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921B1 -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 Google Patents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921B1
KR101678921B1 KR1020150144465A KR20150144465A KR101678921B1 KR 101678921 B1 KR101678921 B1 KR 101678921B1 KR 1020150144465 A KR1020150144465 A KR 1020150144465A KR 20150144465 A KR20150144465 A KR 20150144465A KR 101678921 B1 KR101678921 B1 KR 10167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ain body
skin
light guid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종
김성용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푸로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로맥스 filed Critical (주)푸로맥스
Priority to KR102015014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는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Head structure of the double assembled structure of multifunctional cosmet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ultifunctional cosmetic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이온 제공 및 광 제공 기능 등 복합기능을 가지는 복합미용기기의 피부에 밀착하는 헤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접촉하여 접촉된 피부에 이온을 도입하여 화장품이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하거나 피부 속의 오염물, 화장품 찌꺼기 등 노폐물을 배출하는 것을 돕는 이온을 제공하는 이온도입기능을 구비하고, 이와 더불어 피부 미용효과를 갖는 진동을 피부에 제공하는 진동 마사지기능 및 피부에 광을 제공하여 광치료기능의 한 가지 이상을 제공하는 이온도입기능 미용기기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온기능은 피부에 화장품 등의 영양물질의 흡수를 돕는 효과가 있는 음(-)이온을 피부에 제공하는 음(-)이온 기능과 노폐물의 배출 효과가 있는 양(+)이온을 피부에 제공하는 양(+)이온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온기능 미용기기는 종래 주로 피부과 또는 전문 마사지사 숍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이온도입기능 미용기기의 보편화에 따라 일반인들이 직접 사용 가능하고 휴대가능한 소형 이온도입기능 미용기기의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피부에 접촉하는 헤드 부분은 이온의 공급을 위하여 전도성이여야 하므로 합성수지 재질에 금속도금을 수행하여 제작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온기능 미용기기에 있어, 예컨대 피부에 광을 제공하여 광 치료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는 상기 합성수지 재질에 금속 도금된 헤드부의 피부 접촉표면의 일부는 기기 내부의 광 조사부에서 발생하는 광을 접촉된 피부에 가이드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광 투과성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는 등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헤드부는 경우에 따라 도금된 헤드부 본체와 이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의 이중 결합구조를 가지게 된다.
피부에 광을 제공하여 광 치료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광 치료기능을 부가된 이온기능 미용기기의 피부에 접촉하는 헤드부가 전도성인 금속 도금되는 헤드부 본체 부분에 결합부재로 예컨대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되고, 상기 관통구에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결합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강제끼워맞춤 방식, 스크류 고정 방식, 이중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 인서트 사출에 의한 결합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강제끼워맞춤 방식 및 스크류 고정 방식은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를 성형하여 도금하고 별도 성형 된 결합부재 내지 광 투과성의 광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이며, 이중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 및 인서트 사출에 의한 결합방식은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와 결합부재 내지 광 가이드 부재를 각각의 방식으로 결합 성형한 후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결합부재 내지 광 가이드 부재는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강제끼워맞춤에 의한 결합방식 및 스크류 고정 방식은, 2 종의 사출물 즉, 도금된 헤드부 본체와 이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 예컨대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를 각각 성형한 다음 별도의 공정으로 끼워넣는 방법으로, 도금된 헤드부 본체에 도금 경계면이 생기기 않는 반면, 도금된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와 광 가이드 부재의 결합면에 틈새가 발생되며, 상기 틈새에 화장품 또는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 미용기기 전체가 위생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중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은, 상술한 도금된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와 이에 결합되는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 예컨대 광 가이드 부재의 결합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나,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와 도금되지 않는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를 결합한 후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특성상 도 5의 기존 기술에 의하여 구현된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헤드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도금의 들뜸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고, 금형 구조가 복잡하고 금형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이중사출은 특수한 사출로 일반 사출기를 사용할 수 없고 이중사출 전용 사출기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인서트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은 상술한 도금된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와 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예컨대 광 가이드 부재의 결합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발생하더라도 미세한 틈새만이 발생할 가능성만이 있는 장점이 있고 일반 사출기로도 사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와 도금되지 않는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를 결합한 후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특성상 도 5의 기존 기술에 의하여 구현된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헤드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도금의 들뜸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결합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 도금과정에서의 미도금의 발생 예컨대, 도금 시 ABS의 부타디엔 성분을 빼내어 미세기공을 만들어주는 에칭 단계에서 사용한 무수크롬산과 황산 등의 약품이 미세한 틈새에 침투한 다음 빠져나오지 않고 있다가, 미세하게 흘러나와 미세한 틈새 부분에 미도금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각 결합방법의 장단점을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결합방법 도금 들뜸 결합면 틈새 사출기 도금불량
