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3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936B1
KR101677936B1 KR1020140105941A KR20140105941A KR101677936B1 KR 101677936 B1 KR101677936 B1 KR 101677936B1 KR 1020140105941 A KR1020140105941 A KR 1020140105941A KR 20140105941 A KR20140105941 A KR 20140105941A KR 101677936 B1 KR101677936 B1 KR 10167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very
neighboring cell
information
processo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003A (ko
Inventor
리차드 리-치 쿠오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2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를 UE (User Equipment)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3년 8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번호 61/867,251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임시 출원의 전체 roto는 본원에 참조로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되며,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이동통신 장비로부터 대량 데이터 통신의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종래의 이동 음성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한 IP 데이터 패킷 통신은 이동 통신 장비의 사용자에게 IP상 음성,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온디맨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구조가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E-UTRAN 시스템은 전술한 IP상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제공할 수 있다. E-UTRAN 시스템의 표준화 작업은 현재 3GPP 표준 기구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3GPP 표준의 진화 및 최종화를 위해 기존 3GPP 본문에 대한 변경들이 현재 제안 및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3GPP 표준들에 추가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하려고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를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UE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을 보여준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로 또한 알려짐) 그리고 수신기 시스템 (사용자 장비 또는 UE로 또한 알려짐)의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록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유형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코드분할 다중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무선액세스, 3GPP LTE-A 또는 LTE-Advanced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WiMax 또는 기타 변조 방식 등에 기초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기기들은 여기에서는 3GPP로 언급되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이름의 협회에 의해서 제안된 표준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표준들은 다음의 문서들을 포함한다: 문서번호 SP-110638, "WID on Proposal for a study on Proximity-based Services"; TR 22.803-c20, "Feasibility Study for Proximity Services (ProSe)"; 그리고 R2-132526, "Resource Configuration & Selection for D2D Direct Discovery". 위에서 목록으로 된 상기 표준들 그리고 문서들은 본원에 명백하게 편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100; AN)는 다중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데, 104 및 106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 108 및 110을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그룹, 그리고 112 및 114를 포함하는 또 하나의 그룹이 그것들이다. 도 1에서, 각 안테나 그룹에서 2개의 안테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각 안테나 그룹을 위해 이보다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6; AT)은 안테나 112 및 114와 통신하는데, 안테나(112 및 114)들은 포워드 링크(120) 상에서 액세스 단말(122; AT)로 정보를 전송하고 리버스 링크(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122; AT)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118, 120, 124, 126)는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워드 링크(120)는 리버스 링크(118)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과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종종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라고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 각 안테나 그룹은 액세스 네트워크(1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의 터미널들을 액세스하기 위해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포워드 링크들(120 및 126) 상의 통신에서,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전송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에 대한 포워드 링크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개선하기 위해 빔형성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영역 내에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액세스 단말들로 전송하기 위해 빔형성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하나의 안테나로 전송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비하여 인접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하여 적은 간섭을 발생시킨다.
액세스 네트워크(AN)는 고정국이거나 터미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지국일 수 있는데, 이는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기지국, 증강 기지국, eNodeB 등의 용어로 지칭되기도 한다. 액세스 포인트 (AT)는 사용자 장비 (UE), 무선 통신 기기, 단말, 액세스 단말 등으로 또한 지칭되기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200)의 송신기 시스템(210;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함) 및 수신기 시스템(250; 액세스 단말(AT)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도 함)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214)로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각 전송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는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코딩 시스템에 기초하여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드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코드화된 데이터는 OFDM 기법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 알려진 방식으로 처리되는 알려진 데이터 패턴으로서, 채널 응답을 예측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드화 데이터는 그 데이터 시스템을 위해 선택된 특정 변조 스킴(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된다 (즉, 심볼 매핑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률,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개 변조 심볼 스트림을 NT개 전송기(TMTR; 222a 내지 222t)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TX MIMO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스트림의 심볼과 그 심볼이 전송되는 안테나에 대하여 빔형성 가중치를 적용한다.
각 전송기(222)는 각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고, 그 아날로그 신호에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젼 등의 조정 처리를 하여 MIMO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전송기(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T개 변조 신호들은 각각 NT개 안테나(224a 내지 224t)를 통해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R개 안테나(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해당 수신기(RCVR; 254a 내지 254r)에 제공된다. 각 수신기(254)는 해당 수신 신호에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젼 등의 조정 처리를 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NR개 수신기(254)로부터의 NR개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특정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처리하여 NT개 "검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각 검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복호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의 처리는 전송 시스템(210)의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상보적이다.
