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168B1 -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168B1
KR101679168B1 KR1020160080578A KR20160080578A KR101679168B1 KR 101679168 B1 KR101679168 B1 KR 101679168B1 KR 1020160080578 A KR1020160080578 A KR 1020160080578A KR 20160080578 A KR20160080578 A KR 20160080578A KR 101679168 B1 KR101679168 B1 KR 10167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unit
rotation
wires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2016008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168B1/ko
Priority to PCT/KR2017/006453 priority patent/WO20180041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기점으로 순차 전개 내지 구동되면서 자동차 측면 영역을 보호하는 것과 아울러 상하 및 측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에 기인하여 해당 측면 공간과 부합되는 크기로 전환됨에 따라 자동차 측면 전 면적을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체결되는 고정유닛(100); 고정유닛 일면에 위치 고정되고, 기어모터(210)와 치합된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와 치합된 체인부(221)의 개별 움직임에 기인하여 각각 연결대(10)와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되, 기어부의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연결대 및 체인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3,4,5,6와이어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회전유닛(300)과 입출바(511,521)의 위치를 결정짓는 구동유닛(200); 구동유닛 양측에서 연결대(10)와 각각 연계 형성되고, 기어모터로부터 유발되는 기어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선회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구동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구동유닛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300); 회전유닛 각 단부에서 일단이 위치 구속됨에 따라 회전모터(410)를 통해 자체 회전하는 회전유닛으로 인해 직립이 유도되는 한 쌍의 입설유닛(400); 입설유닛 각 타단에 결부되어 입출바(511,521)를 내장하고, 제3,4,5,6와이어에 의해 입출바의 인출 내지 인입이 제어되면서 자동차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상하 한 쌍의 작동유닛(5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Guide device for preventing scratches on the car side}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크래치(scratch)나 흠집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의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기점으로 순차 전개 내지 구동되면서 자동차 측면 영역을 보호하는 것과 아울러 상하 및 측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에 기인하여 해당 측면 공간과 부합되는 크기로 전환됨에 따라 자동차 측면 전 면적을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체는 후드가 설치되는 앞 차체와 루프 및 도어가 장착되는 중간 차체와 트렁크가 배치되는 뒤 차체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중간 차체는 차 실내의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천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 및 도어 등으로 구성되고, 도어는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어 패널에는 장식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긁힘으로 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온도 변화나 빗물 또는 습기 등에 의해 서서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가니쉬를 부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종래의 도어 가니쉬는 가니쉬판 내측으로 다수개의 클립을 일체로 형성하고 도어 패널에는 클립이 끼워질 수 있는 클립공이 형성되는 것인바, 이러한 설치구조는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첫째, 가니쉬판 내측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클립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가니쉬판을 도어패널에 마운팅하여 클립이 형성된 가니쉬판 부위는 도어패널과의 사이에 들뜸 현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클립과 클립 사이의 마운팅 되지 않은 부분은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들뜸 현상이 유발된다.
