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08B1 -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908B1
KR101677908B1 KR1020140175768A KR20140175768A KR101677908B1 KR 101677908 B1 KR101677908 B1 KR 101677908B1 KR 1020140175768 A KR1020140175768 A KR 1020140175768A KR 20140175768 A KR20140175768 A KR 20140175768A KR 101677908 B1 KR101677908 B1 KR 10167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ad surface
road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759A (ko
Inventor
윤덕근
양충헌
박재홍
임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9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된 상기 도로를 통과할 때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로 송신하며 차량에 장착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예측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Road Surface Temperatur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면온도를 측정하여 노면의 결빙, 강설 등을 예측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교통사고의 주요원인으로 들 수 있는 것은 도로의 결빙이다. 도로가 결빙되는 경우에는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차량 지체 및 교통 통제로 인하여 시간적,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도로의 결빙을 사전에 예측하고 운전자 및 도로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도로 결빙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는 노면상태 정보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도로기상정보시스템(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RWIS)은 도로변에 노변 관측장비(Road Side Equipment, RSE)가 설치되고 습도, 온도 센서가 도로 표면에 매설된다. 상기 센서들은 도로의 기상 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교통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노상에 설치된 전극단자 쌍을 이용하여 대기중의 온도와 도로의 실제 온도를 측정하여 도로의 결빙예보, 결빙상태를 제공하는 것은 도로의 실제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노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의 측정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도로에서는 정확한 노면온도를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 또한 갖고 있다.
실제로 노변 관측장비 또는 온도센서를 도로의 모든 구간에 설치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비용적인 부담 또한 문제가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현장에 설치된 장비를 통한 실시간 정보만을 이용하는 노면상태 판단에는 오류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노면 상태를 예측하여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도로의 노면온도를 계산하여 노면 상태를 예측하는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된 상기 도로를 통과할 때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로 송신하며 차량에 장착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예측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도로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도로의 노면에 접촉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도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의 온도의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상기 노면온도를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정보수신서버와, 상기 정보수신서버에 수신된 상기 노면온도를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도로의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예측서버와, 다수의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분석서버와, 상기 분석서버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비교하는 비교서버와,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통해 도출된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정보송신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과거에 상기 도로와 동일한 시간 및 환경조건에 의하여 측정한 노면온도, 대기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교서버는 상기 예측서버와 상기 분석서버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정보송신서버에서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상기 예측서버에서 상기 노면온도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정보송신서버에서 송신받은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통해 노면결빙, 제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는 표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방법은 (a) 도로에 온도센서를 매설하는 단계; (b)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를 상기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차량의 감지센서에서 관제센터로 상기 노면온도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관제센터의 예측서버에서 상기 노면온도를 통해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단계; (e) 상기 관제센터의 분석서버에서 다수의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 (f) 상기 관제센터의 비교서버에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g)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로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노면온도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여 상기 차량의 표출장치에 노면결빙, 제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도로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도로의 노면에 접촉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도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의 온도의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상기 노면온도를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정보수신서버와, 상기 정보수신서버에 수신된 상기 노면온도를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도로의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예측서버와, 다수의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분석서버와, 상기 분석서버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비교하는 비교서버와,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통해 도출된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정보송신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과거에 상기 도로와 동일한 시간 및 환경조건에 의하여 측정한 노면온도, 대기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교서버는 상기 예측서버와 상기 분석서버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정보송신서버에서 상기 도로의 노변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상기 예측서버에서 상기 노면온도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정보송신서버에서 송신받은 상기 노면온도의 정보를 통해 노면결빙, 제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는 표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도로에 매설된 온도센서를 통해 노면온도를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예측하여 차량으로 송신하여 표출하므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관제센터에서 보간법을 통해 기상 관측소의 대기온도와 도로의 노면온도를 통해 예측한 노면대기온도를 비교 분석하여 온도센서가 없는 구간의 노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노면온도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센터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표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은 도로(20)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20)의 노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0)와, 상기 온도센서(100)가 설치된 상기 도로(20)를 통과할 때 상기 온도센서(100)의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로 송신하며 차량(10)에 장착하는 감지센서(200)와, 상기 감지센서(200)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100)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도로(20)의 대기온도를 예측하는 관제센터(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도로(20)에 매설되어 노면 표면 온도 데이터, 포장체 내부 온도 데이터, 대기 온도 데이터, 대기 습도 데이터 등을 획득하여 노면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도로(20)에 다수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매설되어 상기 차량(10)이 이동할 때 노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상기 도로(20)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되며 상기 도로(20)의 노면에 접촉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120)와,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계(120)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의 온도의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는 온도제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차량(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20)의 온도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차량(10)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차량(10)의 하단이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로(20)에 다수 구비된 상기 온도센서(100)에 의하여 노면의 온도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지센서(200)는 차량(10)의 속도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00)의 