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36B1 -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7036B1 KR101677036B1 KR1020150080123A KR20150080123A KR101677036B1 KR 101677036 B1 KR101677036 B1 KR 101677036B1 KR 1020150080123 A KR1020150080123 A KR 1020150080123A KR 20150080123 A KR20150080123 A KR 20150080123A KR 101677036 B1 KR101677036 B1 KR 101677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module
- communication
- vehicle
- wireless communication
- core 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이 하나의 통신보드에 구현되고, 차량의 주행속도나 신호강도에 따라 어느 하나가 차량의 내부나 차량 주변의 영상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하며, 근거리 통신모듈의 활용도를 높여 영상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통신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로직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어 계통에 의한 신뢰성 저하가 최소화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이 차량의 속도와 전파 신호강도에 따라 서로 통신 제어권한을 이관하며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제어로직을 요구하지 않아 단순하면서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고, 차량의 속도나 주변 통신환경에 따라 통신모듈이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통신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차량의 내부나 주변에 대해 촬상되는 영상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보드는 메인이 되는 주 통신방식에 따른 송수신 로직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으나, 휴대단말기의 보급에 따라, 주 통신방식에 더하여,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와 같은 이종 통신방식이 데이터 통신이나 소액결제를 위해 부 통신방식으로 이용되는 경향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보드는 차량에도 적용되어 네비게이터, 블랙박스를 비롯, 다양한 차량 탑재장치에도 적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현재, 블랙박스의 촬상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받아 운전자나 관련자의 휴대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휴대단말기나 차량 탑재장치에 내장되는 무선 통신보드는 각각의 통신방식이 독립적이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또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시적으로 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휴대단말기의 경우, 원거리 무선통신(예컨대 CDMA)에 따른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Wi-Fi)에 따른 통신모듈은 독립적이며, 원칩으로 형성되더라도, 각각의 통신모듈은 독립적이어서, 별도의 제어로직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로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이는 휴대단말기를 조작할 때,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예컨대 Wi-Fi)의 이용을 위해 사용자가 Wi-Fi를 활성화하거나 비 활성화하는데서 알 수 있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원거리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차량에도 원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보드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공개특허 10-2014-0088710은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때, 활성화되는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타 차량이나 이동단말기로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4-0088710호는 블루투스, 지그비, RFID, 적외선 통신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상대편과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통신 방식의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무선통신 모듈이 복수일 경우, 별도의 제어로직이 구비되어 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임을 의미한다.
또한, 공개특허 10-2009-0090464호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 시, 블랙박스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원격지에 위치하는 사고관리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동된 사고처리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09-0090464호는 청구항 3항에서, 블랙박스가 이동통신 단말기 기지국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시스템으로 사고 정보를 전송한다는 점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는 단일 통신방식(한국에서의 이동통신망은 CDMA 망)을 이용하여 사고정보를 사고처리 시스템에 무선 전송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공개특허 10-2014-0088710호 및 공개특허 10-2009-0090464호를 살펴보면,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장치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1) 복수의 무선통신모듈 중 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이용하거나,
2) 기지국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CDMA 기반의 단독 통신모듈을 이용하고 있다.
