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642B1 -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642B1
KR101678642B1 KR1020150077015A KR20150077015A KR101678642B1 KR 101678642 B1 KR101678642 B1 KR 101678642B1 KR 1020150077015 A KR1020150077015 A KR 1020150077015A KR 20150077015 A KR20150077015 A KR 20150077015A KR 101678642 B1 KR101678642 B1 KR 10167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smart glasses
leg
eyeglass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권
Original Assignee
오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권 filed Critical 오영권
Priority to KR102015007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642B1/ko
Priority to PCT/KR2016/005092 priority patent/WO201619527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642B1/ko
Priority to US15/824,297 priority patent/US104666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4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and, e.g. lorgnette, 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8Graduations on the crystal or glass, on the bezel, or on the ri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2Cases for special purposes, e.g. watch combined with ring, watch combined with but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69Cases and fixed parts with a special shap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외곽 테두리에 안착부가 형성된 표시부를 갖는 시계바디; 및 상기 시계바디의 케이스바디 또는 베젤을 이루도록 상기 안착부에 착탈하며,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를 둘러싸는 안경다리 팁을 갖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의 휴대성과 이용의 편이성을 증가시키고, 편안한 착용감과,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한 손목시계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존 스마트 안경보다 휴대성 및 이용의 편의성이 높아지며, 분실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가 있고,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SMART GLASS AND WRISTWATCH COMPRISING SAM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스마트와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와치의 원형이 되는 손목시계의 변형 또는 구성요소 중 일부의 탈착만으로 스마트 안경을 이용할 수 있어, 스마트 안경의 휴대성과 사용 편이성을 높이고, 원래의 부속을 탈착 또는 변형하여 사용함으로 손목시계로서의 미려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래 웨어러블 컴퓨팅 시스템(wearable computing system)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글라스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휴대전화 및 카메라 기능 등을 제공하는 일명 스마트 안경이 보급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상품명이 구글(Google)에서 발표한‘구글글라스(Google Glass)’이다.
하지만, 그 휴대성에 있어서 안경을 쓰지 않는 사람도 항시 착용하던지, 안경케이스에 넣고 다닐 경우 따로 가방(bag)을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항시 착용의 경우 “완벽한 스토커 용품”이라는 평을 받을 정도로 제품의 거부감이 커, 현재에는 구글의 경우 스마트 안경의 생산을 중단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와치 단말기 또는 스마트와치의 원형이 되는 손목시계(이하 ‘손목시계’로 통칭함)의 베젤(Bezel) 또는 케이스바디(Case Body)의 부분 또는 전부를 활용하여 평시에는 손목시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단순한 탈착 또는 변형 동작만으로 스마트 안경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손목시계의 기본 바디 중 일부를 사용함으로서 그 미려함을 유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를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에 있어서, 외곽 테두리에 안착부가 형성된 표시부를 갖는 시계바디; 및 상기 시계바디의 케이스바디 또는 베젤을 이루도록 상기 안착부에 착탈하며,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를 둘러싸는 안경다리 팁을 갖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의 일 실시 예로써, 상기 시계바디를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안경다리 팁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밴드에 착탈하는 안경다리 템플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안경의 상기 안경다리 템플에 마련되어, 영상이 투영되는 투명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계바디는 배터리와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시계바디와 연동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안경이 상기 시계바디에 결합할 때 상기 시계바디의 전력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스마트 안경의 안경다리 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안경다리 팁을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부의 안착을 위한 보호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 팁은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의 일부만을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에 있어서, 상면에 표시부를 갖는 시계모듈; 및 상기 시계모듈의 베젤 또는 케이스바디를 이루도록, 상기 시계모듈의 외곽테두리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갖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연결하며,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로 변형 가능한 안경다리 템플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영상을 투영하는 투명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에 있어서, 시간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투명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며 시계바디를 이루는 렌즈프레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렌즈프레임에 각각 마련되어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로 변형이 가능한 한 쌍의 안경다리 템플; 및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템플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안경다리 팁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절부는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 템플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절부는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안경다리 템플과 상기 안경다리 팁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안경다리 팁의 방향을 맞추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프레임을 포함한다.