강제끼워맞춤 없음 있음 일반사출기 없음
스크류고정 없음 있음 일반사출기 없음
이중사출 있음 없음 이중사출전용사출기 미량
인서트사출 있음 미세 일반사출기 다량
더욱이, 이중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 및 인서트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헤드에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헤드 표면으로 노출되는 도금의 들뜸 및 미도금은 결과적으로 제작된 헤드의 피부접촉 표면에 금속도금 층의 일부가 칼날과 같이 날카로운 부분을 형성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에 대하여 별도의 후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치명적인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50069호(이온도입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사지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이중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 및 인서트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과 같이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와 도금되지 않는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를 결합한 후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의 문제를 해결하여,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에 있어서, 결합면의 도금의 미도금을 방지하여 도금의 들뜸을 방지하며,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도금의 들뜸이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통해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여 결합면의 도금의 미도금을 방지하여 도금의 들뜸을 방지하며,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도금의 들뜸이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며,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미용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본체(21a)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며, 결합부재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고 광 투과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광 가이드 부재(22b)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구의 내측의 헤드 본체(21a)의 표면 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 처리된 관통구의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와의 결합면에서 광 가이드 부재(22b)와 헤드 본체(21a)의 결합부분의 높이가 광 가이드 부재(22b)의 표면 및 헤드 본체(21a)의 표면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구 부근의 도금층은 관통구 측으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단턱에 의하여 헤드 본체(21a)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Figure 112015100032231-pat00001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접점(21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21),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하며 동작모드에 따라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헤드부(20)를 구성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으로,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를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는 재질의 재료로 성형하고,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헤드 본체(21a)의 성형을 위한 헤드부 본체의 금형을 제작하는 결합부재 성형 및 헤드부 본체 금형 준비 단계(S100), 성형된 광 가이드 부재(22b)를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인서트 하는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인서트된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를 사출하여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된 헤드부 본체(21a)를 성형하는 헤드부 본체 재료 사출단계(S300),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된 헤드부 본체(21a)를 냉각시킨 후 헤드부 본체 금형을 열고 냉각된 상기 성형된 광 가이드 부재(22b)와 헤드부 본체(21a)로 구성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형개 및 취출단계(S400), 및 상기 헤드 구조체의 표면에 도금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를 포함하여, 결합부재 성형 및 헤드부 본체 금형 준비 단계(S100)에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되지 않고 광 투과성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료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며, 헤드 본체(21a)의 성형을 위한 헤드부 본체의 금형은 성형시 라운드 처리된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의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는 헤드 구조체의 헤드 본체(21a)를 사출하기 전,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사전설정된 온도로 예열하여 인서트 된 광 가이드 부재(22b)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에서 도금된 헤드부 본체(21a)의 관통구 부근의 도금층은 관통구 측으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단턱에 의하여 헤드 본체(21a)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도록 도금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로, 표면에 스위치부(40)가 노출되고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몸체부(10);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접점(21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21),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하며 동작모드에 따라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헤드부(20);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스위치부(40)를 통하여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제어되고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여 헤드부의 피부 표면 접촉시 사용자의 손, 전원,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간에 전기적인 폐회로를 구성하는 자기접지부(30); 및 상기 광 조사부(22) 및 진동 발생부(23)에 인가되는 배터리부(50)로부터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ON/OFF 제어하고 상기 이온 발생부의 인가 전원의 극성 및 자기접지부(30)의 인가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40);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에 있어, 결합면의 도금의 미도금을 방지하고 도금의 들뜸을 방지하며,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도금의 들뜸이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통해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에 있어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여 결합면의 도금의 미도금을 방지하여 도금의 들뜸을 방지하며,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도금의 들뜸이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며,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제작방법의 흐름도.
