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012B1 -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012B1
KR101678012B1 KR1020160014817A KR20160014817A KR101678012B1 KR 101678012 B1 KR101678012 B1 KR 101678012B1 KR 1020160014817 A KR1020160014817 A KR 1020160014817A KR 20160014817 A KR20160014817 A KR 20160014817A KR 101678012 B1 KR101678012 B1 KR 10167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tion
piezoelectric elements
row
biometric information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방창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프스
Priority to KR102016001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012B1/ko
Priority to PCT/KR2017/000446 priority patent/WO20171355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88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Blood vessels
    • G06K2009/0093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장치가 복수의 압전 소자들로 구성된 인식행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생체정보, 특히 손가락 내 혈관 또는 뼈를 스캐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손가락의 혈관, 뼈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 개개인을 식별해 내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이의 구동 방식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혈관 또는 뼈가 위치하는 위치점을 기준으로만 압전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보다 빠른 스캐닝 과정을 구현함과 동시에 스캐닝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장치가 복수의 압전 소자들로 구성된 인식행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생체정보, 특히 손가락 내 혈관 또는 뼈를 스캐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손가락의 혈관, 뼈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 개개인을 식별해 내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이의 구동 방식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혈관 또는 뼈가 위치하는 위치점을 기준으로만 압전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보다 빠른 스캐닝 과정을 구현함과 동시에 스캐닝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증은 모든 금융 거래를 함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절차라 할 것이며 특히 최근에는 네트워크 및 휴대용 단말기의 발달로 모바일 금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덩달아 빠르고 정확한 사용자 인증 장치, 인증 방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은 위와 같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증 매개 중 하나로서 많은 사업자 및 개발자들은 사용자의 지문을 활용하여 인증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식을 계속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지문 인식 장치와 관련하여 종래 광학 방식으로 지문의 이미지를 캡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지문의 형태를 파악하는 소위 초음파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초음파 신호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사상이 요구되나,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더 정확하게는 손가락의 지문, 혈관, 뼈 형상과 같이 개인 고유의 정보를 어떤 패턴으로 스캐닝 할 것인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인식행 및 인식열, 그리고 상기 인식행 및 인식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효율적인 스캐닝 패턴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향후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내부 혈관, 뼈 등의 생체조직이 위치하는 위치점 중심으로만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보다 효율적은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47921 (2005.05.23. 공개)
본 발명은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복수의 인식행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생체정보,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가락 혈관, 뼈의 형상을 스캐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복수의 행(인식행) 으로 설정하고, 각 인식행을 활성화 시켜 생체정보를 스캐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스캐닝 할 때에 최초 인식행 활성화를 통해 생체조직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생체조직 주변의 압전 소자들만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스캐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스캐닝 하는 방법은 (a) 첫 번째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첫 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단계; (b) 차순위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키되, 앞선 단계에서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차순위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n개의 인식행을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두 번째 인식행 내지 n번째 인식행에 대하여 반복 수행되되, k-1번째 인식행(k는 2이상 n이하의 자연수)의 활성화에 의해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k번째 인식행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당해 k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인식행 상의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생체조직은 손가락 내부의 혈관 또는 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인식행 또는 차순위 인식행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신호 생성 소자 또는 신호 수신 소자로 활성화 되고, 신호 생성 소자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며, 신호 수신 소자는 반사파를 수신하되, 상기 반사파 신호는 신호 생성 소자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상기 사용자 생체조직에 의해 반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은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각각 인식행 상에서는 1행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은 동시에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의 압전 소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은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각각 인식행 상에서 복수개의 행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은 동시에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의 압전 소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인식행을 이루어 배열된 복수의 압전 소자들;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첫 번째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첫 