정보를 수신받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도로(20)에 다수 구비된 상기 온도센서(100) 중 하나의 정보만을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차량(10)에 설치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수신부(220)와, 상기 수신부(220)에서 수신받은 상기 노면온도를 상기 관제센터(300)로 송신하는 송신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20)는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거난 상기 관측센서에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수신부(220)에서 상기 관측센서의 정보를 수신받으면 차량(10) 내부에 구비된 표출장치(4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00)는 도로(20)에 온도센서(100)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온도센서(100)의 정보를 전달받지 않고 상기 감지센서(200)와 근접한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00)에서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상기 감지센서(200)를 상기 차량(10)의 하단에 구비하여 상기 도로(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측정하여 상기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300)는 상기 차량(10)이 주행하는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도로(20)의 대기온도를 예측하여 노변의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300)는 상기 감지센서(200)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정보수신서버(310)와, 상기 정보수신서버(310)에 수신된 상기 노면온도를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도로(20)의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예측서버(320)와, 다수의 기상 관측소(340)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20)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분석서버(330)와, 상기 분석서버(330)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비교하는 비교서버(350)와, 상기 비교서버(350)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통해 도출된 상기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는 정보송신서버(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송신서버(360)는 상기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감지센서(200)의 수신부(220)로 송신하며 상기 감지센서(200)의 수신부(220)는 상기 차량(10)에 구비된 표출장치(400)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노면온도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은 도로(20)에 매설된 온도센서(100)의 정보를 차량(10)에 구비된 감지센서(200)에서 수신받아 노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상기 도로(20)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되며 상기 도로(20)의 노면에 접촉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120)와, 상기 케이스(110)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계(120)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의 온도의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는 온도제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도로(20)에 매설되므로 온도센서(100) 설치영역에서는 정확한 노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온도와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노면상태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차량(10)이 주행하는 도로(20)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도로(20)에 그늘이 지거나 빗물이 고이는 위치에 구비되어 눈이 녹지 않거나 빗물이 고여 미끄러울 수 있는 도로(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로(20)에 소정의 깊이로 매설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무게에 파손되지 않도록 상부에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로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가 될 수 있다.
상기 온도계(120)는 상기 케이스(110) 내측 및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가 매설된 도로(20)의 노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계(120)는 서미스터와 같은 온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노면 표면에 설치되어 노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130)는 상기 온도계(120)의 전원 및 상태를 체크하며 온도계(120)에서 측정한 노면의 온도 정보를 차량(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제어부(130)는 차량(10)으로 온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가 별도로(20)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부(130)에서 송신하는 노면의 온도 정보를 수신받는 감지센서(200)는 상기 차량(10)의 전면 또는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00)는 본체(210)와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수신부(220)와 수신부(220)에서 수신받은 노면온도를 관제센터(300)로 송신하는 송신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는 상기 차량(10)의 하단이나 상기 차량(10)의 내부 또는 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방수 또는 내구성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20)는 도로(20)를 주행할 때 도로(20)에 매설된 다수의 온도센서(100)에 의하여 노면의 온도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00)의 온도제어부(130)와 적외선 등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30)는 관제센터(300)로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수신받은 노면의 온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데 상기 송신부(230)와 상기 관제센터(300)는 통신 프로토콜 및 수신 장치의 한 가지 예로써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출원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센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센터(300)는 차량(10)에 구비된 감지센서(200)에서 수신된 다수의 노면온도를 수신받아 도로(20)의 시상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300)는 상기 감지센서(200)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정보수신서버(310)와, 상기 정보수신서버(310)에 수신된 상기 노면온도를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도로(20)의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예측서버(320)와, 다수의 기상 관측소(340)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20)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분석서버(330)와, 상기 분석서버(330)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비교하는 비교서버(350)와, 상기 비교서버(350)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통해 도출된 상기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는 정보송신서버(3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300)는 과거에 상기 도로(20)와 동일한 시간 및 환경조건에 의하여 측정한 노면온도, 대기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서버(3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신서버(310)는 상기 차량(10)에 구비된 감지센서(200)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노면온도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수신서버(310)에서는 다수의 차량(10)에서 송신된 노면의 온도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노면의 온도 정보를 각각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서버(320)는 상기 정보수신서버(310)에 수신된 노면의 온도 정보를 저장서버(370)에 저장된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도로(20)의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노면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저장서버(370)에서 과거에 예측하려는 도로(20)와 동일한 시간 및 환경조건에 의하여 측정한 노면온도, 대기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입하여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분석서버(330)는 기상청, 도로(20)관리청 등 다양한 기상 관측소(340)에서 측정한 도로(20)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서버(330)에서 수집하여 분석한 대기온도와 상기 예측서버(320)에서 예측한 노면대기온도를 비교서버(350)에서 보간법을 이용하여 비교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간법이란 기존에 알고 있는 특정 지점이나 지역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알고자 하는 지점 또는 지역의 속성값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런 보간법을 이용하여 도로(20)에 소정의 거리로 매설되어 있는 온도센서(100)의 온도 정보와 분석서버(330)에서 분석한 기상정보를 통해 도로(20)의 기상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정보송신서버(360)는 비교서버(350)에서 비교한 노면대기온도를 통해 도출된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차량(10)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300)는 상기 정보송신서버(360)에서 상기 도로(20)의 노변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10)으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비교서버(350)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상기 예측서버(320)에서 상기 노면온도로(20)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300)에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노면온도로(20) 변환하여 송신하는 것은 차량(10)에 구비된 표출장치(400)에서 보간법으로 비교한 대기온도와 노면온도를 동시에 표출하도록 하여 도로(20)에 결빙구간이나 빗물이 고여있는 것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구비된 표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출장치(400)는 관제센터(300)에서 수신받은 상기 노면 기상 정보를 통해 노면결빙, 제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할 수 있다.
