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840B1 -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840B1
KR101676840B1 KR1020150005889A KR20150005889A KR101676840B1 KR 101676840 B1 KR101676840 B1 KR 101676840B1 KR 1020150005889 A KR1020150005889 A KR 1020150005889A KR 20150005889 A KR20150005889 A KR 20150005889A KR 101676840 B1 KR101676840 B1 KR 10167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information
car
master node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418A (ko
Inventor
원종운
권용장
이석
김경태
김학성
김영주
박준서
이영호
방연근
양근율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0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8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차 또는 화물에 설치되어 화물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와, 각 화차에 설치되어 상기 슬레이브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받는 마스터 노드와, 화물열차의 기관차에 설치되어 인접한 전후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릴레이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기 화물 정보를 마지막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화물 정보를 수집하는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차의 마스터 노드에서 각 화물 또는 화물용기(컨테이너 등)의 화물 정보들을 수집하여 릴레이 방식에 의해 기관차의 메인 서버로 수집하여 한 번에 통합관제실로 전송함으로써 화차의 주행 도중 발생하는 각종 화차 또는 화물 정보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for freight train}
본 발명은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물열차를 구성하는 각 화차, 화물, 화물 용기(컨테이너 등)의 화물 정보를 릴레이 방식으로 기관차 또는 호송차량에 설치된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메인 서버는 이들 수집된 화물 정보를 통합 관제실로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물이나 시멘트, 석탄 등 벌크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화물열차는 전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컨테이너 화차의 운행 도중 각각의 컨테이너 또는 화차에서 발생된 정보들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컨테이너에 CDMA, GSM 등을 부착하여 각각의 컨테이너에서 발생된 정보들을 통합관제실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컨테이너에서 발생된 정보의 통합관제를 위한 기술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33549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치 정보 수집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위치 추적 장비와 실시간 위치 추적 장비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서버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추적 장비의 전송 정보 페이로드가, 실시간 위치추적 장비 내에 저장된 로그의 인덱스 항목 및 프로토콜(Protocol)의 ID 항목; TSR(Trans-Siberian Railway) 태그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TSR(Trans-Siberian Railway) 태그 ID 항목; 실시간 위치추적 장비의 이벤트 발생 및 정보 전송시간 표시를 하는 날짜 & 시간 항목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대상체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항목; 온도, 습도, 충격 데이터를 나타내는 온도 항목, 습도 항목, 충격 데이터 항목 및 컨테이너 문 상태를 나타내는 컨테이너 문 상태 항목, 배터리 잔량 항목, 장비 On/Off 항목, 정보의 전송 주기를 나타내는 전송 주기 항목; 전송한 정보의 오류 및 오동작에 대한 에러 코드를 저장하는 에러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실시간 위치 추적 장비에 적용되는 통신 기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고, 위치정보 확인은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은 각 화차 또는 화물(컨테이너 등)의 정보가 개별적으로 관제실로 송신되므로 통신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단순히 컨테이너의 위치 파악 등에만 사용되므로 위험물이나 시멘트, 석탄 등의 벌크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화차의 경우 주행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 등록특허 제10-133549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물열차의 각 화차의 화물 정보를 릴레이 방식으로 기관차 또는 호송차량에 설치된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메인 서버는 수집된 화물 정보를 한 번에 통합 관제실로 전송하여 통신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화차, 화물, 화물 용기(컨테이너 등)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화물 관련 정보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 화물 관련 정보의 통신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차 또는 화물에 설치되어 화물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와, 각 화차에 설치되어 상기 슬레이브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받는 마스터 노드와, 화물열차의 기관차에 설치되어 인접한 전후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릴레이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기 화물 정보를 상기 기관차에 인접한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화물 정보를 수집하는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화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와, 상태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신호송신부와, 상기 상태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신호송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슬레이브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상태감지부는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화물의 운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 화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화물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화물 고유 정보를 더 저장하는 슬레이브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노드는 화차의 고유정보 및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마스터 메모리부와, 현재 화차의 슬레이브 노드 및 후방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하여 전방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 전달하는 마스터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화차의 경로정보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마스터 신호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마스터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부와,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화물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장거리통신부와, 