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14B1 -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14B1
KR101674414B1 KR1020160056332A KR20160056332A KR101674414B1 KR 101674414 B1 KR101674414 B1 KR 101674414B1 KR 1020160056332 A KR1020160056332 A KR 1020160056332A KR 20160056332 A KR20160056332 A KR 20160056332A KR 101674414 B1 KR101674414 B1 KR 101674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rame
exercise
magne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김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진 filed Critical 김미진
Priority to KR102016005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ody fa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ing equipment including a flat plate-shaped base body (10) placed on a floor, wherein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ing equipment includes a driving unit (not shown) embedded and a foothold frame (20) which is joined to the base body (10) to seesaw and operated to seesaw by the driving unit and where a user steps on. Vibration absorbing pads (11)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the vibration to the floor and casters (12) for moving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ing equipment are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base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ing equipment is easy to keep and able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Description

다목적 진동운동기구{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0002]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0003]

본 발명은 힘들이지 않고 운동할 수 있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동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값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exercises and capable of recognizing a change in body weight and body fat as a result of exercise, .

일반적으로 하체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로 런닝머신이나 스텝머신등이 있는데, 이러한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발을 움직이거나 힘을 가하여 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력이 약하거나 신체를 잘 움직이지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에게는 적합한 운동기구가 되지 못하였다. In general, there is a running machine or a step machine for strengthening the lower body strength. Since the user exercises by moving the foot directly or by applying the force, the strength is weak or the body does not move well. It was not a suitable fitness equipment for the users who could not do it.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가 발을 움직이거나 힘을 직접 가하지 않아도 운동할 수 있는 진동운동기구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운동기구는, 기본적으로 바닥에 안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에 시소결합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과, 베이스에 설치되어 발판을 포스트를 축으로 하여 시소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베이스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발판에 올라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고, 이때 구동장치는 구동모터가 편심의 캠(cam)축을 회전시키고, 캠이 발판을 시소운동시키게 된다. Recently, there has been introduced a vibration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exercise without moving the foot or applying force directly. Such a vibration exercise device basically includes a base which is placed on the floor, a post which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ase, a foot which is seamed on the post and on which the foot of the user is raised, And a handle which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which is held by a user for holding by hand, wherein the driving device rotates the cam shaft of the eccentric cam and causes the cam to perform a seesaw motion do.

이러한 진동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발판에 양 발을 올려놓고 손으로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구동장치를 작동시키면, 발판이 빠르게 시소운동하면서 근육을 진동시켜 지방을 태우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81101호에 진동운동기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Such a vibrating motion mechanism causes the footboard to vibrate the muscles by rapidly seesawing the muscles when the user operates the driving device while holding the handles with both feet on the footrest. A prior art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1101 entitled Vibratory Exercise.

그런데 상기 진동운동기구의 경우, 전체적인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일단 설치를 하면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거주공간이 좁을 경우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vibration exercise device, since the overall size is large and heavy, it is not easy to move once it is installed, and thus it is difficult to use it when the living space is narrow.

