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555B1 -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555B1
KR101679555B1 KR1020147014489A KR20147014489A KR101679555B1 KR 101679555 B1 KR101679555 B1 KR 101679555B1 KR 1020147014489 A KR1020147014489 A KR 1020147014489A KR 20147014489 A KR20147014489 A KR 20147014489A KR 101679555 B1 KR101679555 B1 KR 10167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antenna element
impedance
patch radiator
ground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760A (ko
Inventor
키치너 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4009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8Resonant slot antennas the slot being backed by, or formed in boundary wall of, a resonant cavity ; Open cavity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01Q9/043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using two feed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주파수 대역 내에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는 접지 평면(4), 패치 방사체(2), 종단 임피던스를 가지는 급전 네트워크로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을 위한 연결점(14a) 및 두 개의 종단들을 가지는 프로브(8a)를 포함한다. 프로브(8a)는 접지 평면(4)과 패치 방사체(2) 사이에 위치하고, 패치 방사체(2)는 패치 방사체(2)와 접지 평면(4) 사이에 공진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접지 평면(4)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접지 평면(4)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 전송 선로(10a)를 포함하고, 전송 선로(10a)는 프로브(8a)의 종단(9a)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의 종단(9a)에서의 임피던스가 변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배열된다. 전송 선로(10a)는 패치 방사체(2)와 접지 평면(4) 사이의 공진 캐비티 범위 내에 포함된다.

Description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PATCH ANTENNA ELEMENT}
본 발명은 안테나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편파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dual polar probe-fed patch antenna element)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특히 셀룰러 무선 기지국들에서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사용되는 안테나들에 대한 상당한 수요가 있다. 안테나들은 예를 들어 무선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이 다른 안테나들의 커버리지 영역과 제어된 오버랩(overlap)을 가지도록 방위각 측면에서 정의된 빔 폭을 가지는 방사 패턴을 출력하도록 요구된다. 상기 안테나들은 예를 들어 트리-셀룰러 배열(tri-cellular arrangement) 또는 6-섹터 배열로서 좁은 빔 폭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는 안테나 엘리먼트 형태에서 단일 방사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들은 신호들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되거나 송수신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안테나 엘리먼트는 동작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레시프로컬(reciprocal)하며, 즉 동일 특성을 가지고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는 일반적으로 특정 종단 임피던스(terminating impedance), 일반적으로는 50Ω을 가지는 급전 네트워크(feed network)에 연결될 것이며, 급전 네트워크는 간단하게는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송신기 또는 수신기와 같은 무선 시스템 내의 다른 요소들로 연결시키는 동축 케이블 또는 인쇄된 트랙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무선 시스템들은 각 안테나 엘리먼트가 직교 편파를 가지는 신호들의 성분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엘리먼트는 수직으로 ±45도에서 선형으로 편파된 성분들을 수신하도록 배열될 것이며, 각 안테나 엘리먼트들은 전형적으로 각 편파의 신호들을 위한 분리된 급전 네트워크를 가질 것이다.
주지된 타입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probe-fed patch antenna)이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들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 금속 도체 형태로 방사 패치를 사용하며, 상기 방사 패치는 금속 도체 형태의 프로브에 의해 급전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상기 프로브는 주어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방사 속성들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된 급전점에서 상기 패치에 연결된다. 이중 편파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를 위해, 2개의 프로브들이 사용되며, 각 프로브는 편파용 급전 네트워크에 각기 연결되며, 원하는 편파를 여기시킬 각 급전점에서 상기 패치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패치와 접지 평면 사이에 형성된 공진 캐비티(resonant cavity)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는 종래에는 상기 패치로부터 상기 접지 평면의 반대면 상에서 연결용 캐비티를 통하여 급전 네트워크로 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는 상기 프로브에서 측정시 유도 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를 포함하는 임피던스를 가진다. 상기 패치를 상기 급전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몇 가지 형태의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이것은 상기 임피던스의 리액티브 성분을 보상하도록 상기 프로브와 상기 패치 사이의 캐패시턴스 커플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캐비티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존하며, 실제 임피던스, 즉 저항 성분의 변환이 또한 요구될 수 있다.
