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906B1 -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906B1
KR101679906B1 KR1020140023913A KR20140023913A KR101679906B1 KR 101679906 B1 KR101679906 B1 KR 101679906B1 KR 1020140023913 A KR1020140023913 A KR 1020140023913A KR 20140023913 A KR20140023913 A KR 20140023913A KR 101679906 B1 KR101679906 B1 KR 10167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illumination
response data
command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262A (ko
Inventor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4002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시스템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은,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고,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Thread Pool)에 추가하고, 추가된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Based o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어두운 영역을 밝히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하고, 산업사회의 발전과 소득 향상으로 인해 이러한 조명장치가 어두운 영역을 밝히는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을 장식하기 위한 장치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러한 조명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94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9472호를 비롯하여 조명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종래의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 서버(110)가 조명 제어 서버(11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된 원격 단말기(120)로부터 소정의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제어기(130)를 제어함으로써 조명장치(140a~140n)들이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명 제어 시스템의 경우 조명장치들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명 제어 서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기 때문에,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축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 서버의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므로 조명 제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 또한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들을 설정하거나 조명장치들의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은,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고,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Thread Pool)에 추가하고, 추가된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은,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무선 단말기에 의한 조명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이 생성되면, 상기 조명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Thread Pool)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추가된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명 제어기와의 약속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가 종래의 조명 제어 서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조명 제어 서버가 요구되지 않아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제어 서버가 요구되지 않아 조명 제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만을 이용하여 조명장치 제어 및 상태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조명장치의 설정기능 및 조명장치의 현황관리 기능 까지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조명제어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에이전트에 의해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이하, '조명 제어 시스템'이라 함)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210), 무선 액세스 포인트(220),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기(230a~230n), 및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240a~240n)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 단말기(210)는 상기 조명장치(240a~240n)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명 제어 명령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 제어기(230a~230n)로 전달한다.
무선 단말기(2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220)를 통해 상기 조명 제어기(230a~230n)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조명 제어기(230a~230n)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무선 단말기(210)에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형태로 구성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가 탑재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210)는 어플리케이션의 탑재가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나 노트북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21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210)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 제어부(214), 네트워크 매니져(216), 제1 무선 통신 모듈(218), 및 데이터베이스(219)를 포함한다.
먼저,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되어 무선 단말기(210)에 탑재된다.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의 활성화 요청에 따라 활성화되어 미리 정해진 다양한 UI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UI(User Interface)들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조명장치(240a~240n)의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제어 요청은,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명 제어 요청, 조명장치(240a~240n)의 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 제어 요청, 조명장치(240a~240n)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조명 제어 요청, 및 조명 제어기(230a~230n)의 검색을 위한 조명 제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UI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명제어 스케쥴에 따라 조명 제어 요청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조명장치(240a~240n)들이 시간대/요일/휴일 등에 따라 다른 디밍레벨을 갖도록 하기 위한 조명제어 스케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해당 시점이 도래하면 각 조명장치(240a~240n)들을 설정된 디밍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여 생성된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다양한 UI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제어부(214)로부터 응답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UI 리프레쉬(Refresh)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9)에서 독출한 후, 현재 무선 단말기(21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UI를 리프레쉬 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219)에서 독출된 응답 데이터를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가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거나,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거나, 응답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조명 제어 에이전트에 의해 제공되는 UI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의 활성화 요청에 따라 활성화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메인화면 UI는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 조절 및 상태관리를 위한 컨트롤(Control) 메뉴, 조명장치(240a~240n)의 스케쥴링 제어를 위한 스케쥴(Schedule) 메뉴, 조명장치(240a~240n)의 히스토리 관리를 위한 히스토리(History)메뉴, 시스템 설정을 위한 설정(Setting)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 메뉴가 선택되면,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무선 단말기(210)를 통해 제어 가능한 조명 제어기(230a~230n)들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 가능한 조명 제어기(230a~230n)의 리스트는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미리 검색된 후 저장되어 있거나, 컨트롤 메뉴 선택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가 조명 제어기(230a~230n)의 검색을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한 후 조명 제어기 검색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조명 제어기(230a~230n)의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조명 제어기(230a~230n)가 선택된 이후 해당 조명 제어기(230a~230n)에 연결되어 있는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 조절을 위한 버튼이 선택되면,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예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셔틀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디밍레벨 조절을 통해 현재의 조도레벨을 조절함은 물론, 현재의 신모드(Scene Mode)를 설정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UI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예컨대, 디밍레벨의 값)를 이용하여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조명 제어기(230a~230n)의 리스트 상에서 조명 제어기(230a~230n)가 선택된 이후 미리 정해진 액션이 수행되면, 예컨대, 조명 제어기(230a~230n)의 선택 이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의 드래그(Drag)가 수행되면,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선택된 조명 제어기(230a~230n)에 연결되어 있는 조명장치(240a~240n)들의 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한다.
