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775B1 -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775B1
KR101678775B1 KR1020150045125A KR20150045125A KR101678775B1 KR 101678775 B1 KR101678775 B1 KR 101678775B1 KR 1020150045125 A KR1020150045125 A KR 1020150045125A KR 20150045125 A KR20150045125 A KR 20150045125A KR 101678775 B1 KR101678775 B1 KR 10167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capsule
tank
nozzl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827A (ko
Inventor
김익중
황중섭
남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5004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775B1/ko
Priority to JP2018501843A priority patent/JP6530855B2/ja
Priority to RU2017134459A priority patent/RU2674721C1/ru
Priority to CN202010694165.9A priority patent/CN111642794A/zh
Priority to CN201680019754.9A priority patent/CN107438371B/zh
Priority to US15/562,705 priority patent/US10694777B2/en
Priority to PCT/KR2016/003246 priority patent/WO2016159648A1/ko
Publication of KR2016011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775B1/ko
Priority to US16/881,544 priority patent/US119571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는, 막재를 저장하는 막재 탱크; 향액을 저장하는 향액 탱크; 및 막재 탱크로부터 막재가 제공되고 상기 향액 탱크로부터 향액이 제공되며, 막재가 향액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어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은, 노즐몸체; 노즐몸체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며, 향액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향액 배출 라인; 및 노즐몸체에서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며, 막재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막재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경로를 통해 배출될 때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 캡슐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Nozzle and apparatus to manufacture flavor capsule of cigarette having the same}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 캡슐을 제조하는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담배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다양한 종류의 잎담배(leaf tobacco)를 원하는 향과 맛이 나도록 배합하여 가공한다. 다음, 가공된 잎담배를 절각하여 담배 각초(cut tobacco leaf)를 제조하고, 궐련지(cigarette paper)로 담배 각초를 말아, 필터 없는 궐련을 제조한다. 다음, 필요에 따라 필터 없는 궐련에 필터를 부착한다.
궐련지는 예를 들면, 마(flax), 목재펄프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연소될 때 연소성과 담배의 맛이 유지될 것이 요구된다. 담배 필터는 활성탄, 향미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노필터 또는 다중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담배 필터 권지(cigarette filter wrapping paper)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팁 페이퍼(tipping paper)에 의해 담배 각초와 담배 필터가 연결되며, 팁페이퍼는 미세한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터 내에 향이 함유된 향 캡슐이 구비될 수 있다. 향 캡슐은 향액 및 그를 둘러싼 막재를 포함한다. 향액은 액체 성분이기 때문에 향액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향액을 막재로 견고히 감싸는 것이 요구된다. 아울러, 향액을 막재로 감쌀 때 공정의 신속성 역시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경로를 통해 배출될 때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 캡슐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막재를 제조하는 과정 및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막재의 점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향 캡슐의 제조 안정성 및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는, 막재를 저장하는 막재 탱크; 향액을 저장하는 향액 탱크; 및 상기 막재 탱크로부터 상기 막재가 제공되고 상기 향액 탱크로부터 상기 향액이 제공되며, 상기 막재가 상기 향액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어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향액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향액 배출 라인; 및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막재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막재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경로를 통해 배출될 때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 캡슐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막재 배출 라인은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노즐 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 및 상기 막재 배출 라인은 각각의 분사구를 갖되 상기 분사구 “‡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을 형성하는 상기 노즐몸체 내경 및 외경은 상기 향 캡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내경은 0.5 내지 1.8mm이고, 상기 외경은 