마이크로-셀룰러 기지국들의 커버리지 내에서 갭들을 채우려고 하는 작은 기지국들 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이즈, 특히 상기 패치에 수직하게 측정된 두께의 견지에서의 사이즈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얕은 캐비티(shallow cavity)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으나, 이는 두 복소 성분 임피던스 정합을 요구할 수 있으며, 복소 성분은 리액티브와 실수, 즉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임피던스 대 상기 패치의 임피던스의 일부분인 레지스티브(resistive)이다. 레지스티브 정합은 적절한 길이의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나, 상기 프로브와 상기 급전 네트워크로의 연결점 사이의 네트워크의 실현은 일반적으로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며, 얕은 캐비티의 이익을 반감시킨다.
본 발명은 종래 시스템들의 제한들을 어드레스(address)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내에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는 접지 평면; 패치 방사체; 종단 임피던스를 가지는 급전 네트워크로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을 위한 연결점; 및 두 개의 종단들을 가지는 프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접지 평면과 상기 패치 방사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치 방사체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에 공진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 전송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프로브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의 종단에서의 임피던스가 변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배열되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공진 캐비티 범위 내에 포함된다.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공진 캐비티 내에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이익은 상기 공진 캐비티 외부에 전송 선로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상기 전송 선로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의 트랙으로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전송 선로를 위한 접지 평면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접지 평면을 가지는 경우 금속 스트립으로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금속 스트립 라인은 방사될 것이며, 차폐(shield) 없이 상기 접지 평면의 반대측으로부터 간섭을 개선한다. 상기 패치 방사체는 또한 간섭을 방사하고 수신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전송 선로가 상기 캐비티 내에 있다면 상기 전송 선로와 상기 패치 방사체 사이의 상호 작용될 것이고, 상기 공진 캐비티의 공진 속성들은 상기 전송 선로의 존재에 의해 영향받을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는 기대한다. 종래에는 분리된 캐비티와 전송 선로와 같은 무선 주파수 회로 부분들을 설계하였으며, 상기 무선 주파수 회로 부분들은 디자인 과정을 간단히 하고 원하지 않는 상호 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특히 상기 회로 부분들이 방사할 것을 기대하는 경우, 각기 분리된 공간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당업자는 상기 공진 캐비티 내에 전송 선로를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대한 바와 대조적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에 따라 설계된 안테나 엘리먼트는 우수한 입력 정합 및 잘 제어되는 방사 패턴을 가지며 우수하게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패치 방사테에 연결된 일 종단 및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을 제공하는 타종단을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을 상기 연결점에 연결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상기 전송 선로가 상기 연결점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점의 임피던스를 변환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주도록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상기 급전점의 임피던스가 종단 임피던스보다 작은 실수 성분을 가질 경우에서조차도 상기 종단 점의 임피던스가 개략적으로 적어도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와 정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급전점으로의 전송 선로의 길이는 상기 주파수 대역 범위 내의 주파수에서 0.2 내지 0.5 파장 범위 내이다. 이것은 상기 급전점과 상기 연결점 사이의 임피던스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길이 범위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결정된 길이의 정합 스터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합 스터브의 일 종단은 상기 연결점에서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점에서 정합 스터브를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하는 것은 요구하는 용량성 커플링없이 효과가 발생하는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한 임피던스 변환에 추가하여 임피던스 변환이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량성 커플링이 상기 패치 방사체의 전도성 연결 부분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전도성 방사 부분 사이의 비전도성 갭을 제공함에 의해 구현되면, 상대적으로 고가인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동성 및 비전도성 부분들을 포함하는 복합 물질로 상기 패치 방사체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용량성 커플링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상기 패치 방사체는 제조하기에 더 간단하고 더 싼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로 연결된 종단으로부터의 상기 정합 스터브의 타 종단은 상기 접지 평면에 대하여 개방 회로이다. 개방 회로를 이용하면 상기 접지 평면에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합 스터브의 길이는 션트 캐패시턴스(shunt capacitance)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션트 캐패시턴스는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한 상기 패치 방사체로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의 변환으로부터 기인한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임피던스를 변환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의 길이는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10㏈ 반사 손실보다 우수하도록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값에 충분히 근접한 값으로 상기 션트 캐패시턴스에 의해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은 더 전력이 수신 또는 전송되고 반사로 인한 원하지 않는 결과들이 감소하는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합 스터브는 상기 주파수에서 0.1 내지 0.3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에서 0.3 내지 0.5 범위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값들은 우수한 임피던스 정합 속성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에서 실질적으로 0.39 파장의 길이를 가진다. 