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001B1 -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001B1
KR101678001B1 KR1020140150535A KR20140150535A KR101678001B1 KR 101678001 B1 KR101678001 B1 KR 101678001B1 KR 1020140150535 A KR1020140150535 A KR 1020140150535A KR 20140150535 A KR20140150535 A KR 20140150535A KR 101678001 B1 KR101678001 B1 KR 10167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actuator
plat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099A (ko
Inventor
유성록
손종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001B1/ko
Priority to US14/921,804 priority patent/US10026573B2/en
Publication of KR2016005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32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 H01H71/325Housings, assembly or disposition of different elements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36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4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tumb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부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액츄에이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제어 회로부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주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와, 코일이 감져지고 영구자석이 부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밀착되어 상기 주자로에 형성되는 자력을 강화시키는 자력 보강판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끼워지고, 일측에는 상기 자력 보강판에 밀착되어 상기 자력 보강판이 상기 보빈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지지대가 형성된 제1 덮개;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구성된 액츄에이터에 별도의 플레이트 요크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플래이트 쉴드를 이용하여 주자로의 자력을 보강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에 구비된 제어 회로부가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의 전체 크기가 소형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TRIPPING DEVICE OF CIRCUIT BR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립장치를 소형화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전반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수를 증가시켜 분전반을 통한 전원의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회로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사고전류(단락, 지락 사고 등에 의한 대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원과 부하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전기 보호기기이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에는 모선과 부하 사이를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구비되고, 사고전류 발생 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도록 조절하는 트립장치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트립장치와 제어회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트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배선용 차단기(10)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10a)의 내부에 트립장치(12)가 구비되고, 외부에는 상기 트립장치(1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11)가 구비되며, 상기 트립장치(12)는 상기 제어회로부(11)를 통해 제어전원을 공급받아 트립동작이 조절되어 모선과 부하 사이를 연결 및 해제한다.
이때 종래의 상기 트립장치(12)는 각 구성부품이 끼워지는 하우징(12a)과, 상기 하우징(12a)에 결합되어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속이 발생되게 하는 액츄에이터(12b)와, 커버(12c) 및 래버(12d)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5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트립장치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분전함에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가 다수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츄에이터(12b)는 주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12b-1)와, 실린더(12b-2)와, 코일이 감겨져 있고 가동코어와 고정코어가 접촉 또는 분리되는 코일 어셈블리(12b-3)와, 자력을 보강하는 자력 보강판(12b-4)과, 갭 플레이트(12b-6) 및 보조자로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요크(12b-7)등으로 구성되어 분전반의 내부에서 다수개가 연결된 상태로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의 액츄에이터(12b)는 자력을 강화시키는 보조자로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 요크(12b-7)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커 액츄에이터(12b)에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11)를 트립장치(12)의 내부에 설치하지 못하고 배선용 차단기(10)의 케이스(10a) 외부에 설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회로부(11)를 외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배선용 차단기(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져 분전반의 내부에 배선용 차단기(10)를 설치할 때 설치할 수 있는 개수가 크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전반에 설치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립장치를 소형화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전반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수를 증가시켜 분전반을 통한 전원의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회로부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액츄에이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제어 회로부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주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와, 코일이 감져지고 영구자석이 부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밀착되어 상기 주자로에 형성되는 자력을 강화시키는 자력 보강판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끼워지고, 일측에는 상기 자력 보강판에 밀착되어 상기 자력 보강판이 상기 보빈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지지대가 형성된 제1 덮개;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제어 회로부가 내부에 끼워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립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탈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어 회로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의 일단에는 제1 지지대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지지대 걸림고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고리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덮개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끼워지면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자력 보장판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대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고리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덮개의 타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전방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끝단에는 제2 지지대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밀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덮개가 상기 하우징에 끼워지면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면이 상기 밀착판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지대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안착공간 부근에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는 배선용 차단기에 구성된 액츄에이터에 별도의 플레이트 요크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자력 보강판을 이용하여 주자로의 자력을 보강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이를 통해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에 구비된 제어회로부가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의 전체 크기가 소형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 하기 때문에 분전반에 설치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수가 증가되어 분전반을 통한 전류의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덮개에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설치하여 액츄에이터를 하우징내부에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에 구성된 자력 보강판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제1 지지대 걸림고리와 제2 지지대 걸림고리를 형성시켜 제1 덮개가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력 보강판의 개수를 조절하여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유지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성부재가 유지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때 더 큰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어 트립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트립장치와 제어회로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트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분전반에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가 다수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트립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성하는 제1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에 제1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제어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분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의 (a)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자속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자속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트립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성하는 제1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에 제1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분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4의 (a)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자속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자속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110)는 제어 회로부(113)로부터 제어전원을 공급받아 고정접점(미도시)과 가동접점(미도시)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트립장치(110)는 하우징(115), 상기 하우징(115)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덮개(119), 상기 하우징(115)의 내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117), 상기 하우징(115)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 회로부(113), 상기 하우징(115)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덮개(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5)은 일측에는 상기 제어 회로부(113)가 내부에 끼워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115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17)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안착공간(115b)이 형성되어 상기 제어회로부(113)와 상기 액츄에이터(117)가 상기 하우징(115)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17)는 상기 안착공간(115b)에 안착되어 상기 제어 회로부(113)부터 제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가동코어 및 상기 고정코어를 접촉 또는 분리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17)는 요크부(117a), 보빈(117b), 영구자석(117c) 및 자력 보강판(117d)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크부(117a)는 상기 제어 회로부(113)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주자로를 형성하며, 상기 보빈(117b), 상기 영구자석(117c) 및 상기 자력 보강판(117d)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빈(117b)은 코일(미도시)이 감겨지고 양측에는 자력 보강을 위한 상기 영구자석(117c)이 부착되며, 내부에서는 고정코어와 가동코어가 상기 코일을 통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접촉 또는 분리된다
상기 자력 보강판(117d)은 상기 보빈(117b)에 다수개가 차례대로 밀착되게 위치하며, 상기 요크부(117a)를 통해 주자로에 형성된 자력을 강화시킨다.