2.0 내지 4.7mm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내경은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의 20 내지 4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외경에 대한 상기 내경의 비율은 2.5 내지 5.0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막재 탱크와 상기 노즐은 막재 공급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막재의 제조 시 점도는 300 내지 700cps이며, 상기 막재 탱크의 온도는 55 내지 75℃이고, 상기 막재 공급 라인 및 상기 노즐의 온도는 55 내지 75℃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막재의 제조 시 점도는 500 내지 650cps이며, 상기 막재 탱크의 온도는 60 내지 65℃이고, 상기 막재 공급 라인 및 상기 노즐의 온도는 60 내지 70℃이며, 상기 막재를 제조하는 막재 제조 장치의 탱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막재의 점도는 400 내지 550cps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은 2.1 내지 4.7mm이며, 상기 향 캡슐에서 상기 향액을 감싸는 상기 막재의 두께는 캡슐 성형 직후0.50 내지 0.80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냉각 물질을 저장하는 냉각재 탱크; 및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향 캡슐을 단위 별로 이동시키되, 상기 냉각 물질을 공급하는 냉각재 공급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재 공급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각 물질에 의해 상기 향 캡슐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 캡슐 이송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은, 막재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막재가 향액 탱크로부터 제공되는 향액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어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노즐로서,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향액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향액 배출 라인; 및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막재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막재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막재 배출 라인은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내경 및 외경은 상기 향 캡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내경은 0.5 내지 1.8mm이고, 상기 외경은 2.0 내지 4.7mm이고, 상기 내경은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의 20 내지 40%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외경에 대한 상기 내경의 비율은 2.5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액 및 막재가 각각의 경로를 통해 배출될 때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 캡슐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막재를 제조하는 과정 및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막재의 점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향 캡슐의 제조 안정성 및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항 캡슐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을 수직 방향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노즐을 수평 방향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담배(1)의 일반적인 형태를 설명하면, 담배(1)는, 각초부(10)와, 각초부(1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필터부(20)와, 각초부(10)를 감싸는 궐련지(11) 그리고 각초부(10)의 후단부 및 필터부(20)를 감싸는 필터권지(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부(20)에는 향 캡슐(3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향 캡슐(30)을 터트림으로써, 담배(1) 사용 시 향 캡슐(30)에 수용된 향액의 향을 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멘솔 향액이 수용된 향 캡슐(30)이 필터부(20)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 담배(1)의 경우, 담배(1) 사용 시 사용자가 향 캡슐(30)을 터트림으로써 멘솔 향을 맡으며 흡연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향 캡슐(30)을 터트릴 때 힘의 강도에 따라 향 캡슐(30)이 잘 터져야 함은 물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향 캡슐(30)이 임의로 터지는 일이 발생되어서는 안 된다. 향 캡슐(30)은 향액과 그를 감싸는 막재를 포함하는데, 전술한 문제들이 발생되지 않기 위해서는 향액을 감싸는 막재의 점도, 온도, 강도 등이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향 캡슐 제조 장치 및 향 캡슐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항 캡슐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을 수직 방향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노즐을 수평 방향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캡슐 제조 장치(100)는, 막재(111)를 저장하는 막재 탱크(110)와, 향액(121)을 저장하는 향액 탱크(120)와, 냉각 물질 즉 본 실시예의 MCT 용액(131)을 저장하는 냉각재 탱크 즉 MCT 탱크(130)와, 막재 탱크(110) 및 향액 탱크(120)와 각각의 공급 라인(117, 127)에 의해 연결되며 막재 탱크(110)로부터 이송된 막재(111)가 향액 탱크(120)로부터 이송된 향액(121)을 감싸는 형태(향 캡슐(101)의 초기 형태)로 배출하여 향 캡슐(101)을 형성하는 노즐(140)과, 노즐(140)에 연결되어 노즐(140)로부터 배출되는 향 캡슐(101)을 단위 별로 이동시키되 MCT 용액(131)을 공급하는 MCT 공급 라인(137)과 연결되어 MCT 공급 라인(137)으로부터 공급되는 MCT용액(131)에 의해 향 캡슐(101)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 캡슐 이송 라인(190)과, 향 캡슐 이송 라인(190)에 의해 냉각되면서 이송되는 향 캡슐(101)을 저장하는 캡슐 저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막재 탱크(110)에는 막재 제조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조된 막재(111)가 저장되며, 그 안에는 회전하는 패들(115)이 장착되어 막재(111)가 용해된 상태 및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막재 탱크(110)는 노즐(140)과 막재 공급 라인(117)에 의해 연결되어 막재 탱크(110)의 막재(111)를 노즐(140)로 공급할 수 있다. 