프로세서(270)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이점에 대해 후술함). 프로세서(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과 순위 값 부분을 포함하는 리버스 링크 메시지를 생성한다.
리버스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리버스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254a 내지 254r)에 의해 조정되어 전송기 시스템(210)으로 되돌려 전송된다.
전송기 시스템(210)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가 안테나(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2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전송되는 리저브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러면 프로세서(230)는 빔형성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결정하고,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대안적인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 1의 116 및 122와 같은 UE(또는 AT)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LTE 시스템이다. 이 통신 디바이스(300)는 입력 장치(302), 출력 장치(304), 제어 회로(306), 중앙처리유닛(CPU; 308), 메모리(310), 프로그램 코드(312) 및 트랜시버(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6)는 메모리(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312)를 CPU9308)을 통해 실행하여, 통신 디바이스(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모니터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미지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트랜시버(314)는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 회로(306)로 전달하고, 제어 회로(306)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드(312)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312)는 어플리케이션 층(400), 레이어3 부분 (402), 레이어2 부분 (404)을 포함하고, 레이어1 부분 (406)에 커플링되어 있다. 상기 레이어3 부분 (402)은 일반적으로 무선 리소스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레이어2 부분은 일반적으로 링크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레이어1 부분 (406)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접속을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3GPP SP-110638은 근접-기반의 서비스들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에 관한 새로운 연구 항목을 제안한다. 이 연구 항목의 정당화 및 목적은 3GPP SP-110638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3. 정당화 (Justification)
근접-기반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은 최근의 그리고 막대한 사회-기술적인 트렌드를 나타낸다. 이런 애플리케이션들의 원칙은 서로의 근방에 있는 디바이스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인스턴스들을 탐색하며 (discover), 그리고 애플리케이션-관련된 데이터를 또한 결국 교환하는 것이다. 병행하여, 공중의 안전 공동사회에서 근접-기반 디스커버리 (proximity-based discovery) 및 통신들에 관심을 가진다.
현재의 3GPP 규격들은 그런 필요성들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적합할 뿐이며, 이는 그런 모든 트래픽 및 시그날링이 네트워크에서 라우팅되어야만 할 것이며, 그래서 그것들의 성능에 영향을 주며 그리고 네트워크에 불필요한 부하를 추가시킨다. 이런 현재의 한계들은 더욱 더 진보한 근접-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또한 장애물이다.
이런 맥락에서, 3GPP 기술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근접-기반의 디스커버리 및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리고 방대한 미래의 더욱 진보된 근접-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의 큰 배열을 조장하기 위한 선택의 플랫폼이 되어가기 위한 기회를 가진다.
4. 목적
상기 목적은 사용의 경우들을 연구하고 그리고 연속적인 네트워크 제어 하에 근접하게 있는, 그리고 3GPP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제어 디스커버리 및 통신들을 위한 잠재적인 요구사항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을 위한 것이다:
1. 상업적/사회적 이용
2. 네트워크 오프로딩 (offloading)
3. 공공의 안전
4. 현재의 하부구조 서비스들을 통합, 이는 도달가능성 및 이동성 모습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상기 연구 항목은 사용의 경우들을 연구하고 그리고 잠재적인 요구사항들을 식별할 것이며, 이는 다음을 위한 것이다.
5. 공중의 안전으로, EUTRAN 커버리지가 부재한 경우이다 (EUTRAN 커버리지는 지역적인 조절 및 오퍼레이터 정책을 필요로 하며, 그리고 공중-안전 지정된 주파수 대역들 및 단말들로 제한된다)
사용의 경우들 그리고 서비스 요구사항들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제어, 인증, 승인, 회계 및 규정의 모습들을 포함하여 연구될 것이다.
상기 연구는 GERAN 또는 UTRAN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추가로, 3GPP TR 22.803-c20 는 사용의 경우들을 기술하고 그리고 근접하여 존재하는 UE들 사이에서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제어 디스커버리 및 통신들에 대한 잠재적인 요구사항들을 식별한다. 3GPP TR 22.803-c20 는 ProSe (Proximity-based Service) 디스커버리를 정의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개방 [ProSe] 디스커버리 그리고 제한된 [ProSe] 디스커버리를 포함한다:
3.1 정의들
ProSe 디스커버리: UE가 다른 것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E-UTRA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프로세스.
개방 [ProSe] 디스커버리는 탐색되고 있는 UE로부터 명시적인 허락이 없는ProSe 디스커버리이다.