도 5는 기존 기술에 의하여 구현된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합미용기기 및 이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실시예로서, 본 출원인의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헤드 본체의 내부와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를 상기 헤드 본체의 내부에 수용하여 스위치부의 사용자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모드에 따라 이온 발생부, 광 조사부, 진동 발생부가 제어되어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소형의 휴대용으로 구현된 휴대용 복합미용기기를 예시적으로 개시하며,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로, 상기 예시적인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헤드부에 적용된 전도성인 금속 도금이 가능하고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부 본체와 상기 헤드부 본체와 상기 관통구를 통해 결합되고 이와는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 본체와 결합되는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로는,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가 예시적으로 설명되며, 헤드부 본체는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되고, 상기 관통구에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된 형태가 예시적으로 설명되며, 결합부재와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여 설명된다.
또한,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예시적으로 인서트 사출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예시적인 구현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파악되는 본 발명의 특징 내지 정신 및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 구조 및 특성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부 본체와 이와는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복합미용기기를 포함하며, 이중 사출에 의한 결합 방식 및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 방식을 포함하여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와 도금되지 않는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를 결합한 후 도금공정을 수행하여 제작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복합미용기기는 다중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미용기기로, 표면에 스위치부(40)가 노출되고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몸체부(10), 헤드부(20), 자기접지부(30), 스위치부(4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표면에 스위치부(40)가 노출되고 절연재료 예컨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며, 일반적인 원통 형상을 갖는다.
몸체부(10) 내부에는 1.5V의 배터리 예컨대 AAA 크기의 배터리 2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 및 구조를 가지며, 그 원통의 높이는 AAA 크기의 배터리가 내장될 경우 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로 상부에 후술하는 헤드용 PCB 기판의 결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자기접지부(30)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캡 형태 예컨대 자기접지캡으로 제작된 경우로서, 몸체부(10)의 하단 외면에는 캡 형태의 자기접지부(30)의 결합돌기의 결합부분인 결합홈이 성형된다.
헤드부(20)는 피부와 접촉하고 동작모드에 따라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도 1에서와 같이,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성형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재질(A)의 표면 및 내측면에 도전성 피막(B)을 도금하여 제작되며 상기 표면과 내측면의 도전성 피막은 일체로 도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합미용기기는 다중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용으로 구현된 경우로서, 피부에 접촉하는 헤드부(20)는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온기능 미용기기에 광 치료기능이 부가된 복합미용기기로서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로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22b)가 결합되어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가 구성되어, 헤드부(20)의 구성요소로 사용된다.
자기접지부(30)는 도금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성형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재질(A)의 표면 및 내측면이 도전성 피막(B)을 도금하여, 제작되며 상기 표면과 내측면의 도전성 피막은 일체로 도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자기접지부(30)은 도전성 피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면 및 내측면의 돌출부를 통해 스위치부(40)과 연결되고 스위치부(40)에 의하여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제어되고 사용자의 피부 표면과 접촉하여 피부 표면 접촉시 자기접지부(30)에 접촉한 사용자의 손, 자기접지부, 전원 및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간에 전기적인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제작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부(20)는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헤드 본체(21a)와,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접점(21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21),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에 이온 발생부 수용하여 스위치부의 사용자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모드에 따라 이온 발생부, 광 조사부, 진동 발생부가 제어되어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헤드 본체(21a)는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이를 위해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전도성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ABS 재질로 성형한 뒤, 성형된 표면 헤드 본체(21a) 및 내측면에 동시에 도전성 물질을 도금하여 도전성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헤드 본체(21a)의 상면에는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광 조사부(22)로부터의 조사광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성형되고, 상기 광 조사부(22)는 조사광을 발광하는 LED(22a)와 상기 조사광을 상기 관통구을 통하여 헤드 본체의 상면으로 가이드하는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22b)를 포함하여,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22b)가 결합부재로서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상부가 삽입 및 결합되어, 결합된 헤드 본체(21a) 및 광 가이드 부재(22b)가 본 발명의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구성한다.