막재 공급 라인(117)에는 막재(111) 공급을 위한 기어 펌프(118)가 장착되며 따라서 막재 탱크(110)를 열어 막재(111)의 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향액 탱크(12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향액(121)이 저장된다. 향액 탱크(120)와 노즐(140)은 향액 공급 라인(127)에 의해 연결되며 향액 공급 라인(127)에는 향액(121) 공급을 위한 기어 펌프(128)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향액 탱크(120)로부터 노즐(140)로 향액(121)의 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노즐(140)은 향 캡슐(101)의 초기 형태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노즐(140) 내로 유입된 막재(111)가 향액(121)을 감싸는 형태로 향 캡슐(101)의 초기 형태를 형성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노즐(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노즐(140)로 인입된 향액(121) 및 막재(111)가 상호 작용하여 초기 형태의 향 캡슐(101)을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40)은, 기본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몸체(141)와, 노즐몸체(141)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어 향액(121)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향액 배출 라인(143)과, 향액 배출 라인(14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노즐몸체(141)에 형성되어 막재(111)를 배출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막재 배출 라인(145)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노즐몸체(14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되, 하단 부분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노즐몸체(14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액 배출 라인(14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노즐몸체(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향액 배출 라인(143)은 전술한 향액 탱크(120)와 향액 공급 라인(127)에 의해 연결되어 향액 배출 라인(143)의 형성 방향(화살표 A 방향)을 통해 향액(121)을 공급할 수 있으며, 향액 배출 라인(143)의 하단부는 상단부 및 중앙부에 비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향액 배출 라인(143)의 하단부에 분사구(142)가 형성되어 향액(121)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막재 배출 라인(14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액 배출 라인(143)의 외측 부분에서 노즐몸체(14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막재 배출 라인(145)은 전술한 막재 탱크(110)와 막재 공급 라인(117)으로 연결되어 막재 배출 라인(145)의 형성 방향(화살표 B 방향)을 통해 막재(111)를 공급할 수 있다. 막재 배출 라인(145)을 통과하는 막재(111)는 막재 배출 라인(145)의 하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과하면서 향액(121)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다시 말해, 향액 배출 라인(143)의 분사구(142) 및 막재 배출 라인(145)의 분사구를 통해 향액(121) 및 막재(111)가 동시 배출되는데, 이 때 분사구(142) 영역에서 향액(121)의 외면을 막재(111)가 감싸면서 향 캡슐(101, 도 2 참조)의 초기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향 캡슐(101)의 초기 형태는 원형보다는 위아래로 긴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후술한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을 지나면서 냉각 물질에 영향을 받아 원형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향 캡슐(101)의 크기에 따라 노즐(140)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5031487610-pat00001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담배(1)의 형태에 따라 향 캡슐(101)의 크기 및 노즐(140)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향액 배출 라인(143)을 형성하는 노즐몸체(141)의 내경 및 외경은 향 캡슐(101)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향 캡슐(101)의 직경이 2.1 내지 4.7mm인 경우, 노즐몸체(140)의 내경은 0.5 내지 1.8mm이고, 외경은 2.0 내지 4.7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경은 향 캡슐의 직경의 20 내지 40%의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경에 대한 내경의 비율은 2.5 내지 5.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막재(111)의 두께는 0.5 내지 0.8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를 통해 예를 들면, 담배(101)가 제1형, 예를 들면 초슬림형의 향 캡슐(101)의 적용되는 경우, 이 때 향 캡슐(101)의 직경은 2.8~3.0mm일 수 있고, 그에 따른 노즐(140)의 외경 및 내경은 각각 3.0, 0.8mm일 수 있다. 그리고 성형 직후 막재(111) 두께는 0.68~0.72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향 캡슐(101)의 크기에 따라 그에 최적화된 외경 및 내경을 갖도록 노즐(140)을 제작할 수 있고 막재(111) 두께 역시 최적화된 두께를 갖도록 막재 배출 라인(145)의 크기 또한 설계될 수 있다.