둘째, 최근에는 도어 가니쉬가 도어를 보호하는 목적 이외에 외관 미를 향상시키는 목적도 있으므로 여러 가지 색상의 도어 가니쉬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도어 가이쉬는 가니쉬판에 형성된 클립에 의해서만 가니쉬판이 고정되는 구조인바, 가니쉬판을 도어패널에서 분리할 때 약간만 부주의하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클립이 쉽게 부러지는 폐단이 초래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050183호(2011. 07. 12)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기점으로 순차 전개 내지 구동되면서 자동차 측면 영역이 보호되는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및 측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에 기인하여 자동차 측면 공간과 부합되는 크기로 전환됨에 따라 측면 전 면적을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가이드 장치(1)는 자동차 하부프레임 양측에 대응 체결되어 자동차 양쪽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체결되는 고정유닛(100); 고정유닛 일면에 위치 고정되고, 기어모터(210)와 치합된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와 치합된 체인부(221)의 개별 움직임에 기인하여 각각 연결대(10)와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되, 기어부의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연결대 및 체인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3,4,5,6와이어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회전유닛(300)과 입출바(511,521)의 위치를 결정짓는 구동유닛(200); 구동유닛 양측에서 연결대(10)와 각각 연계 형성되고, 기어모터로부터 유발되는 기어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선회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구동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구동유닛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300); 회전유닛 각 단부에서 일단이 위치 구속됨에 따라 회전모터(410)를 통해 자체 회전하는 회전유닛으로 인해 직립이 유도되는 한 쌍의 입설유닛(400); 입설유닛 각 타단에 결부되어 입출바(511,521)를 내장하고, 제3,4,5,6와이어에 의해 입출바의 인출 내지 인입이 제어되면서 자동차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상하 한 쌍의 작동유닛(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 구동유닛(200)은 상하 랙에 회전유닛(300)과 결부된 연결대(10)를 각각 고정 체결함으로써 기어모터(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대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행위에 의해 각 회전유닛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면서 작동유닛(500)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521)의 위치가 결정되게 하는 체인부(221)를 내부 수용하기 위한 메인프레임(250);과, 고정유닛(100) 일면을 통해 메인프레임 양측에 대응 배치되고 상하 구분된 공간으로 회전유닛을 인입시켜 연결대에 의한 회전유닛의 선회 움직임이 허용되는 지지대(230);를 포함한다.
또한, 위 회전유닛(300)은 연결대(10)에 결부되는 고정편(311) 및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지지대(230)에 끼움 결합되는 제1돌부(312)를 포함하는 고정바(310);와, 고정바를 내부 수용하고 제1돌부를 외부로 관통시키는 슬롯(321) 및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입설유닛(400)의 고정브래킷(420)에 끼움 결합되는 제2돌부(322)를 포함하는 회전바(320);로 구분한다.
이때 위 회전바(320)는 회전모터(410)와 치합되는 기어(323)를 외면에 더 형성하여 회전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고정바(310) 외부에서 슬롯(321)이 허용하는 공간만큼 회전하여 제2돌부(322)를 위치 가변시킴에 따라 입설유닛(400)의 직립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 입설유닛(400)은 회전바(320)의 제2돌부(322)에 끼움 체결되는 고정브래킷(420) 및 체결부재(40)가 관통 진입되는 슬롯(431)을 포함하는 유동바(430);와, 유동바를 내부 수용하고 슬롯에 중첩된 위치로 통공(441)을 천공하여 체결부재(40)가 진입되게 하는 지지바(440);로 구분한다.
이때 위 고정브래킷(420)은 제2돌부(322) 회전에 의하여 위치 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동바(430)를 지지하면서 직립되게 하고, 위 회전바(320)와 고정브래킷(420) 상간에는 절곡 형상의 지지간(450)이 부가 형성되어 유동바(430)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고, 위 지지간(450)은 탄성체(460)와 연결 형성되어 유동바(430) 외면에 밀착 유지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위 작동유닛(500)은 서로 이격된 입설유닛(400) 단부에서 승강바(520)와 기준바(510)로 상하 구분하여 횡단 배치되고, 위 기준바(510)는 고정패널(530)을 통해 입설유닛(400)과 결부되고 제3,5와이어(13,15) 작동으로 입출바(511)의 움직임이 제어되고, 위 승강바(520)는 거치대(550)를 통해 기준바(510)와 연계 형성되고 제4,6와이어(14,16) 작동으로 입출바(521)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위 승강바(520)는 기준바(510)를 기점으로 수직선상 위치가 가변되면서 기준바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게 하되, 위 거치대(550)는 ∩ 형상으로 구비하여 만곡된 상방이 승강바(5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화되고, 위 승강바(520)는 체인부(221)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7,8,9,10와이어(17,18,19,20)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거치대(550)를 통해 승강 움직임이 결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 제7,8와이어(17,18)는 각각 거치대(550) 하단에 고정되고 체인부(221) 움직임에 의하여 거치대를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거치대와 일체화된 승강바(520)의 상향 이동이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9,10와이어(19,20)는 각각 거치대(550) 상단에 고정되고 체인부(221) 움직임에 의하여 거치대를 하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거치대와 일체화된 승강바(520)의 하향 이동이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위 제3,4와이어(13,14)는 체인부(221)의 일 방향으로 전개되고, 각각 기준바(510)와 승강바(520)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기준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 일단 및 승강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21) 타단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체인부 유동에 의해 각각의 입출바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5,6와이어(15,16)는 체인부(221)의 타 방향으로 전개되고, 각각 기준바(510)와 승강바(520)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기준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 타단 및 승강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21) 일단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체인부 유동에 의해 각각의 입출부가 기준바와 승강바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차량이 밀집하여 주차되는 장소에서 인접한 차량의 도어 개폐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외 측면에 흠집, 찌그러짐 등과 같은 손상이 유발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기점으로 순차 전개 내지 구동되면서 자동차 측면 영역이 보호되는 구성을 취하는바 공간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한편, 특히 상하 및 측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에 기인하여 자동차 측면 공간과 부합되는 크기로 전환됨에 따라 측면 전 면적을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과적이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이드 장치 사시도.