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고, 차순위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키되, 앞선 단계에서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차순위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사용자 생체조직이 위치하는 곳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스캐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캐닝 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스캐닝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하나의 인식행 상에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이 두 개인 경우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판 상 행렬 모양으로 형성된 압전 소자들이 1행을 이루어 하나의 인식행을 구성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기판 상 전후 행이 어긋나게 형성된 압전 소자들이 1행을 이루어 하나의 인식행을 구성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기판 상 행렬 모양으로 형성된 압전 소자들이 복수 행을 이루어 하나의 인식행을 구성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5와 같은 인식행이 설정된 상태에서 개별 압전 소자들이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어 스캐닝 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기판 상 전후 행이 어긋나게 형성된 압전 소자들이 복수 행을 이루어 하나의 인식행을 구성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상기 도 7과 같은 인식행이 설정된 상태에서 개별 압전 소자들이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어 스캐닝 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격적으로 스캐닝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스캐닝의 주체가 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기본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필수적 구성요소로서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의 압전 소자, 그리고 상기 압전 소자들을 인식행으로 설정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먼저 기판은 복수의 압전 소자들이 형성되는 판으로, 절연기판 표면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판은 그 자체로서 강성이 있거나 또는 유연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기판의 제조 원료로는 소다 라임 유리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반강화 유리,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 카보네이트 등의 강화 혹은 연성 플라스틱, 사파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 커브드(curved) 기판, 벤디드(bended) 기판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기판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도 해당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구비될 단말기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플렉서블, 커브드, 벤디드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판은 PCB(인쇄 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CB기판은 회로 설계를 근거로 회로부품을 접속하는 전기배선을 배선 도형으로 표현하며, 절연물 상에 전기도체를 재현할 수도 있고, 전기부품을 탑재하고 이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전기적 연결기능 외 부품들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커버 기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커버 기판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의 위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닿는 기판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기판은 앞서 언급한 기판과 동일한 제조 원료가 활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초음파 신호가 반사된 것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압전 소자들은 기판 상에 설계자가 원하는 형태의 전극을 패터닝 한 후 패터닝 된 전극 상에 납, 지르코늄, 티타늄이 혼합된 물질을 코팅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압전 소자들은 종래 지문 인식 장치에서 세라믹 구조체를 기판 또는 도전성 전극 상에 하나 하나 개별적으로 배치하는 것과 달리 하나의 평면 기판 상에 임의의 모양대로 전극을 패터닝하고, 상기 임의 모양의 전극 상에 PZT 성분의 코팅층을 적층시켜 압전 소자군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공정상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 때 상기 전극 상에 PZT 성분의 코팅층을 적층시키는 방법에는 전극 패터닝이 완성된 기판을 PZT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에 넣는 방법 또는 전극 패터닝이 완성된 기판 상에 PZT 성분의 코팅막을 전사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후술하겠지만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은 형태로 압전 소자들이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전술한 방식에 따라 압전 소자들을 형성시키는 경우 설계자가 기판 상에 어떤 모양으로 전극 패터닝을 하였는지에 따라 압전 소자들의 배열은 다양할 수 있겠으나,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인식행이란 상기 복수 개의 압전 소자들을 포함하는 기판 상 가상의 행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때 상기 인식행은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다.
제어부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임의의 인식행 또는 인식열로 설정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킨다는 것의 의미는 각각의 압전 소자를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기판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 중 일부를 인식행으로 설정하고, 각 인식행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활성화 된 소자들로 하여금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반사파를 수신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수단과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연산 수단은 범용의 중앙연산장치(CPU)일 수도 있고,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 수단으로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비휘발성 전자기적 저장 소자가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압전 소자들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활성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 역시 각각의 압전 소자들을 독립된 식별자로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종래의 지문 인식 장치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생체정보 인식과정, 즉 스캐닝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식행이 어떤 패턴으로 활성화 되어 스캐닝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방법은 크게 두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의 (a)는 첫 번째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첫 번째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생체조직, 즉 혈관 또는 뼈가 어느 위치점(200)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한다.