위에서 상술한 손목시계 및 스마트 안경의 바디인 전체프레임을 탄성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탄성을 부여하면 보다 더 사용자의 얼굴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코패드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스마트 안경으로서의 입력부로 사용 용이성을 배가시킬 수 있고, 내측프레임을 노출 시켜 사용자의 얼굴에 맞게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휴대성이 높은 손목시계의 착용만으로,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쉽고 간편하게 손목시계로부터 스마트 안경을 분리 또는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기존의 스마트 안경과 달리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일반 손목시계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였기에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는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100)와 스마트 안경(200)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 2는 도면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100)의 사시도,
도면 3은 도면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100)의 배면 측 사시도,
도면 4는 도면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200)의 사시도,
도면 5는 도면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면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7은 도면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의 배면 측 사시도,
도면 8은 도면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의 분리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9는 도면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의 스마트 안경 형태의 사시도,
도면 10은 도면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면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12는 도면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의 배면 측 사시도,
도면 13은 도면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의 스마트 안경 형태의 사시도,
도면 14는 도면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제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센서”, “모듈”,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손목시계와 그 구성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스마트 안경으로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스마트 안경의 휴대성과 사용편리성을 향상 시킨 특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안경에는 스마트 안경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출력부, 입력부, 무선통신부, 센서부, 카메라부, 전원공급부, 인터페이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안경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스마트 안경의 기능적 방법은 본 발명의 취지와 어긋남으로 일반적인 스마트 안경의 기능적 내용은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맞는 스마트 안경의 사용방법과 고유의 기능에 대하여만 여기서는 설명한다.
또한, 스마트 안경의 투명디스플레이부 구현방법에 있어서도 그 개수는 하나 이상일 것이고, 그 구체적인 구형방법에 있어서는 OLED, 프리즘 방식 등 이 대표적이나 여기서는 투명디스플레이부로 통칭하고, 그 방법을 특정하지는 않으며, 또한, 후술한 탄성소재에 예에 있어 고무, 우레탄, 실리콘, TPU 등과 같이 그 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면들에서 나타난 일실시의 예들에 있어서, 손목시계의 모양, 크기와 곡면여부 등은 모두 다를 수 있으므로, 후술될 안경다리 팁의 모양, 크기 및 곡면여부 등 외관이 각 예에 나오는 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100)와 스마트 안경(200)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면 2와 도면 3은 도면1에 따른 손목시계(100)의 상측 사시도와 배면 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200)의 안경다리 팁(265)이 손목시계 표시부(111)의 외곽테두리(112)의 일부 또는 전체인 형태로 손목시계(100)와 맞닿아 있는 형태로 베젤 또는 케이스바디(117)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목시계(100)는 시계의 중심요소인 시계바디(110)를 구비하며, 상기 시계바디에는 상면에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써, 아날로그시계다이얼이나 디지털액정화면이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입력부의 역할도 할 수 있는 표시부(111)와, 상기 표시부를 둘러싼 외곽테두리와(112), 상기 외곽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스마트 안경의 안경다리 팁(265)이 안착되는 안착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는 스마트 안경(200)의 안경다리 팁(265)이 시계바디(110)에 장착 및 지지가 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써, 안경다리 팁(265)과 맞닿는 면이므로 상기 안경다리 팁의 밑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면 4는 도면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손목시계의 밴드(150)에는 결합과 길이조절을 위한 버클유닛(151)과 길이조절유닛(152)이 있고, 스마트 안경(200)의 안경다리 템플(260), 코패드(240) 및 투명디스플레이부(211)의 안착을 위한 보호덮개(157)와 밴드안착부(155)가 있다. 상기 밴드안착부와 상기 안경다리 템플에는 상호간 결속을 위한 도킹유닛(156)이 있고, 그 일 실 시의 예로서, EMI 차폐가 가능한 정도의 자성결합유닛 방식이 대표적일 것이다.
도면 4에서 보듯이 스마트 안경(200)의 안경다리 템플(260)과 안경다리 팁(265)은 관절부(263)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관절부(263)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손목시계와 분리하는 경우 자동으로 기억된 형상으로 변형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편안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 템플(260)의 내측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된 내측프레임(280)을 노출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할 것이고, 그 일 실시의 예로서, 슬라이딩 레일방식이 대표적일 것이다.