이 값이 특히 이익됨을 발견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종단으로부터의 상기 정합 스터브의 타 종단은 상기 접지 평면에 대하여 단락 회로이다. 이는 상기 전송 선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좀 더 넓은 대역 동작이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합 스터브의 길이는 션트 인덕턴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션트 인덕턴스는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한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 변환으로부터 기인한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의 길이는 상기 션트 인덕턴스에 의해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의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10㏈ 반사 손실보다 우수하도록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값에 충분이 가까운 값으로 변환시키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합 스터브는 상기 주파수에서 0.05 내지 0.2 파장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에서 0.2 내지 0.4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진다. 이 값들이 특히 이익됨을 알게 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에서 실질적으로 0.26 파장의 길이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캐패시턴스에 의해 상기 패치 방사체에 연결된다. 이는 정합 스터브가 상기 연결점에서 요구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치 방사체는 전도성 방사 부분으로부터 비전도성 부분에 의해 분리된 전도성 연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급전점은 상기 연결 부분 상에 있고,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연결 부분과 상기 방사 부분 사이의 캐패시턴스에 의해 제공된다. 이는 우수한 무선 주파수 속성들을 가지는 캐패시턴스가 경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가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해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주도록 변환될 때,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는 상기 급전점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방사 부분 사이의 직접적인 커플링의 경우에서보다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깝다. 이는 우수한 임피던스 정합이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의 리액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취소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전송 선로가 기인하는 임피던스를 종단 임피던스에 가깝도록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2 내지 0.3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진다. 이는 특히 효과적인 범위의 값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실질적으로 1/4 파장의 길이를 가진다. 이는 특히 효과적인 값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연결점에서의 측정시 상기 급전점에서의 상기 임피던스 값의 실수부를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의 실수부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다. 이러한 임피던스 값은 효과적인 변환을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30-40Ω의 범위 내이다. 이는 특히 효과적인 값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접지 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접지 평면에 수직한 전도성 배리어(barrier)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배리어는 상기 공진 캐비티를 정의하는 울타리(enclosure)의 벽들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울타리는 상기 패치 방사체에 의해 정의된 상면 및 상기 접지 평면에 의해 정의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 방사체의 주변 및 상기 배리어 사이에 비전도성 갭이 주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치 방사체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치 방사체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다. 사각형 패치 방사체는 다른 사각 장치를 가지고 패키징하기에 편리할 수 있는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위한 사각 아웃라인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전송 선로가 제조되기 편리하고 상기 전송 선로가 고체 유전체보다 손실이 적은 두드러지게는 공기인 유전체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트랙으로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전송 선로가 제조하기에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는 비전도성 스페이서들에 의해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지지된다. 이는 제어된 임피던스와 낮은 손실을 가지는 전송 선로를 제조하는 편리한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패치 방사체에 수직한 관계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전송 선로로 내장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는 납땜된 연결이 상기 프로브와 상기 전송 선로 사이에 요구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이고,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종단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 2 급전 네트워크로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점 및 두 개의 종단들을 가지는 제 2 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로브는 상기 접지 평면과 상기 패치 방사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 제 2 전송 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송 선로는 상기 제 2 프로브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프로브의 종단에서의 임피던스가 변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배열되며, 상기 제 1 전송 라인 및 상기 제 2 전송 라인 둘 모두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상기 공진 캐비티 내에 포함된다.