이후, 조명장치 상태확인을 위한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현재 출력되고 있는 UI를 리프레쉬하고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조명장치(240a~240n)들의 상태를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기(230a~230n)에 연결된 조명장치(240a~240n)의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조명장치(240a~240n)의 상태는 조명 제어기(230a~230n)의 상태정보, 조명장치(240a~240n)의 현재 디밍레벨, 실시간 소비전압, 실시간 소비전류, 실시간 소비 전력량, 현재 온도, 팬 상태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조명장치(240a~240n)의 소비전류, 소비전압, 소비 전력량, 온도 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해당 정보를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색상과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명 제어기(230a~230n)에 연결된 조명장치(240a~220n)의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UI 상에서 그래프 보기와 같은 아이콘을 선택하면,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조명장치(240a~240n)의 실시간 소비 전력량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도 있다. 이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는 해당 조명장치(240a~240n)의 실시간 소비 전력량이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고, 화면 하단에는 해당 조명장치(240a~240n)의 실시간 소비 전력량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메인 화면 상에서 스케쥴(Schedule) 메뉴를 선택하면 조명제어 에이전트(212)는 사용자가 제어하기 원하는 조명장치(240a~240n)를 스케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일 예로, 조명제어 에이전트(212)는 조명장치(240a~240n)를 시간대/요일/휴일 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대/요일/휴일이 도래하면 각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명제어요청이 자동으로 생성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조명 제어기(230a~230n)를 선택하여 스케쥴링을 설정하는 경우,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각 조명 제어기(230a~230n) 별로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인 화면 상에서 히스토리 메뉴를 선택하면, 조명제어 에이전트(212)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명장치(240a~240n)의 누적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를 확인하기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한다. 이후, 히스토리를 확인하기 위한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대 별 소비 전력량 또는 일별 소비 전력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상단에 배치하고, 시간대 별 소비 전력량 또는 일별 소비 전력량을 나타내는 표를 하단에 배치한 화면을 출력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메인 화면 상에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조명제어 에이전트(212)는 사용자가 조명 제어기(230a~230n)의 설정, 조명장치(240a~240n)의 설정, 조명그룹 지정, 각종 센서들의 동작모드 설정, IP주소 등록 등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 설정, 사용자 등록/권한 설정 등과 같은 보안 설정, 임계값 설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설정, 신모드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조명제어 에이전트(240)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해당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들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설정 메뉴 상에서 조명 제어기(230a~230n)의 설정을 요청하면,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는 조명 제어기(230a~230n)의 검색요청을 생성하고, 조명 제어기(230a~230n)의 검색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기(230a~230n) 검색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검색된 조명 제어기(230a~230n) 목록을 UI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에이전트(212)는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UI를 제공함으로써 UI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거나, 미리 정해진 조명 제어 스케쥴에 따라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에이전트(212)는 제어부(220)로부터 UI의 리프레쉬(Refresh) 요청이 수신되면 UI를 리프레쉬 하고, 데이터베이스(219)로부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독출하여, 독출된 응답 데이터를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14)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에 의해 조명 제어 요청이 생성되면,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명령은, 각 조명 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디밍레벨 조절명령, 조명 제어기(230a~230n)의 검색을 위한 조명 제어기 검색 명령, 조명 장치(240a~240n)의 상태 확인을 위한 상태확인명령, 및 조명장치(240a~240n)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히스토리 검색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4)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응답 데이터의 출력을 위해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로 UI의 리프레쉬 요청을 생성하여 전송함과 동시에,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9)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복수개의 조명 제어 명령 생성과 복수개의 응답 데이터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쓰레드 풀(Thread Pool) 방식에 따라 조명 제어 명령과 응답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4)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212)에 의해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이 생성되면, 생성된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각각의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쓰레드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에 추가한 후, 생성된 쓰레드를 시작함으로써 각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이후, 각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214)는 해당 쓰레드를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여 응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 결과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처리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219)에 저장한다.