상기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는 상부가 관통구에 삽입되어 그 상면은 사용시 피부 접촉면인 헤드부(20)의 상부 표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광 가이드 부재(22b)의 하부는 상기 LED(22a)에 접촉하여 상기 LED(22a)로부터 발광되는 조사광을 상기 관통구을 통하여 헤드 본체의 표면으로 가이드하여 제공하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헤드용 PCB 기판의 상부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헤드 본체(21a)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재료로 성형 제작되며,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는 광 투과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을 성형하여 제작된다.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은 헤드 본체(21a)의 ABS 재질과는 달리 표면에 전기도금에 의하여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재질이다.
이와 같은 헤드 본체(21a)와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의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헤드 본체(21a)와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를 결합한 상태에서, 헤드 본체(21a)의 표면 및 내측면에 대하여 도전성 피막을 형성하는 전기도금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광 투과성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이중 결합 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 내지 헤드부의 제작의 작업성이 증가되고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광 가이드 부재(22b)는 상기 LED(22a)로부터 발광되는 조사광을 특정 색상의 광으로 필터링하여 특정 색상의 조사광을 헤드 본체의 상면으로 가이드하도록 특정 색상 즉, 적색 또는 청색의 광 투과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본체(21a)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점(21b)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돌출부가 성형되어 있으며, 도전성 피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면 및 내측면의 돌출부를 통해 스위치부(40)과 연결되고 스위치부(40)에 의하여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제어되고 사용자의 피부 표면과 접촉하여 피부 표면 접촉시 자기접지부(30)에 접촉한 사용자의 손, 자기접지부, 전원 및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간에 전기적인 폐회로를 구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 본체(21a)의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헤드 본체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헤드용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용 PCB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접점(21b), 상기 광 조사부(22)를 구성하는 하나이상의 LED(22a) 및 진동 발생부(23)를 구성하는 진동모터가 돌출 설치되고, 이온 발생부를 구성하는 전자소자 예컨대 충분한 갈바닉 이온 발생 전압을 유도하기 위한 DC-DC 컨버터 및 배선은 상기 헤드용 PCB 기판에 설치 또는 프린트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1.5V의 배터리 예컨대 AAA 크기의 배터리 2개가 직렬연결되어 갈바닉 이온 발생에 충분한 3.0V의 전원을 공급하고 헤드부의 피부 접촉면을 극대화 시킨 형태 즉, 헤드 본체(21a)의 반경이 몸체부의 반경과 거의 같고 상면의 경사로 접촉면이 증가된 형태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DC-DC 컨버터의 설치는 생략된다.
상기 헤드용 PCB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 및 직렬연결된 2개의 배터리의 하나의 양(+)극 단자와 다른 하나의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설치된 형태로 모듈화되어 제작된다.
자기접지부(30)는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여 헤드부의 피부 표면 접촉시 사용자의 손, 전원,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 간에 전기적인 폐회로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손이 자기접지부(3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만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자기접지부(3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부(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방식이나 몸체부(10)의 일부 또는 이에 결합되는 캡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자기접지부(30)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캡 형태 예컨대 자기접지캡으로 제작된 경우이다.