이는 단일 패치가 2개의 편파들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전송 선로들 사이의 커플링이 직교 편파 격리도(cross-polar isolation)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진 캐비티 내에 제 1 및 제 2 전송 선로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질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실시예의 견지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공진 캐비티 내에 전송 선로를 포함시키며, 그 결과 상기 공진 캐비티 외부에 전송 선로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우수한 입력 정합 및 잘 제어되는 방사 패턴을 가지며 우수하게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98㎒ 아래로 연장된 1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엘리먼트를 가지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단면 X-X에 따른 도 1의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단면 Y-Y에 다른 도 1의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단면 X-X에 따른 도 1의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원형 패치 방사체(22)를 포함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 회로 종단(44a 및 44b)을 가지는 정합 스터브들(46a 및 46b)을 포함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로브들(28a 및 28b)과 패치 방사체 사이의 용량성 연결을 포함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2 : 패치 방사체 4 : 접지 평면
9a,9b : 급전점 10a,10b : 전송 선로
12a,12b : 프로브 14a,14b : 연결점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2% 빔폭 범위의 약 700㎒에서 동작하는 캐리어 주파수의 셀룰러 무선 시스템에 이용되는 프로브-급전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의 맥락에서 상술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이 500㎒ 내지 3㎓의 범위 내 또는 이 범위 밖의 주파수에서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빔폭은 상술되는 실시예ㅇ에서의 빔폭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특정 무선 시스템의 형태를 가지고 사용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안테나 엘리먼트들은 단일로 이용될 수도 있고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어레이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는 이중 편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일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들(single polar antenna elements)을 포함한다.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의 종래 설계에서, 상기 프로브는 연결을 위한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를 통하여 패티 안테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접지 평면의 반대 측 상의 급전 네트워크로 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로브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통하여 상기 패치 방사체의 방사부로 연결되며, 캐패시턴스는 상기 패치 안테나의 연결부, 예를 들어 작은 디스크와 상기 패치 방사체의 방사부 사이의 비도전 갭(non-conducting gap)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턴스는 무선 시스템들, 예를 들어 급전 네트워크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는 50Ω 표준 종단 임피던스에 가까운 원하는 실수 임피던스가 실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의 인덕턴스를 보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시스템에서 함께 연결되는 무선 주파수 스테이지들(stages)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스테이지들 사이의 전력 전달을 최대화하고 반사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이다. 반사 손실(return loss)은 표준 종단 임피던스로 연결시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된 전력의 측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 사이의 우수한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함에 의해 반사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0㏈보다 우수한 반사 손실은 일반적으로 안테나를 위해 특정될 수 있으며, 전력의 10% 이하가 연결점(connection point)으로부터 반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의 두께가 감소하면, 상기 프로브는 캐패시티브 보상 후 일반적으로 50Ω의 표준 종단 임피던스의 실수 성분, 즉 레지스티브(resistive)를 가지는 임피던스로 표현될 것이다. 이것은 주로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감소된 클리어런스(clearance)로 인해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급전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의 두께가 감소되며, 그로 인하여 낮은 임피던스가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캐비티 내에 포함된 전송 선로의 길이를 이용함에 의해 보상된다. 이는 그렇치 않으면 캐비티 외부에 있으면 전송 선로를 수용하는데 필요될 별도의 높이 또는 폭을 절약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98㎒ 아래로 연장된 1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엘리먼트를 가지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 엘리먼트는 마이크로-셀룰러 기지국들의 커버리지 내의 갭들을 채우기 위한 작은 기지국 내에 사용되기 위해 설계될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안테나 엘리먼트의 사이즈는 약 25㎜로 제한된 패치에 수직하게 측정된 두께 견지 및 평면도의 면적 견지 둘 모두에서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엘리먼트는 약 120도 빔폭의 방위각 내로 빔을 생성하도록 요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는 접지 평면(4), 패치 방사체(2), 2개의 전송 선로들(10a 및 10b) 및 각 전송 선로를 주어진 편파를 가지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 또는 전송될 각 채널을 위한 급전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2개의 연결 점들(connection points, 14a 및 14b)을 포함한다. 