또한 할 수 있는 운동이 한정되기 때문에, 금방 실증이 나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exercise that can be performed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used any longer because of the demonst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어 보관을 위한 이동이 용이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that can be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and can easily be moved for storage while minimizing an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효과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값을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어 운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a change value of a body weight and a body fat according to a motion effec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capable of inducing motivation for the exerci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싫증이 나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that can perform various exercises and can be used without being ti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치되는 것으로서, 구동부(미도시)가 내장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며, 바닥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진동흡수패드(11) 및 이동을 위한 캐스터(12)가 설치된 베이스몸체(10);
상기 베이스몸체(10)에 시소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시소운동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올라가는 발판프레임(20);
상기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맨발이 착지될 때 그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생체신호를 발생하는 생체상태측정부(30); 및
상기 베이스몸체(10) 또는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정된 체중 및 체지방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프레임(20)의 중앙측에는 상기 생체상태측정부(30)의 측정부몸체(31)가 끼어지는 결합홈(2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5)의 바닥에는 철편(26)이 고정되고;
상기 측정부몸체(31)의 바닥에는, 내주면 가장자리에 제1걸림턱(37a)을 가지는 이격구멍(37)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구멍(37)에는 상기 제1걸림턱(37a)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2걸림턱(38a)이 형성된 이탈방지단(38)이 끼어지고;
상기 이탈방지단(38)의 바닥에 상기 철편(26)에 부착되는 자석(36)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상태측정부(30)에서 발생되는 상기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의 변화값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0)로 출력하는 생체변화 비교출력부(50)를 더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
A vibration absorbing pad (11) having a flat plate shape in which a driving unit (not shown) is incorporated and which prevents vibration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loor and does not slip, and a caster A body 10;
A pedestal frame (20) seated on the base body (10) and seesawed by the driving part, the pedestal frame (20) on which the user ascends;
A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installed on the foot frame 20 for measuring the weight or body fat of the user when the user's bare feet are landed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living body signal; And
And a display (40) installed in the base body (10) or the scaffold frame (20) for displaying the measured body weight and body fat in numbers or graphs;
An engaging groove 2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oot frame 20 for engaging the measuring body 31 of the living body measuring unit 30;
A steel piece (2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engaging groove (25);
At the bottom of the measuring unit body 31, a spacing hole 37 having a first stopping protrusion 37a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 separation hole 37 is formed with an escape prevention step 38 formed with a second engagement step 38a which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step 37a;
And a magnet (36) attached to the iron piece (2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departure prevention end (3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signal generated by the bio-condition measuring unit 30 is stored, and the change values of the body weight and / or the body fa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re converted into numbers or graphs based on the stored bio-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display (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2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다른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서브운동기구(70)와; 상기 서브운동기구(70)를 상기 발판프레임(2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부(80);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exercise device 7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oot frame 20 to enable various other exercises. And a detachable fixing part (80) for selectively detachably fixing the sub exercise mechanism (70) to the foot frame (20).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고정부(80)는, 상기 발판프레임(20)의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홈(81a)을 가지는 제1착탈단(81) 및 상기 서브운동기구(70)의 바닥 양측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홈(81a)에 끼어지는 돌기(82a)가 형성된 제2착탈단(8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 중 어느 하나는 철편으로 되고, 상기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철편을 자력으로 흡착하는 자석이다.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portion 8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otrest frame 20 and includes a first detachable end 81 having a groove 81a and a second detachable end 81 having a groove 81a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sub- And a second detaching end (82) formed in the groove (81a) and provided with a projection (82a) interposed in the groove (81a); One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is a steel piec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adsorbs the iron piece Is a magnet.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이 자유로울 정도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and lighten the movable body so as to be freely movable,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so that it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또한 운동효과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값을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변화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운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Also, the change of body weight and body fat according to the exercise effect can be confirm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his / her body change, which can induce motivation for the exercise.