노즐(140)에 의해 배출된 초기 형태의 향 캡슐(101)은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을 따라 이송되는데, 이 때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을 따라 MCT 용액(131)이 흐름으로써 향 캡슐(101)은 MCT 용액(131)의 흐름을 따라 냉각되면서 캡슐 저장부(18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즉, MCT 용액(131)이 흐름을 형성하고 형성된 흐름에 의해 향 캡슐(101)이 이송되는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MCT 용액(131)은 MCT 탱크(13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MCT 탱크(130)와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의 (노즐(140)과 인접한) 상단부는 MCT 공급 라인(137)으로 연결되어 MCT 용액(131)은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의 처음 부분, 즉 노즐(140)로부터 향 캡슐(101)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MCT 용액(131)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냉각 물질인 MCT 용액(131)이 노즐(140)로부터 배출되는 향 캡슐(101)에 바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향 캡슐(101)이 냉각될 수 있으며, 따라서 향액(121)에 대한 막재(111)의 표면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노즐(140)로부터 향액(121) 및 막재(111)가 배출되며 향 캡슐(101)의 초기 형태가 형성될 때 향액(121) 및 막재(111)가 갖는 온도로 인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MCT 용액(131)에 의해 바로 냉각됨으로써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을 통해 이송되는 향 캡슐(101) 그리고 MCT 용액(131)은 바로 캡슐 저장부(180)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캡슐 분리부(170)에 의해 분리되어 향 캡슐(101)은 캡슐 저장부(180)로, 그리고 MCT 용액(131)은 다시 MCT 탱크(130)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분리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T 용액(131)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MCT 저장통(171)과, MCT 저장통(171)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향 캡슐(101)은 캡슐 저장부(180)로 이송시키고 MCT 용액(131)은 MCT 저장통(171)으로 투과시키는 분리판(173)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173)은 캡슐 저장부(180)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 캡슐 이송 라인(190)을 따라 이송된 향 캡슐(101)이 캡슐 저장부(180)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 때 향 캡슐(101)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MCT 용액(131)도 같이 낙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분리판(173)이 투과성을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MCT 용액(131)은 MCT 저장통(171)으로 낙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MCT 저장통(171)은 전술한 MCT 탱크(130)와 연결 라인(175)에 의해 연결되어 MCT 저장통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MCT 용액(131)은 다시 MCT 탱크(1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 구조에 의해 MCT 용액(131)을 재사용할 수 있어 비용적인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MCT 탱크(130)에는, 냉각기(133)가 장착되어 MCT 탱크(130) 내에 저장된 MCT 용액(131)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냉각된 MCT 용액(131)을 향 캡슐 이송 라인(190)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막재(111)의 점도 및 온도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것처럼, 향액(12)1에 막재(111)를 감쌈으로써 향 캡슐(101)을 제조할 때 막재(111)의 점도가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막재(111)의 점도 유지를 위해 막재(111) 제조 시의 점도, 막재 탱크(110)의 온도, 막재 공급 라인(117)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아울러 냉각 용액 즉 본 실시예의 MCT 용액(131)의 온도 역시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막재(111)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막재 제조 장치에서 제조되는데, 이 때 막재(111)의 점도는 