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58B1 -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 Google Patents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258B1
KR101674258B1 KR1020140126563A KR20140126563A KR101674258B1 KR 101674258 B1 KR101674258 B1 KR 101674258B1 KR 1020140126563 A KR1020140126563 A KR 1020140126563A KR 20140126563 A KR20140126563 A KR 20140126563A KR 101674258 B1 KR101674258 B1 KR 10167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olding member
binding
flooring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237A (ko
Inventor
김덕호
Original Assignee
김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호 filed Critical 김덕호
Priority to KR102014012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2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3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for simultaneously securing panel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5Finishing profiles with a T-shaped cross-secti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실내 바탕에 시공되는 바닥재(Flooring)의 끝단부(이음부)를 마감처리함에 있어, 바닥재의 평활도(平滑度, Smoothness) 개선과 더불어 바닥재 두께를 감안한 결속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바닥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공간 바탕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의 이음부를 떠받치도록 한 하부몰딩부재; 상기 하부몰딩부재 상측에 결속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이음부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한 결속높낮이 조절과 더불어 견고한 조립상태 유지를 위한 상부몰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몰딩부재는, 복수의 바닥재 끝단을 연이어 떠받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재 이음부 끝단의 밀착고정 및 상기 상부몰딩부재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홀더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몰딩부재는, 상기 홀더부에 끼워맞춤할 수 있는 결속편부와, 상기 결속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도록 미리 정한 횡폭을 가짐에 따라 바닥재의 이음부 끝단을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하는 마감두부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결속편부의 끼워맞춤을 위한 삽입홀이 내측에 마련되도록 상기 안착판부의 중앙부로부터 사이 간격을 두고 돌출배치되는 제1압착편 및 제2압착편의 각 내면에는, 상기 결속편부를 양측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1반구형돌기와 제2반구형돌기가 높이편차를 두고 각각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FINISH MOULDING FOR JOINT}
본 발명은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실내 바탕에 시공되는 자재, 특히 바닥재(Flooring)의 끝단부(이음부)를 마감처리함에 있어, 바닥재의 평활도(平滑度, Smoothness) 개선과 더불어 바닥재 두께를 감안한 결속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共同住宅, multi-unit dwelling) 등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실내)는, 입주민이 생활을 영위하는 개인공간으로써 인체의 접촉이 가장 많은 관계로 실내마감공사에 대한 하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도장공사, 가구공사, 내장공사, 도배공사, 목질계 바닥재공사 등과 같은 실내마감공사 중 상기 목질계 바닥재공사는, 여타 공사에 비해 하자의 발생건수가 상당하고 하자보수 처리에 기간과 비용이 커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바닥 모르타르와 바닥재를 에폭시본드로 접착시공하되, 제혀쪽매(tongue and groove joint)의 이음방법으로 다수의 조립식 판재로 된 마루와 마루를 연결조립하는 목질계 바닥재의 시공특성상, 문틀(door frame)이나 섀시(chassis) 등과 만나는 실내공간의 경계부 및 바닥재 이음부에 배치되는 마루와 마루 간 단차와 굴곡이 형성되기 마련이어서 바닥재의 마감처리를 완벽히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398호를 통해, 발코니용 데크 등과 같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자재를 바닥면에 시공함에 있어서, 자재의 끝단을 고정하고 경계면을 간단히 마감할 수 있는 착탈식 체결구조를 가진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의 단면도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은, 발코니 바닥재(800)의 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 바닥재(800)의 하부에 일부가 겹쳐지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하부바닥연장부(901)와, 상기 하부바닥연장부(901)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되어 그 사이에 홈이 형성된 두 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하부기둥부(902)를 포함하는 하부몰딩부재(903); 상기 발코니 바닥재(800)의 상부에 일부가 겹쳐지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상부연장부(907)와, 상기 상부연장부(907)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측면기둥부(908) 및 상기 하부몰딩부재(903)의 상기 하부기둥부(902) 사이의 홈에 삽입체결되고 상기 상부연장부(907)의 하단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마감기둥부(909)를 포함하는 상부몰딩부재(910); 상기 상부측면기둥부(908)의 일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바닥연장부(901)의 상부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휨방지턱(904); 상기 발코니 바닥재(800)의 일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바닥연장부(901)의 상단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정렬턱(906); 상기 하부기둥부(902) 사이의 홈에 삽입체결되는 상기 상부마감기둥부(909)의 삽입정도를 제한하는 제한턱(9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기둥부(909)는 