이 때, 첫 번째 인식행(110)은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첫 번째 단계는 상기 모든압전 소자(300)들을 동시에 또는 순서에 따라 활성화 시켜 어느 지점에 인식 대상이 되는 사용자 생체조직이 위치하는지를 파악한다.
위치점(200)이란, 사용자의 생체조직이 상기 활성화 된 인식행(110)의 어느 위치에 대응하여 존재하는지를 가리키는 일점으로, 해당 위치점(200)은 상기 인식행(110)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의 고유 식별번호 또는 상기 인식행(110)의 길이정보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0106’의 고유 식별번호(이 때 고유 식별번호의 처음 두 자리는 인식행(110)의 순번을, 뒤의 두 자리는 해당 인식행(110) 상에서의 압전 소자(300)의 순번을 가리키는 것으로 가정) 를 가지는 압전 소자(300)가 생체조직에 가장 가까운 것인 경우에는 해당 고유 식별번호를, 또는 인식행(110)의 좌측 말단으로부터 60mm 떨어진 지점이 생체조직에 가장 가까운 곳인 경우에는 제1인식행(110)의 좌측 말단으로부터 60mm 지점이 위치점(200)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방법의 두 번째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앞선 단계에서 파악된 위치점(200)을 기준으로 차순위 인식행(110)의 압전 소자(300)들을 활성화 시켜 차순위 인식행(110)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200)을 파악한다.
본 두 번째 단계는 인식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조직이 넓은 영역에 걸쳐 위치해 있지 않음에 이에 따른 비효율성을 해소하고자 존재하는 것으로, 생체조직이 존재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의 압전 소자(300)들만 활성화 시킴으로써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첫 번째 단계에서 첫 번째 인식행(110)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의 고유 식별번호인‘0106’이 위치점(200)으로 파악된 경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두 번째 인식행(110)의 0203 내지 0209까지의 압전 소자(300)들을 활성화 시켜 해당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획득함과 동시에 재차 상기 생체조직의 위치점(200)을 파악한다. 또는, 앞서 첫 번째 단계에서 첫 번째 인식행(110) 상에서 특정 위치에 위치점(200)이 파악된 경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두 번째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킬 때에 상기 파악된 위치점(200)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 설정된 길이(예: 위치점(200) 기준으로 좌/우로 2mm만큼의 연장된 길이) 내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을 활성화 시켜 해당 위치의 생체조직 이미지를 획득함과 동시에 재차 상기 생체조직의 위치점(200)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의 (b) 단계는 생체정보 인식장치 내 설정된 모든 인식행(110)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즉 앞서 살펴 본 두 번째 행에서의 위치점(200) 파악 및 생체조직 이미지 획득 과정은 동일한 방식으로 세 번째 인식행(110), 네 번째 인식행(110) 등에 대해 동일하게 진행된다.