그리고 서브운동기구(70)를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하체운동뿐만 아니라 상체운동, 말타기 운동, 허리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싫증이 나지 않는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By applying the sub-exercise device 70, various exercises such as upper body exercise, horse-ride exercise, and waist exercise can be performed not only in a lower body exercise but also in an action and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베이스몸체에 바닥패드 및 캐스터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에 있어서, 생체상태측정부와 발판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생체상태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가 서브운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서브운동기구와 발판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mechanism of FIG.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of a floor pad and a caster on the base body of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living body measurement part and a footrest frame in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of FIG. 1;
FIG. 5 is an explanator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of FIG. 4,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mechanism of Fig. 1 further includes a sub exercise mechanism; Fig.
FIG.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ub-exercise device of FIG. 6 and a detachable fixing part for detachably fixing the footrest fra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베이스몸체에 바닥패드 및 캐스터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에 있어서, 생체상태측정부와 발판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iving body measurement part and a footrest frame in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of Fig. 1.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치되는 것으로서, 구동부(미도시)가 내장된 베이스몸체(10)와; 베이스몸체(10)에 시소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시소운동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올라가는 발판프레임(20)과; 베이스몸체(10) 또는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맨발이 착지될 때 그 사용자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생체신호를 발생하는 생체상태측정부(30)와; 베이스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정된 체중 및/또는 체지방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와; 생체상태측정부(30)에서 발생되는 상기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의 변화값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0)로 출력하는 생체변화 비교출력부(50); 상기 체중 및/또는 체지방의 변화값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dy 10, which is placed on the floor and has a driving unit (not shown) incorporated therein; A pedestal frame (20) seated on the base body (10) and seesawed by the driving part, the pedestal frame (20) on which the user ascends; A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installed on the base body 10 or the foot frame 20 for measuring the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of the user when the user's bare feet are landed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living body signal; A display 40 installed on the base body 10 for displaying the measured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in numbers or graphs; The display 40 stores the bio-signals generated by the bio-condition measuring unit 30 and converts the change values of the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to numbers or graphs based on the stored bio-signals. A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unit 50 for outputting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50;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hange in the body weight and / or the body fat.

베이스몸체(1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진다. 이때 베이스몸체(10)의 하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진동흡수패드(1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12)가 설치된다. The base body 10 has a generally flat plate shape. 3, a vibration absorbing pad 1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body 10 to prevent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loor and to prevent the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loor. On one side of the base body 10, Respectively.

발판프레임(20)은, 베이스몸체(10) 중앙측의 포스트(미도시)에 시소결합됨으로써 베이스몸체(10)에 내장된 구동부에 의하여 빠르게 시소운동한다. 이때 발판프레임(20)의 상부면에는 안착된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패드가 부착되고, 사용자가 양발을 좁은 간격에서 넓은 간격까지 벌릴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The foot frame 20 is seamed to a post (not shown) on the center side of the base body 10, so that the foot frame 20 performs a quick seesaw motion by the driving part built in the base body 10. At this time, a pad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frame 20 so as to prevent the feet that are seated from sliding, and a rectangular shap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pread the feet from a narrow space to a wide space.

발판프레임(20)의 중앙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상태측정부(30)가 결합되는 결합홈(25)이 상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25)의 바닥은 편편한 금속재질로 되고, 중앙측에는 후술할 생체상태측정부에 설치되는 자석에 의하여 흡착되는 철편(26)이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4, an engaging groove 25, to which the living body measurement part 30 is coupled,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of the foot frame 20 to open upward.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25 is made of a flat metal, and the iron piece 26 to be attracted by a magnet provided on the living state measur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center.

생체상태측정부(30)는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양발(맨발)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생체신호를 발생하며, 구체적인 구조는 추후에 설명한다. The living condition measurement unit 30 is installed on the footrest frame 20 to seat the user's feet and measures the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of the user to generate a corresponding living body signal. Explain.

디스플레이(40)는, 생체상태측정부(3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0)는 다양한 숫자 및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도록 LCD 패널로 된다. The display 40 displays numbers and / or graphs of the user's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measured by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and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 the foot frame 20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40 may be an LCD panel so as to display various numbers and graphs.

생체변화 비교출력부(50)는, 생체상태측정부(30)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계속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의 변화값을 상호 비교한 후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변화값은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과정이 보여지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경험하는 운동효과, 예를 들면 체중의 감소나 체지방의 감소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unit 50 continuously stores the biometric signal generated by the biometric state measurement unit 30 and compares the change values of the body weight and / or the body fa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ased on the stored biometric signal And th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40. Since all the process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re shown through the display 40, the user can specifically confirm the exercise effect experienced by the user, for example, reduction in body weight or reduction in body fat.