상기 하부몰딩부재(903)의 하부기둥부(902)가 체결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양 측면이 요철모양의 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둥부(902)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마감기둥부(909)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기둥부(902)의 양 상단 내측으로 걸림돌기(911)가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하부몰딩부재(903)와 상부몰딩부재(910)를 이용하여 바닥재의 끝단을 간단히 마감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상,하부몰딩부재(901)(903) 상호 간 착,탈이 가능함으로써, 바닥재 손상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전술한 목적과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몰딩시스템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됨에 따라, 그로 인한 제조비용 및 판매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초래해 왔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기둥부(909)를 복수의 하부기둥부(902) 사이 공간으로 단순히 억지끼워맞춤하는 구조적 관계상, 상부몰딩부재(910)와 하부몰딩부재(903)에 외력이 전해질 경우 상기 상부몰딩부재(910)가 하부몰딩부재(903)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는 문제점이 빈번하였으며, 그 과정 중 관련부품의 파손은 물론 더 심하게는 바닥재 전체의 훼손으로 이어져 결국 기존의 바닥재를 모두 걷어내고 재시공해야만 함으로 인한 금전적·환경적 손실의 폐단을 불러 일으켜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398호(등록일자 : 2013. 04. 1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브 바탕에 미리 접합된 상태로 바닥재의 이음부를 고르게 떠받치게 된 하부몰딩부재를 이용하여, 벽면 및 슬라브 바탕의 미장선 불균일에 의한 바닥재의 마감을 개선하는 동시에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몰딩부재에 결속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케 된 상부몰딩부재를 이용하여, 바닥재의 마감부를 커버토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되는 바닥재의 그 두께에 맞춰 대응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 바탕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의 이음부를 떠받치도록 한 하부몰딩부재; 상기 하부몰딩부재 상측에 결속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이음부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한 결속높낮이 조절과 더불어 견고한 조립상태 유지를 위한 상부몰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몰딩부재는, 복수의 바닥재 끝단을 연이어 떠받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재 이음부 끝단의 밀착고정 및 상기 상부몰딩부재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홀더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몰딩부재는, 상기 홀더부에 끼워맞춤할 수 있는 결속편부와, 상기 결속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도록 미리 정한 횡폭을 가짐에 따라 바닥재의 이음부 끝단을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하는 마감두부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결속편부의 끼워맞춤을 위한 삽입홀이 내측에 마련되도록 상기 안착판부의 중앙부로부터 사이 간격을 두고 돌출배치되는 제1압착편 및 제2압착편의 각 내면에는, 상기 결속편부를 양측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1반구형돌기와 제2반구형돌기가 높이편차를 두고 각각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압착편의 내면 상측부에는, 상기 결속편부의 일측 선단을 추가 가압할 수 있는 다수의 치형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연속으로 더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속편부의 중단부 일면에는, 상기 치형돌기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결착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안착판부의 양측 선단부 상면에는, 상기 바닥재 이음부의 끝단이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은, 바닥재 시공 이전 상기 바닥재 이음부에 하부몰딩부재를 미리 부착함을 통해, 바닥재 마감 불균일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바닥재의 평활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상기 하부몰딩부재에 상부몰딩부재를 조립결합하는 추가 결속을 통해, 실내 바닥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바닥재 이음부(및 마감부) 커버에 따른 시공성 극대화는 물론이거니와 바닥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케 됨으로써,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된 여러 종류의 바닥재 채택시에도 걸레받이 설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전술한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바닥재 시공의 하자 발생률을 최소화하는 등 실내 마감공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그로 인한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을 통해 실내 마감공사 비용의 절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 및 인테리어 관련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의 구성구조 및 결속관계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와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의 구성구조 및 결속관계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와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A)은, 건축물의 실내공간 바탕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의 이음부를 떠받치도록 한 하부몰딩부재(1)와, 상기 하부몰딩부재(1) 상측에 결속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이음부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한 결속높낮이 조절과 더불어 견고한 조립상태 유지를 위하는 상부몰딩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몰딩부재(1)는, 바닥재 이음부의 평활도 향상 및 마감몰딩의 설치구성을 위한 상기 상부몰딩부재(2)의 