예컨대, 조명 제어 명령이 조명 제어기 검색명령인 경우 제어부(214)는 해당 쓰레드를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로부터 조명 제어기의 IP 주소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19)에 저장하고, 조명 제어 명령이 디밍레벨 조절명령인 경우 제어부(214)는 해당 쓰레드를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로부터 현재 조명장치(240a~240n)의 디밍레벨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19)에 저장한다. 또한, 조명 제어 명령이 상태확인 명령인 경우 제어부(214)는 해당 쓰레드를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로부터 조명장치(240a~240n)의 소비전류/전압/전력/온도 등과 같은 상태값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19)에 저장하고, 조명 제어 명령이 히스토리 검색명령인 경우 제어부(214)는 해당 쓰레드를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로부터 조명장치(240a~240n)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19)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매니져(216)는 제어부(214)에 의해 생성된 조명 제어 명령을 제1 무선 통신 모듈(218)로 전달하고, 제1 무선 통신 모듈(218)을 통해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제어부(214)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네트워크 매니져(216)는 무선 단말기(210)를 구성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의 레이어들 중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에 설치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매니져(216)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상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무선 통신 모듈(218)는 네트워크 매니져(216)로부터 전달되는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조명 제어기(230a~230n)로 전송하고, 조명 제어기(230a~230n)로부터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모듈(218)은 와이파이(Wi-Fi)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218)은 네트워크 매니져(216)로부터 전달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와이파이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조명 제어기(230a~230n)로 전달하고, 조명 제어기(230a~230n)로부터 와이파이 신호 형태로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219)에는 조명 제어 명령 또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2190)에는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조명장치(240a~240n)의 현재 디밍레벨, 조명 제어기(230a~230n)의 IP주소, 조명장치(240a~240n)의 소비전력/전류/전압/온도 등과 같은 조명장치(240~240n)의 상태정보값, 및 조명장치(240a~240n)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Meta data) 정보가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219)는 무선 단말기(210)에 포함되어 있는 SQ Lit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무선 단말기(210)가 조명 제어기에 직접 연결되고, 조명 제어 명령의 생성 및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처리가 모두 무선 단말기(210)를 통해 수행되므로, 조명 제어기에 연결되어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 제어 서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무선 단말기(210)가 조명 제어기에 직접 접속하여 조명 제어 명령을 조명 제어기에 직접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제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제어기(230a~230n)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220)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조명장치(240a~240n)의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기(230a~230n)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도 무선 액세스 포인트(220) 및 조명장치(240a~240n)에 직접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210)와 조명장치(240a~240n)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게 된다.
조명 제어 시스템(200)에 포함된 각 조명 제어기(230a~230n)의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조명 제어기(230a~230n)중 어느 하나의 조명 제어기(230a)를 기준으로 조명 제어기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조명 제어기(230a)는 복수개의 조명장치(240a~240n)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조명 제어기(230a)가 하나의 조명장치(240a)에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하나의 조명장치(240a)란 복수개의 조명장치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하나의 조명장치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기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230a)는 제2 무선 통신 모듈(510), 제어부(520), 컨버터 모듈(530), 전력미터(540), 메모리(550), 온도센서(560), 및 클럭 동기화부(570)를 포함한다.
