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783B1 -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783B1
KR101675783B1 KR1020160008469A KR20160008469A KR101675783B1 KR 101675783 B1 KR101675783 B1 KR 101675783B1 KR 1020160008469 A KR1020160008469 A KR 1020160008469A KR 20160008469 A KR20160008469 A KR 20160008469A KR 101675783 B1 KR101675783 B1 KR 10167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strut
diameter
shape
upper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학
Priority to KR102016000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B1/54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포함하는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가로등주는, 그 일 측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지주; 및 그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제1홈과 맞물려 결합되는 복수의 제2홈이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그 직경이 상기 하부 지주보다 작은 상부 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Streetlamp Pillar having Combined Pip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지주로 이뤄지는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 또는 인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 야간에 빛을 조사하여 도로 및 인도를 환하게 밝혀줌에 따라 사람이나 차량이 안전하고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가로등은 가로등주의 길이가 길고 무거워 복수의 지주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지주의 직경을 상부에 위치하는 지주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종래의 일 가로등주는 각기 소정 길이의 규격(가령, 8m 길이의 규격)으로 제조된 파이프인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일부분 연접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주는 상부 지주의 상부 끝에 부착된 가로등과 등기구 암으로 인해 상부 지주에 하부 지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힘이 가해져, 시간이 지날수록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결합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 가로등주(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386호)는 각기 다른 길이로 구성된 상부 지주의 중심에 나사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하부 지주를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타 가로등주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결합 면적이 협소하여 결합 강도가 약할 뿐 아니라 결합구조가 매우 복잡했다. 더욱이, 나사를 사용하여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결합하므로 그 결합영역에 빗물이 유입되어 결합이 약화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톱니형 결합구조를 갖는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포함하는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가로등주는, 그 일 측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지주; 및 그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제1홈과 맞물려 결합되는 복수의 제2홈이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그 직경이 상기 하부 지주보다 작은 상부 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가로등주 제조 방법은, 제1 직경의 파이프의 타단을 폐쇄하여 하부 지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주 부재에 사각형상, 돼지발톱 형상, 나비 형상 및 마름모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복수의 제1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직경 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파이프의 일단을 폐쇄하여 상부 지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 지주 부재에 상기 복수의 제1홈과 결합 가능한 상기 복수의 제1홈에 대응하는 형상, 크기 및 개수의 복수의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홈과 상기 복수의 제2홈이 상호 맞물린 상태로 용접하여 가로등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등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의 상/하부 지주의 결합부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제1홈과 하나의 제2홈의 크기를 논리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평면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c 및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의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는 하부 지주(10), 상부 지주(20), 가로등 축(30) 및 등기구 암(40)을 포함한다.
하부 지주(10)는 플린지(13) 및 상부 지주(20)와 결합 된 후, 플린지(13)에 의해 가로등주가 설치되는 지면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 지주(10)는 플린지(13) 및 상부 지주(20)와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주의 일단(12a)(설치시 하부 끝단)은 개방되어 플린지(13)와 결합되며(도 1c 참조), 그 타단(12b)(설치시 상부 끝단)은 폐쇄된 형태로 구성된다(도 1d 참조).