패치 방사체(2)는 패치 방사체(2)와 접지 평면(4) 사이에 공진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접지 평면(4)과 병렬 관계로 배열되며, 각 전송 선로들(10a 및 10b)은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다. 각 전송 선로는 상기 패치 방사체의 각 급전점(9a 및 9b)을 각 연결점(14a 및 14b)으로 연결시키도록 배열되며,급전점(9a 및 9b)은 각 프로브(8a 및 8b)의 종단일 수 있다. 각 프로브는 상기 급전점으로 동작하는 종단(9a 및 9b)으로부터 프로브(12a 및 12b)의 다른 종단에서 상기 패치 방사체로 연결된다. 각 전송 선로들(10a 및 10b)은 연결점(14a 및 14b)으로부터 패치 방사체(2)의 급전점(9a 및 9b)으로의 길이를 가지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가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일반적으로는 상기 대역의 약 중심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보다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주도록 변환된다. 대안적으로, 임피던스 정합이 상기 대역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거나 상기 대역의 어느 부분도 특정양보다 나쁜 임피던스 정합을 가지지 않도록,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대역 범위 내의 소정 주파수들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전송 선로들(10a 및 10b)은 패치 방사체(2)와 접지 평면(4) 사이의 공진 캐비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연결점들(14a 및 14b)에 연결된 각 편파를 위한 급전 네트워크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동축 케이블들(16a 및 16b)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스터브(20a 및 20b)는 각 연결점(14a 및 14b)에서 각 전송 선로들(10a 및 10b)에 연결된다. 정합 스터브들(20a 및 20b)은 종래 패치 안테나에서 얻어진 바와 같은, 상기 패치 방사체로의 연결을 위한 용량성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을 요구함이 없이, 전송 선로들(10a 및 10b)에 의해 도입된 임피던스 변환에 추가적으로 임피던스 변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로 연결된 종단으로부터 상기 정합 스터브들의 반대 종단은 상기 접지 평면에 대하여 개방 회로이며, 그 결과 단락 회로를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은 접지 평면으로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고, 이는 제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정합 스터브의 길이는 션트 캐패시턴스(shunt capacitance)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션트 캐패시턴스의 값은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한 상기 패치 방사체로의 급전점들에서의 임피던스 변환에 추가하여, 각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추가적으로 변환하도록 선택된다. 임피던스의 추가적인 변환의 결과로서, 연결점들(14a 및 14b)에서의 임피던스는 상기 요구되는 종단 임피던스, 50Ω에 좀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전송 선로들 및 상기 정합 스터브들에 의해 일어나는 임피던스 변환들은 동작 대역에 대하여 최상의 정합을 생성하도록 결합 설계될 수 있다. 각 전송 선로(10a 및 10b)의 길이는 각 급전점(9a 및 9b)에서의 임피던스 변환을, 10㏈ 반사 손실보다 우수하도록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값에 충분히 근접한 값으로 상기 션트 캐패시턴스에 의해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합 스터브들은 상기 동작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1 내지 0.3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들은 0.3 내지 0.5 파장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진다. 도 1에 보여진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송 선로들은 실질적으로 0.39 파장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정합 스터브들은 약 0.2 파장의 길이를 가진다.
도 1에서 보여진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 평면은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를 제공하는 주변부를 두르는 전도성 벽들(6)을 가진다. 상기 벽들은 상기 접지 평면에 연결된 전도성 배리어(barrier)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 평면에 수직하다. 벽들(6)은 상기 공진 캐비티를 정의하는 울타리(enclosure)를 형성하며, 상기 울타리는 상기 패치 방사체에 의해 정의되는 상면 및 상기 접지 평면에 의해 정의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성 갭(non-conductive gap)은 패치 방사체(2)의 주변과 벽들(6)의 사이에 제공된다.
도 1에 보여진 실시예에서, 각 전송 선로(10a 및 10b)는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스트립은 제조하기에 편리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 스트립일 수 있다. 상기 전송 선로는 두드러지게는 고체 유전체보다 작은 손실을 드러내는 공기인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전송 선로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트랙(track)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보여진 실시예에서, 패치 방사체(9a 및 9b)의 각 급전점은 상기 패치 방사체에 수직하게 연결된 프로브(8a 및 8b)의 종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브(8a 및 8b)는 전송 선로(10a 및 10b)에 내장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각 프로브는 각 전송 선로(10a 및 10b) 및 패치 방사체(2)에 납땜된 예를 들어 직경 1.5㎜의 금속 로드(metallic rod)일 수 있다.
도 2는 단면 X-X에 따른 도 1의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것은 패치 방사체(2)에 연결된 프로브들(8a 및 8b)을 보여주고, 연결점들(14a 및 14b)에서 각 전송 선로를 통하는 단면은 동축 케이블들(16a 및 16b)로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3은 단면 Y-Y에 다른 도 1의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송 선로(10b)는 상기 접지 평면과의 병렬 관계로 비전도성 스페이서들(18a, 18b, 18c, 18d 및 18e)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제어된 임피던스 및 낮은 손실을 가지는 전송 선로를 제조하는 편리한 방법이다.