무선송신부(60)는 생체변화 비교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체중 및/또는 체지방의 변화값을 사용자의 스마트폰(미도시)으로 무선으로 송신한다. 무선송신된 데이터는 사용자 각자의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식단을 제공하거나 운동시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기초 데이터로 사용된다. The radio transmission unit 60 wirelessly transmits the change value of the body weight and / or the body fat output from the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unit 50 to a smart phone (not shown) of the user. The wirelessly transmitted data is processed by an application pre-installed on each user's smartphone, and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a user with a meal or providing exercise time and method.

도 5는 도 4의 생체상태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다. 5 is an explanator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상태측정부(30)는, 결합홈(25)에 끼어지는 측정부몸체(31)와, 측정부몸체(31)의 상부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안착된 사용자 발을 통하여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단(32)과, 측정부몸체(31)에 설치되어 그 측정부몸체(31)로 인가되는 사용자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이상의 무게센서(3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includes a measurement body 31 interposed in the coupling groove 25, and a living bod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asurement body 31, And a weight sensor 33 provided on the measuring unit body 31 and measuring a user's weight applied to the measuring unit body 31. [

전극단(32)은 사용자 오른발의 전방바닥 및 후방바닥이 안착되는 제1전극(32a)(32b)과, 왼발의 전방바닥 및 후방바닥이 안착되는 제2전극(32a')(32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전극(32a)(32b) 및 제2전극(32a')(32b')으로는 미세한 전류가 인가되여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한다. The front end 32 includes a first electrode 32a and a second electrode 32b 'on which a front bottom and a rear bottom of a user's right foot are seated and a second electrode 32a' and 32b ' . A minute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s 32a and 32b and the second electrodes 32a 'and 32b' to measure the living body impedance.

무게센서(33)는 측정부몸체(31)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센서홈(31a) 끼어져 고정된다. 무게센서(33)는 측정부몸체(31)에 사용자가 올라갈 때 결합홈(25) 바닥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게 된다. The weight sensor 33 is fixed by interposing a sensor groove 31a formed on the edge side of the measuring unit body 31. [ The weight sensor 33 is pressed by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25 when the user hits the measuring unit body 31, thereby measuring the user's body weight.

센서홈(31a)에는, 사용자가 측정부몸체(31)에 올라갈 때, 체중이 무게센서(33) 전체 표면으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체중분산돌기(34)가 설치될 수 있다. 체중분산돌기(34)는 무게센서(33) 보다 무른 재질로 되어 있으며, 센서홈(31a)에 끼어진 상태에서 측정부몸체(31)의 바닥면의 하방으로 일부 돌출된다. 이에 따라 측정부몸체(31)에 사용자가 올라갈 때, 결합홈(25) 바닥에 의하여 인가되는 가압력은 체중분산돌기(34)를 통하여 무게센서(33) 전체 표면으로 분산되므로, 무게센서(33)의 측정 부분으로 가압력이 집중되어 그 무게센서(33)가 파손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The sensor groove 31a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dispersion protrusion 34 for dispersing the weight of the weigh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eight sensor 33 when the user moves up the measurement unit body 31. [ The body weight dispersing projection 34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er than the weight sensor 33 and partiall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easuring unit body 31 in a state where it is sandwiched by the sensor groove 31a.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bottom of the engaging groove 25 is dispers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eight sensor 33 through the weight dispersing projections 34 when the user hits the measuring unit body 3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pressing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measuring portion of the weight sensor 33 and the weight sensor 33 is damaged.

생체상태측정부(30)는 결합홈(25)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결합홈(2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체상태측정부(30), 엄밀하게는 측정부몸체(31) 바닥에는 결합홈(25)에 설치된 철편(26)에 흡착되는 자석(36)이 설치된다. 이러한 자석(36)에서 생체상태측정부(30)를 흡착하는 흡착력과, 생체상태측정부(30)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생체상태측정부(30)는 결합홈(2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려 하고, 이에 따라 발판프레임(20)이 진동하는 동안에도 생체상태측정부(30)는 결합홈(25)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and precisely the measurement body 31 to prevent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25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5. [ A magnet 36 attracted to the iron piece 26 provided in the engaging groove 25 is provided. Due to the attracting force for attracting the living body measuring part 30 from the magnet 36 and the weight of the living body measuring part 30 itself, the living body measuring part 30 is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25 So that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25 even while the footrest frame 20 is vibrating.