여기서, 하부 지주의 타단(12b)은 상부 지주(20)와의 결합 전에 폐쇄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하부 지주의 타단(12b)은 상부 지주(20)와의 결합 후에 상부 지주(20)와의 결합 영역을 제외한 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부재를 용접함에 따라 폐쇄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설치된 하부 지주(10)의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지주(10)는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지만, 통상, 제작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부 지주(10)가 원통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하부 지주(10)를 이루는 하부 지주 부재는 소정 직경(216φ)과 소정 길이(8m)의 스틸 파이프일 수 있다. 하부 지주(10)는 소정 직경의 스틸 파이프의 타단을 폐쇄시킨 후, 용융 아연으로 도금 후 블라스팅(Blasting) 공정을 거쳐 이물질과 녹을 제거하고, 적어도 한번 이상(예컨대, 2번) 분체도장(코팅)함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지주(10)는 그 측면의 상부 지주(20)와 결합되는 부위에, 상부 지주(2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1홈(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1홈(11)은 하부 지주(10)의 측면을 레이저 가공하여 소정 크기, 소정 형상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홈(11)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부 지주(20)는 그 적어도 일부가 하부 지주(10)의 상부에 연접하여 하부 지주(10)와 결합된다. 또한, 상부 지주(20)는 그 타단(상부 끝단)에 가로등이 설치되는 등기구 암(40)과 결합되는 가로등 축(30)과 결합된다. 이 같이, 상부 지주(20)는 가로등주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부 지주의 일단(22a)(하부 끝단)은 사선으로 잘려져(cutting) 폐쇄된다. 이때, 상부 지주의 일단(22a)은 폐쇄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하부 지주(10)와의 결합 후에 하부 지주(10)와의 결합 영역을 제외한 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부재를 용접함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다. 이 같이, 상부 지주(20)의 하부 끝단이 사선으로 잘려지는 경우 상부 지주(20)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자연스럽게 상부 지주(2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 지주(20)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바로 바닥으로 떨어짐에 따라 행인에게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지주(20)는 그 단면의 넓이(즉, 직경)가 하부 지주(10)보다 작으며,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지만, 통상, 제작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 지주(20)가 원통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상부 지주(20)는 소정 직경(114φ)과 길이의 스틸 파이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지주(20)는 소정 직경의 스틸 파이프의 일단을 사선 커팅한 다음 폐쇄시키고, 용융 아연으로 도금 후 블라스팅(Blasting) 공정을 거쳐 이물질과 녹을 제거하고, 적어도 한번 이상 분체도장(코팅)함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주(2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1홈(11)이 각기 맞물려 결합 되는 복수의 제2홈(21)이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2홈(21)은 원통 형상의 상부 지주(20)의 측면을 레이저 가공하여 개방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홈(21)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부 지주의 타단(22b)에는 가로등이 결합되는 등기구 암과 연결되는 가로등 축이 더 결합 되어, 가로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로등 축의 끝단에는 가로등 위치를 표시하는 LED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로등주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 간의 결합 면의 총 면적과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파이프 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파이프의 서로 이격되는 방향의 힘을 분산할 수 있는 결합구조에 의해 가로등주의 파이프 간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로등주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로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홈 및 복수의 제2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제1홈과 제2홈에 대응하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결합부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제1홈과 하나의 제2홈의 크기를 논리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평면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은 각기 하부 지주(10)와 상부 지주(20)의 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호 맞물리는 홈에 대응하는 크기, 형상 및 개수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제1홈 및 복수의 제2홈(11, 21)의 크기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복수의 제1홈(11) 중에서 상부 지주(20)의 최하부에 위치한 제1홈 및 그에 대응하는 제2홈의 크기가 작을 수도 있다.
도 2a 내지 4c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홈 및 제2홈(11, 2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홈(11)은 사각형상, 돼지 발톱형상, 마름모형상 및 나비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a 및 2b와 같이, 복수의 제1홈 및 제2홈(11, 21)은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홈(11)은 하부 지주의 길이 축에 수직하며 상호 이격된 상호 같은 길이의 제1 및 제2선(111, 112)과 제1 및 제2선(111, 112)의 각기 다른 끝점을 잇는 하부 지주의 길이 축에 평행(하는 제3선(113) 및 제4선(114) - 제3선(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홈(21)은 상부 지주의 길이 축에 수직하며 상호 이격된 상호 같은 길이의 제5 및 제6선(115, 116)과 제5 및 제6선(115, 116)의 각기 다른 끝점을 잇는 상부 지주의 길이 축에 평행하는 제7선 및 제8선(117, 1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타 예로서, 도 3a 내지 3f과 같이,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은 