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814B1 -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 Google Patents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814B1
KR101675814B1 KR1020140084245A KR20140084245A KR101675814B1 KR 101675814 B1 KR101675814 B1 KR 101675814B1 KR 1020140084245 A KR1020140084245 A KR 1020140084245A KR 20140084245 A KR20140084245 A KR 20140084245A KR 101675814 B1 KR101675814 B1 KR 10167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k
lubra
somatic embryo
seed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398A (ko
Inventor
김용욱
한무석
문흥규
김지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8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8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8Methods for regeneration to complet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를 절단하여 종자배의 자엽 절편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자엽 절편체를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도된 체세포배를 뿌리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발아시켜, 뿌리 발아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성번식 방법에 의하면, 단시간 내에 루브라참나무의 클론묘 생산이 가능하고, 차후에는 병충해 등에 강한 외래 유전자의 삽입 방식으로 루브라참나무의 신품종 육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Method for vegetative propagation of Quercus rubra using somatic embryogenesis technique}
본 발명은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를 절단하여 종자배의 자엽 절편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자엽 절편체를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도된 체세포배를 뿌리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발아시켜, 뿌리 발아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64%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산림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참나무류는 활엽수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향토 수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의 28%에 해당하는 170만ha의 분포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참나무류 가운데 해발 300m 이하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재질적으로는 용재로 이용할 수 없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표고 자목용으로는 가장 선호되는 수종이다.
반면에, 해발 300m 이상에서 분포하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및 갈참나무는 각종 목공예 등 가공용재로 이용이 가능하나, 줄기가 통직하지 못하고 대경재로의 생산이 어려워, 국내 참나무류를 목재로 이용하는 양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중부 온대지방을 중심으로 생육하고 있는 참나무류는 38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북미에서 분포하는 참나무류는 78종이 있다. 이들 가운데 부가가치가 높은 무늬목, 가구재, 마루판재 등 특수목재로 사용되는 수종은 북미의 루브라참나무 (Quercus rubra L.)와 알바참나무 (Q. alba), 유럽의 로보어참나무 (Q. robur)와 패트리아참나무 (Q. petraca L.) 등 4개 수종에 불과하다.
이들 가운데 루브라참나무는 미국 중동부 및 캐나다 온타리오주 남동쪽의 해발 1,700m까지 분포하는 낙엽활엽수로 빠른 생장과 입지 적응력이 뛰어난 수종으로서, 추위에도 강하여 40℃ 이상에서도 잘 견디며, 원산지 적지에서는 수고 40m, 흉고 직경 1.5m까지 자라는 거목으로 천연림에서 벌채목의 평균 수고는 20∼30m, 흉고 직경은 50∼90cm에 이른다.
또한, 루브라참나무는 큰 나무를 이식해도 활착율이 높은 것은 물론이고, 단풍이 아름다워 조경수나 환경수로도 적합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루브라참나무의 조직배양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데, 3개월생 실생묘와 30~40년생 성목가지의 눈으로부터 새로운 신초지 유도 (Tree Physiol 12: 107-117, 1993), 성목으로부터 유도된 신초지로부터 발근유도 (Tree Physiol 16: 673-680, 1996), 8주 실생묘의 자엽절간조직으로부터 신초지유도 및 발근 (In Vitro Cell Dev Biol-Plant 45: 474-482, 2009) 및 6~7년생의 나무로부터 신초지 유도 (Plant Cell Tiss Org Cult 98: 135-145, 2009) 등의 기관유도에 관한 논문이 보고 되었다.
한편, 체세포배 발생에 관한 연구 보고는 현재까지 단 두 편만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한편은 실생묘의 엽절편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유도하고 그로부터 발아시켜 신초만을 유도하였고 (Plant Growth Reg. 20: 67-73, 1996), 다른 한편은 미숙구과의 배를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고 식물체까지 재분화에 성공하였다 (Plant Cell Tiss. Org. Cult. 7: 141-149, 2009).