또한, 안경다리 팁(265), 안경다리 템플(260) 및 코패드(240)를 포함한 전체프레임(285)과 손목시계(100)의 밴드(150)에는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경(200)의 내부에는 손목시계(100)로부터 스마트 안경(200)의 탈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의 온/오프(On/Off) 기능을 수행하는 탈착감지센서(미도시)가 스마트 안경(200) 안에 내장되어 포함된다. 이는 스마트 안경(20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작동에 필요한 동작의 구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화 할 수 있다. 탈착감지센서의 형태는 물리적, 기능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데, 일 실시 예로, 상기 스마트 안경을 분리하는 경우 충전모듈(236)로부터 분리 시그널을 받은 스마트 안경(200)은 상태가 자동으로 온(On)되며, 다시 결합하는 경우 충전모듈(236)로부터 결합 시그널을 받은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태가 자동으로 오프(Off)된다. 또, 수동으로 할 경우, 일반적 스마트폰과 같이 안경다리 팁(265)의 전원버튼(134)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면 온/오프(On/Off)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안경(200)이 구비하는 센서에 있어서도, 탈착감지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착용자의 정보 또는 스마트 안경과 착용자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센서 등), 카메라(전방정보획득카메라, 홍채카메라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 든 센서와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센서와 카메라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와 카메라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241)의 위치에 있어서 코패드(240)에 위치하여 카메라(241)를 설치할 경우 홍채카메라와 전방정보획득카메라로서의 기능이 보다 수월해 질 것이다.
그리고 안경다리 팁(265)이 손목시계(100)의 안착부(113)에 안착 되면, 스마트 안경(200)의 소모전력을 충전하도록, 손목시계(100)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외부로부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충전단자(133)를 상기 손목시계의 한 부분에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손목시계와 연동하는 한 쌍의 충전모듈(136, 236)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안경이 상기 손목시계에 결합할 때 상기 손목시계의 전력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을 충전한다. 충전모듈(136, 236)과 충전단자(133)는 전기적 접촉방식이나, 자기유도무선충전방식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0)와 스마트 안경(200)의 탈착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111)의 외곽테두리(112)에 형성된 걸림부(131)와, 스마트 안경(200)의 안경다리 팁(265)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3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돌기(231)가 포함된 로킹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게 되는데, 도면 1에서의 걸림부를 홈으로 도시하였지만 홈이 아닌 돌기로 형성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로킹유닛의 걸림부(131)와 걸림돌기(231)에 의해 안경다리 팁(265)을 표시부(111)의 외곽테두리(112)에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걸림돌기는 안경다리 팁(265)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손목시계(100)와 스마트 안경(200)의 결합을 해제를 도우는 수단으로 걸림돌기(231)의 로킹해제버튼(222)을 포함할 수 있는데, 로킹해제버튼(222)을 누리면 걸림돌기(231)가 안경다리 팁(265)의 내측으로 후퇴하여 스마트 안경(200)과 손목시계(100)가 분리된다.
일 실시의 예로서, 도면 1에서 충전모듈(236)은 로킹유닛의 걸림돌기 역할을 병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수단이 다른 결합수단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스마트 안경(200)의 안경다리 팁(265)이 한쪽 귀에만 걸리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의 예로써, 스마트 안경의 안경다리 팁이 두 개로 분리 가능한 형태가 되어, 쌍으로 된 안경다리 템플 양끝과 각각 연결되고, 분리 후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프레임, 코패드 및 투명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켜 길이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스마트 안경의 형태도 가능하다.
도면 6과 도면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손목시계(401)는 상면에 표시부(409)를 갖는 시계바디(410)와 이를 감싸는 외곽테두리(412)를 가지며,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외곽테두리를 포함하는 시계모듈(411)로 갖고, 상기 시계모듈에 대응하는 형태에 따른 베젤 또는 케이스바디를 이루는 부분이 스마트 안경(402)의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의 형태로 분리 및 변형되고,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의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450) 안의 내측 프레임(480), 투명디스플레이부(418)와 코패드(440)를 노출시켜 스마트 안경(402)으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안경다리 팁(417)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시계모듈(411)의 외곽 테두리(412)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안경다리 팁(417)은 안경다리 템플(450)에 의해 연결되며, 안경다리 템플(450)은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로 변형가능하게 된다.