캡 형태 예컨대 자기접지캡으로 제작된 본 실시예의 경우 자기접지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스위치부(40)를 통하여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자기접지부(30)도 상기 헤드 본체(21a)와 동일하게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제작되고 이를 위해 전기도금에 의하여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ABS 재질로 성형된 뒤 표면 및 내측면에 동시에 도전성 물질을 전기도금하여 도전성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결합돌기(31a, 31b)에도 표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피막이 형성되어 접점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자기접지부(30)가 캡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자기접지부(30)의 내측면에는 자기접지부(30)를 몸체부(10)의 하부의 결합홈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돌기(31a, 31b)가 성형되고, 이 경우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자기접지부(30)가 몸체부(10)에 결합시 상기 자기접지부의 결합돌기(31a, 31b)가 접촉하여 상기 자기접지부(30)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을 가진 탄성 결합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홈은 자기접지부(30)의 결합돌기(31a, 31b)를 결합홈에 결착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결합돌기(31a, 31b)가 결합홈과 고정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며, 탄성 결합부(43)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자기접지부(30)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결합홈에 결합된 결합돌기 부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자기접지부(3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스위치부(40)는 상기 광 조사부(22) 및 진동 발생부(23)에 인가되는 배터리부(50)로부터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ON/OFF 제어하고 상기 이온 발생부의 인가 전원의 극성 및 자기접지부(40)의 인가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2개의 1.5V AAA크기 배터리(51)와 자기접지부(30)에 고정설치되고 이들의 양단을 전기적으로 직렬연결하는 금속패드(52) 및 금속패드(52)를 자기접지부(30)의 내측면과 절연하는 절연패드(53)를 포함한 구성을 전원으로 정의하며 직렬연결된 배터리의 각 양(+)의 단자 및 음(-)단자를 전원과 전원의 양(+)의 단자 및 음(-)단자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중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미용기기는 이온 발생부는 상기 자기접지부(30)가 사용자의 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경우 ON되어 이온을 발생하며, 상기 스위치부(40)의 스위칭에 의하여 이온 발생부로의 인가 전원의 극성 및 상기 자기접지부로의 인가 전원의 극성이 서로 반대로 제어되어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제공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며, 아울러 이러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제공과 함께, 광의 제공, 또는 광의 제공 및 진동의 제공의 다양한 모드를 수행하게 되며,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고, 다양한 모드를 수행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부(40)는, 광 조사부(22)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고, 상기 광 조사부(22)가 ON 상태에서 진동 발생부(23)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는 제1 스위치(41)와 이온 발생부로의 인가 전원의 극성 및 상기 자기접지부(30)로의 인가 전원의 극성을 서로 반대로 제어하여 변환하는 제2 스위치(4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와 상술한 상기 자기접지부(30)가 몸체부(10)에 결합시 상기 자기접지부의 결합돌기(31a, 31b)가 접촉하여 상기 자기접지부(30)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을 가진 탄성 결합부(43)가 스위치용 PCB 기판(44)상에 설치된 형태로 모듈화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용 PCB 기판(44)의 배면에는 절연재료로 제작된 완충부재(45)가 부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기 관통구에 상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광 가이드 부재(22b)가 본 발명의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형성하며, 헤드 본체(21a)의 표면 및 내측면에만 전기도금에 의하여 도전성 피막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에 있어, 관통구의 내측의 헤드 본체(21a)의 표면 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라운드 처리된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의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와의 결합면에서 광 가이드 부재(22b)와 헤드 본체(21a)의 결합부분의 높이가 광 가이드 부재(22b)의 표면 및 헤드 본체(21a)의 표면의 높이 보다 낮게 한다.
이를 통해, 관통구 부근의 도금 층은 "
Figure 112015100032231-pat00002
"와 같이 관통구 측으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단턱에 의하여 헤드 본체(21a)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헤드 본체(21a)의 표면 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형상과 같이 도금층(B)도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라운드 형상의 도금층(B)은 결합면 측 말단으로 하방 탄성이 작용하여 결합면에서 도금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며, 결합면에서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도금의 들뜸이 생기더라도 이를 하부로 단턱 하부로 눌러주어 들뜸부분이 피부접촉 표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면에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단턱에 의하여 들뜸 현상 발생할 수 있는 도금 경계면 또는 결합면의 미도금 부분이 피부접촉 표면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제작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제작방법은 기본적으로 도금된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와 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예컨대 광 가이드 부재의 결합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발생하더라도 미세한 틈새만이 발생할 가능성만이 있는 장점이 있고 일반 사출기로도 사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인서트 사출방법에 기반하며, 일반 사출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전기도금에 의하여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할 수 있는 재질의 헤드부 본체와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되지 않는 재질의 광 가이드 부재를 결합한 후 한번의 도금공정을 수행하여, 헤드 구조체 제작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금작업 및 이중 결합구조의 특성상 헤드 구조체의 측성상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헤드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도금의 들뜸 또는 도금과정에서의 미도금에 의한 제품의 불량의 발생 즉, 헤드 구조체의 표면에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헤드 본체(21a)와 이에 관통구를 통해 결합된 광 가이드 부재(22b)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는, 결합부재 성형 및 헤드부 본체 금형 준비 단계(S100),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 헤드부 본체 재료 사출단계(S300), 형개 및 취출단계(S400), 및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다.