한편 상기 자석(36)이 철편(26)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중이 체중분산돌기(34) 및 무게센서(3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측정부몸체(31)는 하방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The body 31 of the measuring unit 31 is slightly moved downward so that the body weight of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body weight dispersing projection 34 and the weight sensor 33 while the magnet 36 is attached to the iron piece 26. [ Should be possible.

이를 위하여 측정부몸체(31)의 바닥에는 내주면 가장자리에 제1걸림턱(37a)이 형성된 이격구멍(37)이 형성되고, 이격구멍(37)에는 제1걸림턱(37a)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2걸림턱(38a)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단(38)이 끼어지며, 이탈방지단(38)의 바닥에는 상기한 자석(36)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단(38)은 이격구멍(27)에서 분리되지 않고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탈방지단(38) 바닥의 자석(36)이 철편(26)에 부착된 상태에서 측정부몸체(31)는 결합홈(2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음과 동시에 하방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자석(36)이 철편(26)에 부착된 상태에서, 생체상태측정부(30)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A spacing hole 37 having a first stopping protrusion 37a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ottom of the measuring unit body 31 and a second stopping protrusion 37a The escape prevention end 38 in which the second securing step 38a is formed is inserted and the magnet 3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escape prevention end 38. [ Thus,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end 38 can be slightly mov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hole 27, when the magnet 36 on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end 38 is attached to the iron piece 26, The body 31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25 and can be slightly moved downward. Thus, in a state in which the magnet 36 is attached to the iron piece 26, the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can measure the weight of the user.

상기한 생체상태측정부(30)의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전극단(32)의 제1전극(32a)(32b) 및 제2전극(32b')(32b')에 맨발을 올려놓으면, 제1전극(32a)(32b) 및 제2전극(32a')(32b')으로 인가되는 미세한 전류에 의하여 생체임피던스가 측정되고, 이에 따라 체중 및/또는 체지방에 대응되는 생체신호를 발생한다. When the user puts the bare feet on the first electrodes 32a and 32b and the second electrodes 32b 'and 32b' of the electrode terminal 32 by the structure of the living body state measuring unit 30, The living body impedance is measured by the minute current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s 32a and 32b and the second electrodes 32a 'and 32b', thereby generating a living body signal corresponding to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참고적으로, 근육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전기를 통하는 반면, 체지방은 수분이 적어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단(32)에서 측정되는 생체임피던스와 성별, 신장, 연령의 상호 데이터를 통해 정확한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물론 체수분, 근육율, 골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muscles contain a lot of water, so they easily run electricity, while body fat is low in electricity and does not work well. Therefore, accurate body fa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bioimpedance measured at the extremity end 32 and mutual data of sex, height, and age, and furthermore, body water, muscle percentage, and bone mass can be measured simultaneously.

도 6은 도 1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가 서브운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서브운동기구와 발판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다.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of FIG. 1 further includes a sub exercise device,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b exercise device of FIG. 6 and a detachment / Fig.

본 발명의 다목적 진동운동기구는, 발판프레임(2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다른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서브운동기구(70)와; 서브운동기구(70)를 발판프레임(2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purpose vibration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 exercise device (70) for attaching to and detaching from a foot frame (20) and enabling various other exercises; And a detachable fixing part (80) for selectively detachably fixing the sub exercise device (70) to the footrest frame (20).