도면 8은 도면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의 분리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목시계의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의 탈착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의 안착면(413a)에 형성된 걸림부(431a)와, 상기 안착면에 쌍으로서 대응하는 안착면(413b)에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돌기(431b)가 포함된 로킹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에는 그 탈착을 위한 서로 대응하는 걸림돌기(431b) 및 걸림부(431a)를 쌍으로 지닌 로킹유닛이 하나 이상포함 된 서로 대응하는 안착면(413a,413b)이 쌍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가 손목시계(401)로 사용 중 스마트 안경(402)으로 변형을 원하는 경우, 손목시계(401)의 로킹해제버튼(422)을 누르면 걸림돌기(431b)가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 안으로 후퇴하고, 도면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401)의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은 시계모듈(411)을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안경다리 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분리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 팁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 한쪽에 회전부(470)를 두고 이를 회전시켜 상기 안경다리 팁의 방향을 맞출 수 있다.
도면 9는 도면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400)의 스마트 안경 형태의 사시도이다
이후,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450) 안에 있는 내측프레임(480), 투명디스플레이부(418) 및 코패드(440)를 노출시켜 스마트 안경(402)의 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450)의 내측에 인출입가능하게 내장된 내측프레임(480)을 노출정도를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할 것이고, 그 일 실시의 예로서, 슬라이딩 레일방식이 대표적일 것이다. 영상을 투영하는 투명디스플레이부(418)는 안경다리 템플(450)의 내측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450),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 및 코패드(440) 등을 포함한 전체프레임(485)을 탄성소재로 하여 탄성을 부여하면 보다 사용자의 손과 얼굴에 착용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면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463)는 하나 이상 구비 될 수 있다. 또, 관절부(463)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스마트 안경(402)으로 이용 시 착용자의 얼굴에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그리고 본 스마트 안경(402)은 앞서 서술한 스마트 안경의 기능을 포함하고, 추가로 상면에 표시부(409)를 포함한 시계모듈(411)에 있어, 표시부 반대편에 터치스크린을 설치하여, 스마트 안경으로 사용 시 터치패드로서의 입력장치의 역할 을 수행 할 수 있다. 단, 회전부(470)쪽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450)이 아닌, 반대편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450)의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417)에 시계모듈(411)이 위치하는 경우, 표시부(409)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장치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고, 이 경우, 회전부는 불필요할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433은 충전단자이고, 참조부호 434는 전원버튼이며, 참조부호 441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도면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손목시계(501)의 상면에 시간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투명디스플레이부(511)와, 이를 둘러싼 외곽테두리(512)와, 상기 외곽테두리에 대응하는 형태인 시계바디를 이루는 렌즈프레임(510)과, 상기 시계바디 겸 렌즈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550)들과, 한 쌍의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550)을 결합시켜주는 한 쌍의 버클 겸 안경다리 팁(553)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를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550)은 투명디스플레이부(511)를 사이에 두고 렌즈 프레임에 각각 마련되어,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버클 겸 안경다리 팁(553)은 한 쌍의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550)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도면 12는 도면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서, 착용자가 손목시계(501)로 사용 중 스마트 안경(502)으로 변형을 원하는 경우, EMI차단이 가능한 정도의 자성으로 결합한 손목시계의 쌍으로 된 버클 겸 안경다리 팁(553)에 힘을 주어 결합을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버클 겸 안경다리 팁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 한쪽 상기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에 회전부(558)를 두고 이를 회전시켜 상기 버클 겸 안경다리 팁의 방향을 맞출 수 있다
이 때, 쌍으로 된 버클 겸 안경다리 팁(553)의 결합 방법이 버클의 형태로 자성 결합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 12에서와 같이 반드시 안경다리 팁의 방향이 서로 엇갈릴 필요도 없으며 이때에는 회전부(558)를 둘 필요도 없고, 중요한 것은 안경다리 팁 및 밴드 버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모양이나 방법에 제한은 없다.