결합부재 성형 및 헤드부 본체 금형 준비 단계(S100)는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를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는 재질의 재료로 성형하고,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헤드 본체(21a)의 성형을 위한 헤드부 본체의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광 가이드 부재(22b)는 광 투과성 재질로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는 재질인 광 투과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을 별도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며, 헤드 본체(21a)의 성형을 위한 헤드부 본체의 금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시 라운드 처리된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의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일반적인 사출 금형 재료 및 금형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되어 준비된다.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에서는 별도로 성형된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를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인서트 하는 공정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는 전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며, 전처리 공정으로 헤드 구조체의 헤드 본체(21a)를 사출하기 전,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사전설정된 온도로 예열하여 인서트 된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의 온도를 상승시켜 광 가이드 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결과적으로 결합면의 미세한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여 도금 불량 내지 미도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실험적으로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으로 40초 동안 예열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온도는 섭씨 100도의 온수온도를 유지하는 조건하에서 최적의 효과를 가져왔다.
헤드부 본체 재료 사출단계(S300)는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인서트된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를 사출하여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된 헤드부 본체(21a)를 성형하는 과정으로, 상기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가 인서트된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도금이 가능한 재질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재료를 사출한다.
이때, 사출조건으로, 사출압력은 75 bar, 사출시간은 7.38초, 보압은 65 bar (4초), 노즐온도는 235 ℃, 히터온도는 190 ℃로 설정하며, 온수온도는 상기 전처리 공정에서와 같은 100 ℃를 유지하였다.
형개 및 취출단계(S400)는,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된 헤드부 본체(21a)를 냉각시킨 후 헤드부 본체 금형을 열고 냉각된 상기 성형된 광 가이드 부재(22b)와 헤드부 본체(21a)로 구성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공정이다. 이탈시킨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는 품질 검사과정을 거쳐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로 투입된다.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는 상기 헤드 구조체의 표면에 도금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헤드부 본체(21a)의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표면 및 내측면에만 도전성 피막이 도금된다. 이때, 상기 표면과 내측면의 도전성 피막은 일체로 도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도금인 되지 않는 재질의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의 표면에는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 헤드부 본체(21a)의 관통구 부근의 도금 층은 "
Figure 112015100032231-pat00003
"와 같이 관통구 측으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단턱에 의하여 헤드 본체(21a)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도록 도금된다.
이에 따라 헤드 본체(21a)의 표면 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형상과 같이 도금층(B)도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라운드 형상의 도금층(B)은 결합면 측 말단으로 하방 탄성이 작용하여 결합면에서 도금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며, 결합면에서 도금 경계면이 발생하여 도금의 들뜸이 생기더라도 이를 하부로 단턱 하부로 눌러주어 들뜸부분이 피부접촉 표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면에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단턱에 의하여 들뜸 현상 발생할 수 있는 도금 경계면 또는 결합면의 미도금 부분이 피부접촉 표면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상처를 주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는 일반적인 도금공정으로 수행되며, 다음 [표2]와 같은 세부 공정에 의하여 수행된다.
