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062B1 -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062B1
KR101680062B1 KR1020150083085A KR20150083085A KR101680062B1 KR 101680062 B1 KR101680062 B1 KR 101680062B1 KR 1020150083085 A KR1020150083085 A KR 1020150083085A KR 20150083085 A KR20150083085 A KR 20150083085A KR 101680062 B1 KR101680062 B1 KR 10168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nfc
curren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동
박석인
채수용
오세승
김규덕
송유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003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제1센싱신호를 제1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제1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제1전류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APPARATUS, DISPLAY DEVICE AND OUTLET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 혹은 해당 전력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전력선이 아니더라도 특정 전자장치(예를 들어, TV, 냉장고 등)로 흐르는 전류의 양 혹은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장치에서의 대기전력이 얼마나 소비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장치로 흐르는 전류의 양 혹은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또는, 특정 전력선에서 누전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력선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 혹은 해당 전력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전력선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 혹은 해당 전력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계측하는 장치로는 전류미터, 파워미터 및 전력량계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류미터, 파워미터 및 전력량계는 전력선으로부터 센싱되는 전류의 양, 전력의 양 혹은 누적된 전력의 양을 게이지 등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들 중 전력량계는 규모가 크고 고가이어서 한 시설에 하나의 장치만 설치됨으로써 개별 전자장치 혹은 개별 전력선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 혹은 전력의 양을 계측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 전류미터 및 파워미터는 휴대를 통해 임의의 위치에서 전류의 양 혹은 전력의 양을 계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에 있어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전류미터 및 파워미터는 일반인의 사용에는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전술한 문제 이외에도 이러한 장치들은 특정 목적(전류 혹은 전력 계측)을 중심으로 제작된 장치이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복합적으로 계산하는 능력(예를 들어,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서의 계산 능력)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장치들은 정보를 재처리하여 사용자 편의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 장치들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들도 특정 목적(전류 혹은 전력량 표시)을 위한 장치로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의 단순 구성으로 특정 전력선 혹은 특정 전자장치로 유입되는 전류의 양을 계측하고 이를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제1센싱신호를 제1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제1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제1전류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수신하는 통신부, 제1NFC메시지를 NFC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하여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획득하는 처리부 및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하고 그래프에 제1기준선을 추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표시장치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전력선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분기시켜 복수의 전자장치로 공급하는 복수의 콘센트부,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제1센싱신호를 제1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제1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제1전류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를 NFC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의 단순 구성으로 특정 전력선 혹은 특정 전자장치로 유입되는 전류의 양을 계측하고 이를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원부의 구성에 대한 제1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전원부의 구성에 대한 제2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저장부의 구성에 대한 제1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저장부의 구성에 대한 제2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장치와 근거리통신표시장치의 통신 관계 및 근거리통신표시장치의 내부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근거리통신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그래프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제1전력선(132)으로 흐르는 제1전류(I1)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S1)를 발생시키는 센서부(130), 제1센싱신호(S1)를 제1디지털신호(D1)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16), 제1디지털신호(D1)에 대응하여 제1전류(I1)의 순시값 혹은 제1전류(I1)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14), 제1전류(I1)의 순시값 혹은 제1전류(I1)의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F1)를 NFC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M1)로 변환하는 처리부(112) 및 제1NFC메시지(M1)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신호변환부(116), 저장부(114) 및 처리부(112)는 하나의 집적회로(110)에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구성도 집적회로(11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130)는 저항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1전류(I1)에 따라 이러한 저항센서에 형성되는 전압을 제1센싱신호(S1)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센서부(130)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1전류(I1)에 따라 이러한 홀센서에 형성되는 전압 혹은 전류를 제1센싱신호(S1)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신호변환부(116)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ADC를 이용하여 제1센싱신호(S1)를 제1디지털신호(D1)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114)는 제1디지털신호(D1)에 따라 제1전류(I1)의 순시값을 파악하고 이러한 순시값을 저장하거나 이러한 순시값을 시간에 따라 적산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4)는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도 4의 420 참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레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부(112)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제1전류(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F1)를 획득하고 이러한 제1정보(F1)를 NFC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M1)로 변환할 수 있다. 