상기 화물 정보가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장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 서버는 수집되는 마스터 노드의 화물 정보를 실시간으로 장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거나, 수집되는 마스터 노드의 화물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차의 마스터 노드에서 각 화물 또는 화물용기(컨테이너 등)의 화물 정보들을 수집하여 릴레이 방식에 의해 기관차의 메인 서버로 수집하여 한 번에 통합관제실로 전송함으로써 화차의 주행 도중 발생하는 각종 화차 또는 화물 정보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개별 화차 또는 화물에서 직접 통합관제실로 화물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메인 서버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화물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실로 전송함에 따라 정보의 전달에 사용되는 통신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물열차(1)를 이루는 각 화차(10)나 화물, 화물 용기, 컨테이너 등과 같은 화물(이하, '화물'이라 한다.)(12)의 화물 정보를 릴레이 방식으로 기관차 또는 호송차량(이하, '기관차'라 한다.)(20)에 설치된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그 메인서버를 통해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화물 정보를 전송하여 통신비용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은 화물(12)이 적재되는 복수의 화차(10)가 연결되는 화물열차(1)에 있어서, 상기 화차(10) 또는 화물(12)에 설치되어 화물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100)와, 각 화차(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레이브 노드(100)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받는 마스터 노드(200)와, 상기 기관차(20)에 설치되어 인접한 전후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릴레이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기 화물 정보를 상기 기관차(20)에 인접한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수신하는 메인 서버(300)와, 상기 메인 서버(300)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화물 정보를 수집하는 통합 관제실(400)의 관제 서버(41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화물열차(1)는 기관차(20)의 일단에 복수의 화차(10)가 일렬로 연속해서 연결되는 구조로서, 각 화차(10)에는 화물, 화물 용기, 컨테이너 등과 같은 화물(12)이 적재된다.
이와 같은 각 화차(10) 또는 화물(12)에는 화물의 무게, 운반속도, 온도, 습도 등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슬레이브 노드(100)가 구비된다.
상기 슬레이브 노드(100)는 화물(12)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110)와, 상태감지부(110)로부터 감지된 상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200)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신호송신부(120)와, 상기 상태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신호송신부(120)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슬레이브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상태감지부(110)는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화물의 운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 화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화물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화물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감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레이브 신호송신부(120)는 상기 마스터 노드(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적용하여 상기 마스터 노드(200)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유선으로 마스터 노드(200)에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노드(100)는 슬레이브 메모리부(140)를 더 구비하여 화물의 상태, 운반목적지 등에 관련된 화물 고유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노드(100)는 상기 화물(12)의 상태 정보를 전송시 화물의 상태, 운반목적지 등에 관련된 화물 고유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화물 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차(10) 또는 화물(12)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화차(10)의 안전 주행 여부는 물론 주행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징후 또는 사고 발생 등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 노드(200)는 복수의 화차(10)에 일대 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슬레이브 노드(100)로부터 화물(12)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인접한 전후 화차(10,10',10")간에 IoT 및 M2M 등의 통신을 통해 릴레이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여 메인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마스터 노드(200)는 화차의 고유정보 및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마스터 메모리부(210)와, 현재 화차(10)의 슬레이브 노드(100) 및 후방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하여 전방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 전달하는 마스터 신호송수신부(220)와, 상기 화차의 경로정보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화차(10',10")의 마스터 노드(200',200")로부터 화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마스터 신호송수신부(220)를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2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스터 노드(200)는 일 예로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RFID 태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노드(200)는 모든 화차(1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마스터 노드(200)들은 설정된 경로정보에 따라 전송되는 화물 정보의 전송방향이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노드(200)의 마스터 신호송수신부(220)는 해당 화차의 슬레이브 노드(100)의 슬레이브 신호송신부(120)로부터 송신되는 화물 정보와 인접한 마스터 노드(200')의 마스터 신호송수신부에서 송출되는 화물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기관실(1)의 후단에는 제1 화차로부터 제N 화차까지 연결되고, 각 화차에는 제1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N 마스터 노드가 설치된다. 이 경우 제1 마스터 노드는 제1 화차에 설치된 마스터 노드로서, 설정된 경로정보에 따라 제1 화차 또는 화물의 슬레이브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화물 정보는 물론 제2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화물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서버(300)로 전송한다.