공정명 공정내용 소요재료 온도
(℃)
시간
(초)
비고
1 락킹 전기를 흘려주기 위한 장치에 사출물 고정 락킹지그
2 탈지 표면 이물 세척 CP정면제 15~20cc/ℓ
황산 50~100cc/ℓ
50 550 비중
1.10g/cc
3 3단수세 약품 세척
4 에칭 금속과 친수성 부여 크롬산400~500g/ℓ
황산 150~220cc/ℓ
68 320
5 초음파세척 정밀세척
6 3단수세 약품 세척
7 중화 크롬산 중화 염산 40~50cc/ℓ 상온 120
8 3단수세 약품 세척
9 활성1 촉매 부여 NP-8 30~40%
염산 150~220cc/ℓ
28 240
10 3단수세
약품 세척
11 활성2
촉매 환원 황산 50~88cc/ℓ 50 120
12 3단수세
약품 세척
13 화학니켈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전도체 부여 PH 8.5~9.5
차인산15~20g/ℓ
구연산소다 15~20g/ℓ
유산니켈 4~6g/ℓ
35 300
14 2단수세
약품 세척
15 유산동 제품 광택 부여 Nacl 60~100ppm
황산 30~50g/ℓ
황산동 200~220g/ℓ
27 900 전압 4V
16 4단수세
약품 세척
17 광택니켈 광택 두께 유산니켈 200~250g/ℓ
염화니켈35~45g/ℓ
붕산 40~50 g/ℓ
PH 4.0~4.8
50 1000 전압 5V
18 2단수세 약품 세척
19 3가크롬 외관 처리 크롬산200~240g/ℓ
황산 0.5~1.2g/ℓ
3가크롬 1~3g/ℓ
30 120~300 전압 7~10V
20 3단수세 약품 세척
21 3단이온수세 약품 세척
22 건조 물기 제거
23 검사 육안 검사
24 포장 포장 포장 재료
위와 같이, 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가 제작되면 조립공정을 통해 본 발명은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가 제작되며, 본 발명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는 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표면에 스위치부(40)가 노출되고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몸체부(10);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접점(21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21),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하며 동작모드에 따라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헤드부(20);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스위치부(40)를 통하여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제어되고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여 헤드부의 피부 표면 접촉시 사용자의 손, 전원,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간에 전기적인 폐회로를 구성하는 자기접지부(30); 및 상기 광 조사부(22) 및 진동 발생부(23)에 인가되는 배터리부(50)로부터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ON/OFF 제어하고 상기 이온 발생부의 인가 전원의 극성 및 자기접지부(30)의 인가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4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또는 단계의 특별한 조합들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 및 단계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몸체부 20 : 헤드부
30 : 자기접지부 40 : 스위치부

Claims (10)

  1.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에 있어서,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21a)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며, 결합부재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고 광 투과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광 가이드 부재(22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내측의 헤드 본체(21a)의 표면 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처리된 관통구의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와의 결합면에서 광 가이드 부재(22b)와 헤드 본체(21a)의 결합부분의 높이가 광 가이드 부재(22b)의 표면 및 헤드 본체(21a)의 표면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부근의 도금층은 관통구 측으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단턱에 의하여 헤드 본체(21a)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Figure 112015100032231-pat00004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접점(21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21),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하며 동작모드에 따라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헤드부(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7.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헤드부 본체의 관통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를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는 재질의 재료로 성형하고,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헤드 본체(21a)의 성형을 위한 헤드부 본체의 금형을 제작하는 결합부재 성형 및 헤드부 본체 금형 준비 단계(S100),
    성형된 광 가이드 부재(22b)를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인서트 하는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인서트된 상기 헤드부 본체의 금형에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를 사출하여 결합부재인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된 헤드부 본체(21a)를 성형하는 헤드부 본체 재료 사출단계(S300),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가 삽입된 헤드부 본체(21a)를 냉각시킨 후 헤드부 본체 금형을 열고 냉각된 상기 성형된 광 가이드 부재(22b)와 헤드부 본체(21a)로 구성되는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형개 및 취출단계(S400), 및
    상기 헤드 구조체의 표면에 도금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를 포함하여,
    결합부재 성형 및 헤드부 본체 금형 준비 단계(S100)에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b)는 전기도금에 의하여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되지 않고 광 투과성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료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며, 헤드 본체(21a)의 성형을 위한 헤드부 본체의 금형은 성형시 라운드 처리된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의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인서트 단계(S200)는 헤드 구조체의 헤드 본체(21a)를 사출하기 전,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사전설정된 온도로 예열하여 인서트 된 광 가이드 부재(22b)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구조체 도금단계(S500)에서 도금된 헤드부 본체(21a)의 관통구 부근의 도금층은 관통구 측으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단턱에 의하여 헤드 본체(21a)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도록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의 제작방법.