도 5에서는 전력미터(540) 및 온도센서(560)가 조명 제어기(230a)의 필수구성인 것처럼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기(230a)는 전력미터(540)와 온도센서(560)를 직접 포함하지 않고 조명 제어기(230a)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된 외부의 전력미터나 외부의 온도센서로부터 소비 전력량 또는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250)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에 포함된 제1 무선 통신 모듈(218)과 무선 링크를 형성함으로써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을 제어부(52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은 와이파이(Wi-Fi)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은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와이파이 신호 형태의 조명 제어 명령을 직접 수신하게 된다.
또한, 제2 무선 통신 모듈(510)는 조명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때,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이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은 응답 데이터를 와이파이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통신 방법에 따라 조명 제어명령을 제어부(520)로 전송하거나 제어부(52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2 무선 통신 모듈(510)로부터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을 처리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먼저, 제어부(520)는 제2 무선 통신 모듈(510)로부터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이 디밍레벨 조절명령인 경우, 디밍레벨 조절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타겟 디밍(Dimming)레벨을 확인하고, 타겟 디밍레벨을 기초로 디밍레벨 조절명령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20)는 디밍레벨 조절명령에 포함되는 타겟 디밍레벨을 듀티비(Duty Ratio)로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밍레벨 조절명령에 포함된 타겟 디밍레벨이 30%인 경우, 제어부(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레벨 조절명령을 듀티비가 30%인 펄스로 구성되는 PWM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520)는 변환된 PWM 신호를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520)는 전력미터(540)에 의해 조명장치(240a)에 의해 소비되는 소비 전력량이 계측되면, 전력미터(540)로부터 조명장치(240a)의 소비 전력량을 수신하고, 수신된 소비 전력량을 메모리(55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20)는 전력미터(540)로부터 전송되는 소비 전력량을 소정 시간 단위로 누적한 값을 메모리(550)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20)는 전력미터(54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소비 전력량을 매 시간 단위로 누적하여 저장하거나, 일 별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520)는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조명 제어 명령이 히스토리 검색명령인 경우, 히스토리 검색명령에 상응하여 조명장치(240a)의 시간별 소비 전력량 및 일별 소비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550)로부터 독출한다. 제어부(520)는 독출된 조명장치(240a)의 시간별 소비 전력량 및 일별 소비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히스토리 정보로써 생성하여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을 통해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조명장치(240a)가 배치되어 있는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재실센서(582)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에 따라 조명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20)는 재실센서(582)로부터 상기 특정 공간에 재실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센싱값이 수신되면, 조명장치(240a)를 오프시키기 위한 PWM 신호(예컨대, 타겟 디밍레벨이 0%에 해당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재실센서(582)로부터 상기 특정 공간에 재실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센싱값이 수신되면, 조명장치(240a)를 온시키기 위한 PWM신호(예컨대, 타겟 디밍레벨이 100%에 해당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520)는 조명장치(240a)가 배치되어 있는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조도센서(584)로부터 해당 특정 공간의 현재 조도레벨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도레벨과 미리 정해진 타겟 조도레벨을 비교하여 현재 조도레벨이 타겟 조도레벨이 되게 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20)는 조도센서(584)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공간의 현재 조도레벨이 미리 정해진 타겟 조도레벨보다 낮은 경우, 현재 조도레벨과 타겟 조도레벨간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조도레벨만큼 현재 조도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조도센서(584)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공간의 현재 조도레벨이 미리 정해진 타겟 조도레벨보다 높은 경우, 현재 조도레벨과 타겟 