처리부(112)에 적용되는 NFC 프로토콜은 표준 규격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서, 처리부(112)는 ISO 14443, ISO 18092 등에 정의된 NFC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M1)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처리부(112)와 전송라인(Tx) 및 수신라인(Rx)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전송라인(Tx)을 통해 처리부(112)로부터 제1NFC메시지(M1)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NFC메시지(M1)은 직렬통신메시지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통신부(120)는 순차적으로 무선주파수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안테나(122) 및 무선주파수매칭회로(1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무선주파수매칭회로(124)를 통해 특정 주파수로 매칭된 무선주파수신호를 안테나(122)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안테나(122)는 역으로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수신된 무선주파수신호는 무선주파수매칭회로(124)를 통해 처리부(112)로 전송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전원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8)는 제1전력선(132)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제1전력선(132)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전력(P1)을 처리하여 신호변환부(116) 혹은 저장부(114)로 로직전력(VDD)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전원부의 구성에 대한 제1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부(118)는 스위치제어기(210), 제1스위치(220) 및 제1전력(P1)을 로직전력(VDD)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제어기(210)는 처리부(112)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처리부(112)로부터 액티브신호(ACT)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NFC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제2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데, 처리부(112)는 이러한 제2전력에 따라 액티브신호(ACT)를 생성하여 스위치제어기(2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액티브신호(ACT)는 신호레벨이 아닌 전력레벨의 파워를 포함하고 있어 다른 전력의 공급없이 스위치제어기(21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스위치(220)는 제1전력선(132)과 전력변환모듈(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스위치(220)에 대한 제어에 따라 전력변환모듈(230)에 대한 제1전력(P1)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스위치(220)가 턴온되면 제1전력(P1)이 전력변환모듈(230)로 공급되고 제1스위치(220)가 턴오프되면 제1전력(P1)이 전력변환모듈(23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스위치제어기(210)는 수신되는 액티브신호(ACT)에 따라 제1스위치(220)를 온오프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제어기(210)는 처리부(112)로부터 액티브신호(ACT)가 수신되면 제1스위치(220)를 온제어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처리부(112)는 인액티브신호(IN-ACT)를 더 생성할 수 있는데, 스위치제어기(210)는 이러한 인액티브신호(IN-ACT)에 따라 제1스위치(220)를 오프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근거리통신장치(100)는 다른 NFC장치로부터 무선주파수신호가 수신되면 전원부(118)를 구동하고 이러한 무선주파수신호가 해제되면 전원부(118)를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근거리통신장치(100)는 다른 NFC장치가 인식되면 전원부(118)를 구동하고 다른 NFC장치에 대한 인식이 해제되면 전원부(118)를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전원부의 구성에 대한 제2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부(118)는 제1전력선(132)으로부터 제1전력(P1)을 공급받는 제1저항(R), 제1저항(R)과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제너다이오드(ZD), 애노드전극이 제1저항(R)과 제1제너다이오드(ZD)의 접점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 및 제1다이오드(D)의 캐소드전극과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캐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력(P1)을 공급받는 제1제너다이오드(ZD)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전력(P1)에 따라 일정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저항(R)은 제1제너다이오드(ZD)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제1저항(R)과 제1제너다이오드(ZD)의 접점에는 제1다이오드(D)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제1다이오드(D)를 통해 제1캐패시터(C)를 충전하는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또한, 제1다이오드(D)는 제1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하가 제1저항(R) 혹은 제1제너다이오드(ZD)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제1캐패시터(C)의 충전 전압은 제1제너다이오드(ZD)에 형성되는 전압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제너다이오드(ZD)로는 역방향 전압이 로직전력(VDD)의 전압보다 일정값(제1다이오드(D)의 문턱전압)만큼 더 큰 제너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캐패시터(C)에 형성된 전압은 로직전력(VDD)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저장부의 구성에 대한 제1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116)는 적산기(410) 및 메모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산기(410)는 제1전류(I1)의 순시값을 시간에 따라 적산하고, 메모리(420)는 적산기(410)가 적산한 제1전류(I1)의 적산값을 저장한다.
도 5는 저장부의 구성에 대한 제2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116)는 적산기(410), 메모리(420) 및 타이머(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510)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렇게 카운트한 값에 따라 현재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현재 시간 정보는 메모리(420)에 저장될 수 있다.