그러나, 위의 두 편의 연구보고 외에는 더 이상의 체세포배 발생에 관한 연구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세포배의 유도를 통하여 우수한 형질의 루브라참나무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를 절단하여 종자배의 자엽 절편체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자엽 절편체를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도된 체세포배를 뿌리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발아시켜, 뿌리 발아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은 단시간 내에 루브라참나무의 클론묘 생산이 가능하고, 차후에는 병충해 등에 강한 외래 유전자의 삽입 방식으로 루브라참나무의 신품종 육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루브라참나무 미숙종자를 7월8일에 채취하여 양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루브라참나무 미숙종자를 7월20일에 채취하여 양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다양한 형태로 유도된 체세포배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a)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를 절단하여 종자배의 자엽 절편체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자엽 절편체를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도된 체세포배를 뿌리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발아시켜, 뿌리 발아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루브라참나무 종자의 채취는 경기도 수원 지방을 기준으로, 7월 15일~7월 25일, 바람직하게는 7월 20일경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의 표면 살균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표면 살균은 상기 종자의 표면을 세척한 후, 에탄올에 0.5분~5분간 침지한 다음, 상기 종자의 표면을 화염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는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조성되는 MS(Murashige and Skoog) 기본 배지에,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 또는 인돌부틸산(IBA) 0.1mg/L~1.5mg/L 및 6-벤질아미노퓨린 0.1mg/L~1.0mg/L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4063503118-pat00001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은 0.1mg/L~1.0mg/L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인돌부틸산은 0.5mg/L~1.5mg/L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서, 상기 뿌리 유도용 배지는 상기 MS(Murashige and Skoog) 기본 배지에, 인돌부틸산 0.1mg/L~1.5mg/L 및 6-벤질아미노퓨린 0.1mg/L~1.0mg/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은 상기 (c) 단계에 의해 발생된 뿌리 발아체를 토양에 이식하여 재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 의해 무성번식된 루브라참나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종자의 채취
실험 재료인 루브라참나무 종자의 미숙자엽은 국립산림과학원 수원 클론보존원에서 육성중인 루브라참나무 4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종자의 채취는 7월 8일 및 7월 20일에 각각 이루어졌다.
<실시예 2> 배양을 위한 표면살균
종자의 표면 세척은 먼저 주방용 세재를 3-4방울 첨가한 수돗물로 종자를 표면 세척한 다음, 무균대로 가져와 95%(w/v) 에탄올에 침지한 후 핀셋을 이용하여 한 개씩 꺼내어 종자 표면의 화염 살균을 실시하였다.
그 후 21호 수술용 메스날을 이용하여 미숙배가 포함되어 있는 부위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버린 후 다시 11호 매스날을 이용하여 미숙배 만을 추출하여 체세포배의 유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체세포배의 유도를 위한 배지 조성 및 조제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세포배 유도를 위한 배지는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의 MS(Murashige and Skoog) 기본 배지에, 옥신(auxin)으로 2,4-D 및 인돌부틸산(IBA) 및 사이토키닌(cytokinin)으로 6-벤질아미노퓨린(BA)을 첨가한 총 4 조합의 배지를 조제하였다.
이때, 슈크로즈 30g/L를 각각 첨가하였고, 겔화제로는 0.3%(w/w) gelrite(Duchefa)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각 조합의 배지는 121℃에서 고압 살균한 후, 페트리 디쉬(87× 15 mm)에 20㎖씩 분주하였다.
<실시예 4> 체세포배의 유도
상기 실시예 3에서 조제한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10개의 자엽 절편체(0.5× 0.5cm)를 치상하였고, 각 호르몬 조합당 5반복으로 하여 25± 1 ℃의 유도 조건으로 암배양 하였다.
상기에서 배양된 절편체로부터 탄닌과 같은 페놀성 물질이 분비되어 갈변화 징후가 보이면, 즉시 새 배지로 옮겨 4주간 배양한 후, 절편체를 식물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각각의 기본 배지로 옮겨 배양하여, 총 6주를 암배양하였다.
<실시예 5> 뿌리 발아체의 유도
상기 실시예 4에서 유도된 체세포배 괴(somatic embryos cluster) 중에서 발달 단계가 자엽형을 보이는 체세포배 만을 선별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상기 실시예 3의 배지와 동일한 배지에 치상하고, 24℃의 온도, 3,000 룩스의 조명도 하에서, 16시간의 명주기, 8시간의 암주기의 광주기 조건에서 배양하여, 뿌리 발아체를 유도하였다.
<실험예 1> 종자채취 시기에 따른 미숙 종자배의 출현율 조사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7월 8일 및 7월 20일에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의 미숙 종자배의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및 도 1을 참조하면, 7월 8일에 채취한 종자는 미숙 종재배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미숙 종자배를 추출하기에는 너무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표 2 및 도 2를 참조하면, 7월 20일에 채취한 모든 미숙 종자에서는 어뢰 모양의 상층 말단 부위에 노란색을 띤 미숙 종자배가 형성
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63503118-pat00002
< 실험예 2>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의 유도율 조사
상기 실시예 4에 의한 체세포배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을 참조하면, 루브라참나무의 미숙배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율은 0.5mg/L 또는 1.0mg/L의 인돌부틸산(IBA) 및 0.5mg/L의 6-벤질아미노퓨린(BA)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91.1 및 92.4%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0.1mg/L 및 0.5mg/L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 처리구에서는 다소 낮은 88.3 및 71.9%의 체세포배 발생율을 나타내어 IBA 첨가구보다는 다소 낮았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63503118-pat00003
< 실험예 3>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뿌리 유도율 조사
상기 실시예 5에 의한 뿌리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뿌리 유도율은 1.0mg/L의 인돌부틸산(IBA) 및 0.5mg/L의 6-벤질아미노퓨린(BA) 처리구에서 41.6%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0.5mg/L의 IBA 및 0.5mg/L의 BA 처리구에서 38.1%로 나타났다.
