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296B1 - 원격 조종 잠수정 - Google Patents

원격 조종 잠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296B1
KR101680296B1 KR1020150092924A KR20150092924A KR101680296B1 KR 101680296 B1 KR101680296 B1 KR 101680296B1 KR 1020150092924 A KR1020150092924 A KR 1020150092924A KR 20150092924 A KR20150092924 A KR 20150092924A KR 101680296 B1 KR101680296 B1 KR 10168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facility
remote control
submersible
teth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웅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B2702/10
    • B63B2702/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원격 조종 잠수정을 제공한다. 원격 조종 잠수정은 몸체와, 해저 설비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저 설비에 함몰 형성된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원격 조종 잠수정{Remote Operating Vehicle}
본 발명은 원격 조종 잠수정에 관한 것이다.
원격 조종 잠수정(ROV; Remote Operating Vehicle)은 해저 합류관(subsea manifold) 및 해저 트리(subsea tree) 등과 같은 해저 설비에 대한 작업, 유지 보수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원격 조종 잠수정은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또는 드릴쉽(drill ship)과 같은 해양 구조물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제공 받아 운용된다.
전력 및 제어 신호는 원격 조종 잠수정과 해양 구조물을 연결하는 테더 라인(tether line)을 통하여 전달되는데, 해저 지형까지의 거리 및 원격 조종 잠수정의 활동 반경에 따라 테더 라인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평6-173570호 (1994.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 조종 잠수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 조종 잠수정의 일 면(aspect)은 몸체와, 해저 설비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저 설비에 함몰 형성된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 가능하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테더 라인으로 연결되어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적층되어 구비된 복수의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체부는 부도체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이격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로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에서 인터페이스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제 1 인터페이스가 해저 설비의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에서 이탈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부간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몸체가 해저 설비로 귀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에서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간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로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조종 잠수정(ROV; Remote Operating Vehicle)(100)은 해저 합류관(subsea manifold) 및 해저 트리(subsea tree) 등과 같은 해저 설비(200)에 대한 작업, 유지 보수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조종 잠수정은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또는 드릴쉽(drill ship)과 같은 해양 구조물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제공 받아 운용될 수 있다.
전력 및 제어 신호는 원격 조종 잠수정과 해양 구조물을 연결하는 테더 라인(tether line)을 통하여 전달되는데, 해저 지형까지의 거리 및 원격 조종 잠수정의 활동 반경에 따라 테더 라인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 라인은 3000m에 까지 연장될 수 있다. 테더 라인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손실 및 제어 신호 감쇄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에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테더 라인에 의하여 간섭을 받을 수 있으며, 테더 라인의 엉킴 또는 테더 라인과 해저 설비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테더 라인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0)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해저 설비(200)와 원격 조종 잠수정(100)간에 테더 라인이 구비되는 것이다. 원격 조종 잠수정(100)과 해저 설비(200)간의 거리가 원격 조종 잠수정(100)과 해양 구조물간의 거리에 비하여 짧기 때문에 원격 조종 잠수정(100)과 테더 라인간의 간섭, 해저 설비(200)와 테더 라인간의 간섭 및 테더 라인 엉킴 등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용되기 때문에 해저 설비(200)까지 자력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선박(10)에 연결된 지지 케이블(20)에 지지되어 해저 설비(200)로 운반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력으로 해저 설비(200)에 까지 이동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조종 잠수정(100)이 해저 설비(200)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안착을 위하여 해저 설비(200)에는 별도의 안착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몸체(110), 인터페이스(130) 및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몸체(110)에는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장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수단, 로봇 팔 및 다양한 계측 장비(미도시)가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상부에는 선박(1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자력 구동을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몸체(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30)는 해저 설비(200)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130)는 몸체(110)에서 돌출 형성되고 해저 설비(200)에 함몰 형성된 인터페이스(210)에 수용될 수 있다.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인터페이스(130)가 해저 설비(200)의 인터페이스(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하, 원격 조종 잠수정(1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130)를 제 1 인터페이스라 하고, 해저 설비(2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210)를 제 2 인터페이스라 한다.