타이머(510)는 적산기(410)가 제1전류(I1)를 적산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 이러한 제1전류(I1) 누적 시간을 메모리(4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이머(510)는 적산기(4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신호에 따라 타이머(510)는 적산 시간을 카운트하거나 적산 시간을 리셋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112)는 타이머(510)에 의해 저장된 현재 시간 혹은 누적 시간을 제1정보(F1)에 더 포함시켜 제1NFC메시지(M1)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근거리통신장치(100)에서 생성된 제1NFC메시지(M1)는 NFC통신을 통해 다른 NFC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장치와 근거리통신표시장치의 통신 관계 및 근거리통신표시장치의 내부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근거리통신장치(100)와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NFC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제1전력선(도 1의 132)으로 흐르는 제1전류(도 1의 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NFC메시지(도 1의 M1)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수신하는 통신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혼선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근거리통신장치(100)의 통신부(120)를 제1통신부(120)라 하고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의 통신부(610)를 제2통신부(610)이라 한다.
근거리통신장치(600)는 이러한 제2통신부(610)를 이용하여 근거리통신장치(100)로 무선주파수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력을 생성하고 이러한 제2전력에 따라 액티브신호(도 2의 ACT 참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다시 참조하면,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이러한 액티브신호(도 2의 ACT 참조)에 따라 전원부(118)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가 근거리통신장치(100)로 접근하여 무선주파수신호를 전송할 때, 근거리통신장치(100)의 전원부(118)가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근거리통신장치(100)가 제1전력선(132)으로 흐르는 전력을 소비하여 제1전력선(132)의 전력 전송 효율을 떨어뜨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제1NFC메시지(도 1의 M1)를 NFC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하여 제1전류(도 1의 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획득하는 처리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선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근거리통신장치(100)의 처리부(112)를 제1처리부(112)라 하고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의 처리부(620)를 제2처리부(620)라 한다.
제2처리부(620)는 제1NFC메시지(도 1의 M1)를 분석하기 위해 제1처리부(112)가 사용한 NFC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처리부(112)가 ISO 18092에 따른 NFC 프로토콜을 사용한 경우, 제2처리부(620)도 ISO 18092에 따른 NF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NFC메시지(도 1의 M1)를 분석할 수 있다.
제1NFC메시지(도 1의 M1)에는 제1전류(도 1의 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이 포함되어 있는데,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표시부(63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표시부(630)를 이용하여 제1전류(도 1의 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근거리통신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그래프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래프(700)에는 시간축(S)과 크기축(A)이 표시되고, 시간에 따라 수신된 제1전류(도 1의 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이 연속된 선(710)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프(700)에는 제1기준선(720)도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제1기준선(720)은 통상적인 평균값 혹은 안전값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력선(도 1의 132)을 통해 흐르는 제1전류(I1)가 TV로 공급되는 전류이고 이러한 TV로 공급되는 전류가 통상적으로 1A의 순시 전류를 소모하고 있다면 제1기준선(720)을 1A에 해당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제1기준선(720)과 제1전류(도 1의 I1)를 나타내는 곡선(710)을 비교하여 TV가 통상적인 전력량을 소비하고 있는지 비정상적인 전력량을 소비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기준선(720)은 제1전력선(도 1의 132)을 통해 흐르는 제1전류(I1)의 안전값(예를 들어, 정격전류)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제1기준선(720)과 제1전류(도 1의 I1)를 나타내는 곡선(710)을 비교하여 제1전력선(도 1의 132)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기준선(720)은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터치 혹은 드래그)에 의해 위치 혹은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제1전력선(도 1의 132)과 연결되는 전자장치는 다양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각각의 전자장치에 맞추어 제1기준선(720)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630)는 표시된 제1전류(도 1의 I1)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이 제1기준선(720)을 초과하는 구간에서 알람(71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A구간에서 제1전류(도 1의 I1)를 나타내는 값이 제1기준선(720)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다. 이후, B구간에서 제1전류(도 1의 I1)를 나타내는 값이 제1기준선(720)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630)는 B구간에서 알람(712)을 표시하고 있다.