1)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만이 가능하므로 사고처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의 접속이 어렵고,
2)의 경우, 기존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해야 하므로, 사고정보를 전송하는데 통신비가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대한 사고정보 중 그 중요성이 날로 늘어가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면, 데이터 전송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탑재되는 통신보드가 이종 통신모듈을 구비하되,
1) 이종 통신모듈간 통신 제어권한을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로직이 요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통신보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2) 근거리 통신모듈을 활용할 조건이 되지 않는 경우, 원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신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무선통신 보드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며,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획득 및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제1통신모듈은, 제2통신모듈로부터 신호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제1통신모듈의 신호강도와 제2통신모듈의 신호강도 차이에 따라 어느 하나를 주 통신모듈로 선택하고, 다른 하나는 부 통신모듈로 선택하며, 제1통신모듈은, 부 통신모듈에 대응하는 경우, 제2통신모듈로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고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무선 통신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대쉬보드에 장착되며, 카메라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카메라 연결 단자와 유선 연결되어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주변을 촬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무선 통신보드를 구비하며, 통신보드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제1통신모듈, 및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로 구성되고, 차량의 속도 및 차량과 무선통신망과의 신호 강도를 참조하여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가 주 통신모듈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부 통신모듈로 설정되며, 주 통신모듈을 통해 영상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는 무선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이 하나의 통신보드에 구현되고, 차량의 주행속도나 신호강도에 따라 어느 하나가 차량의 내부나 차량 주변의 영상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하며, 근거리 통신모듈의 활용도를 높여 영상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통신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로직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어 계통에 의한 신뢰성 저하가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은 상호 통신 제어권한을 이양하는 형태로 작동하며, 이러한 특징은 현재까지의 인용문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은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호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의 공유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은 출원인이 사업화 준비를 위해 준비한 시제품의 실사진을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은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호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의 공유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은 출원인이 사업화 준비를 위해 준비한 시제품의 실사진을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원거리 통신모듈은, 전국적으로 통신망이 형성되었거나, 전국적인 통신망 형성이 가능한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원거리 통신모듈은, GSM, GPRS, EDGE, CDMA, WCDMA, EVDO, LTE, LTE-A, Wibro, Mobild WiMax 등의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중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LTE-A" 통신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원거리 통신모듈이 상기 언급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후, LTE 또는 LTE-A 통신방식 이후에 출현되어 현재의 LTE-A를 대체하는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모듈이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근거리 통신모듈은, 반경 수백미터 내지 수 키로미터 이내의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별도의 기지국을 이용하지 않는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모듈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AP(Access Point)와 같은 중개장치를 이용하는 통신모듈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 RFID, WiFi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모듈이 해당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현재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대체하는 새로운 규격의 통신모듈도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현재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가장 대중화된 Wi-Fi 통신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근거리 통신모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2와 도 3은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호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는, 원거리 통신모듈(100), 근거리 통신모듈(200),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에서 입출되는 무선신호를 증폭하거나 수신하는 증폭부(300), 심카드(140) 및 플래시 메모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심카드(140)는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기지국을 통해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망 (또는 CDMA 망, 이하 생략함)을 이용할 때, 무선 통신보드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를 구비하며, 식별정보는 망 사업자 서버로 전송되어 통신모드를 인증받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심카드(140)는 통상의 휴대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이 휴대단말기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심카드(140)는 설치되는 차량의 차량 정보나 운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150)는 원거리 통신모듈(100) 및 근거리 통신모듈(200)과 연결되며, 카메라(10)에서 촬상되고, 인코더(20)에서 인코딩된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모듈(100)은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통신방식에 따라 기지국과 연결되며, 사고처리 시스템(50)에 무선 접속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모듈(100)은 제1코어 프로세서(CPU CORE)(110), 램(RAM)(120), 입출력부(I/O)(103), 및 LTE 베이스밴드(LTE BASE BAND)(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모듈(200)은 제2코어 프로세서(210), 램(220) 및 와이파이 배이스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각각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프로세서 코더(210)은 포트(P1, P2)를 통해 직결될 수 있다. 여기서, 포트(P1, P2)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포트일 수 있으며, 이들 포트(P1, P2)를 통해 상호 직결되어 통신 제어권한을 이양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제어권한은,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 중 일 측이 활성화되어 사고처리 시스템(50)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권한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 제어권한을 살펴보면,
1) 본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권한은 별도의 제어로직에 의해 부여되지 않는다.
2) 통신 제어권한은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가 상호 협의한 바에 따라 결정된다.
3) 두 개의 코어 프로세서(110, 210) 중 통신 제어권한은 어느 하나에만 부여되는 것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코어 프로세서(110) 및 제2코어 프로세서(210) 양자에 모두 부여될 수도 있다. 이는,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가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 차량의 이동속도나 위치에 따라,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 둘 다 통신 채널을 유지해야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 통신보드가 탑재되고, 차량의 속도가 근거리 무선통신 -> 원거리 무선통신으로 전환해야할 시점인 경우,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은 일정 시간동안은 무선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통신 채널을 유지한다"고 기재할 수 있다.