물론, 제2 마스터 노드는 제2 화차에 설치된 마스터 노드로서, 설정된 경로정보에 따라 제2 화차 또는 화물의 슬레이브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화물 정보는 물론 제3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화물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한다.
이상의 릴레이 통신 방식은 다양하게 미리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인식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화차간 연결 상태 인식을 위한 화차 양끝에 설치된 슬레이브 노드를 통해 전후 화차를 식별하여 화차 연결 상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 서버(300)는 기관차(20)에 설치되어 인접한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릴레이 방식으로 상기 화물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지의 통합 관제실(400)의 관제 서버(41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메인 서버(300)는 상기 마스터 노드(200)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부(310)와, 상기 근거리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화물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통합 관제실(400)의 관제 서버(410)로 전송하는 장거리통신부(320)와, 상기 화물 정보가 근거리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장거리통신부(320)를 통해 통합 관제실(400)의 관제 서버(4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거리통신부(320)는 상기 마스터 노드(200)의 마스터 신호송수신부(2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화물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메인 서버(300)는 상기 릴레이 방식으로 수집되는 마스터 노드(200)의 화물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장거리통신부(320)를 통해 통합 관제실(400)의 관제 서버(410)로 전송할 수 있지만, 통신 트래픽의 원활한 분산 운영을 위해 수집된 화물 정보들을 별도의 메모리부(340)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의 운영 예를 설명한다.
각 화차(10)에 화물(12)을 적재하면, 화차(10) 또는 화물(12)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노드(100)는 상태감지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화물의 무게, 운반속도, 온도, 습도 등의 상태 정보를 슬레이브 신호송신부(120)를 통해 전송한다.
이와 같은 슬레이브 노드(100)의 상태 정보는 해당 화차에 설치된 마스터 노드(200)의 마스터 신호송수신부(220)로 수신된다.
이와 같은 마스터 노드(200)는 현재 화차(10)의 슬레이브 노드(100) 및 후방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화물 정보가 수신되면, 전방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전방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는 설정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연속적으로 릴레이 방식으로 화물정보를 기관차(20)의 메인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 메인 서버(300)는 화물 정보를 원격지의 통합 관제실(400)의 관제 서버(410)로 실시간 전송하거나 설정된 시간단위로 화물 정보를 수집하여 한번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화차(10)의 마스터 노드(200)에서 각 화물 또는 화물용기(컨테이너 등)의 화물 정보들을 수집하여 IoT 및 M2M 통신을 통해 릴레이 방식에 의해 기관차(20)의 기관실에 설치된 메인 서버(300)로 전송하고, 메인 서버(300)로 전송된 정보들을 한 번에 통합관제실(400)로 전송함으로써 화차(10)의 주행 도중 발생하는 각종 화차 또는 화물 정보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및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정보의 전달에 사용되는 통신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후방에 위치한 화차 및 화물의 정보가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화차의 마스터 노드(200)에 수집되고, 이 정보가 전방에 위치한 화차의 마스터 노드(200)로 계속적으로 전송되어 기관실의 메인서버(300)에 모든 화차 및 컨테이너의 정보가 수집되고, 이 모든 정보를 일괄적으로 통합관제실(400)로 전송하게 되므로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합관제실(400)는 복수의 메인 서버(300)로부터 운반중인 화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함은 당연하며, 전체적인 화물 운송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화물열차 10: 화차
12: 화물 100: 슬레이브 노드
110: 상태감지부 120: 슬레이브 신호송신부
130: 슬레이브 제어부 140: 슬레이브 메모리부
200: 마스터 노드 210: 마스터 메모리부
220: 마스터 신호송수신부 230: 마스터 제어부
300: 메인 서버 310: 근거리통신부
320: 장거리통신부 330: 메인 제어부
340: 메모리부 400: 통합 관제실
410: 관제 서버

Claims (8)

  1. 각 화차에 설치되어 화차 또는 화물에 설치되어 화물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와,
    각 화차에 설치되어 상기 슬레이브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받는 마스터 노드와,
    화물열차의 기관차에 설치되어 인접한 전후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릴레이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기 화물 정보를 상기 기관차에 인접한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화물 정보를 수집하는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화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와, 상태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신호송신부와, 상기 상태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신호송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슬레이브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태감지부는 화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화물의 운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 화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화물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로 이루어지며,