사각형상으로부터 변형된 제1형상 또는 제2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3c와 같이, 복수의 제1홈(11)은 정면에서 볼 때 돼지 발톱형상에 가까운 제1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제2홈(21)은 제1형상이 상하로 뒤집힌 제2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의 결합 부위의 A 영역들에 의해서 등기구 암 및 가로등의 무게로 가로등주에 작용하는 P 방향의 상부 지주(20)의 회전력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결합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또는, 도 3d 내지 3f와 같이, 복수의 제1홈(11)은 제2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제2홈(21)은 제1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의 결합 부위의 B 영역들에 의해 등기구 암 및 가로등의 무게로 가로등주에 작용하는 P 방향의 상부 지주(20)의 회전력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결합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3g 내지 3i와 같이, 복수의 제1홈(11)와 복수의 제2홈(21)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나비모양에 가까운 나비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의 결합 부위의 A' 영역과 B' 영역들에 의해 등기구 암 및 가로등의 무게로 가로등주에 작용하는 P 방향의 상부 지주(20)의 회전력을 각기 억제할 수 있어,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결합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4a 내지 4c와 같이, 복수의 제1홈 및 제2홈(11, 21)은 그 적어도 일부가 정면에서 볼 때 마름모형에 가까운 마름모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홈 및 제2홈(11, 21)의 개수와 길이는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연접하는 면의 수직 길이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가 연접하는 면의 수직 길이가 3.2m이면, 복수의 제1홈 및 제2홈(11, 21)은 각기 40cm의 길이로 구성되는 8개의 홈일 수 있다. 다만,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결합을 좀 더 강화하도록 복수의 제1홈 및 제2홈(11, 21)은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연접하는 면의 수직 길이는 가로등주의 전체 길이 및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의 수직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가로등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 지주(20)의 직경은 하부 지주(10)의 직경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 지주(20) 직경은 하부 지주(10) 직경의 0.6배 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홈(21)의 깊이(h2)는 상부 지주의 직경의 1/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각 제1홈(11)과 각 제2홈(21)의 폭(w)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하부 지주(10)와 상부 지주(20)의 교차하는 두 지점을 잇는 직선 길이로서, 상부 지주(20)의 직경 이하이면서 상부 지주(20)의 직경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제1홈(11)의 깊이(h1)는 상부 지주(20)의 깊이(h2)와 폭(w)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1홈의 깊이(h1)는 하부 지주의 직경의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제1홈의 폭(w)은 하부 지주의 직경의 1/2을 초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지주(20)의 깊이(h2)는 복수의 제1홈의 깊이(h1)와 폭(w)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홈(21)과 복수의 제1홈(11)의 폭과 길이는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를 결합시키기 위해 복수의 제2홈(21)과 복수의 제1홈(11)이 각기 연접할 때, 상부 지주(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부 지주(20)의 내부 면에서 가장 이격된 하부 지주(10)의 제1점(i)이 상부 지주(20)의 단면 중심점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2홈(21)와 복수의 제1홈(11)의 폭과 길이는 제1점(i)이 상부 지주(20)의 단면의 중심점 내지 중심점에서 일정간격 이내(예컨대, 중심점에서 ±r/3 이내의 위치, r은 상부 지주의 반지름)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홈(11)과 제2홈(21)의 크기(깊이와 폭)를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직경에 대응시킴에 따라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이 상호 맞물려 용접된 후에는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연접한 면이 직선처럼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연접 면적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맞춤에 따라, 제1 및 제2홈(11, 21)의 결합부위가 거의 이격되지 않고 연접되도록 할 수 있어,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직경(예컨대, 216mmΦ)의 파이프의 일단에 플린지(13)를 결합하고 그 타단을 폐쇄하여 하부 지주 부재를 제조한다(S610). 이때, 하부 지주 부재는 그 타단이 폐쇄되지 않는 상태로 제조된 후 나중에 폐쇄될 수도 있다.
하부 지주 부재에 사각형상, 돼지 발톱형상, 나비형상 및 마름모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복수의 제1홈(11)을 형성하여 하부 지주(10)를 구성한다(S620). 이때, 복수의 제1홈(11)은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직경 미만의 제2 직경(예컨대, 114mmΦ)의 파이프의 타단을 가로등축에 결합하고, 그 일단을 사선으로 커팅한 후 폐쇄하여 상부 지주 부재를 제조한다(S630).
또한, 상부 지주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제1홈(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1홈(11)에 대응하는 개수와 크기의 복수의 제2홈(21)을 형성하여 상부 지주(20)를 구성한다(S640). 이때, 복수의 제2홈(21)은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를 복수의 제1홈(11)과 복수의 제2홈(21)을 각기 연접시킨 상태에서 용접함에 따라 상부 지주(20)와 하부 지주(10)를 결합시킨다(S650).