도 3은 도 1 내지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입설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작동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내지 1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입출바의 작동 개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6 내지 2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승강바의 작동 개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크래치(scratch)나 흠집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의 기술사상을 개시한다.
무엇보다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기점으로 순차 전개 내지 구동되면서 자동차 측면 영역을 보호하는 것과 아울러 상하 및 측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에 기인하여 해당 측면 공간과 부합되는 크기로 전환됨에 따라 자동차 측면 전 면적을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이드 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내지 2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위 가이드 장치(1)는 자동차 하부프레임 양측에 대응 체결되어 자동차 양쪽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체결되는 고정유닛(100); 고정유닛 일면에 위치 고정되고, 기어모터(210)와 치합된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와 치합된 체인부(221)의 개별 움직임에 기인하여 각각 연결대(10)와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되, 기어부의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연결대 및 체인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3,4,5,6와이어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회전유닛(300)과 입출바(511,521)의 위치를 결정짓는 구동유닛(200); 구동유닛 양측에서 연결대(10)와 각각 연계 형성되고, 기어모터로부터 유발되는 기어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선회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구동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구동유닛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300); 회전유닛 각 단부에서 일단이 위치 구속됨에 따라 회전모터(410)를 통해 자체 회전하는 회전유닛으로 인해 직립이 유도되는 한 쌍의 입설유닛(400); 입설유닛 각 타단에 결부되어 입출바(511,521)를 내장하고, 제3,4,5,6와이어에 의해 입출바의 인출 내지 인입이 제어되면서 자동차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상하 한 쌍의 작동유닛(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구동유닛(200)은 상하 랙에 회전유닛(300)과 결부된 연결대(10)를 각각 고정 체결함으로써 기어모터(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대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행위에 의해 각 회전유닛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면서 작동유닛(500)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521)의 위치가 결정되게 하는 체인부(221)를 내부 수용하기 위한 메인프레임(250);과, 고정유닛(100) 일면을 통해 메인프레임 양측에 대응 배치되고 상하 구분된 공간으로 회전유닛을 인입시켜 연결대에 의한 회전유닛의 선회 움직임이 허용되는 지지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 기어부(211)는 도면에서처럼 상하 구분된 랙 일체를 지칭하고, 기어모터의 회전축 단부는 피니언으로 구축하여 상하 랙과 치합되므로 기어모터(210)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하 랙이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어된다. 이때 상하 랙의 이동 방향은 랙 단부에 각각 구속된 연결대(1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행위로 귀결되는바, 이러한 연결대의 작용으로 연결대와 연계 형성된 회전유닛(300)이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가지면서 위치 전환된다.