결착수단인 것으로, 복수의 바닥재 끝단을 연이어 떠받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횡폭을 갖는 안착판부(11)와, 상기 안착판부(11)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로 상향돌출됨에 따라 바닥재 이음부 끝단의 밀착고정과 아울러 상기 상부몰딩부재(2)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홀더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부(11)는, 실내공간 바탕에 착지된 상태로 바닥재의 이음부 끝단을 떠받쳐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판체형인 것이 바람직한 한편, 양측 선단부 상면에는 미장선 불균일로 인해 바닥재 이음부의 끝단이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향 경사면(111)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12)는, 상기 상부몰딩부재(2)의 끼워맞춤을 위해 상기한 안착판부(11)의 중앙부로부터 상향돌출되되, 삽입홀(12a)이 내측에 마련되도록 사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1압착편(121) 및 제2압착편(122)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2압착편(121)(122)의 각 내면에는, 끼워맞춤된 상부몰딩부재(2)를 양측에서 가압할 수 있는 제1반구형돌기(121-1) 및 제2반구형돌기(122-1)가 높이편차를 두고 각각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압착편(122)의 내면 상측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12a)로 끼워맞춤된 상기 상부몰딩부재(2)의 일측 선단을 추가 가압할 수 있는 다수의 치형돌기(122-2)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연속으로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부몰딩부재(2)는, 상기 하부몰딩부재(1)에 결속시켜 바닥재의 이음부를 커버하는 마감수단인 것으로, 상기 홀더부(12)의 삽입홀(12a)에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수직한 결속편부(21)와, 상기 결속편부(2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도록 미리 정한 횡폭을 가짐에 따라 바닥재의 이음부 끝단을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토록 하는 마감두부(22)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편부(21)는, 바닥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홀더부(12) 안으로 삽입되는 깊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치형돌기(122-2)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상기한 결속편부(21)의 삽입깊이 조절 및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결착돌기(211)가 중단부 일면으로부터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감두부(22)는,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목질계 바닥재(800)의 소재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바닥재(800) 이음부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에 적당한 길이로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상기 상,하부몰딩부재(1)(2)의 형태적 구조를 달리하여, 실내공간의 바탕과 벽면이 만나는 바닥재(800)의 마감처리를 위한 용도로도 달리 이용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몰딩부재(1)의 마감두부(22) 일측으로부터는, 상기 제1압착편(121)을 둘러 감싸 마감하는 "Γ"형의 하향절곡부(221)가 더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실내공간 바탕은 평활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부위는 그라인더로 연마하고 크랙은 보수한다. 그리고, 시공면의 이물질 제거 및 바닥면 청소시 접착력을 저해하는 오일(oil)류와 이물질을 반드시 제거하고 바닥면을 청소하는 등 하자요인을 사전에 방지한다.
그런 후에는, 바닥재 시공시의 기준선 선정은 마루 배열이 일직선이 될 수 있도록 기준선을 설정한 다음, 제품(바닥재) 틈새가 벌어지거나 말리지 않도록 완전히 밀착시켜 설치하며 나무판은 엇갈리게 배열한다. 여기서, 목재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공간확보를 위해 벽면에서 3-5m의 공간을 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닥재(800) 시공 직전에 본 발명의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A)을 미장공사가 마무리된 건축물 실내공간의 슬라브 바탕(s)에 설치하게 되는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하부몰딩부재(1)의 안착판부(11)를 실내공간의 경계부 바탕(s)에 밀착시킨 상태로 별도의 접합수단(접착제 또는 스크류볼트 등)을 이용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단히 접합한다.
이후, 상기 슬라브 바탕(s) 상에 마루판(f, 이하 "바닥재"라 함)를 시공하는바, 바닥재(800)의 마감부가 상기 착지편(11) 상에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슬라브 바탕(s)의 미장선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상기 바닥재(800) 이음부의 평활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바닥재(800)의 시공이 마무리된 다음에는, 상기 상부몰딩부재(2)를 하부몰딩부재(1)에 결속시켜 상기 바닥재(800)의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의 바닥재(800)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몰딩부재(2)의 결속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몰딩부재(2)의 결속편부(23)를 하부몰딩부재(1)의 홀더부(12)에 끼워맞춤 결속시킨다. 여기서, 상기 결속편부(23)의 선단이 상기 삽입홀(12a)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부(12)의 제1압착편(121)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반구형돌기(121-1)에 의해 일측이 우선 가압되고, 계속되는 삽입과정 도중 상기 제2압착편(122)의 제2반구형돌기(122-1)에 의해 다른 일측이 추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한 결속편부(21)의 결속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상,하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된 제1,2반구형돌기(121-1)(122-1)에 의한 순차적 가압에 따라, 상기 하부몰딩부재(1)와 상부몰딩부재(2)가 상호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편부(23)를 삽입홀(12a) 안으로 완전히 삽입시켜, 바닥재(800)의 그 상면에 상기 마감두부(22)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상부몰딩부재(2)의 위치를 낮춰서 조립결합할 수 있다.