한편, 표시부(630)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사용자 터치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630)는 알람(712)이 표시된 영역에서 사용자 터치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처리부(620)는 알람(712)이 표시된 영역에서의 사용자 터치에 따라 제2NFC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610)는 이러한 제2NFC메시지를 제1NFC메시지를 송신한 NFC장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근거리통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NFC메시지에는 제1NFC메시지를 송신한 NFC장치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적용된 예를 들어보면, 표시부(630)에 알람(712)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이러한 알람(712)을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제2NFC메시지를 근거리통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NFC메시지에는 근거리통신장치(100)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이러한 제어정보에 따라 일정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제1전력선(도 1의 132)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전력선(도 1의 132)에는 차단스위치(미도시) 및 이러한 차단스위치에 대한 스위치제어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이러한 스위치제어장치(미도시)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전력선(도 1의 132)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통신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단말에는 NFC모듈, 디스플레이, 고성능 계산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NFC모듈은 제2통신부(610) 및 제2처리부(620)에 대응될 수 있고, 고성능 계산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는 표시부(630)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고성능 계산 프로세서가 제2처리부(620)에 대응되거나 NFC모듈과 고성능 계산 프로세서가 제2처리부(620)에 대응될 수도 있다.
최근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통신단말을 개인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근거리통신장치(100)에 통신단말을 근접시키는 행위만으로 제1전력선(13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장치(100)가 전자장치나 콘센트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들은 더 다양한 기능을 경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적용예들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근거리통신장치(100)는 콘센트장치에 내장되어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는 콘센트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콘센트부(820) 뿐만 아니라 근거리통신장치(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센서부(도 1의 130 참조), 신호변환부(도 1의 116 참조), 저장부(도 1의 114 참조) 및 처리부(도 1의 112 참조) 및 통신부(도 1의 12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30)가 제1전류(도 1의 I1 참조)를 센싱하는 제1전력선(도 1의 132 참조)은 콘센트장치로 인입되는 인입전력선(810)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30)는 인입전력선(810)에 흐르는 인입전류를 센싱할 수 있고, 통신부(120)는 이러한 인입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NFC메시지(도 1의 M1 참조)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이러한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전술한 그래프(도 7의 700 참조)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그래프(700)에 표시되는 전류는 인입전력선(810)에 흐르는 인입전류가 된다.
복수의 콘센트부(820)는 제1전력선(도 8에서는 인입전력선(810))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분기시켜 복수의 전자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센트부(820)의 각 콘센트에 전자장치가 연결되면 해당 전자장치로 인입전력 혹은 인입전력의 일부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를 이러한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에 근접시킴으로써 특정 콘센트를 통해 흐르는 전류 혹은 전력의 양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부(820)에 TV 한 대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에 표시되는 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은 해당 TV로 유입되는 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에 해당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에 표시되는 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확인하여 해당 TV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V가 대기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는 해당 TV의 대기전력량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를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에 근접시키는 행위만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콘센트부(820)에 냉장고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에 표시되는 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은 해당 냉장고로 유입되는 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에 해당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에 표시되는 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확인하여 해당 냉장고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가 고장으로 누전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냉장고의 누전 여부를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를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에 근접시키는 행위만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또한, 대기전력으로 인한 전력낭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누전 여부 혹은 대기전력량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근거리통신장치(100)는 다른 전자장치, 예를 들어, HVAC(High Voltage AC)장치, 전기자동차 등의 인입전력선에 위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전자장치에서 근거리통신장치(100)가 위치한 부분에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를 근접시킴으로써 해당 전자장치로 인입되는 전류량 혹은 전력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는 콘센트부(820)에 연결된 전자장치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 해당 콘센트부(82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부(820)는 전자장치로 연결되는 분기전력선을 개폐하는 분기스위치(미도시) 및 이러한 분기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는 이러한 분기스위치(미도시)를 개폐함으로써 콘센트부(820)에 연결된 전자장치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는 인입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NFC메시지(도 1의 M1 참조)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할 수 있는데,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이러한 제1NFC메시지를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입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는 알람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통신표시장치(600)가 알람이 표시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인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터치에 따라 제2NFC메시지를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로 송신할 수 있는데,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800)는 이러한 제2NFC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NFC메시지에 따라 분기스위치(미도시)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제1센싱신호를 제1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상기 제1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상기 제1전류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순시값 혹은 상기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로 변환하는 처리부;
    상기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전력을 처리하여 상기 신호변환부로 로직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전력을 상기 로직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모듈 및 상기 전력변환모듈과 상기 제1전력선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에 대한 제어를 통해 상기 전력변환모듈에 대한 상기 제1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근거리통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다른 NFC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제2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전력에 따른 액티브신호를 상기 전원부로 공급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액티브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를 온오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제1전력을 공급받는 제1저항, 상기 제1저항과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제너다이오드, 애노드전극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1제너다이오드의 접점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 및 상기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과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캐패시터에 형성되는 전압을 상기 로직전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통신장치.