예컨대 위 연결대(10)는 도 1 내지 3을 기준으로 상측 랙 타단(좌측)과 하측 랙 일단(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양쪽 회전유닛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위 체인부(221)는 체인모터(220)에 의해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양방향 위치 변경시켜 후술할 입출바의 위치 결정을 유도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관련 도면과 함께 하기에서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연결대(10)가 각각 구속되는 상하 랙 단부에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를 각 체결하고,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각각 구분하여 입설유닛(400) 외면에 고정됨으로써 회전유닛(300)의 선회 및 회전 움직임에 의해 입설유닛이 직립 배치되는 상황에서 회전유닛의 연직 상방으로 입설유닛이 세워질 수 있도록 잡아당겨 전방으로 치우치지 않고 위치 보존되게 한다.
위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는 서로 교차된 후 각 입설유닛(400) 외면에 결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와 같은 반구 형상의 선회부재(290)를 경유함에 따라 더욱 원활한 당김 작용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선회부재(290)는 어느 일단을 타단에 비해 급격한 만곡 경로로 구축하여 동일한 거리의 당김 작용만으로도 급격한 선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어부(211)의 움직임을 감안하여 회전유닛(300) 및 입설유닛(400)이 구동하는 시간상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 위치와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 회전유닛(300)은 연결대(10)에 결부되는 고정편(311) 및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지지대(230)에 끼움 결합되는 제1돌부(312)를 포함하는 고정바(310);와, 고정바를 내부 수용하고 제1돌부를 외부로 관통시키는 슬롯(321) 및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입설유닛(400)의 고정브래킷(420)에 끼움 결합되는 제2돌부(322)를 포함하는 회전바(320);로 구분한다.
이때 위 회전바(320)는 회전모터(410)와 치합되는 기어(323)를 외면에 더 형성하여 회전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고정바(310) 외부에서 슬롯(321)이 허용하는 공간만큼 회전하여 제2돌부(322)를 위치 가변시킴에 따라 입설유닛(400)의 직립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연결대(10)의 회동으로 각 회전유닛이 선회되는 과정에서 회전모터(410)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바를 일 방향 회전되게 하는바, 이러한 행위에 의해 입설유닛(400)의 직립이 유도될 수 있다.
상세 기재하면, 구동유닛(200)에 고정된 회전모터(410)는 회전바의 기어(323)와 치합되면서 고정바(310) 외부에 놓인 회전바(320)를 단독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회전 범위는 슬롯(321)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결국 제2돌부(322)의 위치를 전환시킴에 따라 제2돌부에 구속된 고정브래킷(420)의 위치 또한 전환되게 함으로써 고정브래킷을 통한 입설유닛의 직립이 유도된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입설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 입설유닛(400)은 회전바(320)의 제2돌부(322)에 끼움 체결되는 고정브래킷(420) 및 체결부재(40)가 관통 진입되는 슬롯(431)을 포함하는 유동바(430);와, 유동바를 내부 수용하고 슬롯에 중첩된 위치로 통공(441)을 천공하여 체결부재(40)가 진입되게 하는 지지바(440);로 구분한다.
여기서 위 고정브래킷(420)은 제2돌부(322) 회전에 의하여 위치 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동바(430)를 지지하면서 직립되게 하고, 위 회전바(320)와 고정브래킷(420) 상간에는 절곡 형상의 지지간(450)이 부가 형성되어 유동바(430)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고, 위 지지간(450)은 탄성체(460)와 연결 형성되어 유동바(430) 외면에 밀착 유지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 유동바(430)는 고정브래킷(420)을 통해 회전바(320)와 연계되고, 위 지지바(440)는 유동바 외면을 커버하되, 이때 지지바는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패널(530)을 통해 작동유닛(500)과 일체화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440)는 회전바의 회전으로부터 비롯되는 입설유닛(400)의 직립 과정에서 방향 전환에 의하여 자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움직임은 가이드(443)의 위치를 가변시킴에 따라 지지간(450)을 인위적으로 상향 유도한 후 인입편(442)의 공간으로 해당 지지간이 위치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위 지지간(450)은 입설유닛의 직립을 더욱 완벽하게 지속시키는 구성요소로 입설유닛(400)과 회전유닛(300)의 경계 영역(관절 부위)에 설치되고, 지지바(440)의 자체 회전으로 인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443)가 방향 전환되면서 지지바를 인위적으로 상향 이동시켜 인입편(442)이 제공하는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게 함으로써 지지간(450)의 견고한 위치 고정이 달성된다.
