과능력을 유지하면서도 필요시에만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광조절패널과 상기 광조절패널 상에 배치된 투명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광조절패널은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상기 상하부 기판들이 서로 바라보는 면들 상에 각각 배치된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및 상기 상하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 액적들은 그 내부에 액정 분자들과 막대형 염료들을 구비한다.
상기 액정 분자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들은 각각이 흑색 염료들이거나, 가시광선영역 내 서로 다른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다수 종류의 막대형 염료들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내는 염료들일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는 아조계 염료(azo dyes), 안트라퀴논계 염료(anthraquinone dyes), 페릴렌계 염료(perylene dyes), 퀴노프탈론계 염료(quinophthalone dyes), 아조메틴계 염료(azomethine dyes), 톨란계 염료(tolane dye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의 광흡수도가 클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에폭시수지(polycarbonate epoxy resin),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조절패널은 액티브 매트릭스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투명표시패널은 화소전극,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발광기능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조절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광조절패널은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상기 상하부 기판들이 서로 바라보는 면들 상에 각각 배치된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및 상기 상하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 액적들은 그 내부에 액정 분자들과 막대형 염료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분자 및 막대형 염료를 구비하는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을 구비하는 광조절패널은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광의 투과 및 차단을 구현함에 따라, 필요시에 외부광을 차단할 수 있는 투명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단위 화소에 한정하여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단위 화소에 한정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광조절패널(100)와 상기 광조절패널(100) 상에 적층된 투명표시패널(20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표시패널(200)은 패널의 양측으로 표시광을 방출할 수 있는 패널로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광조절패널(100)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기판(110) 및 상부 기판(190)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들(110, 190)은 광투과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110)과 상기 상부 기판(190)이 서로 바라보는 면들 상에 하부 전극(130)과 상부 전극(17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70)은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 등의 광투과 또는 투명 도전막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130)의 폭(RR)은 후술하는 발광영역(ER) 또는 화소전극(230) 전체와 중첩되면서 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70) 사이에 액정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150)은 고분자 매트릭스(150b)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50b) 내에 분산된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liquid crystal droplets, 150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액적(150a)은 그 내부에 액정 분자(LC)와 막대형 염료(rod-type dye, 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분자(LC)는 그의 장축 또는 방향자가 전계에 수평하게 기울어지려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D)는 흑색 염료로서,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에서 광흡수도가 서로 다른 이색성 염료(dichroic dye)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막대형 염료(D)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의 광에 대한 흡수도가 매우 클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D)는 각각이 가시광선영역의 광을 전부 흡수하는 염료이거나, 또는 다수 종류, 구체적으로 2 내지 5개, 더 구체적으로는 2개 내지 3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다른 막대형 염료(D)가 가시광선영역 내 서로 다른 영역의 광을 흡수하여 전체적으로는 가시광선영역의 광을 전부 흡수 즉,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막대형 염료(D)는 아조계 염료(azo dyes), 안트라퀴논계 염료(anthraquinone dyes), 페릴렌계 염료(perylene dyes), 퀴노프탈론계 염료(quinophthalone dyes), 아조메틴계 염료(azomethine dyes), 톨란계 염료(tolane dye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D)는 상기 액정층(150)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40wt%, 구체적으로 10 내지 30wt%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염료(D)는 상기 액정분자(LC)와 같은 막대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액정분자(LC)와 혼합되었을 때 상기 액정분자(LC)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50b)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에폭시수지(polycarbonate epoxy resin),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150a)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50b) 내에 분산된 상기 액정층(150)을 제조하는 것은, 액정 분자(LC), 막대형 염료(D), 및 단량체 또는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열 또는 빛(ex. UV)를 가하여 단량체 또는 프리폴리머를 중합시킴에 따라 상분리를 유도하는, 중합에 의한 상분리 유도법; 액정 분자(LC), 막대형 염료(D), 및 고분자를 고분자의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균일한 용액을 만든 후 냉각시켜 상분리를 유도하는, 열에 의한 상분리 유도법; 또는 액정 분자(LC)와 막대형 염료(D)가 고분자 용액 내에서 처음부터 불균일 상을 형성한 후 용매를 제거하는 유화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70)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분자(LC)의 장축은 액적들(150a) 별로 서로 다른 무질서한 배열을 나타내고, 상기 막대형 염료(D)는 상기 액정분자(LC)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70)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액정 분자(LC) 및 상기 막대형 염료(D)가 무질서하게 또는 임의로 배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정 분자(LC)의 무질서한 배열에 기인한 입사광의 산란과 더불어서 산란된 광이 상기 막대형 염료(D) 특히 그의 장축방향에서 흡수됨에 따라, 상기 광조절패널(100)로 입사하는 모든 방향의 빛이 흡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광조절패널(100)은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광차단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조절패널(100)은 상기 하부 전극(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조절패널(100)은 액티브매트릭스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광조절패널(100)은 단위 회소 내에서 상기 하부 전극(130)과 상기 상부 전극(170)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패시브매트릭스로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은 상기 상부 기판(190) 상에 배치된 소자 기판(210), 상기 소자 기판(210)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230), 상기 화소 전극(230)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 기능층(250), 상기 유기발광 기능층(250) 상에 배치된 공통 전극(270), 및 상기 공통 전극(270) 상에 배치된 봉지 기판(29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과 상기 봉지 기판(290) 사이에 수분과 산소를 차단 또는 흡수하는 봉지재(2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210) 및 상기 봉지 기판(290)은 광투과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210) 상에 상기 화소 전극(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소 전극(230)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박막트랜지스터(22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자 기판(210) 상에 버퍼층(2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15) 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22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반도체층(221) 상에 게이트 절연막(22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223) 상에 상기 반도체층(221)이 상부를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2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25)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225)을 덮는 제1 층간절연막(226)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층간절연막(226) 상에 상기 제1 층간절연막(226)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들에 각각 접속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들(22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들(227) 상에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들(227)을 덮는 제2 층간절연막(229)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층간절연막(229) 상에 상기 화소 전극(2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230)은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 등의 광투과 또는 투명 도전막일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230) 상에 상기 화소 전극(23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 정의막(2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발광영역(ER)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내에 노출된 화소 전극(230) 상에 유기발광 기능층(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 기능층(250)은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 기능층(25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 또한 광투과 또는 투명전극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인듐, 이트륨, 리튬, 은, 납, 세슘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은 상기 화소 전극(230)과 상기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계가 인가될 때, 상기 화소 전극(230)에서 주입된 정공과 상기 공통 전극(270)에서 주입된 전자가 재결합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조절패널(10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차단 상태에 있으므로, 표시장치의 일면 즉,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의 상부면에서만 화상을 볼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의 상기 화소 전극(230)과 상기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아 광이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절패널(10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차단 상태에 있으므로, 외부광 또한 차단되어, 표시장치의 양측면들 즉,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의 상부면 및 상기 광조절패널(100)의 하부면에서 모두 블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조절패널(100)의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60)에 전계가 인가되어, 상기 액정분자(LC)는 장축이 전계에 수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60) 사이에 배치된 모든 액적들(150a) 내에서 상기 액정분자(LC)의 장축은 상하부 기판들(110, 190)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막대형 염료(D) 또한 상기 액정분자(LC)를 따라 전계에 거의 수평 또는 상하부 기판들(110, 190)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축 방향의 광흡수도가 매우 작은 흑색 염료인 상기 막대형 염료는 상기 광조절패널(100)에 입사된 광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므로, 상기 광조절패널(10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조절패널(100)은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광의 투과 및 차단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조절패널(100)의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60)에 전계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에서 방출된 표시광 뿐 아니라 외부광을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조절패널(100)의 상기 상하부 전극들(130, 160)에 전계가 인가되어 상기 광조절패널(100)이 광투과 상태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발광패널(200) 또한 상기 화소 전극(230)과 상기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어 표시광을 방출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의 양측면들 즉, 상기 유기발광패널(200)의 상부면 및 상기 광조절패널(100)의 하부면 모두에서 상기 표시광을 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3)