도 4는 단면 X-X에 따른 도 1의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상기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는 전도성 덮개(42)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폴리카보네이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원형 패치 방사체(22)를 포함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평면(24)은 벽들(24)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주요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의 패치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동작과 유사하다. 전송 선로들(30a 및 30b)의 치수, 개방 회로 스터브들(40a 및 40b) 및 프로브들(28a 및 28b)은 도 1에서와 유사하며, 프로브들(28a 및 28b)은 각기 상기 패치 안테나에 연결되는 일 종단(32a 및 32b) 및 상기 패치 방사체용 급전점으로서 각 전송 선로에 연결된 타종단(29a 및 29b)을 가진다. 동축 케이블들(36a 및 36b)은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연결점들(34a 및 34b)에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 회로 종단(44a 및 44b)을 가지는 정합 스터브들(46a 및 46b)을 포함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것은 개방 회로 종단을 가지는 스터브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전송 선로들(48a 및 48b)의 길이가 감소되어 더 넓은 대역 동작이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정합 스터브들과 접지 평면 사이의 납땜 연결을 위한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각 정합 스터브(46a 및 46b)의 길이는 션트 인덕턴스(shunt inductance)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션트 인덕턴스는 각 전송 선로(48a 및 48b)에 의한 패치 방사체의 각 급전점(9a 및 9b)에서의 임피던스 변환으로부터 기인하는 각 연결점(14a 및 14b)에서의 임피던스를 동작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되거나 동작 대역에서의 수 점들에서 최적화된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 전송 선로(48a 및 48b)의 길이는 10㏈ 반사 손실보다 우수하도록 각 급전점, 이 경우에서는 각 프로브(9a 및 9b)의 종단(9a 및 9b)에서의 임피던스를 상기 션트 인덕턴스에 의해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값(terminating value)에 충분히 가까운 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정합 스터브(46a 및 46b)는 0.05 내지 0.2 파장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각 전송 선로(48a 및 48b)는 0.2 내지 0.4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송 선로(48a 및 48b)는 실질적으로 0.26 파장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정합 스터브들(46a 및 46b)은 약 0.1 파장의 길이를 가진다.
도 7은 프로브들(28a 및 28b)과 패치 방사체 사이의 용량성 연결을 포함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전송 선로(52a 및 52b)는 상기 용량성 연결의 캐패시턴스에 의해 상기 패치 방사체에 연결된다. 이것은 정합 스터브들이 연결점들(54a 및 54b)에서 요구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치 방사체는 전도성 방사 부분(conductive radiating part)으로부터 비전도성 부분(50a 및 50b)에 의해 분리된 전도성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각 전송 선로(52a 및 52b)에 연결된 각 급전점(29a 및 29b)은 각 프로브(28a 및 28b)의 일 종단이며, 각 프로브는 그의 타 종단(32a 및 32b)에서 상기 패치 방사체의 각 연결부(connecting part)로 연결된다.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패치 방사체의 방사부 사이의 캐패시턴스에 의해 제공된다. 이것은 우수한 무선 주파수 속성들을 가지는 캐패시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패치 방사체의 각 급전점(29a 및 29b)에서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각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가 각 전송 선로(52a 및 52b)에 의한 각 연결점(54a 및 54b)에서의 임피던스를 주도록 변환될 때, 각 연결점(54a 및 54b)에서의 임피던스는 상기 급전점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방사부 사이의 직접적인 커플링일 경우보다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깝게 된다.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 범위 내의 주파수에서 각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의 리액티브 부분(reactive part)을 실질적으로 취소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전송 선로(52a 및 52b)는 0.2 내지 0.3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전송 선로(52a 및 52b)는 실질적으로 1/4 파장의 길이를 가진다. 각 전송 선로는 각 연결점(54a 및 54b)에서 측정될 때, 각 급전점(28a 및 28b)에서의 임피던스 값의 실수부를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의 실수부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30-40Ω 범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피던스는 약 35Ω이다.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들에서, 단일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의 편파들 중 하나를 위해 사용되는 예를 들어 상기 프로브, 전송 선로 및 연결점 요소들을 생략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2)

  1. 주파수 대역 내에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에 있어서,
    접지 평면;
    패치 방사체;
    종단 임피던스를 가지는 급전 네트워크로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을 위한 연결점;
    두 개의 종단들을 가지는 프로브; 및
    정합 스터브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접지 평면과 상기 패치 방사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치 방사체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에 공진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 전송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프로브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의 종단에서의 임피던스가 변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배열되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공진 캐비티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정합 스터브의 일 종단은 상기 연결점에서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패치 방사체에 연결된 일 종단 및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을 제공하는 타종단을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을 상기 연결점에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주도록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급전점으로의 전송 선로의 길이는 상기 주파수 대역 범위 내의 주파수에서 0.2 내지 0.5 파장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로 연결된 종단으로부터의 상기 정합 스터브의 타 종단은 상기 접지 평면에 대하여 개방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스터브의 길이는 션트 캐패시턴스(shunt capacitance)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션트 캐패시턴스는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한 상기 패치 방사체로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의 변환으로부터 기인한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의 길이는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10㏈ 반사 손실보다 우수하도록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값에 충분히 근접한 값으로 상기 션트 캐패시턴스에 의해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스터브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1 내지 0.3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3 내지 0.5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39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종단으로부터의 상기 정합 스터브의 타 종단은 상기 접지 평면에 대하여 단락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스터브의 길이는 션트 인덕턴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션트 인덕턴스는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한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 변환으로부터 기인한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의 길이는 상기 션트 인덕턴스에 의해 변환될 수 있는 값으로의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10㏈ 반사 손실보다 