위 슬롯(431)은 지지바의 통공(441)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40)가 지지바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바, 위 체결부재(40)가 통공(441)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슬롯(431)이 제공하는 공간의 범위 내에서 지지바(440)의 회전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작동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 작동유닛(500)은 서로 이격된 입설유닛(400) 단부에서 승강바(520)와 기준바(510)로 상하 구분하여 횡단 배치되고, 위 기준바(510)는 고정패널(530)을 통해 입설유닛(400)과 결부되고 제3,5와이어(13,15) 작동으로 입출바(511)의 움직임이 제어되고, 위 승강바(520)는 거치대(550)를 통해 기준바(510)와 연계 형성되고 제4,6와이어(14,16) 작동으로 입출바(521)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위 승강바(520)는 기준바(510)를 기점으로 수직선상 위치가 가변되면서 기준바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게 하되, 위 거치대(550)는 ∩ 형상으로 구비하여 만곡된 상방이 승강바(5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화되고, 위 승강바(520)는 체인부(221)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7,8,9,10와이어(17,18,19,20)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거치대(550)를 통해 승강 움직임이 결정되게 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위 입출바(511,521)는 도 8에서 상세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이때 해당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결속편(512,522)이 부가 형성된다.
도 16 내지 2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승강바의 작동 개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위 제7,8와이어(17,18)는 각각 거치대(550) 하단에 고정되고 체인부(221) 움직임에 의하여 거치대를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거치대와 일체화된 승강바(520)의 상향 이동이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9,10와이어(19,20)는 각각 거치대(550) 상단에 고정되고 체인부(221) 움직임에 의하여 거치대를 하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거치대와 일체화된 승강바(520)의 하향 이동이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 제7,8,9,10와이어(17,18,19,20)는 체인부(221)상에 형성한 승강팁(50)과 하강팁(60)에 의해 각각 위치 구속될 수 있으며, 제7와이어(17)와 제8와이어(18)는 승강팁에 고정되는 한편 제9와이어(19)와 제10와이어(20)는 하강팁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이러한 승강팁(50)과 하강팁(60)의 위치 변화는 제7,8,9,10와이어의 위치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위 승강팁(50)과 하강팁(60)은 도 16 내지 17에 상세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부(221) 상방으로 근접 위치되고, 체인부에 구속되어 일체된 움직임을 실시하는 제1걸림부(51) 및 제2걸림부(61)와 상호 작용하면서 위치 변화를 초래한다.
위 제1걸림부(51)는 승강바(520)의 상승을 위하여 체인부(22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동일하게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 위치된 승강팁(50)과 중첩되고, 이때 제1걸림부(51)에 의해 승강팁 또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제7,8와이어(17,18)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되므로 해당 와이어의 당김 작용에 의한 거치대(550)의 상향 이동으로 승강바를 상향 이동시킨다.
반면, 상향 이동된 승강바(520)를 하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인부(2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걸림부(61)의 우측 이동(도면 기준)을 실행하되, 이때 제1걸림부(51)에 구속된 승강팁(50)은 차단부재(55)에 의해 간섭되면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으므로 제1걸림부(51)로부터 탈거된다. 또한, 승강팁으로부터 분리된 제1걸림부는 제2걸림부와 함께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2걸림부(61)는 제1걸림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강팁(60)과 결부되면서 해당 하강팁을 진행 방향(우측)으로 밀면서 제9,10와이어(19,20)를 잡아당김에 따라 거치대(550)가 하향 이동되고, 이는 승강바(520)의 하향을 의미한다.