제 1 인터페이스(130)는 몸체(110)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는데, 브라켓(120)은 몸체(110)에 구비되어 제 1 인터페이스(130)를 몸체(110)에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130)에 걸림 고리(미도시)가 구비되고 브라켓(120)에 후크(미도시)가 구비되어, 후크의 움직임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130)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브라켓(120) 및 제 1 인터페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성체임에 따라 자성에 의하여 제 1 인터페이스(130)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에서 인터페이스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인터페이스(130)가 몸체(110)에서 분리되어 테더 라인(140)에 의하여 몸체(110)와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가 해저 설비(200)의 제 2 인터페이스(2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이 테더 라인(140)을 따라 몸체(110)로 전달된다. 이에, 몸체(110)는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제 1 인터페이스가 해저 설비의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인터페이스(130)는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인터페이스(130)는 몸체(110)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 2 인터페이스(210)는 해저 설비(2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210)가 형성된 지점에 원격 조종 잠수정(100)이 안착할 수 있도록 해저 설비(200)에는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안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단,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연결되면 제 1 인터페이스(130)와 제 2 인터페이스(210)간의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에서 이탈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브라켓(120)이 제 1 인터페이스(130)를 결합 해제시키고, 제 1 인터페이스(130)를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원격 조종 잠수정(100)이 해저 설비(200)에서 이탈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테더 라인(140)을 통하여 제 1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어 있고, 제 1 인터페이스(130)는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테더 라인(140)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원격 조종 잠수정(100)에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저 설비(200)는 전력을 발전하여 저장하거나 외부 전력을 수신하는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종 잠수정(1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해저 설비(200)는 해양 구조물 또는 별도의 구조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해상에 존재하는 해양 구조물이 아닌 해저 시설로부터 직접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제공받기 때문에 테더 라인(140)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원격 조종 잠수정(100)과 테더 라인(140)간의 간섭, 해저 설비(200)와 테더 라인(140)간의 간섭 및 테더 라인(140) 엉킴 등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인터페이스(130)는 적층되어 구비된 복수의 도체부(810)를 포함하고, 복수의 도체부(810)는 부도체부(82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각 도체부(810)별로 독립적으로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단자(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3개의 도체부(810)를 도시하고 있는데, 각 도체부(8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2 인터페이스(210)의 서로 다른 단자(211)로부터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의 3개의 도체부(810) 중 제 1 도체부 및 제 2 도체부를 통하여 전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제 3 도체부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도체부(810)에 연결된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단자(211)도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도체부(810)는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에,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단자(211)는 어느 방향에서라도 도체부(810)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은 각 도체부(810)별로 2개의 단자(211)가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단자(211)가 도체부(810)의 노출된 외주를 따라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자만이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는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도 제 1 인터페이스(130)의 형태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의 형태가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130)를 제 2 인터페이스(210)에 결합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상측 말단 즉, 제 2 인터페이스(210)의 개구 부근에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패킹부(830)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킹부(830)의 재질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금속일 수도 있다. 