이후, 상부 지주(20)에 가로등 축, 등기구 암 및 가로등을 장착한다(S660). 이때, (S660)단계는 (S650)단계에 선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로등주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 간의 결합 면의 총 길이를 늘림에 따라 파이프 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파이프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에 의해 가로등주의 파이프 간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로등주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로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부 지주 11: 제1홈 13: 플린지
20: 하부 지주 21: 제2홈

Claims (11)

  1.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포함하는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가로등주로서,
    그 일 측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지주; 및
    그 일 측에 상기 복수의 제1홈과 맞물려 결합되는 복수의 제2홈이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그 직경이 상기 하부 지주 보다 작은 상부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지주와 상기 하부 지주는 원통형일 때, 상기 복수의 제2홈의 깊이는 상기 상부 지주의 직경의 1/3 이상이고, 상기 각 제1홈과 각 제2홈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 지주와 상기 상부 지주의 교차하는 두 지점을 잇는 직선 길이인 상기 복수의 제1홈과 복수의 제2홈의 폭은 상기 상부 지주의 직경 이하이면서 상기 상부 지주의 직경의 1/2 이상이며,
    상기 상부 지주의 하부 끝단은 사선으로 커팅된 후 폐쇄되어 상기 하부 지주에 용접되며,
    상기 하부 지주의 상부 끝단은 폐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주.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홈과 복수의 제2홈은,
    레이저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용접 작업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인 가로등주.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홈 및 복수의 제2홈은,
    상호 결합 가능한 상호 대응되는 크기와 개수의 사각형상, 돼지 발톱형상, 나비 형상 및 마름모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상호 결합 가능한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인 가로등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직경의 파이프의 타단을 폐쇄하여 하부 지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주 부재에 사각형상, 돼지발톱 형상, 나비 형상 및 마름모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복수의 제1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직경 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파이프의 일단을 폐쇄하여 상부 지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 지주 부재에 상기 복수의 제1홈과 결합 가능한 상기 복수의 제1홈에 대응하는 형상, 크기 및 개수의 복수의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홈과 상기 복수의 제2홈이 상호 맞물린 상태로 용접하여 가로등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홈과 각 제2홈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 지주와 상기 상부 지주의 교차하는 두 지점을 잇는 직선 길이인 상기 복수의 제1홈과 복수의 제2홈의 폭은, 상기 상부 지주의 직경 미만이면서 상기 상부 지주의 직경의 1/2을 초과하고, 상기 복수의 제2홈의 깊이는, 상기 상부 지주의 직경의 1/3 이상이며,
    상기 복수의 제1홈의 깊이는, 상기 하부 지주의 직경의 1/5 미만이며, 상기 복수의 제1홈의 폭은, 상기 하부 지주의 직경의 1/2을 초과하고,
    상기 상부 지주의 하부 끝단은 사선으로 커팅된 후 폐쇄되어 상기 하부 지주에 용접되며,
    상기 하부 지주의 상부 끝단은 폐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주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08469A 2016-01-25 2016-01-25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469A KR101675783B1 (ko) 2016-01-25 2016-01-25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469A KR101675783B1 (ko) 2016-01-25 2016-01-25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783B1 true KR101675783B1 (ko) 2016-11-15

Family

ID=5752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469A KR101675783B1 (ko) 2016-01-25 2016-01-25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33B1 (ko) * 2017-09-18 2018-05-15 주식회사 가나스틸 파이프 확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324A (ja) * 1993-03-08 1994-09-13 Nippon Steel Corp 継ぎ式金属管柱及びそれに用いる短尺管
KR100872914B1 (ko) * 2007-03-24 2008-12-08 김두영 가로등 회전 방지장치
KR101126009B1 (ko) * 2008-01-16 2012-03-19 제이에프이 시빌 가부시키가이샤 강관 폴의 접합 구조 및 이것에 의해 접합된 강관 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324A (ja) * 1993-03-08 1994-09-13 Nippon Steel Corp 継ぎ式金属管柱及びそれに用いる短尺管
KR100872914B1 (ko) * 2007-03-24 2008-12-08 김두영 가로등 회전 방지장치
KR101126009B1 (ko) * 2008-01-16 2012-03-19 제이에프이 시빌 가부시키가이샤 강관 폴의 접합 구조 및 이것에 의해 접합된 강관 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33B1 (ko) * 2017-09-18 2018-05-15 주식회사 가나스틸 파이프 확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2128B (zh) 用于直线形构件的连接件
US20060092646A1 (en) Pole system
KR100754908B1 (ko) 가로등
KR101675783B1 (ko) 파이프 결합형 가로등주 및 그 제조방법
US9958141B2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post
KR200462194Y1 (ko) 볼트와 너트 결합부의 보호캡
KR100625198B1 (ko) 가로등 형태 시설물의 불특정 방향 경첩구조
KR100890642B1 (ko) 전선 유도구가 형성된 가로등주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주의제작방법
CN103003511B (zh) 用于护栏的铰接支架
KR101711078B1 (ko) 가로등
EP2243966B1 (en) Rod connector for connecting threaded rods
KR100685174B1 (ko) 홈형강용 클립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763478B1 (ko) 등 조립용 연결부재
KR200422797Y1 (ko) 등 조립용 연결부재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KR101560567B1 (ko) 가로등 지주용 연결 고정구
JP2005171501A (ja) 柱脚金物
KR101706375B1 (ko) 해저의 파이프 연결용 받침대
CN218295629U (zh) 一种灯杆组及路灯
KR101142315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130123776A (ko) 대형 파이프 자동용접 방법
KR200383822Y1 (ko) 가로등용 결합구
KR100981688B1 (ko) 가로등주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