우수하도록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값에 충분이 가까운 값으로 변환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스터브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05 내지 0.2 파장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2 내지 0.4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26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캐패시턴스에 의해 상기 패치 방사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방사체는 전도성 방사 부분으로부터 비전도성 부분에 의해 분리된 전도성 연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급전점은 상기 연결 부분 상에 있고,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연결 부분과 상기 방사 부분 사이의 캐패시턴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가 상기 전송 선로에 의해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를 주도록 변환될 때, 상기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는 상기 급전점과 상기 패치 방사체의 방사 부분 사이의 직접적인 커플링의 경우에서보다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턴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의 리액턴스 부분을 취소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0.2 내지 0.3 파장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1/4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상기 연결점에서의 측정시 상기 급전점에서의 임피던스 값의 실수부를 상기 급전 네트워크의 종단 임피던스의 실수부에 더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도록 배열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30-40Ω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접지 평면에 수직한 전도성 배리어(barri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배리어는 상기 공진 캐비티를 정의하는 울타리(enclosure)의 벽들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울타리는 상기 패치 방사체에 의해 정의된 상면 및 상기 접지 평면에 의해 정의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 방사체의 주변 및 상기 배리어 사이에 비전도성 갭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5.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방사체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6.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방사체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트랙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2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선로는 비전도성 스페이서들에 의해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3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패치 방사체에 수직한 관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31.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전송 선로로 내장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32.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이중 편파 안테나 엘리먼트이고,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종단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 2 급전 네트워크로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점 및 두 개의 종단들을 가지는 제 2 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로브는 상기 접지 평면과 상기 패치 방사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접지 평면과 병렬 관계로 배열된 제 2 전송 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송 선로는 상기 제 2 프로브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프로브의 종단에서의 임피던스가 변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배열되며,
    상기 전송 선로 및 상기 제 2 전송 선로 둘 모두는 상기 패치 방사체와 상기 접지 평면 사이의 상기 공진 캐비티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엘리먼트.
KR1020147014489A 2011-12-19 2012-12-18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KR101679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21946.6 2011-12-19
GB1121946.6A GB2497771A (en) 2011-12-19 2011-12-19 Patch antenna with an impedance matching transmission line feed arrangement
PCT/KR2012/011098 WO2013094976A1 (ko) 2011-12-19 2012-12-18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760A KR20140098760A (ko) 2014-08-08
KR101679555B1 true KR101679555B1 (ko) 2016-12-06

Family

ID=4557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489A KR101679555B1 (ko) 2011-12-19 2012-12-18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1297B2 (ko)
EP (1) EP2797169B1 (ko)
KR (1) KR101679555B1 (ko)
CN (1) CN104106180B (ko)
GB (1) GB2497771A (ko)
WO (1) WO2013094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1853B2 (en) * 2013-08-07 2017-07-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Broadband low-beam-coupling dual-beam phased array
CN105811112A (zh) * 2016-04-28 2016-07-27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贴片天线
US11024972B2 (en) * 2016-10-28 2021-06-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and antenna module including the antenna
US10186773B2 (en) * 2016-11-02 2019-01-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Secretary Of The Navy Electrically conductive resonator for communications
KR102426656B1 (ko) 2017-11-28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947752A (zh) * 2017-12-29 2018-04-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三研究所 一种带通滤波器
KR102131845B1 (ko) 2018-05-10 2020-07-1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중 편파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KR102590784B1 (ko) * 2018-07-05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송선로의 길이를 이용한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296427B2 (en) 2019-04-25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system hardware piece for terahertz (THZ) communication
WO2021000073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天线振子、天线阵列和基站
WO2021007198A1 (en) * 2019-07-09 2021-01-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Beam forming antennas having dual-polarized dielectric radiating elements therein
CN112952340B (zh) * 2019-11-26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带天线结构的电路板和通信设备
CN111403911B (zh) * 2020-04-08 2023-09-08 南京步微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低剖面宽频带天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8660A (en) * 1977-11-11 1980-06-17 Raytheon Company Radio frequency ring-shaped slot antenna
US4320402A (en) * 1980-07-07 1982-03-16 General Dynamics Corp./Electronics Division Multiple ring microstrip antenna
US4821040A (en) * 1986-12-23 1989-04-11 Ball Corporation Circular microstrip vehicular rf antenna
US4924236A (en) * 1987-11-03 1990-05-08 Raytheon Company Patch radiator element with microstrip balian circuit providing double-tuned impedance matching
FR2627636A1 (fr) * 1988-02-19 1989-08-25 Thomson Csf Dispositif d'alimentation et de rayonnement d'une energie micro-onde
US5165109A (en) * 1989-01-19 1992-11-17 Trimble Navigation Microwave communication antenna
FR2672437B1 (fr) * 1991-02-01 1993-09-17 Alcatel Espace Dispositif rayonnant pour antenne plane.