조도레벨간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조도레벨만큼 현재 조도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20)는 재실센서(582)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이나 조도센서(584)로부터 수신된 현재 조도레벨을 메모리(550)에 기록하고,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확인명령에 따라 재실센서(582)의 센싱값이나 조도센서(584)에 의해 센싱된 현재 조도레벨을 상태확인결과로써 무선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조명장치(240a)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명장치(240a)에 탑재되어 있는 팬(Fan, 586)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메모리(540)에 저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520)는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상태확인명령이 수신되면, 상태확인명령에 상응하여 조명장치(240a)의 팬(586) 상태 정보를 메모리(550)로부터 독출한다. 제어부(520)는 독출된 팬(586) 상태 정보를 상태확인결과로써 생성하여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을 통해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때, 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팬(586)의 온/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온/오프 신호를 팬(586)으로 전송함으로써 팬(586)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520)가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팬(586)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서 팬(58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20)는 팬(586)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팬(586)의 온/오프를 직접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어부(520)는 팬(586)의 상태 정보를 통해 팬(586)이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임에도 팬(586)이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팬(586)을 동작시키기 위한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팬(586)으로 공급하거나, 팬(586)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팬(586)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오프신호를 생성하여 팬(586)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온도센서(560)로부터 조명장치(240a)의 온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도정보(240a)를 메모리(550)에 저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520)는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상태확인명령이 수신되면, 상태확인명령에 상응하여 조명장치(240a)의 온도 정보를 메모리(550)로부터 독출한다. 제어부(520)는 독출된 조명장치(240a)의 온도정보를 상태확인결과로써 생성하여 제2 무선 통신 모듈(510)을 통해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컨버터 모듈(530)은 제어부(520)로부터 PWM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PWM 신호를 타겟 디밍레벨에 상응하는 타겟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버터 모듈(530)은 PWM 신호를 0V 내지 10V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컨버터 모듈(530)이 출력할 수 있는 최소 전압 레벨은 "0V"이고, 컨버터 모듈(530)이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압 레벨은 "10V"이다. 이때, 0V의 전압레벨은 조명장치(240a)를 오프시키기 위한 전압신호에 해당하고, 10V의 전압레벨은 조명장치(240a)의 디밍레벨이 100%일때의 전압신호에 해당하는 것이다.
컨버터 모듈(530)은 제어부(520)로부터 수신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확인하고, 확인된 듀티비를 미리 정해져 있는 전압 신호의 최대 전압 레벨(예컨대, 10V)로 제산함으로써 타겟 전압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20)로부터 수신된 PWM신호의 듀티비가 30%로 확인된 경우, 컨버터 모듈(530)은 PWM 신호의 듀티비인 30을 최대 전압 레벨인 10으로 제산함으로써 타겟 전압레벨인 3V를 산출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버터 모듈(530)은 OP(Operational Amplifier)앰프(510)를 이용하여 PWM신호를 0V 내지 10V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컨버터 모듈(530)은 타겟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를 조명장치(240a)의 전원 공급부(590)로 공급한다. 이때, 조명장치(240a)의 전원 공급부(59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조명장치(240a)의 전원 공급부(590)는 컨버터 모듈(530)로부터 0V 내지 10V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압레벨 별로 매칭되어 있는 조명장치(240a)의 구동전압레벨(예컨대, 24V 내지 55V)에 상응하는 전압을 조명장치(240a)의 조명(594)으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조명(594)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미터(540)는 조명장치(240a)의 전원 공급부(590)로부터 조명장치(240a)의 조명(592)으로 공급되는 전력량, 즉, 조명장치(240a)에 의해 소비되는 소비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계측된 소비 전력량을 제어부(520)로 전달한다.