패킹부(830)는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상측 말단 외주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패킹부(8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해수 유입 방지 수단(미도시)이 제 2 인터페이스(210)의 개구 부근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210)는 해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삽입되기 이전에 제 2 인터페이스(210)에 해수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패킹부(830) 및 해수 유입 방지 수단에 의하여 제 2 인터페이스(210)가 외부로부터 차단된 이후 배수 수단은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해수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수에 의한 도체부(810)간 합선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 2 인터페이스(210)의 하부 말단에는 제 1 인터페이스(130)를 지지하는 지지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12)는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외측 말단을 지지하여 제 2 인터페이스(210)에 대한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터페이스(130)는 적층되어 구비된 복수의 도체부(810)를 포함하는데, 이에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단자(211)와 도체부(810)의 위치가 동일하여야 한다. 지지부(212)에 의하여 제 2 인터페이스(210)에 대한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도체부(810)와 단자(211)간의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 인터페이스(130)는 그 외측 말단이 지지부(212)에 의하여 지지될 때까지만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도체부(810)의 위치가 단자(211)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원격 조종 잠수정별로 제 1 인터페이스(130)의 길이가 미세하게 상이할 수 있는데, 지지부(212)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제 1 인터페이스(130)의 도체부(810)와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단자(211)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부(810)의 단면적은 인접한 부도체부(820)의 단면적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이는 도체부(810)에 일단 접촉된 단자(211)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연결 해제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단자(211)가 제 1 인터페이스(130)에 의한 제 2 인터페이스(210)로의 삽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즉, 각 도체부(810)의 단면적은 그 선두에 존재하는 부도체부(820)의 단면적에 비하여 작은데, 이에 해당 도체부(810)에 대응하는 단자(211)가 선두에 존재하는 부도체부(820)에 걸리면서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삽입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무리한 힘으로 제 1 인터페이스(130)의 삽입을 시도하는 경우 부도체부(820) 또는 단자(211)가 파손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211)는 외부 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부도체부(820)와 단자(211)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단자(211)는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내부 표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노출 길이가 짧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 단자(211)를 최대한 노출시킴으로써, 부도체부(820)와 단자(211)간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 1 인터페이스(130)를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인터페이스(130)는 테더 라인(140)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권취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의 내부에는 테더 라인(140)이 구비될 수 있는데, 권취부(131)가 테더 라인(140)을 권취하거나 권출함으로써 몸체(110)와 제 1 인터페이스(130)간의 테더 라인(1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권취부(131)는 구동부(132)의 회전력에 의하여 테더 라인(140)을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구동부(132)는 몸체(1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몸체(110)는 자신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테더 라인(140)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테더 라인(140)의 권취를 위한 제어 신호 또는 테더 라인(140)의 권출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구동부(132)로 하여금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인터페이스(130)에는 몸체(1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테더 라인(140)을 통하여 제어 신호가 송수신될 수도 있다.
또는, 몸체(110)가 아닌 별도의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구동부(132)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권취부(131)의 권취 또는 권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권취부(131)에 권취된 테더 라인(140)의 말단(141)은 복수 개로 분기되어 제 1 인터페이스(130)에 구비된 각 도체부(8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0)는 각 도체부(810)를 통하여 공급된 전기 신호를 서로 구별되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부간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130)에 구비된 부도체부(820)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도체부(810)간을 차단하는 차단부(84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부(830) 및 해수 유입 방지 수단이 제 2 인터페이스(210)와 외부를 차단하고, 배수 수단이 해수를 배수시키더라도, 제 2 인터페이스(210) 내부 및 제 1 인터페이스(130)의 표면에는 해수가 잔존할 수 있다. 이에, 차단부(840)가 도체부(810)간을 차단함에 따라 도체부(810)간 합선 가능성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차단부(840)의 재질은 패킹부(830)와 마찬가지로 고무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고, 각 부도체부(820)의 외주를 따라 제 2 인터페이스(210)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의 몸체가 해저 설비로 귀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작업을 완료한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몸체(110)는 해저 설비(200)로 귀환할 수 있다. 몸체(110)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해저 설비(200)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해저 설비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작업이 완료된 경우 해저 설비(200)의 안착 공간으로 복귀하여 안착할 수 있다.