한편, 도 2는 어느 인식행(110)에서의 위치점(200)이 복수 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조직이 혈관인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혈관은 그 구조가 여러 방향으로 연결되어 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식행(110) 상에서도 어느 한 점으로 그 위치가 특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위치점(200)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해당 인식행(110) 상에서 위치점(200)을 두 개 이상으로 정할 수 있으며, 차순위 인식행(110)에서는 상기 복수의 위치점(200)을 기준으로 압전 소자(300)들을 활성화 시킨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사용자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획득할 때에 어떻게 각 인식행(110)들을 활성화 시키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각 인식행(110)이 어떻게 구성되며, 각 인식행(110)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이 어떻게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은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어느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정하는지에 따라 행 또는 열이 상호 바뀌어 적용될 수 있는데, 아래 도 3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인식행(110)의 활성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방법은 기판 상 형성되어 있는 압전 소자들이 인식열(130)로 설정된 경우에도 인식행(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3은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기판(100) 상에 압전 소자(300)들이 행렬 모양으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은 복수 개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고, 또 다른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 복수 개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 때 각 행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형태를 어느 특정 압전 소자(300) 하나의 관점에서 다시 살펴볼 때, 어느 특정 압전 소자(300)의 상/하, 좌/우로는 다른 압전 소자(300)들이 존재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좌/우 타 압전 소자(300)들까지의 거리가 일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압전 소자(300)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하나의 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300)들을 하나의 인식행(1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에서는 기판 상 1행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을 제1인식행(110)으로, 2행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을 제2인식행(110) 등으로 설정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각각의 인식행(110)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이 활성화 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인식행(110)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 중 일부는 신호 생성 소자(311)로서, 그 외의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수신 소자(313)로서 활성화되어 신호 생성 소자(311)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신호 수신 소자(313)는 반사파 신호를 수신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반사파 신호란, 상기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사용자의 손가락 내 생체조직(혈관, 뼈)에 의해 반사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최초 첫 번째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킬 때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첫 번째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첫 번재 인식행(110)의 홀수 번째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생성 소자(311)로, 짝수 번째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하고 해당 압전 소자(300)들을 동시에 활성화 시켜 각각 초음파 발생, 반사파 수신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첫 번째 인식행(110)의 특정 압전 소자(300)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와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하여 1차 활성화를 시킨 후, 앞서 설정되었던 신호 생성 소자(311)에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로, 그리고 해당 신호 생성 소자(311)와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새로운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하여 2차 활성화를 시키는 등 각 압전 소자(300)들을 순서에 따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해 가면서, 그리고 신호 생성 소자(311)가 새로이 설정될 때마다 이에 근접한 압전 소자(300)들을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해 가면서 각 인식행(110) 또는 인식열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할 때,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첫 번째 인식행(110)의 두 번째 압전 소자(300)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첫 번째 및 세 번째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한 후 각 압전 소자(300)들이 초음파 발생 및 반사파 수신을 할 수 있도록 1차 활성화 시킨 후, 제1인식행(110)의 세 번째 압전 소자(300)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두 번째 및 네 번째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하여 2차 활성화를 시키는 등의 과정을 해당 제1인식행(110)의 모든 압전 소자(300)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첫 번째 인식행(110)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기판(100) 상에 압전 소자(300)들이 복수의 행을 이루어 배열되되, 어느 임의의 행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은 바로 위의 행(이하 전순위 행이라 칭함) 또는 바로 아래의 행(이하 후순위 행이라 칭함)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과 어긋나게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순위 행의 압전 소자(300)들 또는 후순위 행의 압전 소자(300)들과 어긋나게 배열된다는 것의 의미는, 전순위 행의 압전 소자(300)들과 해당 행의 압전 소자(300)들, 후순위 행의 압전 소자(300)들을 기판(100) 상에 배열하였을 때 세로 축으로의 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 때, 전순위 행의 압전 소자(300)들과 두 개 행 간격에 존재하는 행의 압전 소자(300)들은 기판(100) 상 배열하였을 때 세로 축으로의 열을 이룸에 유의한다. 즉, 첫 번째 행과 세 번째 행의 압전 소자(300)들을 수직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도 볼 수 있듯 하나의 열을 이룬다.