그러나,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 처리구에서는 0.1mg/L의 2,4-D 처리구는 28.2%, 0.5mg/L의 2,4-D 처리구에서는 12.8%를 보여 2,4-D 첨가보다는 IBA 첨가가 뿌리 발생에는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63503118-pat00004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은 단시간 내에 루브라참나무의 클론묘 생산이 가능하고, 차후에는 병충해 등에 강한 외래 유전자의 삽입 방식으로 루브라참나무의 신품종 육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 기술의 개발로 산림수종의 품종화를 통한 산림 생산성 증진 등의 산림 자원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0)

  1. (a).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를 절단하여 종자배의 자엽 절편체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자엽 절편체를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도된 체세포배를 뿌리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발아시켜, 뿌리 발아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는 MS(Murashige and Skoog) 기본 배지에, 인돌부틸산 0.1mg/L~1.5mg/L 및 6-벤질아미노퓨린 0.1mg/L~1.0mg/L을 포함하고,
    상기 뿌리 유도용 배지는 MS(Murashige and Skoog)기본 배지에, 인돌부틸산 0.1mg/L~1.5mg/L 및 6-벤질아미노퓨린 0.1mg/L~1.0mg/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브라참나무 종자의 채취는 경기도 수원 지방을 기준으로, 7월 15일~7월 25일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채취한 루브라참나무 종자의 표면 살균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살균은 상기 종자의 표면을 세척한 후, 에탄올에 0.5분~5분간 침지한 다음, 상기 종자의 표면을 화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돌부틸산은 0.5mg/L~1.5mg/L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의해 발생된 뿌리 발아체를 토양에 이식하여 재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10. 삭제
KR1020140084245A 2014-07-07 2014-07-07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KR10167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45A KR101675814B1 (ko) 2014-07-07 2014-07-07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245A KR101675814B1 (ko) 2014-07-07 2014-07-07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98A KR20160005398A (ko) 2016-01-15
KR101675814B1 true KR101675814B1 (ko) 2016-11-14

Family

ID=5517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245A KR101675814B1 (ko) 2014-07-07 2014-07-07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8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073A (ko) * 2009-12-01 2011-06-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배양을 이용한 흰민들레의 대량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98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rmal Babu et al. Micropropagation of camphor tree (Cinnamomum camphora)
Yang et al.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mature zygotic embryos of Manchurian ash (Fraxinus mandshurica Rupr.)
Chalupa Somatic embryogenesis in oak (Quercus spp.)
Mneney et al. Clonal propagation of cashew (Anacardium occidentale L.) by tissue culture
Chand et al.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from zygotic embryos of a timber-yielding leguminous tree, Hardwickia binata Roxb.
Deb et al. An efficient in vitro regeneration protocol for a natural dye yielding plant, Strobilanthes flaccidifolious Nees., from nodal explants
Bhargava et al. A modified and improved protocol development for in vitro clonal propagation of Santalum album L. from internodal explants
Giovanelli et al. Micropropagation of Mediterranean cypress (Cupressus sempervirens L.)
Doric et al. Use of in vitro propagation ofObla? inska? sour cherry in rootstock breeding
Behera et al.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in-vitro micropropagation of Bitter Yam (Dioscorea hispida Dennst.)
KR101675814B1 (ko) 체세포배 유도 기술을 이용한 루브라참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Rekha et al. Micropropagation of strawberry cultivar Sweet Charlie through axillary shoot proliferation
de Oliveira et al. Propagation from axillary buds and anatomical study of adventitious roots of Pinus taeda L.
KR101971978B1 (ko) 체세포배 발생 및 식물의 재분화 기술을 이용한 모과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Akeng et al. In vitro regeneration of Acacia crassicarpa A. Cunn Ex Benth through organogenesis from juvenile sources
Amer et al. Micropropagation and acclimatization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KR101634349B1 (ko)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체 유도 기술을 이용한 가래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Jose et al.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through Protocorm-like Bodies derived from shoot tip cultures of Vanilla planifolia Andr.
KR101839997B1 (ko)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음나무 노령목의 대량번식방법
Warrier et al. In vitro propagation of Aegle marmelos L.(Corr.) from mature trees through enhanced axilliary branching
Pudelska et al. The efficiency of mother crowns and quality of soft cuttings of a few dahlia cultivars
Nakano et al.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and micropropagation of the Japanese endangered Hylotelephium sieboldii (Sweet ex Hook.) H. Ohba and H. sieboldii var. ettyuense (Tomida) H. Ohba
Aslibeigi et al. In vitro ovary culture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for haploid plant production
WO2010113178A2 (en) Development of viable protocol for in vitro propagation of pomegranate
Gurung et al. Chemical growth regulator mediated propagation of Dendrobium ‘Rinnapa’Lek Dee Dee and its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methods of propa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