서브운동기구(70)는 사용자가 하체운동뿐만 아니라 상체 운동이나 허리등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에에서는 말타기 운동을 하는 형태로 예시한다. 이러한 서브운동기구(70)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본체(71)와, 본체(71)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72)로 구성된다. The sub exercise device 70 allows the user to exercise not only the lower body but also the upper body and the back, and the embodiment is exemplified in the form of a horse riding exerci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 exercise mechanism 70 includes a main body 71 for supporting the user's upper body and a support base 72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71.

착탈고정부(80)는, 발판프레임(20)의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홈(81a)을 가지는 제1착탈단(81)과, 서브운동기구(70)의 바닥, 엄밀하게는 지지베이스(72)의 양측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홈(81a)에 끼어지는 돌기(82a)가 형성된 제2착탈단(82)을 포함한다. 이때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 중 어느 하나는 철편으로 되고,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철편을 자력으로 흡착하는 자석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착탈단(81)이 자석이고, 제2착탈단(82)은 철편으로 되어 있다. The attachment / detachment fixing portion 8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otrest frame 20 and includes a first detachable end 81 having a groove 81a and a second detachable end 81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b exercise mechanism 70, And a second detaching end 82 formed at both ends of the groove 81a and formed with protrusions 82a which are engaged with the groove 81a. At this time, any one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is a steel piec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adsorbs the iron piece It becomes a magne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etaching end 81 is a magnet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is a steel piece.

이러한 착탈고정부(80)의 구조에 의하여, 서브운동기구(70)의 지지베이스(72)를 발판프레임(20)에 올려놓으면, 지지베이스(72)에 설치되는 제2착탈단(82)의 돌기(82a)가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제1착탈단(81)의 홈(81a)에 끼어져 결합되고, 이때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은 상호 자력으로 흡착되는 자석 및 철편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2착탈단(81)(82)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서브운동기구(70)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제1,2착탈단(81)(82)은 더욱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판프레임(20)이 진동하는 동안에도 서브운동기구(30)는 발판프레임(2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support base 72 of the sub-exercise device 70 is placed on the foot frame 20 by the structure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fixing portion 80, the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end 82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72 The protrusions 82a are engaged with the grooves 81a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provided on the foot frame 20 so that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are mutually coupled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ends 81 and 82 remain attached and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ends 81 and 81 are fixed by the weight of the sub exercise device 70 itself ) 82 will remain in a more coupled state. Accordingly, the sub-exercise device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foot frame 20 even while the foot frame 20 vibrates.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발판프레임(20)에 올라간 상태에서 발판프레임(20)의 진동(시소)에 의하여 직접 발을 움직이거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user can move the foot directly or with no force by the vibration (seesaw) of the foot frame 20 in the state that the user is standing on the foot frame 20.

또한 사용자는 생체상태측정부(30)에 올라가 자신의 체중 및/또는 체지방을 수시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체중 및/체지방 데이터는 생체변화 비교출력부(5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40)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효과를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go to the living state measurement unit 30 to measure his or her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from time to time, and the measured body weight and / or body fat data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40 by the living body change comparison output unit 50 So that the user can check his / her exercise effec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또한 사용자는 서브운동기구(70)를 발판프레임(20)에 설치하고, 서브운동기구(70)를 이용하여 상체, 허리, 말타기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place the sub exercise device 70 on the foot frame 20 and perform various exercises such as upper body, waist, horse riding exercise using the sub exercise device 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이 자유로울 정도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and lighten the movable body so as to be freely movable,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being usable in a narrow space.

또한 운동효과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값을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변화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운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Also, the change of body weight and body fat according to the exercise effect can be confirm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his / her body change, which can induce motivation for the exercise.