더 바람직하게는, 특정 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 중 임의의 압전 소자(300)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특정 행의 전순위 행을 구성하는 압전 소자(300)들 중 상기 임의의 압전 소자(300)와 최근접 거리에 존재하는 두 개의 압전 소자(300)들을 이은 선분의 중심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 축 상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두 번째 행의 압전 소자1의 위치는 첫 번째 행의 압전 소자2 및 3을 이은 선분의 중심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 축 상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압전 소자1의 위치는 비단 첫 번째 행의 압전 소자2 및 3 등의 압전 소자들뿐 아니라 세 번째 행의 압전 소자들을 기준으로 하여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압전 소자(300)들을 기판(100) 상에 형성시키는 경우, 완성된 상태의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도 4와 같이 행렬이 뒤틀린 형태의 압전 소자(300) 배치를 가지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압전 소자(300)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하나의 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300)들을 하나의 인식행(1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상기 첫 번째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첫 번째 인식행(110)의 홀수 번째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생성 소자(311)로, 짝수 번째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또는 이와 반대로 홀수 번째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수신 소자(313)로, 짝수 번째 압전 소자(300)들은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하고 해당 압전 소자(300)들을 동시에 활성화 시켜 각각 초음파 발생, 반사파 수신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첫 번째 인식행(110)의 특정 압전 소자(300)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와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하여 1차 활성화를 시킨 후, 앞서 설정되었던 신호 생성 소자(311)에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그리고 해당 신호 생성 소자(311)와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하여 2차 활성화를 시키는 등 각 압전 소자(300)들을 순서에 따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해 가면서, 그리고 신호 생성 소자(311)가 새로이 설정될 때마다 이에 근접한 압전 소자(300)들을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해 가면서 첫 번째 인식행(110)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첫 번째 인식행(110)의 활성화 방법은 비단 첫 번째 인식행(110)뿐 아니라 두 번째, 세 번째 인식행(110)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두 번째 인식행(110) 이후부터는 해당 인식행(110) 상의 모든 압전 소자(300)들이 활성화 되는 것은 아니나, 위치점(200)을 기준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이 동시에 신호 생성 소자 또는 신호 수신 소자로 설정되거나, 또는 시계열적으로 순차적으로 신호 생성 소자 또는 신호 수신 소자로 설정되어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5는 기판(100) 상에 앞서 살펴본 도 3과 같은 행렬 모양으로 압전 소자(300)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복수’ 개의 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300)들을 하나의 인식행(110)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예시로서 기판(100) 상 3개 행의 압전 소자(300)들이 하나의 인식행(110)으로 인식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인식행(110) 상의 압전 소자(300)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인식행(110)에 의한 생체정보 스캐닝을 진행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1단계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전 소자(300)를 정하여 이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한다. (1단계) 이 때, 신호 생성 소자(311)란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300)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특정 압전 소자(300)에 전기적 신호, 펄스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압전 소자(300)로 하여금 진동을 일으켜 초음파 신호가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초음파 신호의 크기는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앞서도 언급하였듯 제어부는 기판(100) 상에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에 대한 개별 식별자를 내부적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어느 특정 위치에서의 압전 소자(300)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압전 소자(300)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설정 및 활성화 시킬 수 있다.
2단계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앞서 설정한 신호 생성 소자(311) 이외의 압전 소자(300)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한다. (2단계) 신호 수신 소자(313)란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사용자의 생체조직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온 반사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에 가장 근접한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초음파 신호의 공기 중에서의 진행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써 반사파 신호를 보다 뚜렷하게 수신하기 위함이다. 신호 생성 소자(311)가 어느 특정한 하나의 압전 소자(300)인 경우, 신호 수신 소자(313)로는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의 상/하, 좌/우에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이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패턴 방식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신호 생성 소자(311)와의 근접 정도에 상관 없이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을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6을 예로 들면 신호 생성 소자(311)를 중심으로 주변 9개의 압전 소자(300)들이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될 수 있다.
3단계 및 4단계는 앞서 설정한 신호 생성 소자(311) 및 신호 수신 소자(313)를 각각 활성화 시켜 각각의 기능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신호 생성 소자(311)를 활성화 시켜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신호 수신 소자(313)를 활성화시켜 반사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4단계 이후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에 근접한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 중 어느 하나를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한다. (5단계) 이 때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는 앞선 1단계에서 설정되었던 신호 생성 소자(311)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 중에 선정된다. 예를 들어 5단계에서 설정되는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는 1단계에서 설정되었던 신호 생성 소자(31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5단계에서 새로이 설정되는 신호 생성 소자(311)의 방향성은 스캐닝 방향과도 연관성이 있다. 즉, 새로이 설정되는 신호 생성 소자(311)가 종래 신호 생성 소자(311)의 우측에 있는 압전 소자(300)로 설정되는 경우 스캐닝 방향은 우측 방향이 되고, 새로이 설정되는 신호 생성 소자(311)가 종래 신호 생성 소자(311)의 좌측에 있는 압전 소자(300)로 설정되는 경우 스캐닝 방향은 좌측 방향이 된다.
