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078B1 -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078B1
KR101680078B1 KR1020160008871A KR20160008871A KR101680078B1 KR 101680078 B1 KR101680078 B1 KR 101680078B1 KR 1020160008871 A KR1020160008871 A KR 1020160008871A KR 20160008871 A KR20160008871 A KR 20160008871A KR 101680078 B1 KR101680078 B1 KR 101680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arbon black
composite
heating elemen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연
황천성
Original Assignee
오수연
황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연, 황천성 filed Critical 오수연
Priority to KR102016000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078B1/ko
Priority to PCT/KR2017/000890 priority patent/WO20171314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나일론, 테프론, 복합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물 및 카본블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일론, 테프론 및 복합수지를 믹서에 넣고 28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하고, 상온에서 굳혀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물과 카본블랙을 믹서에 넣은 뒤 250 내지 26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나 가정 주택과 같이 외부로의 열에너지 손실이 많은 장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EXOTHERMIC COMPOUND FOR HE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일론 및 테프론이 부가되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용융되지 않는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열체는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기 저항체를 일컫는다. 즉, 전기 저항체로 전류가 흐르면, 저항체의 저항으로 인해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발열체의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는 카본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카본을 이용한 종래의 발열체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열체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축적되는 열이 증가하여 발열체의 온도가 60℃ 이상이 될 경우, 발열체가 녹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09588 B1 (2007. 04. 2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나일론 및 테프론이 카본블랙과 함께 혼합되어 높은 온도에도 발열체가 녹지 않아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는 나일론, 테프론, 복합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물 및 카본블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나일론, 테프론 및 복합수지를 믹서에 넣고 28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하고, 상온에서 굳혀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물과 카본블랙을 믹서에 넣은 뒤 250 내지 26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나 가정 주택과 같이 외부로의 열에너지 손실이 많은 장소 등에 이용할 경우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온도를 측정한 사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난방용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온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는 나일론, 테프론, 복합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물 및 카본블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나일론, 테프론 및 복합수지를 믹서에 넣고 28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하고, 상온에서 굳혀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물과 카본블랙을 믹서에 넣은 뒤 250 내지 26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는 기본적으로 나일론, 테프론, 복합수지 및 카본블랙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나일론, 테프론 및 복합수지는 먼저 혼합되어 복합물을 형성하고, 이후에 카본블랙과 혼합된다.
나일론(Nylon)은 폴리아미드(Polyamid)계의 합성섬유의 일반명으로서, 융점이 200℃ 정도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일론의 종류에는 한정이 없으며, 6-나일론, 6,6-나일론, 6,10-나일론, 7-나일론, 9-나일론, 11-나일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나일론은 복합물의 전체 중량 대비 50 내지 75%를 차지한다.
테프론(Teflon)은 폴리불화에틸렌계 합성섬유의 상품명으로서, 융점이 280℃ 정도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테프론은 복합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20%를 차지한다.
복합수지는 여러 가지의 합성수지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PC(PolyCarbonate), PS(Polystyrene), PP(PolyPropylene)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복합수지는 복합물의 전체 중량 대비 15 내지 30%를 차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복합물은 후술할 카본블랙의 함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전체 중량 대비 70 내지 85%를 차지한다.
카본블랙 1 내지 500㎛ 크기의 탄소로서, 함유량에 따라 발열되는 온도의 크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의 함량은 전체 중량 대비 15 내지 30%를 차지한다. 만약 카본블랙의 함량이 30%를 초과할 경우 발열체의 온도가 높아지고, 축열로 인해 온도가 더욱 높아져 발열체가 녹는 문제가 발생한다. 15% 미만의 경우에는 발열 온도가 낮아 열효율이 떨어진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복합물은, 나일론 50 내지 75 중량%, 테프론 10 내지 20 중량% 및 복합수지 15 내지 30 중량% 범위 내의 각 재료를 믹서에 넣고 28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하고,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복합물 70 내지 85 중량%와 카본블랙 15 내지 30 중량%를 믹서에 넣은 뒤 250 내지 26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여 성형한다. 이때 성형되는 압출물의 형태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제 사용 시에는 압출물을 커버할 수 있도록 외피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사용되는 외피에는 한정이 없으나 일반적인 합성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발열체의 온도로 인해 녹을 수 있으니 융점이 적어도 120℃ 이상의 복합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나일론 3.50kg, 테프론 1.40kg 및 복합수지(PC와 PP로 이루어짐) 2.10kg을 믹서에 넣고 29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뒤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복합물 7.00kg과 카본블랙 3.00kg을 믹서에 넣은 뒤 25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여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Poly (butylene terephthalate-co-tetramethylene ether terephthalate)를 상기 압출물의 표면으로 압출하여 외피를 형성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나일론 5.25kg, 테프론 0.70kg 및 복합수지(PC와 PP로 이루어짐) 1.05kg을 믹서에 넣고 29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뒤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복합물 7.00kg과 카본블랙 3.00kg을 믹서에 넣은 뒤 25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여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Poly (butylene terephthalate-co-tetramethylene ether terephthalate)를 상기 압출물의 표면으로 압출하여 외피를 형성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3
나일론 4.25kg, 테프론 1.70kg 및 복합수지(PC와 PP로 이루어짐) 2.55kg을 믹서에 넣고 29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뒤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복합물 8.50kg과 카본블랙 1.50kg을 믹서에 넣은 뒤 25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여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Poly (butylene terephthalate-co-tetramethylene ether terephthalate)를 상기 압출물의 표면으로 압출하여 외피를 형성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4
나일론 6.38kg, 테프론 0.85kg 및 복합수지(PC와 PP로 이루어짐) 1.28kg을 믹서에 넣고 29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뒤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복합물 8.51kg과 카본블랙 1.50kg을 믹서에 넣은 뒤 25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여 상온에서 굳힌다. 그리고 Poly (butylene terephthalate-co-tetramethylene ether terephthalate)를 상기 압출물의 표면으로 압출하여 외피를 형성하여 완성하였다.
시험예
위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발열체의 양끝에 각각 +, - 전극을 연결하고 220V의 전압으로 전류를 흘려준 뒤 24시간 후에 각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1의 결과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2의 결과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실시예 3의 결과는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4의 결과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블랙이 30% 함유된 실시예 1 및 2는 발열체의 온도가 90℃까지 상승하였으며, 발열체가 녹아내리는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블랙이 15% 함유된 실시예 3 및 4는 발열체의 온도가 60℃까지 상승하였으며, 발열체가 녹아내리는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은 온도에서도 녹지 않고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단독 주택과 같이 외부 환경에 노출이 많아 열손실률이 높은 장소에 사용되더라도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발열체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시멘트 등에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최대 온도가 낮을 경우 전달되는 온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발열체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00℃에 근접한 온도까지 상승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나 단독 주택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수지와 카본블랙의 배합비율로 인해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효과를 높임으로써 일정 수준의 온도에 도달할 경우 높은 저항으로 인해 전도성이 낮아져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Claims (6)