  1. 하부 기판, 상부 기판, 상기 상하부 기판들이 서로 바라보는 면들 상에 각각 배치된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및 상기 상하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고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다수 개의 액정 액적들을 구비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되, 상기 액정 액적들은 그 내부에 액정 분자들과 막대형 염료들을 구비하는 단위 화소를 구비하는 광조절패널; 및
    상기 광조절패널 상에 배치되고, 양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단위 화소를 구비하는 투명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광조절패널의 단위화소는 상기 투명표시패널의 단위화소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광조절패널은 액티브 매트릭스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로 구동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분자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염료들은 각각이 흑색 염료들인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염료들은 가시광선영역 내 서로 다른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다수 종류의 막대형 염료들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내는 표시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염료는 아조계 염료(azo dyes), 안트라퀴논계 염료(anthraquinone dyes), 페릴렌계 염료(perylene dyes), 퀴노프탈론계 염료(quinophthalone dyes), 아조메틴계 염료(azomethine dyes), 톨란계 염료(tolane dye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염료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의 광흡수도가 큰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에폭시수지(polycarbonate epoxy resin),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패널은 유기발광기능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인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각 단위화소는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 상에 상기 화소전극의 일부분을 노출하고 발광영역을 한정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개구부 내에 노출된 화소전극 상에 배치된 상기 유기발광기능층; 및
    상기 유기발광기능층 상에 배치된 공통전극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각 단위화소는
    상기 화소전극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부전극의 폭은 상기 발광영역의 폭보다 큰 표시장치.
  13. 삭제
KR1020150020251A 2015-02-10 2015-02-10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KR10168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51A KR101680447B1 (ko) 2015-02-10 2015-02-10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51A KR101680447B1 (ko) 2015-02-10 2015-02-10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654A KR20160098654A (ko) 2016-08-19
KR101680447B1 true KR101680447B1 (ko) 2016-11-29

Family

ID=5687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251A KR101680447B1 (ko) 2015-02-10 2015-02-10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13B1 (ko) * 2017-01-24 2021-07-26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그리고 액정 배향제
CN108598137A (zh) * 2018-06-25 2018-09-28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有机发光显示装置
CN110224080B (zh) * 2019-06-18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4335120A (zh) * 2021-12-30 2022-04-12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654A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447B1 (ko) 광조절패널 및 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KR102327918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US939557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system
KR101680426B1 (ko) 필요시 외부광 차단이 가능한 투명 표시장치
US2015001465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64240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JP6855197B2 (ja) 表示装置
CN105070741A (zh) 一种阵列基板及oled显示面板、显示装置
KR102403224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16092B1 (ko) 표시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496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65276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9590019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transmittance
KR10223711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5099309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09825B1 (ko) 표시 장치
KR102507759B1 (ko) 광투과 가변 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76447B2 (en) Foldabl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102581443B1 (ko) 액정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
KR20170063303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144842A (ko) 표시장치
KR102485632B1 (ko) 표시장치
KR102461527B1 (ko) 양면 발광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45530B1 (ko) 광 제어 장치,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및 광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215577464U (zh) Micro LED显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