    마스터 노드간의 릴레이 통신방식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차 양끝에 설치된 슬레이브 노드를 통해 전후 화차를 식별하여 화차 연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화물 고유 정보를 더 저장하는 슬레이브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는 화차의 고유정보 및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마스터 메모리부와, 현재 화차의 슬레이브 노드 및 후방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수신하여 전방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 전달하는 마스터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화차의 경로정보에 따라 상기 전방 및 후방 화차의 마스터 노드로부터 화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마스터 신호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마스터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부와,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화물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장거리통신부와, 상기 화물 정보가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장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수집되는 마스터 노드의 화물 정보를 실시간으로 장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8. 제 6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수집되는 마스터 노드의 화물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통합 관제실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KR1020150005889A 2015-01-13 2015-01-13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KR10167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889A KR101676840B1 (ko) 2015-01-13 2015-01-13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889A KR101676840B1 (ko) 2015-01-13 2015-01-13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418A KR20160087418A (ko) 2016-07-22
KR101676840B1 true KR101676840B1 (ko) 2016-11-18

Family

ID=5668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889A KR101676840B1 (ko) 2015-01-13 2015-01-13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256A (ko) 2020-11-20 2022-05-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열차 운행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US11597280B2 (en) 2017-01-30 202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on-board information display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439B1 (ko) 2016-11-23 2018-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사물인터넷을 위한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696049A1 (en) * 2019-02-05 2020-08-19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Freight wag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ailway freight
KR102271532B1 (ko) * 2019-08-12 2021-07-01 (주)엔플러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화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6383B1 (ko) * 2020-03-17 2020-08-20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화물열차 무선감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911A (ja) * 1999-11-12 2001-05-22 Ntn Corp 貨物列車の発電機構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3312476A (ja) * 2002-04-23 2003-11-06 Tcm Corp 運搬装置の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98B1 (ko) 2011-11-15 2013-1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336999B1 (ko) * 2011-12-21 2013-12-06 이영희 냉동 컨테이너의 실시간 무선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911A (ja) * 1999-11-12 2001-05-22 Ntn Corp 貨物列車の発電機構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3312476A (ja) * 2002-04-23 2003-11-06 Tcm Corp 運搬装置の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7280B2 (en) 2017-01-30 202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on-boar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220069256A (ko) 2020-11-20 2022-05-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열차 운행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418A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840B1 (ko) 화물열차용 사물 통신 시스템
CN101171602A (zh) 用于检测运输车辆中的货物状态的方法和装置
CN105431343B (zh) 交通工具群组监视
JP4559452B2 (ja) 物流管理方法及び物流管理システム
US20040246104A1 (en) Method for monitoring goods
RU25562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целостности поезда
RU2010127290A (ru) Сервисная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м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GB1229171A (ko)
CN205961456U (zh) 一种车载智能物流控制装置
JP2011509550A (ja) 通信および走行追跡用設備
CN109153396A (zh) 车载装置和地面系统
GB2514143A (en) Sensing device method and system
JP4768198B2 (ja) 物流管理方法、物流管理システム、荷札
CN103029724A (zh) 一种列车防撞系统
ITUD20120105A1 (it) Apparato e relativo metodo per l'identificazione automatica di entita' movimentate assieme
SE540535C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ensing of a maintenance agent on railway vehicles
US11385066B2 (en) Vehicle navig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CN204883800U (zh) 一种实时监控货物位置的物流管理系统
CN109739161B (zh) 一种用于快速铁路货运的混合网络监测系统及方法
ES2918579T3 (es) Intercambio de información en un tren
CN110730741B (zh) 用于运行有轨交通系统的方法、车辆装置以及控制装置
CN102910041A (zh) 危化车胎压监控方法与系统
KR100877587B1 (ko) 지피에스와 대차 불안정 감지센서를 이용한 열차의운행안내 및 안전운행 지원시스템
KR20180115428A (ko) 교차로에서의 무인대차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74119A1 (en) Self-propelled rail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