한편, 원거리 통신모듈(100)만 이용하면 굳이 근거리 통신모듈(200)과 통신 제어권한을 주고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차량과 관련되어 출원된 기존의 특허나 기술들을 살펴보면, 차량에서 서버 시스템으로 차량정보나 사고정보를 다이렉트로 전송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본 명세서의 종래기술에서도 10-2009-0090464호를 예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가용할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활성화하여 영상데이터를 사고처리 시스템(50)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한다는 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Wi-Fi 망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데이터를 사고처리 시스템(5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비용은 발생하지 않으며,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통신보드에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내장하고, 이를 최대한 활용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근거리 통신모듈(200)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이후, 차량이 정차된 상황에서는 차량 부근의 와이파이망을 활용하여 영상데이터나 사고정보를 사고처리 시스템(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크고작은 사고가 발생하는 도심에서는 차량의 운행속도가 고속도로 대비 매우 낮은 바, 주행중인 상태에서도 와이파이망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시스템(50)으로 영상데이터나 사고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의 운행속도는 시속 40Km/s를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와이파이망을 운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에서 근거리 통신모듈(200)은 차량의 속도가 40Km/s 이하일 때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Km/s 이상인 경우 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속도가 0 Km 내지 40 Km/s의 범위에 해당할 때,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차량 부근에 와이파이망이 잡히지 않거나, 와이파이망을 지원하는 AP와의 신호강도가 약할 경우,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는 통신비용을 유발하는 측면이 있다. 즉, 원거리 통신모듈(100)은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이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보조하는 역할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와이파이망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나 사고정보를 사고처리 시스템(50)에 전송하는데 무리가 있다. 이 경우에는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주가되고, 근거리 통신모듈(200)은 부차적인 수단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상호 통신 제어권한을 협의하기 위해,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아래에 기재된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 아래 -
제1코어 프로세서(110)는 제2코어 프로세서(210)를 활성화 시킬 수 있어야 하고,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제1코어 프로세서(110)를 활성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상호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포트(P1, P2)를 통해 상대방을 활성화할 제어 명령어를 다이렉트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포트(P1, P2)는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 사이에 직결되도록 함으로서 제어명령어를 보내고 받는데 빠른 응답시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의 직결을 통해 별도의 제어로직이 요구되지 않는 바, 기기를 경박단소하게 구성하며, 이는 제어로직의 오류를 감안하지 않고 통신보드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 중 어느 일 측에 오류가 발생한다면, 제어로직이 존재하는 것보다 안정적이지 않다고 주장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원거리 통신모듈(100)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원거리 통신모듈(100)을 리셋시키고, 반대의 경우,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리셋시킴으로써 해소되며,
원거리 통신모듈(100)에 오류가 발생하고,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사고처리 시스템(50)에 전송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플래시 메모리(150)에 영상데이터를 임시 저장해 두었다가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리셋 후, 복구될 때,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플래시 메모리(15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사고처리 시스템(50)에 전송할 수 있는 바, 기기의 신뢰성은 문제될 것이 없다.
마찬가지로,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상호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명령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리셋 명령어, 활성화 명령어 및 비활성화 명령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5)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각각 원거리 통신모듈(100)의 신호강도와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상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코어 프로세서(110)는 제2코어 프로세서(210)로 원거리 통신모듈(100)의 신호강도를 통지할 수 있고,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제1코어 프로세서(110)로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신호강도를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신호강도는 포트(P1, P2)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서로 상대편 코어 프로세서의 신호강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공유되는 신호강도, 차량의 속도를 참조하여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통신 제어권한을 협의하며, 협의 결과에 따라, 제1코어 프로세서(110)가 속하는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제2코어 프로세서(210)가 속하는 근거리 통신모듈(200) 중 하나가 주 통신모듈이 되고, 다른 하나가 부 통신모듈이 된다.