도 5에서는 전력미터(540)를 이용하여 조명장치(240a)의 실시간 소비 전력량을 계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명장치(240a)로 공급되는 전압(소비전압) 및 조명장치(240a)로 공급되는 전류(소비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소비전압과 소비전류를 승산함으로써 조명장치(240a)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조명 제어기(230a)는 전력미터(540) 대신에 전압 검출기(미도시) 및 전류 검출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제어부(520)는 전압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소비전압을 전압 검출기로부터 수신하고,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소비전류를 전류 검출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소비전압과 소비전류를 승산하여 조명장치(240a)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게 된다. 제어부(520)는 조명장치(240a)의 소비전압, 소비전류, 및 소비 전력량을 모두 메모리(55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520)는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상태확인명령이 수신되면, 조명장치(240a)의 소비전압/소비전류/소비전력량을 상태확인결과로 생성하여 무선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550)에는 전력미터(540)에 의해 산출된 실시간 소비 전력량과 제어부(520)에 의해 산출된 소정 시간 단위의 누적 소비 전력량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50)에는 조명장치(240a)의 소비전압 및 소비전류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메모리(550)에는 제어부(520)에 의해 모니터링된 팬상태 정보, 조명장치(230a)의 온도정보, 또는 조명장치(230a)의 에러 발생 이력(History)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센서(560)는 조명 제어기(230a)내에 설치되어 조명 제어기(230a)와 직접 접촉되어 있는 조명장치(240a)의 온도를 센싱한다. 온도센서(560)는 조명장치(240a)의 온도정보를 제어부(520)로 전송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520)는 온도센서(560)에 의해 센싱된 조명장치(240a)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조명장치(240a)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온도센서(560)에 의해 센싱된 조명장치(240a)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조명장치(240a)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팬(586)을 구동시키기 위한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팬(586)으로 공급하거나 조명장치(240a)을 오프시키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컨버터 모듈(53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클럭 동기화부(570)는 조명 제어기(240a)의 시간을 무선 단말기(210)의 시간에 동기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럭 동기화부(570)는 내부 타이머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을 무선 단말기(210)의 내부 타이머에 발생되는 클럭과 일치시킴으로써 조명 제어기(240a)의 시간을 무선 단말기(210)의 시간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럭 동기화부(570)로 인해 무선 단말기(210)와 조명 제어기(230a)의 시간이 일치될 수 있어, 무선 단말기(210)가 조명장치(240a)를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직류전원 공급부(585)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미리 정해진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조명 제어기(230a)의 각종 구성요소들로 공급한다. 일 실시에에 있어서, 직류전원 공급부(585)는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명 제어기(230a)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200)은, 일반적인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조명제어서버 및 조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배선이 요구되지 않게 되어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명 제어 시스템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
이하, 도 6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조명 제어 에이전트가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한다(S6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UI를 제공하고, UI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에이전트는, 미리 설정된 조명 제어 스케쥴에 따라 해당 시점이 도래할 때마다 조명 제어 요청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조명 제어 요청은 복수개의 조명 제어기에 대한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이 각각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에 의해 조명 제어 요청이 생성되면, 생성된 조명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Thread Pool)에 추가한다(S610).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쓰레드 풀 방식으로 이용하여 조명 제어 명령을 처리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제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추가된 쓰레드를 시작하여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한다(S6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장치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디밍레벨 조절명령, 조명 제어기의 검색을 위한 조명 제어기 검색명령, 조명장치의 상태 확인을 위한 상태확인명령, 및 조명장치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히스토리 검색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에 의해 조명 제어 명령이 생성되면, 네트워크 매니져는 조명 제어 명령을 제1 무선 통신 모듈로 전달하고(S630),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 매니져로부터 전달된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에 따라 조명 제어기로 전송한다(S6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변환된 조명 제어 명령을 와이파이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조명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와이파이 신호로부터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여 네트워크 매니져로 전달하고(S650), 네트워크 매니져는 획득된 응답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한다(S660).
이후, 제어부는 해당 쓰레드를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응답 데이터로부터 조명 제어 명령의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조명 제어 에이전트로 UI의 리프레쉬를 요청한다(S670).
예컨대, 처리결과는 조명장치의 현재 디밍레벨, 조명 제어기들의 IP주소 목록, 조명장치의 소비전력/전류/전압/온도 등과 같은 조명장치의 상태정보값, 및 조명장치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Meta data)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조명제어 에이전트는 UI를 리프레쉬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독출하여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출력한다(S680).