그리고 서브운동기구(70)를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하체운동뿐만 아니라 상체운동, 말타기 운동, 허리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싫증이 나지 않는다. By applying the sub exercise device 70, various exercises such as upper body exercise, horse-riding exercise, and waist exercise can be performed as well as merely lower body exercise, so that it is not tir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베이스몸체 11 ... 진동흡수패드
12 ... 캐스터 20 ... 발판프레임
25 ... 결합홈 26 ... 철편
30 ... 생체상태측정부 31 ... 측정부몸체
31a ... 센서홈 32 ... 전극단
33 ... 무게센서 34 ... 체중분산돌기
36 ... 자석 37 ... 이격구멍
37a ... 제1걸림턱 38 ... 이탈방지단
38a ... 제2걸림턱 40 ... 디스플레이
50 ... 생체변화 비교출력부 60 ... 무선송신부
70 ... 서브운동기구 71 ... 본체
72 ... 지지베이스 80 ... 착탈고정부
81 ... 제1착탈단 81a ... 홈
82 ... 제2착탈단 82a ... 돌기
10 ... base body 11 ... vibration absorbing pad
12 ... Casters 20 ... Scaffolding frame
25 ... engaging groove 26 ... steel
30 ... biological condition measuring part 31 ... measuring part body
31a ... sensor groove 32 ... front extremity
33 ... weight sensor 34 ... weight dispersion projection
36 ... magnet 37 ... spacing hole
37a ... first stopping jaw 38 ... departure preventing end
38a ... second hanging chin 40 ... display
50 ...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unit 60 ... Radio transmission unit
70 ... sub-exercise device 71 ... main body
72 ... support base 80 ... detachment fixing portion
81 ... first detaching end 81a ... home
82 ... second detaching end 82a ... protrusion

Claims (7)

바닥에 안치되는 것으로서, 구동부(미도시)가 내장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며, 바닥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진동흡수패드(11) 및 이동을 위한 캐스터(12)가 설치된 베이스몸체(10);
상기 베이스몸체(10)에 시소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시소운동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올라가는 발판프레임(20);
상기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맨발이 착지될 때 그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생체신호를 발생하는 생체상태측정부(30); 및
상기 베이스몸체(10) 또는 발판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정된 체중 및 체지방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프레임(20)의 중앙측에는 상기 생체상태측정부(30)의 측정부몸체(31)가 끼어지는 결합홈(2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5)의 바닥에는 철편(26)이 고정되고;
상기 측정부몸체(31)의 바닥에는, 내주면 가장자리에 제1걸림턱(37a)을 가지는 이격구멍(37)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구멍(37)에는 상기 제1걸림턱(37a)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2걸림턱(38a)이 형성된 이탈방지단(38)이 끼어지고;
상기 이탈방지단(38)의 바닥에 상기 철편(26)에 부착되는 자석(36)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A vibration absorbing pad (11) having a flat plate shape in which a driving unit (not shown) is incorporated and which prevents vibration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loor and does not slip, and a caster A body 10;
A pedestal frame (20) seated on the base body (10) and seesawed by the driving part, the pedestal frame (20) on which the user ascends;
A living body measurement unit 30 installed on the foot frame 20 for measuring the weight or body fat of the user when the user's bare feet are landed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living body signal; And
And a display (40) installed in the base body (10) or the scaffold frame (20) for displaying the measured body weight and body fat in numbers or graphs;
An engaging groove 2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oot frame 20 for engaging the measuring body 31 of the living body measuring unit 30;
A steel piece (2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engaging groove (25);
At the bottom of the measuring unit body 31, a spacing hole 37 having a first stopping protrusion 37a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 separation hole 37 is formed with an escape prevention step 38 formed with a second engagement step 38a which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step 37a;
And a magnet (36) attached to the iron piece (2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departure prevention end (38).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상태측정부(30)에서 발생되는 상기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값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0)로 출력하는 생체변화 비교출력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ores the bio-signals generated by the bio-condition measuring unit (30), converts the change values of body weight and body fa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to numbers or graphs based on the stored bio-signals, Further comprising a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unit (50) for outputting the biometric change comparison output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2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다른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서브운동기구(70)와; 상기 서브운동기구(70)를 상기 발판프레임(2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b-exercise device 70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oot frame 20 to enable various other exercises;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fixing part (80) for selectively detachably fixing the sub exercise mechanism (70) to the foot frame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고정부(80)는,
상기 발판프레임(20)의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홈(81a)을 가지는 제1착탈단(81) 및 상기 서브운동기구(70)의 바닥 양측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홈(81a)에 끼어지는 돌기(82a)가 형성된 제2착탈단(8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 중 어느 하나는 철편으로 되고, 상기 제1착탈단(81)과 제2착탈단(8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철편을 자력으로 흡착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tachable fixing part (80)
A first detachable end 81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oot frame 20 and having a groove 81a and a projection 82a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of the sub motion mechanism 70 and interposed in the groove 81a And a second detachment end (82) formed with the second detachment end (82);
One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is a steel piec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detaching end 81 and the second detaching end 82 adsorbs the iron piece Wherein the magnet is a magnet that vibrates the magnet.
KR1020160056332A 2016-05-09 2016-05-09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KR101674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332A KR101674414B1 (en) 2016-05-09 2016-05-09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332A KR101674414B1 (en) 2016-05-09 2016-05-09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14B1 true KR101674414B1 (en) 2016-11-09