상기 표출장치(400)는 운전자가 관제센터(300)에서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예측하여 비교한 도로(20)를 지날 때 상기 운전자가 도로(20)의 기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출장치(400)는 상기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통해 노면의 상태에 따라 노면결빙, 제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하여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20)는 건물이나 사물들에 의하여 열을 받지 않아 결빙구간이 예상하지 못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는 결빙구간을 예측하지 못하여 급제동을 하는 등의 위험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차량(10)에서 전달된 노면 온도를 수신받아 관제센터(300)에서 운전자가 운행할 도로(20)의 노면 기상 정보를 사전에 표출장치(400)로 송신하면 표출장치(400)에서 결빙구간이 존재하며 제동거리를 표출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표출장치(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운전자가 운전하는 시야에 방해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0에서는 도로(20)에 온도센서(100)를 다수 매설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도로(20)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설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00)는 빗물이나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처리되며 차량(10)의 하중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1200에서는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도로(20)의 노면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제어부(130)에서 상기 노면온도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1300에서는 단계 S1200에서 송신한 상기 노면온도를 상기 도로(20)를 주행하는 차량(10)의 감지센서(20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00)는 차량(10)의 내부나 전면 또는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로(20)에 구비된 온도센서(100)에 의하여 송신된 노면온도를 수신받거나 도로(20)의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1400에서는 상기 온도센서(100)에서 측정한 노면온도를 관제센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300)는 정보수신서버(310)에서 다수의 차량(10)에서 전달되는 도로(20)의 노면온도를 수신받을 수 있다.
단계 S1500에서는 단계 S1400에서 수신받은 노면온도를 통해 예측서버(320)에서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서버(320)에서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저장서버(370)에서 과거에 상기 도로(20)와 동일한 위치의 도로(20)와 동일 날짜 및 시간대의 노면온도와 대기온도로(20)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단계 S1600에서는 분석서버(330)에서 기상 관측소(340)에서 측정한 현재 차량(10)이 운행하는 도로(20)의 대기온도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1700에서는 비교서버(350)에서 예측서버(320)에서 예측한 노면온도 및 노면대기온도와 분석서버(330)에서 분석한 대기온도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보간법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매설된 온도센서(100)의 노면온도로(20) 도로(20)의 구간에 따른 대기온도를 예측하며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1800에서는 비교서버(350)에서 비교한 도로(20)의 노면대기온도를 노면온도로(20) 변환할 수 있다.