도면 13은 도면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500)의 스마트 안경 형태의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클 겸 안경다리 팁(553)을 분리한 후,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550) 안에 있는 내측프레임(580) 및 코패드(540)를 노출 시켜 착용자의 얼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해서 스마트 안경(502)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길이 조절방식의 일 실시의 예로서, 슬라이딩 레일방식이 대표적일 것이다.
또한,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550), 버클 겸 안경다리 팁(553), 코패드(540), 시계바디 겸 렌즈프레임(510) 등을 포함한 전체프레임(585)이 탄성소재로 하여 탄성을 부여하면 보다 사용자의 손과 얼굴에 착용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면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563)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절부(563)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스마트 안경(502)으로 이용 시 착용자의 귀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여기서, 미 설명된 참조부호 533은 충전단자이고, 참조부호 534는 전원버튼이며, 참조부호 541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그리고, 본 스마트 안경(407, 502)은 앞서 서술한 스마트 안경(200)의 기능을 포함하며, 이를 위한 모듈, 센서, 배터리 등은 케이스바디, 안경다리 템플 및 버클 겸 안경다리 팁에 내장할 수 있다.
100 : 손목시계 110 : 시계바디 111 : 표시부
112 : 외곽테두리 113 : 안착부 117 : 케이스바디
131 : 걸림부 133 : 충전단자 134 : 전원버튼
136 : 충전모듈 150 : 밴드 151 : 버클유닛
152 : 길이조절유닛 155 : 밴드 안착부 156 : 도킹유닛
157 : 보호덮개 200 : 스마트 안경 211 : 투명디스플레이부
222 : 로킹해제버튼 231 : 걸림돌기 236 : 충전모듈
240 : 코패드 241 : 카메라 260 : 안경다리 템플
263 : 관절부 265 : 안경다리 팁 280 : 내측프레임
285 : 전체프레임 400 :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
401 : 손목시계 402 : 스마트 안경 409 : 표시부
410 : 시계바디 411 : 시계모듈 412 : 외곽 테두리
413a, 413b : 안착면 417 : 케이스바디 겸 안경다리 팁
418 : 투명디스플레이부 422 : 로킹해제버튼 431a : 걸림부
431b : 걸림돌기 433 : 충전단자 434 : 전원버튼
440 : 코패드 441 : 카메라
450 :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 463 : 관절부
470 : 회전부 480 : 내측프레임 485 : 전체프레임
500 : 스마트 안경 겸 손목시계
501 : 손목시계 502 : 스마트 안경
510 : 시계바디 겸 렌즈프레임
511 : 표시부 겸 투명디스플레이부
512 : 외곽테두리 533 : 충전단자 534 : 전원버튼
540 : 코패드 541 : 카메라
550 : 밴드 겸 안경다리 템플
553 : 버클 겸 안경다리 팁 558 : 회전부
563 : 관절부 580 : 내측프레임 585 : 전체프레임

Claims (18)

  1. 손목시계에 있어서,
    외곽 테두리에 안착부가 형성된 표시부를 갖는 시계바디;
    상기 시계바디를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 및
    상기 시계바디의 케이스바디 또는 베젤을 이루도록 상기 안착부에 착탈하며,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를 둘러싸는 안경다리 팁과, 상기 안경다리 팁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밴드에 착탈하는 안경다리 템플을 갖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의 상기 안경다리 템플에 마련되어, 영상이 투영되는 투명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바디는 배터리와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시계바디와 연동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안경이 상기 시계바디에 결합할 때 상기 시계바디의 전력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5. 제 1항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스마트 안경의 안경다리 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안경다리 팁을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부의 안착을 위한 보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 팁은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의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8. 손목시계에 있어서,
    상면에 표시부를 갖는 시계모듈; 및
    상기 시계모듈의 베젤 또는 케이스바디를 이루도록, 상기 시계모듈의 외곽테두리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팁과,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연결하며,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로 변형 가능한 안경다리 템플을 갖는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영상을 투영하는 투명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12. 손목시계에 있어서,
    시간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투명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며 시계바디를 이루는 렌즈프레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렌즈프레임에 각각 마련되어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로 변형이 가능한 한 쌍의 안경다리 템플; 및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 템플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팁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다리 템플의 내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13.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 팁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14. 제 1항, 제 8항,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 템플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15. 삭제
  16. 삭제