Family

ID=5752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332A KR101674414B1 (en) 2016-05-09 2016-05-09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1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223A (en) * 1998-04-28 1999-11-09 Ya Man Ltd Exercise effect displaying device in aerobics exercise apparatus
KR100631390B1 (en) * 2006-06-12 2006-10-09 시몬통상(주) Exercise machine for disintegration of physical fat and reinforcement of physical strength
KR20070095713A (en) * 2006-03-22 2007-10-01 주식회사 네오이앤티 Exercise equipment for fat-control with low noise
KR100791546B1 (en) * 2006-09-11 2008-01-03 (주) 쉬즈텍 Exercise implement for body fat andenhanc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223A (en) * 1998-04-28 1999-11-09 Ya Man Ltd Exercise effect displaying device in aerobics exercise apparatus
KR20070095713A (en) * 2006-03-22 2007-10-01 주식회사 네오이앤티 Exercise equipment for fat-control with low noise
KR100631390B1 (en) * 2006-06-12 2006-10-09 시몬통상(주) Exercise machine for disintegration of physical fat and reinforcement of physical strength
KR100791546B1 (en) * 2006-09-11 2008-01-03 (주) 쉬즈텍 Exercise implement for body fat andenhanc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4995B2 (en) Perfect power rowing ergometer handle
TWI606818B (en) Electric walking aid assisted by gait activity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10671202B2 (en) Touch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2006149468A (en) Rocking type exercise equipment
CN204618243U (en) A kind of health self-test all-in-one
WO2019106495A1 (en) Simulator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ing lower limbs of a user seated on a wheelchair or like vehicular system
JP3434501B2 (en) Limb body degeneration prevention device
JP2015205133A (en) Motor function measur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1876796B1 (en) Flank core exercise equipment that can exercise balance
KR102172585B1 (en) Mulit-exercise apparatus with smart mirror
US11819729B2 (en) Armchair for physical therapy with IoT functionality
JP2016019720A (en) Motion assisting device
KR101707620B1 (en) Sports outfits for bench press using linear motor
US20140194262A1 (en)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WO2015033428A1 (en) Muscle strength training implement
KR101674414B1 (en) multipurpose vibration health goods
KR101907641B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physical strength using sling motion and soundwave vibration
JP45547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stimulation in response to a user's physical condition
KR10177817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of low back muscle & strengthening of low back muscle
KR20220033920A (en) Tension type training device to strengthen the larynx
KR102412164B1 (en) Exercise equipment for enhancing muscular strength and rehabilitation sports of whole body
US10507360B2 (en) Posture correction and weight balance apparatus
CN104144730A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JP3822176B2 (en) Limb physical ability regression prevention device
JP2010088703A (en) Handy type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