이때 상기 자력 보강판(117d)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의 유지력(상기 고정코어와 상기 가동코어가 상호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력 보강판(117d)의 개수를 조절하여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유지력을 증가시키면 탄성부재(미도시)가 유지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고정코어와 가동코어를 분리시킬 때 더 큰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어 가동코어와 고정코어의 분리시 트립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플레이트 요크(12b-7)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속이 요크부(12b-1)와 플레이트 요크(12b-7)로 나누어 들어가지만(d1) 본 발명의 경우 플레이트 요크(12b-7)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요크부(117a)에만 자속이 형성되어(d2)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유지력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회로부(113)는 상기 하우징(115)의 내부에 상기 액츄에이터(117)와 함께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17)에 제어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가동코어와 상기 고정코어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113)는 입력보호회로(113a), 정류회로(113b), 스위칭회로(113c), 입력전압 감지회로(113d), 제어회로(113e), 투입전류 제어회로(113g), 보조 전원회로(113f)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회로부(113)가 하우징(115)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입력보호회로(113a)와 정류회로(113b)를 거쳐 보조 전원회로(113f)에 전원이 인가되고, 스위칭 회로가 온(ON)되어 코일(113h)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과정을 통해 액츄에이터(117)가 동작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100)는 제어회로부(113)가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전반의 내부에서 다수개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경우 배선용 차단기(100)에 구성된 액츄에이터(117)에 별도의 플레이트 요크(12b-7)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자력 보강판(117d)을 이용하여 주자로의 자력을 보강함으로써 액츄에이터(117)의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배선용 차단기(100)의 외부에 구비된 제어회로부(113)가 배선용 차단기(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100)의 전체 크기가 소형화되게 한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100)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기 때문에 분전반에 설치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100)의 개수가 증가되도록 하여 분전반을 통한 전류의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덮개(119)는 상기 하우징(115)의 타측에 끼워져 상기 액츄에이터(117)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액츄에이터(117)가 상기 하우징(1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 덮개(119)의 일측에는 상기 자력 보강판(117d)에 밀착되어 상기 자력 보강판(117d)이 상기 보빈(117b)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지지대(119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대(119a)는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대(119a)의 일단에는 고리형상의 제1 지지대 걸림고리(119a-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5)에는 상기 제1 지지대 걸림고리(119a-1)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고리 끼움홈(115e)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덮개(119)가 상기 하우징(115)의 타측에 끼워지면 상기 제1 지지대(119a)가 상기 자력 보강판(117d)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대 걸림고리(119a-1)가 상기 걸림고리 끼움홈(115e)에 끼워져 상기 제1 덮개(119)를 통해 상기 자력 보강판(117d)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제1 덮개(119)의 타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17)의 전방에서 상기 액츄에이터(117)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119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119b)의 끝단에는 제2 지지대 걸림고리(119b-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5)에는 상기 제2 지지대(119b)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밀착판(115c)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115c)의 상부에는 걸림홈(115c-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덮개(119)가 상기 하우징(115)에 끼워지면 상기 제2 지지대(119b)의 하면이 상기 밀착판(115c)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지대 걸림고리(119b-1)가 상기 걸림홈(115c-1)에 걸림되면서 상기 하우징(115)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2 덮개(111)는 상기 하우징(115)의 일측에 탈부착되어 상기 개방부(115a)를 폐쇄하여 상기 제어회로부(11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제1 덮개(119)에 제1 지지대(119a)와 제2 지지대(119b)를 설치하여 액츄에이터(117)를 하우징(115)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117)에 구성된 자력 보강판(117d)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제1 지지대(119a)와 제2 지지대(119b)에 제1 지지대 걸림고리(119a-1)와 제2 지지대 걸림고리(119b-1)를 형성시켜 제1 덮개(119)가 하우징(115)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한편,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5) 중 상기 안착공간(115b) 부근에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117c)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115d)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부재(115d)는 수직판(115d-1) 및 지지판(115d-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115d-1)은 상기 하우징(115)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117c)을 측면에서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115d-2)은 상기 수직판(115d-1)의 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117c)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지지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탈 방지부재(115d)를 통해 하우징(115)에 결합된 액츄에이터(117)의 영구자석(117c)이 하우징(115)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117c)이 하우징(115)의 내부에서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배선용 차단기 11: 제어 회로부
12: 트립장치 12a: 하우징
12b: 액츄에이터 12b-1: 요크부
12b-2: 실린더 12b-3: 코일 어셈블리
12b-4: 자력 보강판 12b-5: 영구자석
12b-6: 갭 플레이트 12b-7: 플레이트 요크
100: 배선용 차단기 110: 트립장치
111: 제2 덮개 113: 제어 회로부
115: 하우징 115a: 개방부
115b: 안착공간 115c: 밀착판
115c-1: 걸림홈 115d: 이탈 방지부재