6단계는,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5단계에서 설정한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에 맞추어 신호 수신 소자(313)도 새로이 설정하는 단계이다. 6단계는 2단계에서 신호 수신 소자(313)가 설정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6단계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본 단계에서 설정되는 신호 수신 소자(313)는 2단계에서 설정되었던 신호 수신 소자(313)와 중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6에서도 볼 수 있듯 신호 생성 소자(311)가 우측으로 하나 이동하여 설정된 경우 그에 따른 신호 수신 소자(313) 역시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형태가 되는데, 이 때 중복되는 일부 압전 소자(300), 즉 신호 수신 소자(313)가 존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7단계 및 8단계는 새로이 설정된 신호 생성 소자(311) 및 신호 수신 소자(313)를 활성화 시켜 각각 초음파 발생 및 반사파 수신의 기능을 하게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식행(110) 활성화는 1단계 내지 8단계의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된다. 첫 번째 인식행(110)의 경우 해당 인식행(110) 상의 모든 압전 소자(300)들이 앞서 설명한 1단계 내지 8단계의 과정으로 수행되며, 두 번째 인식행(110)부터는 일부 압전 소자(300)들에 대하여 1단계 내지 8단계의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생체정보 인식장치 위에 위치시킨 경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하나의 행 또는 복수의 행에서의 신호 생성 소자(311) 설정, 신호 수신 소자(313) 설정 및 활성화를 통해 압전 소자(300)들로 하여금 초음파 발생 및 반사파 수신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 수신된 반사파 신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혈관, 뼈 형상 등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기판(100) 상에 앞서 살펴본 도 4와 같은 모양으로 압전 소자(300)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복수’ 개의 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300)들을 하나의 인식행(110)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하나의 예시로서 기판(100) 상 3개 행의 압전 소자(300)들이 하나의 인식행(110)으로 인식되고, 3개 열의 압전 소자(300)들이 하나의 인식열로 인식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인식행(110) 상의 압전 소자(300)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인식행(110)에 의한 생체정보 스캐닝을 진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1단계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전 소자(300)를 정하여 이를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한다. (1단계)
2단계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앞서 설정한 신호 생성 소자(311) 이외의 압전 소자(300)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압전 소자(300)를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한다. (2단계) 신호 생성 소자(311)가 어느 특정한 하나의 압전 소자(300)인 경우, 신호 수신 소자(313)로는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의 주변에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이 설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할 때를 예로 들면 하나의 인식행(110) 상에서 신호 생성 소자(311)를 중심으로 주변 6개의 압전 소자(300)들이 신호 수신 소자(313)로 설정될 수 있다.
3단계 및 4단계는 앞서 설정한 신호 생성 소자(311) 및 신호 수신 소자(313)를 각각 활성화 시켜 각각의 기능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신호 생성 소자(311)를 활성화 시켜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신호 수신 소자(313)를 활성화시켜 반사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4단계 이후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신호 생성 소자(311)에 근접한 복수의 압전 소자(300)들 중 어느 하나를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로 설정한다. (5단계) 이 때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는 앞선 1단계에서 설정되었던 신호 생성 소자(311)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들 중에 선정된다. 예를 들어 5단계에서 설정되는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는 1단계에서 설정되었던 신호 생성 소자(311)의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에 존재하는 압전 소자(30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5단계에서 새로이 설정되는 신호 생성 소자(311)의 방향성은 스캐닝 방향과도 연관성이 있다. 즉, 새로이 설정되는 신호 생성 소자(311)가 종래 신호 생성 소자(311)의 우측에 있는 압전 소자(300)로 설정되는 경우 스캐닝 방향은 우측 방향이 되고, 새로이 설정되는 신호 생성 소자(311)가 종래 신호 생성 소자(311)의 대각선 방향에 있는 압전 소자(300)로 설정되는 경우 스캐닝 방향은 대각선 방향이 된다.