위 제1걸림부(51) 및 제2걸림부(61)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이러한 이동 중에 보다 나은 탈거 행위가 가능할 수 있도록 힌지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승강팁(50)과 하강팁(60)은 이러한 제1,2걸림부와 호환될 수 있는 절곡된 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는 힌지 구조에 의해 상향 틸팅되면서 승강팁과 하강팁에 형성한 절곡 영역으로 안정감 있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7 내지 10와이어(17,18,19,20)의 제어 방향에 기인하여 기준바(510)와 근접하던 승강바(520)의 수직선상 위치를 가변되게 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52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7,8와이어(17,18) 및 상승된 승강바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9,10와이어(19,20)가 구비되고, 이들 와이어는 체인부(221)의 임의 한 지점에 결부되어 체인모터(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동하면서 승강바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승강바를 상향하고자 하는 경우 제7와이어와 제8와이어가 동시 작동하되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함께 진행하여 상향 후 이중 제7와이어는 도면의 우측 거치대 하단에 결부되는 한편, 제8와이어는 제7와이어와 함께 체인부의 우측으로 진행된 상태에서 상향 후 좌측으로 진행하여 도면의 좌측 거치대 부근에서 재차 하향 이동된 후 해당 거치대 하단에 결부된다. 이에 따라 도 16과 같이 체인부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해당 와이어의 당김 작용으로 각각의 거치대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 거리만큼 당겨지게 되므로 승강바의 상향을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바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9,10와이어(19,20)가 동시 작동하되 도 17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함께 진행한 후 이중 제9와이어는 상향 이동하여 우측으로 진행한 후 재차 거치대의 상방으로 상향하여 위치 구속되는 한편, 제10와이어는 제9와이어와 함께 체인부의 좌측으로 진행된 상태에서 상향하여 또 다른 거치대의 상방에서 위치 구속된다. 이에 따라 도 17과 같이 체인부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해당 와이어의 당김 작용으로 각각의 거치대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 거리만큼 당겨지게 되므로 승강바의 하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거치대(550)의 당김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당김이 유발되는 힘점을 해당 거치대의 동일 수직선상에서 구현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도 9 내지 1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입출바의 작동 개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위 제3,4와이어(13,14)는 체인부(221)의 일 방향으로 전개되고, 각각 기준바(510)와 승강바(520)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기준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 일단 및 승강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21) 타단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체인부 유동에 의해 각각의 입출바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5,6와이어(15,16)는 체인부(221)의 타 방향으로 전개되고, 각각 기준바(510)와 승강바(520)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기준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 타단 및 승강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21) 일단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체인부 유동에 의해 각각의 입출부가 기준바와 승강바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출바 일단 및 타단이라 함은 도면을 기준으로 각각 입출바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를 지칭하고, 체인부의 일 방향 및 타 방향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각각 체인부의 우측과 좌측을 지칭한다.
또한, 위 제3,4,5,6와이어(13,14,15,16)는 체인부(221)상에 형성한 고정툴(70)에 의해 위치 구속될 수 있으며, 고정툴의 위치 변화는 결국 제3,4,5,6와이어의 위치 변화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3 내지 6와이어(13,14,15,16)의 제어 방향에 기인하여 기준바(510) 및 승강바(520)로부터 각각의 입출바(511,521)를 인출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바를 인출하기 위하여 제3,4와이어(13,14) 및 인출된 입출바를 재차 기준바 및 승강바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제5,6와이어(15,16)가 구비되고, 이들 와이어는 체인부(221)의 임의 한 지점에 결부되어 체인모터(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동하면서 입출바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입출바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가 동시 작동하되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함께 진행한 후 이중 제4와이어는 상향 이동되면서 상측에 위치한 승강바 내부로 진입하여 입출바 좌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이동한 후 결속편(522)에 의해 위치 구속되는 한편, 제3와이어는 제4와이어와 함께 체인부의 우측으로 진행된 상태에서 상향 후 좌측으로 진행하여 재차 상향 이동된 후 하측에 위치한 기준바 내부로 진입하여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입출바 우측 단부에서 결속편(512)에 의해 위치 구속된다.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체인부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바 및 기준바 내부에서 각각의 입출바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 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다.