300 내지 700cps이며, 막재 탱크(110)의 온도는 55 내지 75℃이고, 막재 공급 라인(117) 및 노즐(140)의 온도는 55 내지 75℃이며, MCT 용액(131)의 온도는 12 내지 18℃를 갖도록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막재(111)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막재(111)의 제조 시 점도는 500 내지 650cps이며, 막재 제조 장치의 탱크로부터 토출되는 막재(111)의 점도는 400 내지 550cps이고, 막재 탱크(110)의 온도는 60 내지 65℃이고, 막재 공급 라인(117) 및 노즐(140)의 온도는 60 내지 70℃를 갖도록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향액(121) 및 막재(111)가 각각의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액(121) 및 막재(111)가 각각의 경로를 통해 배출될 때 향 캡슐(101)의 초기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 캡슐(101)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막재(111)를 제조하는 과정 및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막재(111)의 점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향 캡슐(101)의 제조 안정성 및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막재 배출 라인이 복수 개 마련되어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서 막재 배출 라인이 원형의 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어 막재를 배출하는 구조 등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101 : 향 캡슐
110 : 막재 탱크
120 : 향액 탱크
130 : MCT 탱크
140 : 노즐
143 : 향액 배출 라인
145 : 막재 배출 라인
170 : 캡슐 분리부
180 : 캡슐 저장부
190 : 향 캡슐 이송 라인

Claims (13)

  1. 막재를 저장하는 막재 탱크;
    향액을 저장하는 향액 탱크; 및
    상기 막재 탱크로부터 상기 막재가 제공되고 상기 향액 탱크로부터 상기 향액이 제공되며, 상기 막재가 상기 향액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어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형성하는 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향액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향액 배출 라인; 및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막재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막재 배출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막재 배출 라인은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을 형성하는 상기 노즐몸체의 내경 및 외경은 상기 향 캡슐의 크기에 따라 최적화되어 결정되며,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이 2.1 내지 4.7mm인 경우 상기 내경은 0.5 내지 1.8mm이고, 상기 외경은 2.0 내지 4.7mm이고,
    상기 내경은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의 20 내지 40%의 범위를 갖고,
    상기 외경에 대한 상기 내경의 비율은 2.5 내지 5.0인,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 및 상기 막재 배출 라인은 각각의 분사구를 갖되 상기 분사구 “‡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재 탱크와 상기 노즐은 막재 공급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막재의 제조 시 점도는 300 내지 700cps이며, 상기 막재 탱크의 온도는 55 내지 75℃이고, 상기 막재 공급 라인 및 상기 노즐의 온도는 55 내지 75℃인,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재의 제조 시 점도는 500 내지 650cps이며, 상기 막재 탱크의 온도는 60 내지 65℃이고, 상기 막재 공급 라인 및 상기 노즐의 온도는 60 내지 70℃이며,
    상기 막재를 제조하는 막재 제조 장치의 탱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막재의 점도는 400 내지 550cps인,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은 2.1 내지 4.7mm이며, 상기 향 캡슐에서 상기 향액을 감싸는 상기 막재의 두께는 캡슐 성형 직후 0.50 내지 0.80mm인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냉각 물질을 저장하는 냉각재 탱크; 및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향 캡슐을 단위 별로 이동시키되, 상기 냉각 물질을 공급하는 냉각재 공급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재 공급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각 물질에 의해 상기 향 캡슐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향 캡슐 이송 라인;
    을 더 포함하는 향 캡슐 제조 장치.