6단계는,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5단계에서 설정한 새로운 신호 생성 소자(311)에 맞추어 신호 수신 소자(313)도 새로이 설정하는 단계이다. 6단계는 2단계에서 신호 수신 소자(313)가 설정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7단계 및 8단계는 새로이 설정된 신호 생성 소자(311) 및 신호 수신 소자(313)를 활성화 시켜 각각 초음파 발생 및 반사파 수신의 기능을 하게 하는 단계이다.
도 8은 앞서 살핀 1단계 내지 8단계의 과정에 따라 인식행(110) 상의 압전 소자(300)들이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300) 활성화 방법은 이와 같이 1단계 내지 8단계의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생체정보 인식장치 위에 위치시킨 경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하나의 행 또는 복수의 행에서의 신호 생성 소자(311) 설정, 신호 수신 소자(313) 설정 및 활성화를 통해 압전 소자(300)들로 하여금 초음파 발생 및 반사파 수신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 수신된 반사파 신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혈관, 뼈 형상 등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인식행 또는 인식열로 설정하고, 이들 인식행 또는 인식열을 어떤 패턴에 따라 활성화 시키는지, 나아가 각 인식행 또는 인식열 내에 압전 소자들을 신호 생성 소자(311) 및 신호 수신 소자(313)로 어떻게 구분하여 활성화 시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구성 및 해당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스캐닝하는 방법, 즉 복수의 인식행 및 인식열을 다양한 패턴으로 활성화 시키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기판
110 인식행 130 인식열
200 위치점
300 압전 소자 311 신호 생성 소자 313 신호 수신 소자
500 커버기판

Claims (13)

  1. 생체정보 인식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스캐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첫 번째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첫 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단계;
    (b) 차순위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키되, 앞선 단계에서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차순위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n개의 인식행을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두 번째 인식행 내지 n번째 인식행에 대하여 반복 수행되되,
    k-1번째 인식행(k는 2이상 n이하의 자연수)의 활성화에 의해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k번째 인식행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당해 k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인식행 상의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 생체조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생체조직은 손가락 내부의 혈관 또는 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인식행 또는 차순위 인식행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신호 생성 소자 또는 신호 수신 소자로 활성화 되고,
    신호 생성 소자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며, 신호 수신 소자는 반사파를 수신하되, 상기 반사파 신호는 신호 생성 소자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상기 사용자 생체조직에 의해 반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은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각각 인식행 상에서는 1행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은 동시에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의 압전 소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은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들은 각각 인식행 상에서 복수개의 행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은 동시에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행 활성화 시, 상기 각 인식행 상에 배열된 압전 소자들 중 하나 이상의 압전 소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1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인식행을 이루어 배열된 복수의 압전 소자들;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첫 번째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첫 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a)단계;
    차순위 인식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키되, 앞선 단계에서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차순위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b)단계를 수행하며,
    당해 생체정보 인식장치는 n개의 인식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두 번째 인식행 내지 n번째 인식행에 대하여 (b)단계를 반복 수행하되,
    k-1번째 인식행(k는 2이상 n이하의 자연수)의 활성화에 의해 파악된 위치점을 기준으로 k번째 인식행의 압전 소자들을 활성화 시켜 당해 k번째 인식행 상에서의 사용자 생체조직의 위치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장치.