반대로 각각의 입출바를 승강바와 기준바 내부로 인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5,6와이어(15,16)가 동시 작동하되 도 1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함께 진행한 후 이중 제6와이어는 상향 이동되면서 상측에 위치한 승강바 내부로 진입하여 해당 입출바 우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이동한 후 결속편(522)에 의해 위치 구속되는 한편, 제5와이어는 제6와이어와 함께 체인부의 좌측으로 진행된 상태에서 상향 후 우측으로 진행하여 재차 상향 이동된 후 하측에 위치한 기준바 내부로 진입하여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입출바 좌측 단부에서 결속편(512)에 의해 위치 구속된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체인부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바 및 기준바 내부에서 각각의 입출바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 거리만큼 인입될 수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차량이 밀집하여 주차되는 장소에서 인접한 차량의 도어 개폐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외 측면에 흠집, 찌그러짐 등과 같은 손상이 유발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기점으로 순차 전개 내지 구동되면서 자동차 측면 영역이 보호되는 구성을 취하는바 공간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한편, 특히 상하 및 측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구조에 기인하여 자동차 측면 공간과 부합되는 크기로 전환됨에 따라 측면 전 면적을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과적이다.
1. 가이드 장치
100. 고정유닛
200. 구동유닛
300. 회전유닛
400. 입설유닛
500. 작동유닛

Claims (8)

  1. 자동차 하부프레임 양측에 대응 체결되어 자동차 양쪽 측면을 보호하는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체결되는 고정유닛(100);
    고정유닛 일면에 위치 고정되고, 기어모터(210)와 치합된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와 치합된 체인부(221)의 개별 움직임에 기인하여 각각 연결대(10)와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되, 기어부의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연결대 및 체인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3,4,5,6와이어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회전유닛(300)과 입출바(511,521)의 위치를 결정짓는 구동유닛(200);
    구동유닛 양측에서 연결대(10)와 각각 연계 형성되고, 기어모터로부터 유발되는 기어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선회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구동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구동유닛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300);
    회전유닛 각 단부에서 일단이 위치 구속됨에 따라 회전모터(410)를 통해 자체 회전하는 회전유닛으로 인해 직립이 유도되는 한 쌍의 입설유닛(400);
    입설유닛 각 타단에 결부되어 입출바(511,521)를 내장하고, 제3,4,5,6와이어에 의해 입출바의 인출 내지 인입이 제어되면서 자동차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상하 한 쌍의 작동유닛(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 구동유닛(200)은 상하 랙에 회전유닛(300)과 결부된 연결대(10)를 각각 고정 체결함으로써 기어모터(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대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행위에 의해 각 회전유닛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어부(211) 및 체인모터(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4,5,6와이어(13,14,15,16)를 제어하면서 작동유닛(500)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521)의 위치가 결정되게 하는 체인부(221)를 내부 수용하기 위한 메인프레임(250);과, 고정유닛(100) 일면을 통해 메인프레임 양측에 대응 배치되고 상하 구분된 공간으로 회전유닛을 인입시켜 연결대에 의한 회전유닛의 선회 움직임이 허용되는 지지대(230);를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위 회전유닛(300)은 연결대(10)에 결부되는 고정편(311) 및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지지대(230)에 끼움 결합되는 제1돌부(312)를 포함하는 고정바(310);와, 고정바를 내부 수용하고 제1돌부를 외부로 관통시키는 슬롯(321) 및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입설유닛(400)의 고정브래킷(420)에 끼움 결합되는 제2돌부(322)를 포함하는 회전바(320);로 구분하되,
    위 회전바(320)는 회전모터(410)와 치합되는 기어(323)를 외면에 더 형성하여 회전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기어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고정바(310) 외부에서 슬롯(321)이 허용하는 공간만큼 회전하여 제2돌부(322)를 위치 가변시킴에 따라 입설유닛(400)의 직립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위 입설유닛(400)은 회전바(320)의 제2돌부(322)에 끼움 체결되는 고정브래킷(420) 및 체결부재(40)가 관통 진입되는 슬롯(431)을 포함하는 유동바(430);와, 유동바를 내부 수용하고 슬롯에 중첩된 위치로 통공(441)을 천공하여 체결부재(40)가 진입되게 하는 지지바(440);로 구분하되,
    위 고정브래킷(420)은 제2돌부(322) 회전에 의하여 위치 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동바(430)를 지지하면서 직립되게 하고,
    위 회전바(320)와 고정브래킷(420) 상간에는 절곡 형상의 지지간(450)이 부가 형성되어 유동바(430)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고,