제한된 [ProSe] 디스커버리는 탐색되고 있는 UE로부터 명시적인 허락이 있어야만 발생하는 ProSe 디스커버리이다.
...
또한, 3GPP R2-132526 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다이렉트 디스커버리 (즉, ProSe 디스커버리)를 위한 리소스 설정 및 선택을 기술한다. 다이렉트 D2D (Device to Device)를 지원하기 위해서, 3GPP R2-132526은 시스템 정보 (SI) 메시지 내에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제안한다. D2D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다른 새로운 정보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가 모든 주파수 레이어들 상에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이 상황에서, UE가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을 구비하지 않고 셀에 캠프 온 (camp on)/접속하고 있다면, 이 UE가 어떻게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얻는가 하는 것은 고려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R2-132526 은 D2D-가능한 UE들은 자신들의 RRC 상태들에 상관없이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가진다. UE가 아이들 모드에 있다면, 그 UE가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를 원한다면 그 UE는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셀에 대해 검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셀 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을 것을 UE들에게 지시하기 위해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을 가지지 않은 셀이 그 셀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와 같은)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 상기 SI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 SI 메시지와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두 SI 메시지들은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500)이다. 단계 505에서,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는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510에서, 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UE는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D2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은 상기 이웃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UE는 근접한 다른 UE들에 의해서 탐색될 (또는 근접한 다른 UE들을 탐색하기 위해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을 기반으로 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수신한다). 더욱이,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UE의 신원 그리고/또는 상기 UE 상에서 실행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신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신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UE에 의해서 또는 상기 UE 상에서 실행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요청되거나 또는 제안된 서비스를 표시하는 서비스 정보를 또한 포함하거나 또는 그 서비스 정보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할 수 있다. CPU (308)는 상기 UE가 (i)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ii) 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 모두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600)이다. 단계 605에서, UE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도록 하기 위해 셀이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정보를 포함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의 상기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한다. 또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이 상기 이웃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해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U (308)는 UE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도록 하기 위해 셀이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개시의 다양한 모습들이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여기에서의 교시들은 아주 다양한 형상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여기에서 개시된 어떤 특수한 구조, 기능, 또는 둘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것이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은 어떤 다른 모습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이런 모습들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모습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여기에서의 교시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 제시된 여러 모습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방법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여기에서 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습들이 아닌 또는 그에 추가한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와 기능성을 이용하여 그런 장치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그런 방법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념들 중 몇몇의 예로서, 몇몇의 모습들에서 펄스 반복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의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의 모습들에서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의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의 모습들에서는 타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의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의 모습들에서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그리고 타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테크놀러지들 및 기술들 중의 어떤 것을 이용하여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을 통해서 참조될 수 있을 데이터, 명령어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그리고 칩들 (chips)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 파형들, 자기장 또는 입자들, 광학 장들 (optical fields) 또는 입자들, 또는 그것들의 어떤 조합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실례의 논리적인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그리고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예를 들면, 소스 코딩 또는 몇몇의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을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두 가지의 조합), 다양한 형상의 프로그램들 또는 설계 코드 통합 명령어들 (이는 여기에서 편의를 위해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둘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런 교체성을 명료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그리고 단계들이 그것들의 기능성의 면에서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런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가의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 상에 부과된 설계 제한들 그리고 특정한 응용에 달려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상기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런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초래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로,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인 블록들, 모듈들, 그리고 회로들은 집적 회로 (integrated circuit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그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IC는 여기에서 설명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분리된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분리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적인 컴포넌트들, 광학 컴포넌트들, 기계적인 컴포넌트들, 또는 상기 것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상기 IC 내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둘 모두에 존재하는 명령어들 또는 코드들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어떤 전통적인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스테이트 머신일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기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어떤 다른 그런 구성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프로세스 내 단계들의 어떤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적인 접근 방식의 일 예이다. 설계 선호도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스들 내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본 발명 개시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재배치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 순서 내에서의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모듈 (예를 들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부착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서 알려진 컴퓨터-독출가능 저장 매체의 어떤 다른 형상 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샘플의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컴퓨터/프로세서 (이는 편의를 위해서 여기에서는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와 같은 머신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 (예를 들면, 코드)를 읽을 수 있고 그리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쓸 수 있도록 한다. 샘플의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는 ASCI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ASIC은 사용자 장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에서, 상기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비 내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몇몇의 모습들에서 어떤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개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습들에 관련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독출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모습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다양한 모습들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추가의 수정들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은 본 발명의 원칙들을 일반적으로 따르는 본 발명의 어떤 변이들, 사용들 또는 적응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내에서 알려진 그리고 관습적인 실행 내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본 발명 개시로부터의 그와 같은 이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디스커버리 (discovery)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도록 하기 위해 셀이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이 포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디스커버리 (discovery)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를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UE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이 포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근접한 다른 UE들에 의해서 탐색될 (또는 근접한 다른 UE들을 탐색하기 위해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을 기반으로 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또는 수신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UE의 신원 그리고/또는 상기 UE 상에서 실행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신원을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UE에 의해서 또는 상기 UE 상에서 실행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요청되거나 또는 제안된 서비스를 표시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이 포함된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근접한 다른 UE들에 의해서 탐색될 (또는 근접한 다른 UE들을 탐색하기 위해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을 기반으로 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또는 수신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UE의 신원 그리고/또는 상기 UE 상에서 실행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신원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UE에 의해서 또는 상기 UE 상에서 실행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요청되거나 또는 제안된 서비스를 표시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셀이: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이웃 셀을 찾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웃 셀의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설정이 포함된, 통신 디바이스.