  1. 전류가 직접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발열되는 난방용 발열체에 있어서,
    50 내지 75 중량%의 나일론, 10 내지 20 중량%의 테프론, 15 내지 30 중량%의 복합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물 및 카본블랙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물은 총 중량대비 70 내지 85 중량%이고, 상기 카본블랙은 총 중량대비 15 내지 30 중량%이고,
    상기 카본블랙은 발열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그 함량이 조절되되, 상기 온도 조건이 높아질수록 함량이 증가되고, 상기 온도 조건이 낮아질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발열체.
  2. 삭제
  3. 삭제
  4. 전류가 직접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발열되는 난방용 발열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50 내지 75 중량%의 나일론, 10 내지 20 중량%의 테프론, 15 내지 30 중량%의 복합수지를 믹서에 넣고 28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하고, 상온에서 굳혀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70 내지 85 중량%의 상기 복합물과 15 내지 30 중량%의 카본블랙을 믹서에 넣은 뒤 250 내지 260℃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혼합한 다음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본블랙은 발열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그 함량이 조절되되, 상기 온도 조건이 높아질수록 함량이 증가되고, 상기 온도 조건이 낮아질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008871A 2016-01-25 2016-01-25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0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71A KR101680078B1 (ko) 2016-01-25 2016-01-25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7/000890 WO2017131439A1 (ko) 2016-01-25 2017-01-25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71A KR101680078B1 (ko) 2016-01-25 2016-01-25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078B1 true KR101680078B1 (ko) 2016-11-28

Family

ID=5770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871A KR101680078B1 (ko) 2016-01-25 2016-01-25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0078B1 (ko)
WO (1) WO20171314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25B1 (ko) 2018-08-27 2019-06-04 주진숙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95B1 (ko) * 2006-06-28 2007-07-09 이찬봉 개선된 라이너를 갖는 전열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295B1 (ko) * 2004-02-13 2005-12-08 이춘구 도전성 탄소코팅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원단의 제조방법
KR100847055B1 (ko) * 2004-12-16 2008-07-24 (주)제이앤텍 면상 발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9588B1 (ko) * 2005-05-13 2007-04-23 함창화 판상발열전기전도체
KR101143051B1 (ko) * 2009-05-27 2012-05-15 조형진 발열사 제조를 위한 전도/발열성 폴리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발열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발열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95B1 (ko) * 2006-06-28 2007-07-09 이찬봉 개선된 라이너를 갖는 전열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25B1 (ko) 2018-08-27 2019-06-04 주진숙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439A1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7383C (zh) 用于温度和应力传感器的聚合物导电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1800500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 복합재 조성물
CN103588983B (zh) 一种柔性高分子ptc材料的制备方法
CN103797548B (zh) 高分子基导电复合材料及ptc元件
CN1970612A (zh) 一种具有正温度系数效应导电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4292702B (zh) 动态硫化高聚合度聚氯乙烯液体丁腈电线电缆绝缘/护套材料及其制备方法
US5554679A (en) PTC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materials
CN101255246B (zh) 一种防静电热收缩材料及其制造方法
CN101928452B (zh) 一种聚芳醚腈和三氧化二铝复合的绝缘导热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80078B1 (ko) 난방용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17608A (zh) 一种导电高分子材料及制备方法
CN105694413A (zh) 一种高导热石墨烯基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567239B (zh) 一种正温度系数过流保护器件及制备方法
CN1152914C (zh) 具有正温度系数的导电高分子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124033B1 (ko)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도성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0066B1 (ko) 난방용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3554680B (zh) 一种基于热塑性硫化胶的ntc材料的制备方法
CN102816380B (zh) 一种伴热电缆及其制备方法
CN101819837B (zh) 一种正温度系数过流过温保护元件制备方法
KR102238259B1 (ko) 상하수도관용 pvc 파이프 제조방법
CN105061848B (zh) 36v自限温加-伴热电缆芯带材料及其制备方法
JPH07173325A (ja) 帯電防止樹脂組成物
CN105694517A (zh) 一种高硬度高韧性复合材料加工方法
CN204701120U (zh) 一种用于高填充材料挤出造粒的双螺杆结构
CN204850363U (zh) 一种自发热生态木塑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