    위 지지간(450)은 탄성체(460)와 연결 형성되어 유동바(430) 외면에 밀착 유지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위 작동유닛(500)은 서로 이격된 입설유닛(400) 단부에서 승강바(520)와 기준바(510)로 상하 구분하여 횡단 배치되고,
    위 기준바(510)는 고정패널(530)을 통해 입설유닛(400)과 결부되고 제3,5와이어(13,15) 작동으로 입출바(511)의 움직임이 제어되고,
    위 승강바(520)는 거치대(550)를 통해 기준바(510)와 연계 형성되고 제4,6와이어(14,16) 작동으로 입출바(521)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위 승강바(520)는 기준바(510)를 기점으로 수직선상 위치가 가변되면서 기준바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게 하되,
    위 거치대(550)는 ∩ 형상으로 구비하여 만곡된 상방이 승강바(5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일체화되고,
    위 승강바(520)는 체인부(221)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 체결된 제7,8,9,10와이어(17,18,19,20)의 각 유동 방향에 따라 거치대(550)를 통해 승강 움직임이 결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위 제7,8와이어(17,18)는 각각 거치대(550) 하단에 고정되고 체인부(221) 움직임에 의하여 거치대를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거치대와 일체화된 승강바(520)의 상향 이동이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9,10와이어(19,20)는 각각 거치대(550) 상단에 고정되고 체인부(221) 움직임에 의하여 거치대를 하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거치대와 일체화된 승강바(520)의 하향 이동이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위 제3,4와이어(13,14)는 체인부(221)의 일 방향으로 전개되고, 각각 기준바(510)와 승강바(520)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기준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 일단 및 승강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21) 타단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체인부 유동에 의해 각각의 입출바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5,6와이어(15,16)는 체인부(221)의 타 방향으로 전개되고, 각각 기준바(510)와 승강바(520)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기준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11) 타단 및 승강바 내부에 수용된 입출바(521) 일단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체인부 유동에 의해 각각의 입출부가 기준바와 승강바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KR1020160080578A 2016-06-28 2016-06-28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KR10167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78A KR101679168B1 (ko) 2016-06-28 2016-06-28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PCT/KR2017/006453 WO2018004174A1 (ko) 2016-06-28 2017-06-20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78A KR101679168B1 (ko) 2016-06-28 2016-06-28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168B1 true KR101679168B1 (ko) 2016-11-24

Family

ID=5770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78A KR101679168B1 (ko) 2016-06-28 2016-06-28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16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265B2 (en) Vehicle rear structure
EP2620304B1 (en) Sunshade device
US7461887B1 (en) Automatic sun visor system
JP4747814B2 (ja)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EP2366571A2 (en) Roof apparatus for vehicle
EP2657054A1 (en) Sunroof apparatus
US20120193044A1 (en) Window shade device for vehicles
JP201113169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925572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679168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US5765905A (en) Wind-deflecting cover for a convertible
KR101679169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JP2007131208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US20120145339A1 (en) Vehicular shade assembly
US20040222675A1 (en) Sunroof
JP2001055046A (ja) 車輌用開口部の遮蔽装置
KR101821271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가이드장치
US9868338B2 (en) Electric door curtain for vehicle
KR200488580Y1 (ko)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KR101388282B1 (ko) 선루프장치
US20230365043A1 (en) Retractable table system for vehicle
JP4352431B2 (ja) キャンバス格納構造
KR0133142B1 (ko) 자동차용 수동식 선-루프(Sun-Roof)
KR102407685B1 (ko) 선루프용 메커니즘커버의 구조
WO2018004174A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