주 통신모듈은 활성화 상태로서 증폭부(300)를 통해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부 통신모듈은 비활성화 상태로서, 신호강도만을 측정하여 주 통신모듈에 제공하고 다른 기능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만일,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주 통신모듈이고,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부 통신모듈이라고 가정하면,
원거리 통신모듈(100)은 부 통신모듈인 근거리 통신모듈(200)을 통해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AP 신호강도만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모듈(200)은 AP의 신호강도를 원거리 통신모듈(100)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는 오프 상태가 되므로 전력소모는 감소하게 되는데,
전력소모는 감소하면서도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이고, 부근에 신호강도를 유지할 만한 AP가 존재하는 경우, 원거리 통신모듈(100)에 의해 활성화되어, 영상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면서도 통신비가 최소화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구성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램(120)은 제1코어 프로세서(110)가 원거리 통신모듈(100)을 제어할 때 소요되는 임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램(120)은 카메라(10)에서 촬상되어 인코더(20)에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할 때, 인코딩 작업에 필요한 임시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제1코어 프로세서(110)가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할 때 이들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임시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근거리 통신모듈(200)에 속하는 램(220)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램(220)에 대한 설명은 램(120)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도록 한다.
LTE 베이스밴드(160)는 증폭부(300)를 통해 유입되는 무선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코어 프로세서(110)로 제공하고, 제1코어 프로세서(110)에서 증폭부(300)로 향하는 데이터를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데이터 규격에 맞도록 변환하여 증폭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LTE 베이스밴드(160)는 주기적으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가 장착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200)에 마련되는 WLAN 베이스밴드(230)는 차량 주변의 AP(Access Point)와의 송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파악하고, 가용한 AP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 중 신호강도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어느 하나는 주 통신모듈이 되고 다른 하나는 부 통신모듈이 됨을 설명하였다.
주 통신모듈은 부 통신모듈로부터 신호강도에 대한 정보만을 수신하면서, 자신이 무선통신에 더 유리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면서 부 통신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만일 주 통신모듈이 부 통신모듈을 활성화하거 부 통신모듈 -> 주 통신모듈로 전환하는 경우, 주 통신모듈로 전환된 부 통신모듈은 이후 주 통신모듈을 비활성화하여야 한다. 이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4는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의 공유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는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 중 하나가 활성화 상태이고, 다른 하나는 비 활성화 상태인 것을 주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 탑재되고, 차량의 속도나 전파의 신호강도에 따라서는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둘다 작동 상태를 유지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6)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신호강도가 둘 다 기준치 이하거나,
7)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신호강도가 원거리 통신모듈(100)의 신호강도보다 높으나,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에 수렴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6)의 조건과 7)의 조건에서는 원거리 통신모듈(100)이나 근거리 통신모듈(200) 중 어느 일 측도 신뢰성이 높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주 통신모듈만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코어 프로세서(110)와 제2코어 프로세서(210)는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함께 구동하는 공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t1 구간 :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주 통신모듈
t2 구간 : 원거리 통신모듈(100)이 주 통신모듈
t3 구간 :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함께 작동하는 공유 작동 수행구간
t4 구간 :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주 통신모듈이되고, 원거리 통신모듈(100)은 부 통신모듈로 전환되는 구간.
도 5와 도 6은 출원인이 사업화 준비를 위해 준비한 시제품의 실사진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는 일 면에 심카드 소켓(141), 플래시 메모리 소켓(151)이 마련되고, 방열과 노이즈 방지를 위해 커버쉴드가 기판(5)에 배치됨을 볼 수 있다.
기판(5)에는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이 모두 마운트되며, 도면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카메라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기판(5)에 배열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기판(5)의 배면 사진을 도시한 것으로서, 커버쉴드를 벗겨내고 기판(5)에 마운트된 부품들을 촬상하였다.