  6.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제1센싱신호를 제1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상기 제1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상기 제1전류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순시값 혹은 상기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적산기, 메모리 및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적산기가 적산한 상기 제1전류의 적산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때, 상기 타이머의 현재 시간 혹은 상기 제1전류를 누적한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정보에 상기 현재 시간 혹은 상기 누적 시간을 더 포함시켜 상기 제1NFC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통신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NFC(Near Field Communication)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NFC메시지를 NFC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획득하는 처리부; 및
    상기 순시값 혹은 적산값을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그래프에 제1기준선을 추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순시값 혹은 적산값이 상기 제1기준선을 초과하는 구간에서 알람을 더 표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알람이 표시된 영역에서 사용자 터치를 인지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터치에 따라 제2NFC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NFC메시지를 송신한 다른 NFC장치로 상기 제2NFC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2NFC메시지에는 상기 다른 NFC장치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근거리통신표시장치.
  10. 삭제
  11. 제1전력선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분기시켜 복수의 전자장치로 공급하는 복수의 콘센트부;
    상기 제1전력선으로 흐르는 제1전류에 대응되는 제1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상기 제1센싱신호를 제1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상기 제1디지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류의 순시값 혹은 상기 제1전류의 적산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순시값 혹은 상기 적산값을 포함하는 제1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제1NFC메시지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제1NFC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전자장치로 연결되는 분기전력선을 개폐하는 분기스위치 및 상기 분기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다른 NFC장치로부터 제2NFC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스위치제어회로는,
    상기 제2NFC메시지에 따라 상기 분기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근거리통신콘센트장치.
KR1020150083085A 2015-06-12 2015-06-12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KR10168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085A KR101680062B1 (ko) 2015-06-12 2015-06-12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085A KR101680062B1 (ko) 2015-06-12 2015-06-12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062B1 true KR101680062B1 (ko) 2016-11-30

Family

ID=5770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085A KR101680062B1 (ko) 2015-06-12 2015-06-12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089A (zh) * 2020-03-24 2020-09-01 宁波新策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nfc技术的电力监测系统、电力监测装置及插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089A (zh) * 2020-03-24 2020-09-01 宁波新策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nfc技术的电力监测系统、电力监测装置及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2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oreign objection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9201104B2 (en) Intelligent power sensing device
JP6319294B2 (ja) 管理装置、通信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システム
US101140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rent and voltage monitoring
US20100283472A1 (en) Verfahren zur uberwachung der reststandzeit einer batterie
CN102803002A (zh) 用于检测在充电站中用于电动交通工具的能源供应量的装置与方法
EP2166642A4 (en) BATTERY CONDITION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US9506950B2 (en) Tampering detection for an electric meter
JP5827755B2 (ja) 回路保護を有するプロセス制御フィールド装置
US20100201342A1 (e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eldgerates
US11493544B2 (en)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KR101680062B1 (ko) 근거리 통신 장치, 표시장치 및 콘센트장치
US10290268B2 (en) Power off indicating apparatus and power off indicating method thereof
CN102257452B (zh) 用于确定和/或监测物理或化学过程参数的现场设备
KR20150013644A (ko) 전계 분석기
EP3184967A1 (en) Electronic meter
WO2010027559A1 (en) Energy mana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1446604B (zh) 电表
CN107238754B (zh) 一种检测电量的方法和装置
KR101945275B1 (ko) 계량기 및 계량 시스템
KR101324038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US20220170994A1 (en) Health status of an internal power source of a faulted circuit indicator
KR101868390B1 (ko) 전력량계, 전력량계 관리 장치 및 전력량 측정 방법
CN206420973U (zh) 一种电器监测装置
US20220014883A1 (en) Field device adapter for wireless data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