US5355142A (en) * 1991-10-15 1994-10-11 Ball Corporation Microstrip antenna structure suitable for us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464277B2 (ja) * 1994-06-20 2003-11-05 株式会社東芝 円偏波パッチアンテナ
US6359588B1 (en) * 1997-07-11 2002-03-19 Nortel Networks Limited Patch antenna
CN100411248C (zh) * 2006-03-20 2008-08-13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超薄双极化微带天线
KR20060101370A (ko) * 2006-09-01 2006-09-22 김남수 서로 다른 방사 패턴을 갖는 이중 대역 원형 패치 안테나의설계방법
KR100884456B1 (ko) 2007-07-18 2009-02-20 현대건설주식회사 쓰레기 투입 인식 장치의 처리 제어 방법
KR20090028355A (ko) * 2007-09-14 2009-03-1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단일급전 광대역 원형편파 패치 안테나
KR20090085978A (ko) * 2008-02-05 2009-08-10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이중 대역 원형 편파 사각 패치 안테나
US20100141532A1 (en) 2008-02-25 2010-06-10 Jesper Uddin Antenna feeding arrangement
KR100969808B1 (ko) * 2008-02-28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두 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CN201910487U (zh) * 2010-12-10 2011-07-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宽带双极化背腔式双层微带贴片天线
US8854265B1 (en) * 2011-04-28 2014-10-07 Airgain, Inc. L-shaped feed for a matching network for a microstrip antenn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sign of Dual-Polarized L-Probe Patch Antenna Arrays With High Isolation,‘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52, No. 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976A1 (ko) 2013-06-27
GB2497771A (en) 2013-06-26
EP2797169A1 (en) 2014-10-29
CN104106180A (zh) 2014-10-15
EP2797169B1 (en) 2020-04-15
US20150349425A1 (en) 2015-12-03
EP2797169A4 (en) 2015-08-26
US9871297B2 (en) 2018-01-16
GB201121946D0 (en) 2012-02-01
CN104106180B (zh) 2017-04-26
KR20140098760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555B1 (ko)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
US11552385B2 (en) Feed network of base station antenna,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US10854994B2 (en) Broadban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hybrid radiating elements
US6304220B1 (en) Antenna with stacked resonant structures and a multi-frequency radio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it
CN106856261B (zh) 天线阵列
CN106252872B (zh) 同极化微带双工天线阵列
WO2016112839A1 (en) Combination antenna element, array and printed circuit board
US10312601B2 (en) Combination antenna element and antenna array
CN111052504A (zh) 毫米波天线阵元、阵列天线及通信产品
Chakravarthy et al.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feeding techniques of rectangular patch antenna
EP3361570B1 (en) Split ring resonator antenna
WO2019010051A1 (en) NARROWBAND RADIANT ELEMENTS WITH ULTRA-WIDE BAND WIDTH
CA2314688A1 (en) Printed bi-polarization antenna and corresponding network of antennas
CN107925430B (zh) 带内全双工互补天线
CN203596414U (zh) 渐变缝隙天线及其相控阵天线
CN114069257B (zh) 一种基于强耦合偶极子的超宽带双极化相控阵天线
WO2019223318A1 (zh) 室内基站及其pifa天线
EP3245690B1 (en) Dual-band inverted-f antenna with multiple wave traps f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WO2009042393A1 (en) Radio frequency antenna
CN109768377A (zh) 一种毫米波三频三极化基片集成波导天线
CN106252847B (zh) 双频壁挂天线
CN209804897U (zh) 多输入多输出天线及终端设备
CN109728424B (zh) 四端口吸盘组合天线
CN113078457A (zh) 双频双馈高增益天线及电子设备
CN213460093U (zh) 一种多辐射体天线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