더하여, 전술한 바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12a) 안으로 깊숙이 침투하는 결속편부(21)의 그 일측 중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결착돌기(211)가 제2압착편(122)의 내면 상측부에 연속반복적으로 형성된 치형돌기(122-2)에 의해 마련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하측에 위치한 내향홈에 삽입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바닥재(800) 시공 이전, 슬라브 바탕(s)에 상기 하부몰딩부재(1)를 우선 접합시켜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800)의 이음부를 떠받치도록 함을 통해, 상기 슬라브 바탕(s)의 미장선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상기한 바닥재(800)의 평활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몰딩부재(1)에 상부몰딩부재(2)를 결속시키되, 바닥재(800) 그 두께에 따라 결속높낮이의 조절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마감이 불균일한 바닥재(800) 이음부의 테두리부위(마감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바닥재(800) 시공시의 작업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마감몰딩, 1 : 하부몰딩부재, 2 : 상부몰딩부재
11 : 안착판부, 12 : 홀더부, 12a : 삽입홀
21 : 결속편부, 22 : 마감두부, 111 : 경사면
121 : 제1압착편, 121-1 : 제1반구형돌기, 121-2 : 치형돌기
122 : 제2압착편, 122-1 : 제2반구형돌기, 221 : 하향절곡부

Claims (3)

  1. 건축물의 실내공간 바탕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의 이음부를 떠받치도록 한 하부몰딩부재; 상기 하부몰딩부재 상측에 결속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이음부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한 결속높낮이 조절과 더불어 견고한 조립상태 유지를 위한 상부몰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몰딩부재는, 복수의 바닥재 끝단을 연이어 떠받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재 이음부 끝단의 밀착고정 및 상기 상부몰딩부재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홀더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몰딩부재는, 상기 홀더부에 끼워맞춤할 수 있는 결속편부와, 상기 결속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도록 미리 정한 횡폭을 가짐에 따라 바닥재의 이음부 끝단을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하는 마감두부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결속편부의 끼워맞춤을 위한 삽입홀이 내측에 마련되도록 상기 안착판부의 중앙부로부터 사이 간격을 두고 돌출배치되는 제1압착편 및 제2압착편의 각 내면에는, 상기 결속편부를 양측에서 가압하기 위한 제1반구형돌기와 제2반구형돌기가 높이편차를 두고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압착편의 내면 상측부에는, 상기 결속편부의 일측 선단을 추가 가압할 수 있는 다수의 치형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연속으로 더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속편부의 중단부 일면에는, 상기 치형돌기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결착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부의 양측 선단부 상면에는, 상기 바닥재 이음부의 끝단이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KR1020140126563A 2014-09-23 2014-09-23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KR10167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63A KR101674258B1 (ko) 2014-09-23 2014-09-23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63A KR101674258B1 (ko) 2014-09-23 2014-09-23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37A KR20160035237A (ko) 2016-03-31
KR101674258B1 true KR101674258B1 (ko) 2016-11-08

Family

ID=5565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563A KR101674258B1 (ko) 2014-09-23 2014-09-23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33B1 (ko) * 2018-08-09 2019-04-22 주식회사 해일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KR102016282B1 (ko) * 2019-03-15 2019-10-21 주식회사 해일 데크몰딩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2256939B1 (ko) * 2020-10-28 2021-05-27 (주)블루엔텍 조절 가능한 붙박이 가구용 몰딩부재
KR102585547B1 (ko) * 2023-02-27 2023-10-05 유진숙 식품 제조시설용 코너 몰딩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309A (ja) * 2005-04-14 2007-11-01 Piolax Inc 止め具
JP2012154062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外壁用役物およびその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785A (ja) * 1995-01-30 1996-08-06 Sekisui Jushi Co Ltd 金属サイデイング用役物
KR101255398B1 (ko) 2008-02-26 2013-04-17 (주)엘지하우시스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309A (ja) * 2005-04-14 2007-11-01 Piolax Inc 止め具
JP2012154062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外壁用役物およ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37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58B1 (ko) 자재 이음부용 마감몰딩
KR200456494Y1 (ko) 조립형 목재 난간
US9388583B2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JP5639165B2 (ja) 床形状構造
US6418696B1 (en) Apparatus for architectural unit construction
WO2015137052A1 (ja) 突条部ビス留め床板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KR102106473B1 (ko) 마루바닥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44100B1 (ko) 공동주택용 도어 하단부 방수장치
KR200475755Y1 (ko) 프레임용 석재 판넬 고정 브라켓
KR200491057Y1 (ko) 계자난간 조립체
KR20140121589A (ko) 조립식 방화문틀
US5870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chitectural unit construction
KR20220010301A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JP5502781B2 (ja) 木造建築の面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20100002876U (ko) 타일 마감 프레임 및 그 설치 구조
KR100388543B1 (ko)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KR102146013B1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면귀
KR100388547B1 (ko) 가변형 문틀
KR20190135767A (ko) 단열재와 마감재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JP6697735B2 (ja) 階段
KR101301033B1 (ko)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탄성커버
KR101978359B1 (ko) 마루 시공용 마루굽틀
KR101818291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US11396756B2 (en) Hand rail system and associated component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