  17. 제 8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 템플과 상기 안경다리 팁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안경다리 팁의 방향을 맞추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18. 삭제
KR1020150077015A 2015-06-01 2015-06-01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167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15A KR101678642B1 (ko) 2015-06-01 2015-06-01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PCT/KR2016/005092 WO2016195276A1 (ko) 2015-06-01 2016-06-01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US15/824,297 US10466653B2 (en) 2015-06-01 2017-11-28 Smart glasses and wristwatch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15A KR101678642B1 (ko) 2015-06-01 2015-06-01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797A Division KR101678645B1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642B1 true KR101678642B1 (ko) 2016-11-22

Family

ID=5744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015A KR101678642B1 (ko) 2015-06-01 2015-06-01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66653B2 (ko)
KR (1) KR101678642B1 (ko)
WO (1) WO2016195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9714B2 (en) * 2014-02-25 2021-12-14 Dennis Solomon Experimental reality integrated system
FR3060144B1 (fr) * 2016-12-09 2019-07-05 Renard & Millot Dispositif de lunettes pouvant etre transforme reversiblement en bracelet
USD980621S1 (en) * 2021-09-08 2023-03-14 Wan Rong Ronald He Armba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10B1 (ko) * 2005-08-22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KR20120000828U (ko) * 2010-07-26 2012-02-0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기능성 접이식 안경
KR20120033370A (ko) * 2010-08-26 2012-04-09 박미숙 접는 안경
KR20140106849A (ko) * 2013-02-27 2014-09-04 한민우 다목적 입는 컴퓨터와 구조 및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081B2 (ja) * 1975-08-15 1983-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眼鏡用時計装置
BR8801461A (pt) * 1988-03-24 1988-08-23 Sergio Alcantara Maia Metodo para coplar oculos desmontavel a um relogio portatil e conjunto obtido
US10593092B2 (en) * 1990-12-07 2020-03-17 Dennis J Solomon Integrated 3D-D2 visual effects display
US5455640A (en) * 1994-01-13 1995-10-03 Gertsikov; Daniel G. Eye glass systems with integral time/temperature components
JP4068952B2 (ja) * 2002-11-20 2008-03-26 達雄 西岡 携帯時計に併設する眼鏡
US20080036962A1 (en) * 2006-08-14 2008-02-14 Daniel Alitowski Watch device containing eyeglasses
US7748843B2 (en) * 2008-03-05 2010-07-06 Stewart Gary A Watchband eyeglasses
US9033491B2 (en) * 2012-06-01 2015-05-19 Catherine M Allen Slap bracelet eyeglas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10B1 (ko) * 2005-08-22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KR20120000828U (ko) * 2010-07-26 2012-02-0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기능성 접이식 안경
KR20120033370A (ko) * 2010-08-26 2012-04-09 박미숙 접는 안경
KR20140106849A (ko) * 2013-02-27 2014-09-04 한민우 다목적 입는 컴퓨터와 구조 및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66653B2 (en) 2019-11-05
US20180081325A1 (en) 2018-03-22
WO2016195276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480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CN108474952B (zh) 头戴式电子设备
TWI599796B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TWI575252B (zh) 具有輸入及輸出結構之可戴式裝置
US9413087B2 (en) Data and power connector
CN109085698A (zh) 头戴式显示设备
CN108292044A (zh) 具有可拆卸设备的头戴式显示设备
KR1016557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8490Y1 (ko) 헤드 마운트 장치
CN104969115A (zh) 用于头部可安装显示器的模块化框架构造
KR2019001851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CN210181299U (zh) 一种穿戴眼镜
KR20160026429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8642B1 (ko)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CN105242411A (zh) 一种分体式智能眼镜
KR20160141982A (ko)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인체 착용형 장치
US201601033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s-on displays for fashionable eyewear and nosewear
KR101678645B1 (ko)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CN106842565A (zh) 一种分离式可穿戴智能视觉增强设备
CN205983392U (zh) 可穿戴式智能系统
CN105183175B (zh) 穿戴式通讯设备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160128915A (ko)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CN205121476U (zh) 穿戴式通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