단계 S1900에서는 정보송신서버(360)에서 노면대기온도와 변환한 노면온도를 관제센터(300)에서 노면대기온도를 측정한 도로(20)를 주행하는 차량(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000에서는 단계 S1900에서 송신한 정보를 도로(20)를 주행하는 차량(10)의 수신부(220)에서 수신하여 표출장치(400)로 도로(20)의 노면온도 및 노면대기온도에 따라 노면결빙 상황이나 노면 상태에 따른 제동거리를 표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온도센서 110: 케이스
120: 온도계 130: 온도제어부
200: 감지센서 210: 본체
220: 수신부 230: 송신부
300: 관제센터 310: 정보수신서버
320: 예측서버 330: 분석서버
340: 기상 관측소 350: 비교서버
360: 정보송신서버 370: 저장서버

Claims (16)

  1. 도로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도로의 노면에 접촉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계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의 정보를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 송신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된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상기 노면온도를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예측하는 관제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송신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노면온도를 수신받는 정보수신서버와,
    상기 정보수신서버에 수신된 상기 노면온도를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도로의 노면대기온도를 예측하는 예측서버와,
    다수의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한 상기 도로의 대기온도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분석서버와,
    상기 분석서버에서 분석한 상기 노면대기온도와 상기 대기온도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비교하는 비교서버와,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통해 도출된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정보송신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정보송신서버에서 송신받은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통해 노면결빙, 제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는 표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정보송신서버에서 상기 도로의 노면 기상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비교서버에서 비교한 상기 노면대기온도를 상기 예측서버에서 상기 노면온도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과거에 상기 도로와 동일한 시간 및 환경조건에 의하여 측정한 노면온도, 대기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175768A 2014-12-09 2014-12-09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7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68A KR101677908B1 (ko) 2014-12-09 2014-12-09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68A KR101677908B1 (ko) 2014-12-09 2014-12-09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59A KR20160069759A (ko) 2016-06-17
KR101677908B1 true KR101677908B1 (ko) 2016-11-29

Family

ID=5634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68A KR101677908B1 (ko) 2014-12-09 2014-12-09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9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27A (ko) 2020-01-16 2021-07-2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IoT활용 도로결빙 감지 및 예측시스템
KR20220090082A (ko) * 2020-12-22 2022-06-29 한국도로공사 노면 온도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사전인지 시스템
KR102440211B1 (ko) 2022-02-04 2022-09-08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노면 블랙아이스 발생 예측 및 경보 시스템
KR102454713B1 (ko) 2021-09-01 2022-10-14 주식회사 한국리레이 도로면 수막 및 결빙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197B1 (ko) * 2020-08-13 2021-07-19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 노면 온도감지센서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9460B2 (ja) * 2008-11-12 2013-09-04 株式会社ネクスコ東日本エンジニアリング 道路施設の保守管理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9460B2 (ja) * 2008-11-12 2013-09-04 株式会社ネクスコ東日本エンジニアリング 道路施設の保守管理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토목학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27A (ko) 2020-01-16 2021-07-2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IoT활용 도로결빙 감지 및 예측시스템
KR20220090082A (ko) * 2020-12-22 2022-06-29 한국도로공사 노면 온도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사전인지 시스템
KR102531432B1 (ko) * 2020-12-22 2023-05-12 한국도로공사 노면 온도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사전인지 시스템
KR102454713B1 (ko) 2021-09-01 2022-10-14 주식회사 한국리레이 도로면 수막 및 결빙 감시 시스템
KR102440211B1 (ko) 2022-02-04 2022-09-08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노면 블랙아이스 발생 예측 및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59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908B1 (ko) 노면 온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99037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weather performance for a vehicle
US11312383B2 (en) Road surface condition prediction system, driving assistance system, road surface condition prediction method, and data distribution method
KR101534716B1 (ko)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8463B1 (ko) 노면상태 정보제공 시스템
KR101750939B1 (ko) 주행차량을 이용한 기상상태-기반 노면상태 예측 시스템 및 예측 방법
KR101446546B1 (ko) 위치기반 실시간 차량정보 표시시스템
KR20190105165A (ko) 도로 기상정보 예보시스템
KR102312714B1 (ko) 도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멀티센서 및 도로 상태 판단 방법이 적용된 스마트 도로상황 알림 시스템
KR101308994B1 (ko) 차륜 회전속도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한 노면 미끄럼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2961B1 (ko) 표면멀티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
US20150364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e Height Measurement and Truck Hit Accident Prevention
US20230169856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Road Surface Condi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Road Surface Condition by Using Same
KR20140144047A (ko) 실시간 도로 네트워크의 교통특성 정보 추정 시스템 및 방법
Haavasoja et al. Experiences of mobile road condition monitoring
JP2019028922A (ja) 情報蓄積システム、情報配信システム、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蓄積方法
EP3508861A1 (en) Speed calculation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858361B1 (ko) 어는비 예측 시스템
KR101409222B1 (ko) 노면상태 정보제공 시스템
Balke et al. Report on dynamic speed harmonization and queue warning algorithm design.
CN207541753U (zh) 一种道路结冰预警系统
BR112014023491B1 (pt) Método e sistema para avaliação de comportamento de motorista durante a direção de veículos, veículo e memória não volátil
JP6098445B2 (ja) スリップ予測システム、スリップ予測方法、及びスリップ予測プログラム
KR102528082B1 (ko) 스노우 멜팅 제어가 가능한 도로 전광판 시스템 장치
US20230245509A1 (en)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