  11. 막재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막재가 향액 탱크로부터 제공되는 향액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어 향 캡슐의 초기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노즐에 있어서,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향액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향액 배출 라인; 및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막재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막재 배출 라인;
    을 포함하여 이중 배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막재 배출 라인은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되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향액 배출 라인을 형성하는 상기 노즐몸체의 내경 및 외경은 상기 향 캡슐의 크기에 따라 최적화되어 결정되며,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이 2.1 내지 4.7mm인 경우 상기 내경은 0.5 내지 1.8mm이고, 상기 외경은 2.0 내지 4.7mm이고,
    상기 내경은 상기 향 캡슐의 직경의 20 내지 40%의 범위를 갖고,
    상기 외경에 대한 상기 내경의 비율은 2.5 내지 5.0인, 노즐.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45125A 2015-03-31 2015-03-31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KR10167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25A KR101678775B1 (ko) 2015-03-31 2015-03-31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JP2018501843A JP6530855B2 (ja) 2015-03-31 2016-03-30 タバコの香りカプセ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RU2017134459A RU2674721C1 (ru) 2015-03-31 2016-03-30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роматической капсулы табака
CN202010694165.9A CN111642794A (zh) 2015-03-31 2016-03-30 香烟的香料胶囊制备装置及具有双重排放结构的喷嘴
CN201680019754.9A CN107438371B (zh) 2015-03-31 2016-03-30 一种香烟的香料胶囊制备方法及制备装置
US15/562,705 US10694777B2 (en) 2015-03-31 2016-03-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vor capsule of tobacco
PCT/KR2016/003246 WO2016159648A1 (ko) 2015-03-31 2016-03-30 담배의 향 캡슐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16/881,544 US11957164B2 (en) 2015-03-31 2020-05-22 Nozzle for manufacturing flavor capsule of tobacc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25A KR101678775B1 (ko) 2015-03-31 2015-03-31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27A KR20160116827A (ko) 2016-10-10
KR101678775B1 true KR101678775B1 (ko) 2016-11-22

Family

ID=5714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125A KR101678775B1 (ko) 2015-03-31 2015-03-31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67B1 (ko) 2017-08-08 2019-03-1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유효 성분이 담지된 캡슐
KR102280148B1 (ko) * 2018-12-04 2021-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삼중 캡슐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45269B1 (ko) 2019-02-27 2021-04-2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중 코팅된 연질 캡슐
KR102561954B1 (ko) * 2022-07-01 2023-08-02 내외 코리아 주식회사 다중 캡슐형 바이러스 항균코팅제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059B1 (ko) * 1991-05-14 1999-11-15 후세지마 야스토요 심리스 캡슐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059B1 (ko) * 1991-05-14 1999-11-15 후세지마 야스토요 심리스 캡슐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27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775B1 (ko) 노즐 및 그를 구비한 담배의 향 캡슐 제조 장치
US11957164B2 (en) Nozzle for manufacturing flavor capsule of tobacco
KR102121894B1 (ko) 필터 부착 시가렛
JP7056997B2 (ja) エアロゾル形成ロッ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RU2635971C2 (ru) Фильт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JP6615754B2 (ja) 喫煙物品のための気流を方向付けるセグメントを製造する方法
EP2134201B1 (en) Multi-component filter providing improved flavour enhancement
RU2720571C2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зделие с зо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20180071323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US20160029700A1 (en) Atomizing core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KR20110089175A (ko) 흡연물품 속으로 물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4395B1 (ko) 흡연 제품에 대상물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BE1024591B1 (fr) Tube a bout filtre pour un article a fumer
KR20170120197A (ko) 필터 로드 제조기
KR20070088639A (ko) 복합필터로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70058914A (ko) 이중 길이 반제품을 중간에 보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58918A (ko) 에어로졸 발생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7791B1 (ko) 궐련형 전자담배용 담배스틱
UA119663C2 (uk) Багатосегментна фільтруюча гільза
JP2014516523A (ja) 添加剤含有部材
JP2023053380A (ja) フィルター要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804889A (zh) 三重胶囊、用于制造该三重胶囊的装置及方法
KR20200097794A (ko) 흡연 물품 및 흡연 물품의 필터
CN113226072B (zh) 管式过滤器制造装置以及管式过滤器的制造方法
CN113163855A (zh) 非燃烧加热型吸烟物品、电加热型吸烟系统及非燃烧加热型吸烟物品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