KR1020160014817A 2016-02-05 2016-02-05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KR10167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817A KR101678012B1 (ko) 2016-02-05 2016-02-05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PCT/KR2017/000446 WO2017135590A1 (ko) 2016-02-05 2017-01-13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817A KR101678012B1 (ko) 2016-02-05 2016-02-05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012B1 true KR101678012B1 (ko) 2016-11-21

Family

ID=5753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817A KR101678012B1 (ko) 2016-02-05 2016-02-05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8012B1 (ko)
WO (1) WO201713559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921A (ko)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8257A (ko) * 2009-03-23 2011-12-26 소나베이션, 인크. 개량된 압전 식별 장치 및 그 응용
KR20110138258A (ko) * 2009-03-23 2011-12-26 소나베이션, 인크. 압전 세라믹 식별 장치용의 개량된 멀티플렉서
KR20130060875A (ko) * 2011-11-30 2013-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 및 지문 인식 방법
KR20150115789A (ko) * 2013-02-06 2015-10-14 소나베이션, 인크. 손가락 조직 내에 포함된 피하 구조를 3차원 촬상하기 위한 바이오메트릭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7786B1 (en) * 1999-08-09 2009-10-07 Sonavation, Inc. Piezoelectric film fingerprint scanner
EP2892026A4 (en) * 2012-08-28 2016-05-18 Hitachi Ltd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921A (ko)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8257A (ko) * 2009-03-23 2011-12-26 소나베이션, 인크. 개량된 압전 식별 장치 및 그 응용
KR20110138258A (ko) * 2009-03-23 2011-12-26 소나베이션, 인크. 압전 세라믹 식별 장치용의 개량된 멀티플렉서
KR20130060875A (ko) * 2011-11-30 2013-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 및 지문 인식 방법
KR20150115789A (ko) * 2013-02-06 2015-10-14 소나베이션, 인크. 손가락 조직 내에 포함된 피하 구조를 3차원 촬상하기 위한 바이오메트릭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90A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634B1 (ko) 복수의 압전 소자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정보 인식장치
KR101661642B1 (ko)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US9592534B2 (en) Ultrasonic transducer element chip, probe, electronic instrument, and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JP2018192266A (ja) 指組織内に埋め込まれた皮下構造の3次元撮像のためのバイオメトリック感知デバイス
CN109313890A (zh) 操作超声换能器的二维阵列
CN109195717A (zh) 超声换能器二维阵列的发射波束成形
US20130261465A1 (en) Ultrasonic probe, electronic instrument, and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US9696848B2 (en)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CN104954958A (zh) 压电元件、压电器件、探头、电子设备及超声波图像装置
KR101730842B1 (ko) 복수의 압전 소자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정보 인식장치
CN106166078A (zh) 超声波感测装置及其感测方法
KR101696448B1 (ko) 지문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생체정보를 스캐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정보 인식장치
KR101730835B1 (ko) 복수의 손가락에 대하여 사용자 생체정보를 스캐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정보 인식장치
KR101678012B1 (ko)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스캐닝 방법
KR102376692B1 (ko) 압전 초음파 변환 장치, 이 장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6445B1 (ko) 기판 상 압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생체정보를 스캐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정보 인식장치
KR101696444B1 (ko) 복수의 손가락에 대하여 사용자 생체정보를 스캐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생체정보 인식 키보드
US9252352B2 (en) Ultrasonic transducer device, head unit, probe, and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US11568672B2 (en) Texture detection modul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EP3078968A1 (en) Ultras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for ultrasonic apparatus, probe, and peeling detection method
US10055841B2 (en) Ultrasonic image apparatus, control device for ultrasonic image apparatus, and ultrasonic image forming method
KR102138358B1 (ko) 초음파 기반의 생체정보 인식장치 및 지정맥 데이터 구축 방법
JP2020046776A (ja) 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生体識別システム、処理装置、生体情報取得方法、生体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68162A (ja) 超音波デバイスユニットおよびプローブ並びに電子機器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KR20190098556A (ko) 압전 초음파 변환 장치, 이 장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