상술한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무선 조명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조명 제어기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30a~210n: 조명 제어기 220a~220n: 조명장치
230: 휴대용 단말기 240: 조명제어 에이전트
250: 무선 액세스 포인트 510: 무선 통신 모듈
520: 제어부 530: 컨버터 모듈
540: 전력미터 550: 메모리
560: 온도센서 570: 클럭 동기화부

Claims (12)

  1.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고,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조명 제어 에이전트;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Thread Pool)에 추가하고, 추가된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각 조명 제어 요청 별로 쓰레드를 생성하여 상기 쓰레드 풀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각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각 조명 제어 명령을 동시 처리하고,
    상기 각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각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쓰레드 풀의 대응되는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각 응답 데이터를 동시 분석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조명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UI 리프레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응답 데이터를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조명 제어 에이전트로 UI 리프레쉬(Refresh)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조명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UI 리프레쉬 요청에 따라 UI를 리프레쉬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를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에이전트는, 미리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복수개의 조명 제어기로 전달할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은,
    상기 조명장치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디밍레벨 조절명령, 상기 조명 제어기의 검색을 위한 조명 제어기 검색명령, 상기 조명장치의 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장치 상태확인명령, 및 상기 조명장치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히스토리 검색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변환된 PWM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 공급부로 입력하는 컨버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7.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무선 단말기에 의한 조명 제어 방법으로서,
    UI(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요청이 생성되면, 상기 조명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쓰레드 풀(Thread Pool)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추가된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조명 제어 명령을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제어기로부터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PWM 신호를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전압레벨을 갖는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 공급부로 공급함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 요청은 복수개의 조명 제어기로 전달할 복수개의 조명 제어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하는 단계에서, 각 조명 제어 요청 별로 쓰레드를 생성하여 상기 쓰레드 풀에 추가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조명 제어 요청 별로 추가된 쓰레드를 통해 상기 각 조명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각 조명 제어 명령을 동시 처리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조명 제어 명령에 대한 각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쓰레드 풀의 대응되는 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각 응답 데이터를 동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리프레쉬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를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응답 데이터를 상기 리프레쉬된 UI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UI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거나, 미리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명령은,
    상기 조명장치의 디밍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디밍레벨 조절명령, 상기 조명 제어기의 검색을 위한 조명 제어기 검색명령, 상기 조명장치의 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장치 상태확인명령, 및 상기 조명장치의 누적된 전력량 또는 에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히스토리 검색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방법.
KR1020140023913A 2014-02-28 2014-02-28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167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13A KR101679906B1 (ko) 2014-02-28 2014-02-28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13A KR101679906B1 (ko) 2014-02-28 2014-02-28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62A KR20150102262A (ko) 2015-09-07
KR101679906B1 true KR101679906B1 (ko) 2016-12-06

Family

ID=5424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13A KR101679906B1 (ko) 2014-02-28 2014-02-28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680B1 (ko) * 2015-11-11 202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KR20180062036A (ko)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7433A1 (en) * 2012-05-08 2013-11-21 Lextar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 method of lam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807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6806B1 (ko) * 2011-11-08 2013-07-17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101299295B1 (ko) * 2013-03-14 2013-08-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7433A1 (en) * 2012-05-08 2013-11-21 Lextar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 method of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62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513B2 (en) Associating wireless control devices
US11146030B2 (en) Techniques for integrating wireless functionality in a power outlet
US9575472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ergy management and other applications
US92076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electrical devices at a building structure
US20120043909A1 (en) LED Luminaires Power Supply
US8581439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including controllable transfer switches
JP2009536779A (ja) 一体化された照明制御モジュールおよび電源スイッチ
WO2018020765A1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677168B2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03693A1 (e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4136585A1 (ja) 計測システム、統合コントローラ、センサ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162000A1 (en) Device registration apparatus and device registration method
KR102626524B1 (ko) 시스템의 상태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2222898A (ja) 電力測定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679906B1 (ko) 무선 단말기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US9913353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battery powered control devices
US9538626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WO2012086705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移動端末
US9934680B2 (en) Managing the control of an electrical device controllable by infrared control signals
KR20150078532A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무선 조명 제어 방법
US2017027316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US201603367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sources for a plurality of luminaires
JP2020056744A (ja) スマートタップ
WO2018193856A1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4064190A (ja) 管理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