115d-1: 수직판 115d-2: 지지판
117: 액츄에이터 117a: 요크부
117b: 보빈 117c: 영구자석
117d: 자력 보강판 119: 제1 덮개
119a: 제1 지지대 119a-1: 제1 지지대 걸림고리
119b: 제2 지지대 119b-1: 제2 지지대 걸림고리

Claims (6)

  1. 제어회로부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액츄에이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제어 회로부로부터 제어전원을 인가받아 주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와, 코일이 감져지고 영구자석이 부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밀착되어 상기 주자로에 형성되는 자력을 강화시키는 자력 보강판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끼워지고, 일측에는 상기 자력 보강판에 밀착되어 상기 자력 보강판이 상기 보빈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지지대가 형성된 제1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제어 회로부가 내부에 끼워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탈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어 회로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일단에는 제1 지지대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지지대 걸림고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고리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덮개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끼워지면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자력 보강판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대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고리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의 타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전방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제2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끝단에는 제2 지지대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밀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덮개가 상기 하우징에 끼워지면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면이 상기 밀착판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지대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안착공간 부근에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20140150535A 2014-10-31 2014-10-31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167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35A KR101678001B1 (ko) 2014-10-31 2014-10-31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US14/921,804 US10026573B2 (en) 2014-10-31 2015-10-23 Tripp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35A KR101678001B1 (ko) 2014-10-31 2014-10-31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99A KR20160051099A (ko) 2016-05-11
KR101678001B1 true KR101678001B1 (ko) 2016-11-21

Family

ID=5585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35A KR101678001B1 (ko) 2014-10-31 2014-10-31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26573B2 (ko)
KR (1) KR101678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5153B (zh) * 2017-07-25 2019-06-18 浙江美硕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磁路固定装置
KR102541381B1 (ko) * 2021-09-29 2023-06-12 엘에스일렉트릭(주) 플러그인 배선용 차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24B1 (ko) 2012-04-12 2013-10-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압 트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759B2 (ja) * 1990-03-29 1998-03-09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US6218921B1 (en) * 2000-02-24 2001-04-17 Eaton Corporation Adjustable flux transfer shunt trip actuator and electric power switch incorporating same
CN1234135C (zh) * 2001-01-18 2005-12-2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磁铁和使用该电磁铁的开关装置的操作机构
US8106734B2 (en) * 2007-04-25 2012-01-31 Saia-Burgess, Inc. Adjustable mid air gap magnetic latching solenoid
KR101078916B1 (ko) * 2010-03-22 2011-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부족전압 트립장치
US9368294B2 (en) * 2010-12-21 2016-06-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olenoid operate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24B1 (ko) 2012-04-12 2013-10-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압 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99A (ko) 2016-05-11
US20160126041A1 (en) 2016-05-05
US10026573B2 (en)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288B1 (ko) 회로차단기
KR10167800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CN103534779A (zh) 电磁接触器
KR20140036111A (ko) 직류 개폐기의 소호 기구, 및 상기 소호 기구를 가지는 직류 개폐기 및 직류 차단기
CN112219254A (zh) 用于对电流路径进行直流电流中断的分离设备以及保护开关
KR20150008191A (ko) 조작 장치 또는 진공 개폐기
CN205911161U (zh) 一种高压断路器电磁铁总成
US3155801A (en) Arc chute side with encapsulated face wound blowout coil
CA2911373C (en) Circuit breaker panel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US8809720B2 (en) Arc extinguishing mechanism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EP3734631B1 (en) Dc circuit breaker
JP6695296B2 (ja) 電磁開閉器
US8497750B2 (en) Release mechanism fo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0146304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 트립 장치
US3070681A (en) Face wound blowout coil
KR101192305B1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전력 개폐 장치
KR10209410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직류 2극 접촉기
JP2016033891A (ja) 直流遮断器
CA2911363C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remote operation circuit
CN203746769U (zh) 小型断路器
JP5519713B2 (ja) 交流接触器の操作装置
KR101669906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CN105470063A (zh) 一种控制与保护开关
CN105762032B (zh) 用在断路器中的脱扣器和断路器
AU2016101586A4 (en) Circuit-breaker with Self-lock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