KR1020140105941A 2013-08-19 2014-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7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67251P 2013-08-19 2013-08-19
US61/867,251 201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003A KR20150021003A (ko) 2015-02-27
KR101677936B1 true KR101677936B1 (ko) 2016-11-21

Family

ID=5135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941A KR101677936B1 (ko) 2013-08-19 2014-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49674A1 (ko)
EP (1) EP2846567A1 (ko)
JP (1) JP6021862B2 (ko)
KR (1) KR101677936B1 (ko)
CN (1) CN104427576A (ko)
TW (1) TWI558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4863B (zh) 2013-10-18 2019-03-21 新力股份有限公司 通訊控制裝置、通訊控制方法及終端裝置
US9426624B2 (en) * 2014-04-29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xpressions
KR102415672B1 (ko) 2015-04-09 202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270615A4 (en) 2015-04-10 2019-03-06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EP3691355A1 (en) 2015-04-10 2020-08-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sending and resource scheduling methods and devices an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271A1 (en) * 2011-10-14 2013-04-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30109301A1 (en) * 2011-11-02 2013-05-02 Renesas Mobile Corporation D2D Discovery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0655B2 (en) * 2002-10-01 2005-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wherein handover information is broadcas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9756553B2 (en) * 2010-09-16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ed network acquisition and search updates
US20140038653A1 (en) * 2011-04-19 2014-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s and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interference and scheduling radio resources accordingly
GB2498575A (en) * 2012-01-20 2013-07-24 Renesas Mobile Corp Device-to-devic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cells in a device-to-device discovery area
EP2875666B1 (en) * 2012-07-20 2019-0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on interference for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271A1 (en) * 2011-10-14 2013-04-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30109301A1 (en) * 2011-11-02 2013-05-02 Renesas Mobile Corporation D2D Discovery Proces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Qualcomm Incorporated, Aspects of D2D Discovery, 3GPP TSG-RAN WG2 #83, R2-132446(2013.08.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9172A (ja) 2015-02-26
US20150049674A1 (en) 2015-02-19
KR20150021003A (ko) 2015-02-27
EP2846567A1 (en) 2015-03-11
TW201521492A (zh) 2015-06-01
TWI558252B (zh) 2016-11-11
CN104427576A (zh) 2015-03-18
JP6021862B2 (ja)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5038B2 (ja) CIoT(cellular internet of things)機能の非互換性による登録拒否
JP6707552B2 (ja) システム情報の付加的な送信
CN107852716B (zh) 用于车辆到车辆通信的半持久调度机制
KR102387211B1 (ko) 포인트-투-멀티포인트 브로드캐스트 지원 비히클-투-x 브로드캐스트
EP273397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06589B2 (en) Network nodes, devices and methods therein for enabl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0085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103330A (zh) 用于无线电通信的方法和设备
US10051677B2 (en) Providing, obtaining, and using D2D-related capability of a network node
JP2018504858A (ja) システム情報の更新
US9615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554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device to de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779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162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rvice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28537A1 (en) Device-to-device based user equipment to network relay
US20140134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rging information of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6802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EP27634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direct connection in a proximity-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EP28583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73334A1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17223322A (zh) 连接模式移动性期间优选小区上的服务连续性
US108347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TW202412540A (zh) Ml模型的泛化與規範
WO2023250228A1 (en) Power configuration sharing between sidelink user equipment (sl ues)
KR20230129411A (ko)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표준 변종에 기반한 네트워크선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