몸체(110)와 제 1 인터페이스(130)간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130)의 구동부(132)는 권취부(131)를 회전시켜 테더 라인(140)을 권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몸체(110)는 해저 설비(200)의 안착 공간에 수용되고, 테더 라인(140)은 제 1 인터페이스(130)의 권취부(131)에 권취된다. 이에 따라, 다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본 원격 조종 잠수정(100)의 테더 라인(140)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더 라인(140) 자체의 엉킴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에서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원격 조종 잠수정 자체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원격 조종 잠수정(100)이 해저 설비(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제 2 인터페이스(210)에서 분리되어 원격 조종 잠수정(100)이 지지 케이블(20)에 의하여 해수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0)가 제 2 인터페이스(210)에서 분리됨에 따라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고, 이에 지지 케이블(20)에 의하여 해수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원격 조종 잠수정(100)에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배터리에 의한 전력으로 원격 조종 잠수정(100)이 해수면까지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조종 잠수정(100)에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0)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잠수정이 해저 설비간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정 해저 설비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작업 중이던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또 다른 해저 설비로 이동하여 해당 해저 설비의 제 2 인터페이스(210)에 제 1 인터페이스(130)를 결합시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조종 잠수정(100)은 해저 설비(201, 202, 203)간 이동에만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구비하는 배터리의 용량이 작더라도 무관하다. 일단 이동하고자 하는 해저 설비에만 도달하면 해당 해저 설비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원격 조종 잠수정 110: 몸체
120: 브라켓 130: 제 1 인터페이스
131: 권취부 132: 구동부
140: 테더 라인 200, 201, 202, 203: 해저 설비
210: 제 2 인터페이스 211: 단자
212: 지지부 810: 도체부
820: 부도체부 830: 패킹부
840: 차단부

Claims (3)

  1. 몸체;
    해저 설비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저 설비에 함몰 형성된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 가능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테더 라인으로 연결되어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조종 잠수정.
  2. 삭제
  3. 몸체;
    해저 설비로부터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저 설비에 함몰 형성된 제 2 인터페이스에 수용 가능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적층되어 구비된 복수의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체부는 부도체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이격되는 원격 조종 잠수정.
KR1020150092924A 2015-06-30 2015-06-30 원격 조종 잠수정 KR10168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24A KR101680296B1 (ko) 2015-06-30 2015-06-30 원격 조종 잠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24A KR101680296B1 (ko) 2015-06-30 2015-06-30 원격 조종 잠수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296B1 true KR101680296B1 (ko) 2016-11-28

Family

ID=5770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924A KR101680296B1 (ko) 2015-06-30 2015-06-30 원격 조종 잠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29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9564B2 (ja) 潜水機システム
CN109790697B (zh) 用于安装海底线缆的组件和方法
US6223675B1 (en) Underwater power and data relay
US8141260B2 (en) Cable fleet angle sensor
US8305227B2 (en) Wireless auxiliar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n underwater installation
NO318635B1 (no) Undervannsforrigling og kraftforsyning.
EP1394822A2 (en) Method of transferring power and/or data streams to an underwater vehicle
CN109866894A (zh) 适用于冰孔布放回收的冰下探测系统及其布放回收方法
CA2852392A1 (en)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EP3781471B1 (en) Rov deployed power buoy system
KR101258955B1 (ko) 수중 로봇 시스템
WO2011114152A2 (en) Wireless auxiliar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n underwater installation
CA3231793A1 (en) Cabl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A2913241C (en) Power generating systems
KR101680296B1 (ko) 원격 조종 잠수정
KR101672414B1 (ko) 해저자원 채굴선의 작업을 위한 수중 로봇의 케이블 엉킴 방지 장치
EP3164328B1 (en) Subsea connection assembly provided with inductive elements for data transmissions
EP3008328B1 (en) Power generating equipment
CN109166662B (zh) 一种带磁性的rov脐带缆
KR102301815B1 (ko) 무인잠수정 및 전원 제어 방법
CN113155103A (zh) 漂流式海洋观测系统
CN214667333U (zh) 边界层温度链
KR20180001859A (ko) 테더 케이블 제어 장치
CN217945470U (zh) 一种水下机器人用的定位装置
CN113074836A (zh) 边界层温度观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