  10.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에 있어서,
    표면에 스위치부(40)가 노출되고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몸체부(10);
    몸체부(10)에 결합되고 표면 및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피부의 접촉시 피부에 이온을 공급하는 결합부재가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성형된 헤드 본체(21a) 및 상기 헤드 본체(21a)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헤드 본체(21a)와 상이한 재질의 결합부재(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 본체(21a)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의 재료로 성형된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헤드 본체(21a)의 내부와 접점(21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온 발생부(21),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 및 피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하며 동작모드에 따라 접촉된 피부에 이온, 광,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헤드부(20);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스위치부(40)를 통하여 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제어되고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여 헤드부의 피부 표면 접촉시 사용자의 손, 전원,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간에 전기적인 폐회로를 구성하는 자기접지부(30); 및
    상기 광 조사부(22) 및 진동 발생부(23)에 인가되는 배터리부(50)로부터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ON/OFF 제어하고 상기 이온 발생부의 인가 전원의 극성 및 자기접지부(30)의 인가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40);을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미용기기.
KR1020150144465A 2015-10-16 2015-10-16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KR10167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465A KR101678921B1 (ko) 2015-10-16 2015-10-16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465A KR101678921B1 (ko) 2015-10-16 2015-10-16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921B1 true KR101678921B1 (ko) 2016-11-24

Family

ID=5770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465A KR101678921B1 (ko) 2015-10-16 2015-10-16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64A1 (ko) * 2018-02-26 2019-08-29 ㈜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075A (ja) 2003-07-18 2005-05-19 Ya Man Ltd 美肌装置
JP2014200499A (ja) 2013-04-05 2014-10-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075A (ja) 2003-07-18 2005-05-19 Ya Man Ltd 美肌装置
JP2014200499A (ja) 2013-04-05 2014-10-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64A1 (ko) * 2018-02-26 2019-08-29 ㈜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CN111655331A (zh) * 2018-02-26 2020-09-1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皮肤美容仪
CN111655331B (zh) * 2018-02-26 2023-04-1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皮肤美容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846B2 (en) Beauty device
US7194316B2 (en) Hair comb, circuitry, and method for laser and galvanic scalp treatment
KR101504885B1 (ko) 옥과 근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한 피부 미용기기
TWI626936B (zh) massager
KR101661240B1 (ko) 앰플 직결형 갈바닉 미용기기
CN1842304A (zh) 带有可分开的电气连接的牙刷
KR20180043015A (ko) 갈바닉 마사지기
KR101678921B1 (ko) 복합미용기기의 이중 결합구조의 헤드 구조체, 이의 제작방법 및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JP2015517931A (ja) 成形方法
CN105662822A (zh) 一种用于面部按摩的面部拨筋装置
CN112604149A (zh) 美容手柄
KR20210010391A (ko) 전류 인가용 니들 팁, 핸드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JP3226151U (ja) 美容装置の頭部および美容装置
US20150190629A1 (en) Moulded Stimulation Pad
KR20160110812A (ko) 다중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CN203370202U (zh) 一种近红外线保健带
JP5760104B2 (ja) 皮膚美容装置のチップ構造
CN106344251A (zh) 具有发热功能的美容仪器的美容头组件
KR102073921B1 (ko)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CN215135864U (zh) 美容手柄
KR101164569B1 (ko) 사용이 편리한 피부미용장치의 이온헤드 손잡이
WO2023097939A1 (zh) 美容仪的红宝石镀层工艺及美容仪
KR20230136478A (ko) 미용기기의 루비 도금층 공정 및 미용기기
CN108014418A (zh) 黑头去除器
CN208098414U (zh) 微电疗美容花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