도 6에서, 참조부호 C1과 C2는 각각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양자는 매우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원거리 통신모듈(100)과 근거리 통신모듈(200)의 코어 프로세서들이 상호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누가 주 통신모듈이 될 것인가를 협의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통신보드를 하우징(60)이 수납하고, 하우징(60)은 차량의 대쉬보드에 장착되며, 대쉬보드에 장착된 하우징에는 카메라와의 연결을 위한 카메라 연결단자(61)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의 대쉬보드에 하우징이 수납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카메라 연결단자(610)를 통해 카메라가 차량 내부 어디에 위치하든, 카메라를 쉽게 연결할 수 있어,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주변을 촬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연결단자(61)는 하나가 예시되고 있으나, 카메라 연결단자(61)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100 : 원거리 통신모듈 200 : 근거리 통신모듈
50 : 사고처리 시스템
50 : 사고처리 시스템
Claims (8)
-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호 직결되어 상호간의 신호강도 정보를 획득 및 공유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의 신호강도 차이에 따라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가 주 통신모듈이 되고, 다른 하나는 부 통신모듈이 되고,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부 통신모듈에 대응하는 경우, 각각 상기 제2통신모듈과 상기 제1통신모듈로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고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주 통신모듈의 신호강도가 상기 부 통신모듈 측 신호강도보다 작아지면 상기 주 통신모듈이 상기 부 통신모듈의 횔성화를 위해 제어 명령어를 전달한 후,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 중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에 상기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원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에 상기 통신 제어권한을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속도는,
40Km/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는, LTE-A, LTE, CDMA 및 GSM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은,
제1코어 프로세서 및 원거리 통신로직을 구비하고,
상기 제2통신모듈은,
제2코어 프로세서 및 근거리 통신로직을 구비하며,
상기 제1코어 프로세서와 상기 제2코어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제어권한을 상호 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 - 차량의 대쉬보드에 장착되며, 카메라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연결 단자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차량 내부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을 촬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보드;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보드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제1통신모듈, 및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과 무선통신망과의 신호 강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가 주 통신모듈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부 통신모듈로 설정되며,
상기 주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일 때, 상기 제2통신모듈이 활성화상태이고,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상일 때, 상기 제1통신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은,
LTE-A, LTE, CDMA, GSM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통신모듈은,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보드를 구비하는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123A KR101677036B1 (ko) | 2015-06-05 | 2015-06-05 |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123A KR101677036B1 (ko) | 2015-06-05 | 2015-06-05 |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7036B1 true KR101677036B1 (ko) | 2016-11-17 |
Family
ID=5754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0123A KR101677036B1 (ko) | 2015-06-05 | 2015-06-05 |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703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26895A (zh) * | 2019-09-20 | 2022-02-08 | 宝马股份公司 | 无线通信装置及相应方法和计算机程序、移动设备和车辆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1065A (ko) * | 2006-10-02 | 2008-04-08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근거리무선통신의 커버리지 확장이가능한 모바일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
KR20110029675A (ko) * | 2009-09-16 | 2011-03-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
KR20140042389A (ko) * | 2012-09-28 | 2014-04-07 | 주식회사 유비샘 | 불법행위 신고용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 |
-
2015
- 2015-06-05 KR KR1020150080123A patent/KR1016770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1065A (ko) * | 2006-10-02 | 2008-04-08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근거리무선통신의 커버리지 확장이가능한 모바일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
KR20110029675A (ko) * | 2009-09-16 | 2011-03-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
KR20140042389A (ko) * | 2012-09-28 | 2014-04-07 | 주식회사 유비샘 | 불법행위 신고용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26895A (zh) * | 2019-09-20 | 2022-02-08 | 宝马股份公司 | 无线通信装置及相应方法和计算机程序、移动设备和车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296426A1 (en) | Hybrid on board unit and roadside unit supporting wave-v2x and c-v2x | |
US20200264604A1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 |
KR102282014B1 (ko) | 차량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 |
US20190199849A1 (en) | Protective case for adding wireless functionality to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US8787904B1 (en) | Aircraft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092415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ternal vehicle wireless connection | |
US20200221544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11758379B2 (en) | Automated assessment of a towed object dimensions | |
US10688965B2 (en) |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access device on the vehicle | |
US9020421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8885468A (zh) | 信息传输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 |
KR101677036B1 (ko) | 무선 통신보드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장치 | |
KR20160144156A (ko) | 안테나 장치 | |
US20160249162A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CN115002714A (zh) | V2x通信方法及装置 | |
KR101910087B1 (ko) |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 |
CN205017353U (zh) | 一种车载无线路由器 | |
US11511640B1 (en) | Vehicle to infrastructure autonomous data backhaul | |
US9973025B2 (en) | Power providing equipment, mobi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mobile device | |
US20160353520A1 (en) | Electronic device | |
JP2018182656A (ja) | 中継装置、タグ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 |
CN112672268A (zh) | 一种无线接入终端 | |
US10455016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erging isolated networks | |
KR101520907B1 (ko) |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 |
CN215529320U (zh) | 一种远程驾驶车载装置及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